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교구 및 본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9A26A, #B9A26A 20%, #B9A26A 80%, #B9A26A); color: #231916; min-height: 31px" {{{#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231916> 직할교구 | 제2교구 | 제3교구 | 제4교구 | 제5교구 |
조계사 | 용주사 | 신흥사 | 월정사 | 법주사 | |
<rowcolor=#231916> 제6교구 | 제7교구 | 제8교구 | 제9교구 | 제10교구 | |
마곡사 | 수덕사 | 직지사 | 동화사 | 은해사 | |
<rowcolor=#231916> 제11교구 | 제12교구 | 제13교구 | 제14교구 | 제15교구 | |
불국사 | 해인사 | 쌍계사 | 범어사 | 통도사 | |
<rowcolor=#231916> 제16교구 | 제17교구 | 제18교구 | 제19교구 | 제20교구 | |
고운사 | 금산사 | 백양사 | 화엄사 |
|
|
<rowcolor=#231916> 제21교구 | 제22교구 | 제23교구 | 제24교구 | 제25교구 | |
송광사 | 대흥사 | 관음사 | 선운사 | 봉선사 | |
군종특별교구 · 해외특별교구
|
}}}}}}}}}}}} |
대흥사 관련 틀 | |||||||||||||||||||||||||||||||||||||||||||||||||||||||||||||||||||||||||||||||||||||||||||||||||||||||
|
{{{#!wiki style="margin:-15px -10px 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B9A26A> 대한불교조계종 제22교구 본사 | |
두륜산 대흥사 頭輪山 大興寺 | Daeheungsa |
||
<colbgcolor=#B9A26A><colcolor=#fff> 위치 |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대흥사길 400 (구림리 799) |
|
설립 | 426년/ 544년 | |
창건자 | 정관존자/아도화상 | |
주지 | 성해 법상 | |
등급 | 제22교구의 교구본사 | |
링크 |
- 문화재 정보[ 펼치기 · 접기 ]
- ----
대한민국 사적 해남 대흥사
海南 大興寺<colbgcolor=#315288><colcolor=#fff> 소재지 전남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 766번지 등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사찰 수량/면적 112,813㎡ 지정일 2009년 12월 21일 시대 삼국시대 소유단체 대흥사 관리단체 대흥사
유네스코 세계유산 <colbgcolor=#000>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Sansa, Buddhist Mountain Monasteries in Korea
Sansa, monastères bouddhistes de montagne en Corée<colcolor=#fff> 국가·위치 <colbgcolor=#fff,#1f2023>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전라남도 해남군등재유형 문화유산 지정번호 1562 등재연도 2018년 등재기준 (ⅲ)[1]
[clearfix]
1. 개요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의 두륜산 도립공원 내에 위치한 사찰이며, 대한불교 조계종 제22교구 본사이다. 대둔사(大芚寺)라고도 한다.역사적·학술적 가치를 인정 받아 2009년에 대한민국의 사적으로 지정되었으며[2] 2018년 6월 30일에는 전국 각지에 소재하는 산사들과 함께 '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이라는 명칭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2. 역사
|
|
일제강점기 대흥사 전경 |
허나 편찬에 참여한 혜장선사는 두 설화 모두 인물가 시기가 맞지 않다며 두 설을 모두 일축하였다.
임진왜란 때 휴정(서산대사)이 거느린 승군(僧軍)의 총본영이 있던 곳으로, 1604년(선조 37년) 서산이 자신의 의발을 이곳에 전한 후 크게 중창되었다고 한다. 이때 휴정은 삼재가 들어오지 않아 만세토록 파괴됨이 없는 곳이라고 하였고, 6.25 전쟁 당시 해남이 북한군에게 점령당했음에도 아무런 피해를 입지 않았다. 입구 앞에서는 사적지로 지정된 5.18 민주화운동 당시 광주로 향하던 해남 군민들이 떠나기 전에 음료와 식사를 제공했던 공터가 있다.
3. 가람 및 중요문화재
경내에는 대웅보전, 침계루, 명부전, 나한전, 천불전, 응진전, 용화당, 표충사, 서산대사기념관, 대광명전, 만일암 등의 건물, 응진전 앞 3층석탑, 북미륵암 3층석탑이 있다. 그 외에 국보 제308호로 지정된 북미륵암 마애여래좌상이 있다. 서산대사를 비롯한 여러 유명한 스님의 부도(浮屠, 사리)와 탑이 있다. 대흥사 뒤편을 따라 올라가면 다승 초의선사가 기거하던 일지암이 있으며, 현재도 대흥사에서는 매년 초의선사 문화제를 통해 다례를 전파하는 행사를 갖는다.대웅보전의 현판은 원교 이광사가, 무량수각의 현판은 추사 김정희가 썼는데 여기에는 일화가 있다. 이광사 항목 참조.
천불전
천불전과 천불(1,000분의 불상)이 1811년 화재로 불타자, 불에 타지 않는 옥석으로 천불을 다시 제작하였는데, 옥석의 산지인 경주에 40여명의 스님들이 모여 오랜 시간과 공을 들여 천불을 완성했다.
