메타 Meta |
|
<colbgcolor=#0265e0><colcolor=#fff> 한글 명칭 | 메타 플랫폼 주식회사 |
영문 명칭 | |
Facebook, Inc. (2004~2021) | |
Meta Platforms, Inc.[2] (2021~) | |
설립일 | 2004년 1월 4일 ([age(2004-01-04)]주년) |
국가 |
[[미국| ]] ( 다국적 기업) |
본사 | 미국 캘리포니아 주 멘로 파크 |
대표자 | 마크 저커버그 (CEO) |
시가총액 | 388조 5,240억[3] |
기업 규모 | 대기업 |
상장여부 | 상장기업 |
상장시장 | 나스닥시장( 2012년 ~ 현재) |
종목코드 | NASDAQ: NQ: META |
본사 위치 | |
링크 |
|
[clearfix]
1. 개요
Connection is evolving and so are we.
연결의 방식은 진화합니다. 그리고 저희도 변화합니다. #
메타(Meta Platforms, Inc.)는 2004년 Facebook Inc.라는 이름으로 설립된 미국의 IT 기업으로, 본사는 캘리포니아 멘로 파크에 있다. 창업자는 현재 CEO인
마크 저커버그를 포함한 다수의 동업자들이다. 전 세계 최대 규모의 소셜 미디어 플랫폼인
Facebook을 운영하고 있다. 2012년에
인스타그램을 인수한 후, 2014년엔
왓츠앱,
오큘러스를 인수하였다. 2021년에는 명칭을
페이스북에서
메타로 변경하였다.[4]연결의 방식은 진화합니다. 그리고 저희도 변화합니다. #
2. 특징
2021년 기준, 미국에서 5번째로 시가총액 1조 달러를 달성했다. MAGA로 대표되는 미국 빅테크 기업과 비슷한 체급으로 언급되며, 해외에선 빅테크 기업을 지칭하는 용어로 MAGA 대신 GAFAM 이라는 페이스북을 추가한 약칭도 흔히 쓰인다.2021년 10월 28일에 연 페이스북의 온라인 연례 커넥트 이벤트에서 마크 저커버그 CEO가 원래 Facebook이였던 사명을 'Meta'로 변경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FB'였던 나스닥에서의 주식 종목코드는 2021년 12월 1일부로 메타버스라는 뜻을 가진 'META'로 바뀌었다.
메타라는 사명은 메타버스에서 유래한 것으로 소셜미디어에 치중된 기존 사업 모델에서 탈피하여 메타버스를 주력 사업모델로 삼을 것이란 뜻을 밝혔다. 내부고발과 규제당국의 움직임 같은 내외부적인 위기 국면을 돌파하고, 신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이라는 반응이 있다. 가상 공간에서의 체험을 중점으로 두는 영역인 만큼 자회사로 둔 VR기기 전문 제조사 Oculus의 비중이 급증할 것으로 보인다.[5]
Google과 알파벳의 경우와 비슷하게 보일 수도 있으나, 알파벳은 신설된 지주회사로서 구글을 자회사로 둔 형태지만 페이스북과 메타는 그저 회사 명만 바꾼 것이다. 회사 이름만 바꾸고 Facebook이란 브랜드는 서비스명으로 유지한다.
