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段位認定beatmania IIDX의 플레이 모드이자 시스템 중 하나로, 정해진 코스를 통과한 플레이어에게 해당하는 단위(段位)를 부여하는 시스템이다. 이렇게 획득한 단위는 실력의 지표로 인정되며, 뚜렷한 목표를 제시하여 유저들의 도전 심리를 유도하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실력이 비슷한 유저들끼리 서로를 쉽게 식별하고 나아가 커뮤니티를 형성하는 데에도 영향을 주었다. 단순히 과시 효과만 있는 것이 아니라 게임 플레이에서도 특정 부분에 이점이 주어진다.
다른 유저와 직접적으로 경쟁하거나, 상대평가적인 시스템으로 등급을 부여하지 않는다. 무조건 절대평가로 진행된다. 그래서 통과만 하면 OK다. 커뮤니티를 가보면 무리해서라도 단위를 취득하려는 유저들도 많이 볼 수 있다.
모드 셀렉트에서 확인할 수 있는 영문 모드명은 "CLASS". 이외에 "LEVEL ANALYZE"라는 문구도 있는데, LED 패널이나 코스 진입시, 단위 명패 등등 여기저기에 표시된다. 14 GOLD의 북미 로케테스트 버전에서는 Skill level이라고 표기하기도 했다.
2. 구조
단위는 7급(級)~1급, 초단(段)~10단, 중전(中伝), 개전(皆伝) 순으로 높아진다. 원하는 단위를 선택하여 정해진 코스(4곡)를 끝까지 연주하면 합격한다. 공정성을 위해 어시스트 옵션과 랜덤계열 옵션을 쓸 수 없다. 미러 옵션[a]과 노트 표시 영역 옵션은 사용 가능하다. 게이지는 서바이벌 게이지를 사용하며, 감소폭이 매우 자비로운 대신 스테이지를 넘어가도 게이지 잔량이 보존되기 때문에 꾸준한 게이지 관리가 필요하다.[2] 게이지 증감량은 beatmania IIDX/플레이 옵션을 참조.각 신버전의 가동 개시 직후에는 8단까지만 선택할 수 있다. 일정 기간 후[3] 9, 10단이 개방되고, 다시 일정 기간 후[4] 중전과 개전이 개방된다.[5] 10단 이하의 단위는 도전에 제한이 없지만, 중전, 개전은 각각 10단, 중전을 취득해야 선택할 수 있다.
- 단위 선택 시간이 다른 모드[6]와 달리 20초 뿐이기 때문에 옵션 설정을 빨리 해야 한다. 7th style부터 내려오는 유구한(?) 전통.
- (31 EPOLIS까지) EX 단위게이지와 미러 배치는 평소처럼 옵션 창에서 설정하는 것이 아니라 VEFX로 설정한다. 옵션 창에서는 LIFT, SUD+ 등만 설정 가능.
2.1. 역사
- 7th style
- 단위인정이 처음 도입되었다.
- 8th style
- 급수표기가 숫자에서 한자표기로 변경되었다.[7]
- 랜덤 선곡이 처음으로 도입되었다.
- 게이지가 30% 이하일때 감소량이 줄어드는 보정이 추가되었다.
- 8th style CS
- 9th style
- 곡 리절트에서 게이지에 따라 리절트 이미지가 달라지는 트란 리절트 이미지가 추가되었다. EXPERT도 같이.
- 리절트에서 육각형 그래프가 삭제되었다.
- 9th style CS
- 10th style
- 9단만 적용되던 랜덤 선곡이 가정용 선행으로 폐지되었다.
- 11 IIDX RED
- 게이지가 30% 이하일때 퍼센트가 깜빡깜빡거리는 효과가 추가되었다.
- 11 IIDX RED CS
- 곡마다 배속 변경이 삭제되었으며, AC DistorteD에서 선보였던, 곡 플레이 도중(실시간) 배속 변경 기능이 추가되었다.[12]
- 12 HAPPY SKY CS
- 단위인정 전용 곡[CS]이 처음으로 등장하였다. 이때는 숨겨진 단위였으며, 랭킹 등록이 불가능하다. 자세한 사항은 Scripted Connection⇒ 참조.