완성된 불상은 큰배에 768개, 작은배에 232개를 싣고 울산 바다를 출발했는데, 작은배는 전라도 해남에 도착했으나 큰배는 동래 앞바다에서 풍랑을 만나 일본 나가사키에 닿았다.
일본 측에서는 불상이 바다를 통해 온 것을 상서롭게 여겨 일본땅에 768불을 모시는 절을 짓고자 하였으나, 일본 승려 꿈에 불상이 나와서 자신은 '조선국 해남 대흥사로 가던 길이었으니 일본땅에 봉안될 수 없다'라고 하자 일본은 표류한 승려들과 불상을 되돌려 보내주었다.
불상을 실은 큰배의 일본 표류 이야기는 큰배에 탔던 풍계대사가 쓴 『일본표해록』과 일본 화가가 표류해온 불상을 보고 그린 『조선표객도』그림에 남아있다. 또한, 소식이 끊겼다가 한해만에 살아서 돌아온 일행과 고스란히 도착한 768개의 불상의 소식을 당시 해남에 유배와 있던 정약용이 듣고서 일본에 다녀온 불상 어깨에 표식을 남겼다.
3.1. 비석 목록
-
풍담당대사비
1675(숙종 1)년에 세워진 비석으로 대흥사의 13 대종사 중 한 명인 풍담 의심을 기리는 비석이다. -
월저·설암대사탑비
1739(영조 15)년에 세워진 비석으로 대흥사의 13 대종사 중 3대 종사인 월저 도안月渚道安(1638-1715)과 5대 종사인 설암 추붕雪巖秋鵬(1651-1706)의 삶을 기리는 비석이다. -
대둔사 사적비
1744(영조 20)년에 세워진 비석으로 대흥사의 창건과 중수 내력을 적은 비석이다. -
함월대사비
1773(영조 49)년에 세워진 비석으로 대흥사의 13 대종사 중 한 명인 함월 해원涵月海源(1691-1770)의 삶을 기리는 비석이다. -
청허당대사비
1778(정조 2)년에 세워진 비석으로 청허 휴정淸虛休靜(1520-1604)[3]]을 기리는 비석이다. -
서산대사 표충사 기적비
1791(정조 15)년에 세워진 비석으로 청허 휴정淸虛休靜(1520-1604)의 충절을 기리는 비석이다. -
표충사 건사사적비
1792(정조 16)년에 세워진 비석으로 청허 휴정淸虛休靜(1520-1604)을 기리는 표충사의 역사를 기록한 비석이다. -
연담화상비
1803(순조 3)년에 세워진 비석으로 대흥사 13 대종사 중 한 명인 연담 유일蓮潭有一(1720-1799)의 삶을 기리는 비석이다. -
호암대사비
1822(순조 22)년에 세워진 비석으로 대흥사 13 대종사 중 한 명인 호암 체정虎巖體淨(1687-1748)의 삶을 기리는 비석이다. -
환성대사비
1822(순조 22)년에 세워진 비석으로 대흥사 13 대종사 중 한 명인 환성 지안喚醒志安(1664-1729)의 삶을 기리는 비석이다. -
완호대사탑비
1858(철종 9)년에 세워진 비석으로 대흥사 13 대강사[4] 중 한 명인 완호 윤우玩虎倫佑(1758-1826)의 삶을 기리는 비석이다.
4. 교통
교통은 조금 불편하다. 해남군 전체에서도 상당히 깊숙하게 들어가야 하는 곳이다. 가장 가까운 고속도로 나들목인 남해고속도로 강진무위사IC에서도 30km 이상을 가야 한다.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 해남종합버스터미널 정류장에서 대흥사 밑 주차장의 정류장까지 가는 농어촌버스가 있다.과거에는 무려 이천(?...)으로 가는 버스도 있었다.
5. 이모저모
주변의 두륜산, 미황사, 땅끝마을 등과 연계해서 찾는 관광객들이 많다.2017년 5월 제19대 대통령 선거가 끝나자 대흥사는 특별한 인연을 밝히면서 대통령 당선을 축하하는 현수막을 걸어놓았다. 왜냐하면 문재인 대통령이 1978년에 약 8개월 동안 머물면서 사시공부에 정진해 1차시험에 합격한 특별한 사연이 있기 때문이라고. 대흥사는 당시 대통령이 공부했던 방인 대흥사 대광명전 구역 내 동국선원 7번 방을 언론에 공개하며 촬영을 허락했다.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결정하는 세계유산위원회(WHC)는 2018년 6월 30일 바레인 수도 마나마에서 열린 제42차 회의에서 한국이 신청한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을 세계유산으로 등재했다. 우리나라가 등재 신청한 산사는 양산 통도사, 영주 부석사, 안동 봉정사, 보은 법주사, 공주 마곡사, 순천 선암사, 해남 대흥사이다. #
[1]
현존하거나 이미 사라진 문화적 전통이나 문명의 독보적 또는 적어도 특출한 증거일 것
[2]
처음 지정될 당시 사적 제508호로 지정되었다. 현재는 문화유산에 번호를 매기는 것이 유산의 중요도로 오인될 수 있음을 고려해 따로 번호를 매기지 않고 있다.
[3]
청허 휴정은 임진왜란 때 일본을 무찌르는 데 앞장선 서산대사를 말한다
[4]
대종사와 대강사는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