3. 주요 임원진
출처- 창업자, 의장, 최고경영자 마크 저커버그 Mark Zuckerberg, Founder, Chairman and Chief Executive Officer
- 최고운영책임자, 재비어 올리번 Javier Olivan, Chief Operating Officer
- 글로벌업무소통 사장, 닉 클레그 Nick Clegg, Head of Global Affairs and Communications
- 최고재무책임자, 수잔 리 Susan Li, Chief Financial Officer
- 최고제품책임자, 크리스 콕스 Chris Cox, Chief Product Officer
- 최고기술책임자, 앤드류 '보즈' 보스워스 Andrew 'Boz' Bosworth, Chief Technology Officer
- 최고사업책임자, 만 레빈 Marne Levine, Chief Business Officer
- 최고법무책임자, 제니퍼 뉴스테드 Jennifer Newstead, Chief Legal Officer
- 인사 사장, 로리 골러 Lori Goler, Head of People
- 최고다양성책임자, 맥신 윌리엄스 Maxine Williams, Chief Diversity Officer
- 선임연구원, 마이크 슈뢰퍼 Mike Schroepfer, Senior Fellow
- 왓츠앱 사장, 윌 캐스카트 Will Cathcart, Head of WhatsApp
- 제품 사장, 나오미 글레이트 Naomi Gleit, Head of Product
- 메신저 사장, 로레다나 크리산 Loredana Crisan, Head of Messenger
- 수익 창출 사장, 로레다나 크리산 Loredana Crisan, Head of Monetization
- 인프라 사장, 산토시 자나르단 Santosh Janardhan, Head of Infrastructure
- 인스타그램 사장, 애덤 모세리 Adam Mosseri, Head of Instagram
- 최고프라이버시정책책임자, 에린 에건 Erin Egan, Chief Privacy Officer, Policy
- 최고프라이버시책임자, 마이클 프로티 Michel Protti, Chief Privacy Officer, Product
- 최고마케팅책임자 및 분석임원, 알렉스 슐츠 Alex Schultz, Chief Marketing Officer and VP of Analytics
- 상업 및 금융 기술 사장, 댄 레비 Dan Levy, Head of Commerce and Financial Technologies
- 페이스북 앱 사장, 톰 앨리슨 Tom Alison, Head of Facebook App
4. 자회사 및 주요 서비스
|
||||
|
|
|
|
|
- 페이스북: 사용자가 30억 명에 육박하는, 세계 최대의 소셜 미디어 플랫폼 서비스. 2004년 창업 때부터 2021년 10월 28일까지의 회사명이었다.
- Messenger
- 인스타그램: 사진 촬영과 공유에 특화된 소셜 미디어. MZ세대를 중심으로 한 청소년 및 청년층이 가장 많이 쓰는 앱 중 하나로 꼽힐 만큼 SNS 분야에서 폭발적인 인기와 압도적인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글을 중심으로 하는 페이스북 서비스보다 더 잘 나가는,[6][7] 말 그대로 메타의 효자. 인수 당시 1조 원을 들인 저커버그는 고평가 논란과 함께 '너무 많은 돈을 들여 괜한 짓 한다'는 주위의 회의적인 시선을 한몸에 받았다. 하지만 인스타그램의 현재 가치는 111조 원이 넘는다. 이제는 메타가 인수합병(M&A)을 통해 시장을 독점한 핵심 사례로 규제당국에게 지목당하는 중.
- 왓츠앱: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8]. 문자 메시지와 이메일 사용 빈도가 높은 미국과 현지 메신저들( 카카오톡, 라인, 위챗 등)이 시장을 장악한 동아시아, 지역적 특수성으로 글로벌 기업이 제대로 진출하지 못한 일부 국가를 제외하면 페이스북 메신저와 함께 세계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모바일 메신저다. 특히 유럽 일대에서 점유율이 높다.
- 오큘러스: 가상현실(VR) 기기를 개발하는 회사. 현재 VR 기기 시장에서 압도적인 1위를 차지하고 있다. 페이스북 등 소셜미디어 사업을 중심으로 했던 메타가 SNS 기업을 넘어 메타버스 기업으로 발돋움하겠다는 비전을 밝힌 현재, 메타버스 부문의 하드웨어를 담당하는 핵심 회사가 될 예정. 다만 2021년 10월 28일 페이스북 사내에서 리얼리티 랩을 책임지는 앤드류 보스워스 부사장이 '오큘러스 퀘스트'를 '메타 퀘스트'로, '오큘러스 앱'을 '메타 퀘스트 앱'으로 개칭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르면 메타로 새출발하는 페이스북 산하에서 오큘러스 브랜드가 소멸하고 '메타' 브랜드로 대체될 것으로 보인다.
- 커스터머: 온라인 고객 응대 서비스와 챗봇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회사. 소셜 미디어 기반 전자상거래 기능인 '페이스북 숍'을 활성화하기 위해 2020년 11월 30일에 인수를 발표했다.