- 13 DistorteD
- e-amusement pass추가로, 처음으로 단위인정 플레이 할 경우, 8단부터 플레이가 가능했으며, 9단, 10단, 개전은 해금방식이며[14], 단위인정 합격 취득 ID가 추가되었다.
- 곡 플레이 도중(실시간) 배속 변경 기능이 추가되었다.
- 기존의 가장 높은 단위였던 10단보다 한 단계 더 높은 개전이 추가되었다.
- 13 DistorteD CS
- 처음으로 단위인정을 플레이 할 경우, 8단부터 플레이가 가능하도록 변경되었다.
- 14 GOLD
- 취득한 단위에 따라 STANDARD 모드에서 선택 가능한 곡의 레벨 제한이 걸리게 되었다. 덕분에 정발 이전까지 e-AMUSEMENT가 적용이 안 되던 한국에서는 싱글은 8-10-12레벨, 더블은 9-11-12레벨에 걸렸다. 이에 따라 통상 원 모어 엑스트라 소환이 매우 힘들게 되었으며 15 DJ TROOPERS부터 기준이 더 올라가버린 이후 싱글 플레이에서는 아예 불가능해졌다.
- 14 GOLD CS
- 15 DJ TROOPERS
- 리절트 화면에 표시되는 달성도에 미스 카운트 등의 요인을 반영하도록 변경되었다. 이전까지는 스테이지 종료시 게이지의 잔량을 그대로 썼지만 이 버전부터 잔량이 100%가 아니더라도 달성도 100%을 달성할 수 있다.[17]
- 15 DJ TROOPERS CS
- 트레이닝 모드에서 단위인정 게이지모드가 추가되었다.
- 16 EMPRESS
- 일부 단위에 적용되던 랜덤 선곡이 완전히 폐지되었다.
- 17 SIRIUS
- e-amusement가 엔트리 되어있는 상태에서 단위인정을 종료하는 경우 인터넷 랭킹을 등록후 단위인정 리절트가 먼저 나오도록 변경되었다.[18]
- 19 Lincle
- EX 단위인정 게이지 옵션이 추가되었다. 이 때는 EFFECT+VEFX를 누르고 단위를 선택해야 적용할 수 있는 숨겨진 옵션이었다.
- 20 tricoro
- 21 SPADA
- 취득한 단위에 따라 STEP UP 모드 첫 플레이 시 과제곡 레벨이 조정된다. 단위를 취득하지 않고 플레이하면 비기너부터 시작한다.
- 22 PENDUAL
- 23 copula
- 10단과 개전 사이의 단위인 중전이 추가되었다.
- 더블 플레이 쪽에 그동안 없었던 7급, 6급이 신설되고[22] 1코스당 3곡에서 4곡으로 변경되어 싱글 플레이의 단위인정과 동일한 구조를 갖게 되었다.
- 전작에서 시험 적용되었던 미러 옵션과 전작까지 숨겨진 옵션이었던 EX 단위인정 게이지가 정식 옵션으로 채용되었다.
- 26 Rootage
- 선곡 레벨 제한이 변경되어 싱글 플레이와 더블 플레이 둘 다 동일해졌다. 기존 싱글 플레이는 8단을 취득해도 100회 플레이를 하지 않으면 파이널 스테이지까지 11렙을 선곡할 수 없었으나, 2번째 스테이지부터 11레벨을 선곡할 수 있게 되었다. 더블 플레이는 레벨 제한이 축소되었지만 단위 수준에 알맞게 축소되었다.
- 도전한 이력이 있는 이번 작의 단위인정 코스에 한해 그 코스에 수록된 보면을 단위인정 게이지로 플레이할 수 있는 기능이 STEP UP 모드에 추가되었다. STEP UP 모드는 과제곡 - 복습곡 - 단위인정 폴더로 구성되며, 단위인정 폴더 안에서 선곡하면 단위인정 게이지로 플레이할 수 있다. 플레이하기 전에 EFFECT + VEFX를 누르면 단위인정 게이지가 나타난다. 이 상태에서 시작 게이지를 조절할 수 있다. 기본값은 100%이며 텐키로 입력, 홀수를 입력해도 게이지의 인터페이스 때문에 2단위로 올림해서 짝수 퍼센트로 맞춰진다.