- Beat Games
- 레디 앳 던
- 산자루 게임즈[9]
- 다운푸어 인터렉티브[10]
4.1. Horizon worlds
<colbgcolor=#3e96f8><colcolor=#010101> '''호라이즌 월드 Horizon worlds''' |
|
|
|
개발 | |
장르 | 샌드박스, 오픈 월드, VR |
출시 | 2021년 12월 9일 |
엔진 | 유니티 엔진 |
관련 페이지 |
|
메타에서 2021년 12월 9일 북미 지역에서 발표한 게임. 메타 사에서는 이를 메타버스로 밀어주고 있다.
[clearfix]
4.1.1. 평가
메타 사에서 기업의 이름까지 바꾸며 메타버스를 밀어준 것과 비교하여, 2022년 시점에서 Horizon Worlds는 대형 제작사가 거액을 들여 만든거라고는 믿기지 않을 정도로 망작이라는 평이 많다. 특히 아바타싱어처럼 새로운 문화를 전혀 이해하지 못해 만들어진 대참사라는 평이 많다.그래픽은 플랫 디자인 중심의 단순한 디자인을 쓰고 있는데, 많은 사람들은 이 디자인이 영혼없어 보인다고 비판하기도 한다. 영미권 인터넷에서는 이 기업체 등에서 주로 사용되는 플랫 디자인이 개성없고 기업체들의 나쁜점들을 떠올리게 한다며 매우 싫어한다. 특히 개성 등을 중시하는, 아마 Horizon worlds의 주 타겟층이었을 사람들에게는 단순한 커스터마이징 옵션이 제공된 아바타에,[11] 개성없는 월드들은 전혀 어필하지 못하였다.
플레이어들의 아바타는 다리가 안 보여 상체만 떠다니는 모습을 하고 있는데, 다리를 보이게 하는 것이 개발중인 것을 마치 대단한 발표인것처럼 발표하는 바람에 다리가 안 보이는 이유가 기술력 부족이라는 것이 알려지며 비웃음을 사고 있다. 게다가 영상의 다리도 진짜가 아닌 모션 트래킹으로 미리 만들어 놓은 가짜라고 한다. 다리를 그냥 애니메이션으로 처리하는 기술은 이미 초기 3D 게임부터 있었던 기술이고, 다리까지 트래킹하는 기술은 VRchat도 있는 기술이며, procedural animation(미리 만들어 놓은 애니메이션이 아닌 수학계산 등으로 애니메이션을 처리하는 기술)등도 2000년대 초반의 게임들에 이미 적용된 기술이다.
프랑스와 스페인등에서 서비스를 시작한다며 마크 저커버그가 Horizon worlds 내부에서 찍은 사진을 트위터에 올렸는데, ( #) 불쾌한 골짜기스러운 마크 저커버그의 아바타에, 사그라다 파밀리아 대성당과 에펠탑의 3d 모형을 대충 넣어놓은거 같은 모습, 뒤의 어색한 언덕들과 듬성듬성 있는 나무, 그림자도 없는 어색한 그래픽 등이 어우러져 엄청난 놀림을 받았고 사진 자체가 일종의 밈이 되는 등 완전히 비웃음거리로 전락했다. 현재까지도 이 사진은 메타버스의 부정적인 일면을 다룰 때 주로 쓰이는 소재거리로 다뤄진다.
그 덕분에 메타의 주가는 결국 폭락을 면치 못했고[12] Horizon worlds의 이용자들은 한달에 20만명 정도로 계속 떨어지고 있으며 인지도도 바닥을 치고 있다. 2003년 나오고 이미 한물갔다는 평가를 듣는 세컨드 라이프보다도 동접자가 작을 정도. # 게다가 이용자들이 떨어지자 메타버스게임의 특징인, 이용자들이 많아야 재미있게 즐길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이용자들은 더 빠져나가는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다. 심지어 개발자들도 안 한다는 기사까지 나올 정도. #
5. 여담
- Meta Company라는 기업이 페이스북이 Meta라는 이름을 허락 없이 가져다 썼다고 페이스북을 고소한 사건이 있었다. 기사
- 상술하였듯 회사 이름이 메타로 변경된 것이며 서비스(웹사이트) 명칭은 그대로 페이스북이다. 즉 "페이스북 사용자"지 "메타 사용자"가 아니다.