- 27 HEROIC VERSE
- 엔트리 직후 SP/DP 선택 화면이 삭제됨에 따라, 단위 선택 화면에서 SP↔DP 변경이 가능해졌다.
-
LIGHTNING 기체 전용기능인 영세단위(永世段位)가 추가되었다. 정규→미러→정규→미러→정규로 5번을 도전해야 하며, 결과창의 달성률이 다음 도전시의 체력 게이지 최대치가 된다. 예를 들면 1~3회차 도전시 달성률이 각각 80%,70%,90%일 경우, 2~4회차의 게이지 최대치는 80-70-70이 된다. 도전 상황을 초기화하고 다시 도전하려면 단위 선택 화면에서 숫자 키 2번을 누르면 된다. 완주에 성공하면 단위에 후광이 추가로 달려 나온다.
명칭은 쇼기 리그에서 일정 횟수[23] 동안 칭호를 유지하면 주는 영세칭호에서 왔다.
- 28 BISTROVER
- 29 CastHour
- 플레이중 판정 타이밍 조정 기능이 추가되었다.
- 극 단위의 완주 횟수가 3회로 줄어드는 대신, 2회차 도전시에 게이지 감소량이 1.2배, 3회차 도전시에 게이지 감소량이 1.5배가 된다.
- 극 단위에서 현행코스가 빠지고, 가정용 코스[DP]가 등장하게되었다.
- 라이센스 곡 삭제로 인해 최초로 가동 중 대상곡 교체가 이루어졌다.
- 30 RESIDENT
- 31 EPOLIS
- 프리미엄 스타트시 단위 미취득 상태라도 난이도 제한이 1스테이지 10, 2스테이지 11로 완화된다.
- 최종 리절트에서 곡 리스트가 추가, MAX COMBO는 삭제되었다.
- 홈페이지에서 단위인정 코스 내용을 보여주는 페이지가 삭제되었다.
2.2. 선곡 레벨 제한
Final Stage, Extra Stage는 단위 취득 여부, DJ VIP PASS 이용 여부와 무관하게 선곡 레벨 제한이 없다. * 스탠다드 스타트로 가능한 조건
요구 조건 | 1st | 2nd | 비고 |
DJ VIP PASS BLACK |
12 | V디스크를 100장 적립해 교환 | |
8단 이상 | 10 | 11 | |
7단 | 10 | 10 | |
<colbgcolor=#64ff64,#1b7d42> 6단 | 9 | ||
5단 이하 | 8 |
- 프리미엄 스타트로만 가능한 조건
요구 조건 | 1st | 2nd | 비고 |
DJ VIP PASS PLATINUM |
12 | 추가 결제 필요 | |
극 개전 | 800회 이상 플레이 | ||
10단 이상 | 1000회 이상 플레이 | ||
8단 이상 | 11 | 11 | 100회 이상 플레이 |
8단 이하 | 10 | 11 |
하나의 버전이 서비스되는 동안 총 플레이 횟수가 800회 미만이거나, 스탠다드 스타트로만 플레이를 한다고 가정하면 8단부터 개전까지의 혜택은 동일하다.
DJ VIP PASS PLATINUM은 프리미엄 스타트로 모드를 진입한 후 DJ VIP PASS 선택 화면에서 추가 결제를 하고 이용할 수 있다. 추가 금액은 대체로 30~40엔 정도를 요구한다.
DJ VIP PASS BLACK에 필요한 V디스크는 각종 해금 이벤트, 프리미엄 스타트 특전, 프리미엄 프리 특전으로 적립이 가능하다. 100장 이상 적립할 경우 DJ VIP PASS 선택 화면에서 BLACK 선택이 활성화된다. 스탠다드 스타트에서도 이 경우에 한하여 DJ VIP PASS를 이용할 수 있다.
beatmania IIDX 31 EPOLIS부터 대부분의 레벨 제한 완화 조건이 프리미엄 스타트를 요구하도록 바뀌었다. 프리미엄 스타트는 PASELI 결제가 필요하지만 한국을 비롯한 일본 외 버전에서는 이를 지원하지 않는다. 때문에 훈장 획득이나 자기만족 외에, 한국 버전에서 9단 이상의 단위를 취득한다고 하여 유의미한 이득이 생기지는 않는다. 다만 한국 버전에서 위의 조건을 모두 만족하고 일본 버전에서 프리미엄 스타트로 플레이하면 이전과 같이 레벨 제한 완화가 가능하다.