-
2022년 9월 한국 정부가 한국 이용자들에 대한 메타의 개인정보 불법 수집 행위에 대해
구글과 함께 308억원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
- 2022년 10월 러시아 정부가 메타를 테러조직으로 지정했다. #
6. 둘러보기
|
||||
|
|
|
|
|
[1]
페이스북 시절 로고. 서비스로서의 페이스북 로고가 아니라 지주회사격으로 페이스북 산하 모든 서비스를 통할하는 기업으로서의 페이스북 로고이다. 대중에게 익숙한 파란색 페이스북 로고는 페이스북 서비스에서만 사용하였고 인스타그램을 비롯한 다른 서비스들을 소유한 기업으로서의 로고가 상기 로고였다. [2] 8-K에 나온 회사 공식 명칭. [3] 2022년 10월 27일 기준 $2728.39억 나스닥 [4] 한글 정식명칭은 메타 플랫폼 주식회사 [5] 실제로 오큘러스 퀘스트 2 사용시 필수사항이었던 페이스북 계정 연동이 사명을 메타로 변경한 이후인 2022년부터는 페이스북 계정연동 없이도 사용이 가능할 것이라고 발표하는 등 더이상 페이스북이 중심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6] 이 때문에 마크 저커버그가 인스타그램을 시기하고 질투하는 듯한 태도를 보였다고 한다. 실제로 저커버그는 공개 석상에서 "인스타그램이 페이스북을 기반으로 하여 잘 나가고 있는 것"이라는 뉘앙스로 발언한 바 있다. 그는 결국 인수 당시 약속한 '독립적 경영' 원칙을 서서히 깨고 인스타그램을 완전히 메타의 영향력 아래 두기 위한 절차를 밟아나갔다. 이 과정에서 케빈 시스트롬 등 인스타그램 창업을 주도한 사람들은 의견 충돌을 빚다 결국 퇴사했다. [7] 이전부터도 페이스북 앱과 인스타그램 앱의 업데이트 내역에서 이런 모양새가 나타나기는 했다. 페이스북 앱에서는 사용자 편의를 위한 다양한 효과음이나 하이퍼링크등의 업데이트들이 적용되고 반응도 좋았는데 인스타그램 앱에는 인스타그램 사용자들의 요구에도 불구하고 어떤 효과음이나 이펙트도 추가되지 않았다. 결국 인스타그램 창업자가 그렇게 거부하던 대놓고 상업적인 행동을 하기 시작하자 원래 독립경영을 보장받았던 창업자들은 그만두고 나가버리게 되었고 인스타그램에는 원래 화면 한가운데 요충지에있던 인터페이스버튼이 업로드 버든이 아니라 쇼핑몰 버튼으로 변경되어 버리는등 수익화 모델 도입을 직격타로 맞았다. [8] 이쪽의 사정도 인스타그램과 마찬가지. 저커버그는 초기에 '독립적 경영'을 약속하며 인수했지만, 시간이 지나자 서서히 자신의 입맛에 맞게 왓츠앱 서비스를 개량하려 했다. 결국 왓츠앱 공동창업자들도 인스타그램 창업자들과 마찬가지로 메타 경영진과 의견 충돌을 빚다 퇴사했다. [9] 아스가르드의 분노 제작사. [10] Onward 제작사. [11] 메타 사에서는 이 시스템으로 자신을 닮은 아바타를 만들라며 어필했지만, 정작 VR Chat이나 Rec Room, Roblox 등의 주 사용자들은 자신이 좋아하는 캐릭터들이나 자신이 만든 캐릭터를 아바타로 쓰지, 자기 자신을 닮은 캐릭터를 만드는 것은 별로였다. VRchat이나 세컨드 라이프등이 수인, 애니메이션 캐릭터, 물건, 동물 등 자신이 원하는 3d 파일을 아바타로 쓸수있게 해주고 아바타를 볼 수 있도록 거울등도 설치해 주어 룩딸을 좋아하는 사람들에게 매우 어필했는데, 같은 디자인의 사람 모습에서 눈썹이나 머리카락, 키 등을 바꾸는 정도인 horizon worlds의 커스터마이징 옵션은 별로 관심을 끌지 못했다. [12] 실적발표당일 하루만에 -20%가 넘게 하락할 정도였다.