2.3. 여담
- 단위인정 플레이 시에는 LED 패널에 아래와 같은 문구가 표시된다. 또한 단위를 고르고 시작하는 순간 전광판에 GOOd LUCK이라는 메세지가 출력된다. 일부 해킹 기기에서는 GOOd BYE! 혹은 BYE BYE!라고 뜨기도 한다. 단위인정 취득에 성공할 경우 SUCCESS라고 뜨고, 취득에 실패힐 경우 UNSUCCESS라고 뜬다.
[ |
SINGLE dOUBLE |
CLASS 7 ~ CLASS 1 1ST dAN ~ 10TH dAN CHUdEN KAIdEN |
STAGE |
1ST 2Nd 3Rd FINAL |
] | 악곡의 전광판 표기 |
BEGINNER NORMAL HYPER ANOTHER |
- 9단 이상 단위는 가동 초기에 잠겨있기 때문에, 이 코스들의 수록곡 정보는 해금되기 전까지 유저들의 관심과 궁금증을 한 몸에 받는다. 때문에 매 시리즈마다 허위 수록곡 정보로 낚시를 하는 사람도 많으며, 그 와중에 직접 기기를 해킹해 얻은 진짜 유출본이 떠돌기도 한다. 물론 어느게 진짜인지 알 방법은 없다.
- 개전은 현 단위인정 체계상 최고 단위이며 면허개전에서 유래한 것이다.[28] 나중에 추가된 중전도 실제로 존재하는 낱말이다. 초전(初伝) - 중전(中伝) - 오전(奥伝) - 개전(皆伝) - 극전(極伝)의 순서로 전수의 정도가 달라진다. 가정용에서는 개전급에 해당하는 악곡이 모자라서 전용 채보나 흑 어나더 채보를 만들어서 개전에 집어넣는 경우도 있었다. 가정용 14 GOLD 싱글 개전에 수록된 VANESSA와 KAMAITACHI가 그 첫 사례.
- 난이도 상승 추세를 반영하여 점점 단위인정의 난이도가 높아져가고 있다. 10단에 있던 moon_child가 9단, 개전에 있던 헐화가 중전으로 내려간 것이 그 예. STAR FIELD, Wanna Party?와 같이 반대의 예도 있기는 하지만 극소수. 단, SP 7단 이하의 경우 난이도가 오른 경우, 재조정되어 난이도가 조금 내린 경우, 평이하게 유지하고 있는 경우 모두 다 있다. 더블의 경우 단위인정 초창기부터 꾸준히 난이도가 올라왔으며, EMPRESS 이후 1~8단까지 보스곡 선정에 큰 차이가 없어 평이하게 난이도가 유지되고 있다가 최근들어 보스곡 교체로 난이도가 올라가는 단(대표적으로 pandora)이 몇몇 등장하고 있다.
- PENDUAL에서 미러 옵션이 도입되기 전까지 약 12년동안은 무조건 정배치만 가능했던 셈이다. 인터페이스가 완전히 좌우대칭인 더블에서는 별 문제가 없었지만 스크래치 위치가 다른 싱글에서는 1P, 2P에 따라 일부 고난이도 구간의 공략이 달라지기도 했다. 예전에 만들어진 단위인정 공략 영상들에 1P, 2P 설명이 따로 되어있는 것을 볼 수 있다.
- 더블 플레이는 CS판에 한해서 정배치가 아닌 배치로 플레이하는 방법이 있었다. 아예 입력 인터페이스를 바꾸는 것인데, 해당 문서 참조.
- 단위인정 모드에서도 플레이한 곡도 기록을 인정한다. 다만 전용 게이지를 쓰다보니 클리어 타입을 책정할 수가 없어서 NO PLAY로 취급이 되며, 나머지 사항(스코어, 미스카운트)은 제대로 갱신된다. 예외적으로 풀콤보는 정식 풀콤보 클리어로 인정된다. 마찬가지로 코스 플레이를 하는 익스퍼트 모드도 동일한 사양.