페이스북 시절 로고. 서비스로서의 페이스북 로고가 아니라 지주회사격으로 페이스북 산하 모든 서비스를 통할하는 기업으로서의 페이스북 로고이다. 대중에게 익숙한 파란색 페이스북 로고는 페이스북 서비스에서만 사용하였고 인스타그램을 비롯한 다른 서비스들을 소유한 기업으로서의 로고가 상기 로고였다. [2] 8-K에 나온 회사 공식 명칭. [3] 2022년 10월 27일 기준 $2728.39억 나스닥 [4] 한글 정식명칭은 메타 플랫폼 주식회사 [5] 실제로 오큘러스 퀘스트 2 사용시 필수사항이었던 페이스북 계정 연동이 사명을 메타로 변경한 이후인 2022년부터는 페이스북 계정연동 없이도 사용이 가능할 것이라고 발표하는 등 더이상 페이스북이 중심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6] 이 때문에 마크 저커버그가 인스타그램을 시기하고 질투하는 듯한 태도를 보였다고 한다. 실제로 저커버그는 공개 석상에서 "인스타그램이 페이스북을 기반으로 하여 잘 나가고 있는 것"이라는 뉘앙스로 발언한 바 있다. 그는 결국 인수 당시 약속한 '독립적 경영' 원칙을 서서히 깨고 인스타그램을 완전히 메타의 영향력 아래 두기 위한 절차를 밟아나갔다. 이 과정에서 케빈 시스트롬 등 인스타그램 창업을 주도한 사람들은 의견 충돌을 빚다 결국 퇴사했다. [7] 이전부터도 페이스북 앱과 인스타그램 앱의 업데이트 내역에서 이런 모양새가 나타나기는 했다. 페이스북 앱에서는 사용자 편의를 위한 다양한 효과음이나 하이퍼링크등의 업데이트들이 적용되고 반응도 좋았는데 인스타그램 앱에는 인스타그램 사용자들의 요구에도 불구하고 어떤 효과음이나 이펙트도 추가되지 않았다. 결국 인스타그램 창업자가 그렇게 거부하던 대놓고 상업적인 행동을 하기 시작하자 원래 독립경영을 보장받았던 창업자들은 그만두고 나가버리게 되었고 인스타그램에는 원래 화면 한가운데 요충지에있던 인터페이스버튼이 업로드 버든이 아니라 쇼핑몰 버튼으로 변경되어 버리는등 수익화 모델 도입을 직격타로 맞았다. [8] 이쪽의 사정도 인스타그램과 마찬가지. 저커버그는 초기에 '독립적 경영'을 약속하며 인수했지만, 시간이 지나자 서서히 자신의 입맛에 맞게 왓츠앱 서비스를 개량하려 했다. 결국 왓츠앱 공동창업자들도 인스타그램 창업자들과 마찬가지로 메타 경영진과 의견 충돌을 빚다 퇴사했다. [9] 아스가르드의 분노 제작사. [10] Onward 제작사. [11] 메타 사에서는 이 시스템으로 자신을 닮은 아바타를 만들라며 어필했지만, 정작 VR Chat이나 Rec Room, Roblox 등의 주 사용자들은 자신이 좋아하는 캐릭터들이나 자신이 만든 캐릭터를 아바타로 쓰지, 자기 자신을 닮은 캐릭터를 만드는 것은 별로였다. VRchat이나 세컨드 라이프등이 수인, 애니메이션 캐릭터, 물건, 동물 등 자신이 원하는 3d 파일을 아바타로 쓸수있게 해주고 아바타를 볼 수 있도록 거울등도 설치해 주어 룩딸을 좋아하는 사람들에게 매우 어필했는데, 같은 디자인의 사람 모습에서 눈썹이나 머리카락, 키 등을 바꾸는 정도인 horizon worlds의 커스터마이징 옵션은 별로 관심을 끌지 못했다. [12] 실적발표당일 하루만에 -20%가 넘게 하락할 정도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