- 별도의 해금을 필요로 하지 않는 디폴트 곡만으로 구성되고 있다. 따라서 구곡이라도 통상 해금으로 풀리지 않았다면 단위인정에 들어가지 않는다. SINOBUZ에서 최초로 레젠다리아 폴더 전용곡인 Kailua (HCN Ver.)이 배정되긴 했으나 이 곡은 엄밀히 말해 플레이 횟수 제한이 걸린 곡일 뿐 해금곡은 아니다. 다만 이전에는 Lincle Link 이벤트 진행 중에 이벤트 대상곡들을 단위인정에 넣은 적은 있다.
- 단위인정에서는 하드 게이지 클리어 난이도와 단위인정에서의 통과 난이도가 서로 다른, 소위 '난이도 역전 현상'이 일어난다. 10단의 보스 Colorful Cookie와 reunion의 관계가 여기에 해당된다. 이유는 바로 하드 게이지와 단위인정 게이지의 증감량의 차이 때문이다. 전자는 감소량은 큰데 GREAT 이상의 판정으로만 회복할 수 있으며, 이 회복량조차 적기 때문에 특정 구간에서 치기 힘들게 나오는 패턴이 나오는 곡일수록 높게 평가를 받는다. 반면 후자는 감소량도 적고 미미하지만 GOOD 이상의 판정이면 회복이 항상 가능하기 때문에 특정 구간에서 무더기로 쏟아지는 것보다는 회복구간을 주지 않고 지속적으로 압박하는 곡일수록 높게 평가를 받는다.
- 위와 더불어 단위인정에서는 랜덤을 걸 수 없기 때문에, 다른 모드에서 랜덤을 걸어서 비교적 쉽게 넘기던 곡도 정규 배치로는 상당히 어렵게 통과할 수 있다. 이는 하드 게이지 클리어와 어느정도 비슷한 면모를 보이는 EX 단위인정에서 좀 더 두드러진다. 예를 들면, THE SAFARI, gigadelic, FIRE FIRE인데 사파리는 주기적으로 나오는 76 트릴, 기가델릭은 최후반의 76 트릴, 불불은 흔히 쓰는 3/4배치로 치기 고역인 2칸 벌린 겹계단, 모두 랜덤을 걸면 상당히 완화되는 패턴들이다.
- 초기에는 연타, 계단, 스크래치, 혼합 프레이즈, 동시치기, 종합의 6가지의 요소를 보여주는 육각 그래프가 리절트에 표시되었으나 9th style에서 삭제되었다.
- 24 SINOBUZ, 25 CANNON BALLERS의 익스퍼트 모드에 과거의 단위인정 코스를 모방한 CLASSIC CLASS 코스가 존재했다. 과거에 화제가 되었던 코스를 수록하는 등 나름대로 올드 유저들에게 향수를 불러일으켰다. 모드 자체는 익스퍼트이기 때문에 원래는 불가능한 랜덤이나 어시스트 옵션을 사용할 수 있기도 했다. 26 Rootage에서 익스퍼트 모드가 삭제되어 더 이상 볼 수 없게 되었다. 다만 과거 단위인정 코스를 플레이하는 개념 자체는 28 BISTROVER에서 극 단위인정 시스템으로 부활하였다.
- 초기부터, 18 Resort Anthem까지는 단위인정에 합격할 경우, ROOTS26 등장인물의 도복이나, 각 시리즈에 수록된 BGA 아이캐치가 등장한다. 불합격시 FIRE BOY가 등장한다[29]. 19 Lincle부터는 단위인정 리절트가 쿠프로로 대체되었으나, 25 CANNON BALLERS부터는 단위인정에 합격했을 때, 단위 합격 보이스가 출력된다. 예시 영상[30]
- 개인차나 이상한 구성곡 조합으로 인해 상위단위가 하위단위보다 쉬운 경우가 나온 적이 있다. 3단/4단[31], 5단/6단[32], 7단/8단[33]에서 생기는 경우가 많았다. 지금은 당시 단골곡들이 많이 빠져서 어느 정도 해결된 상태이다. PS2판은 있는 수록곡을 쥐어 짜서 배정했지만 이런 문제가 극히 드물었다.
- 일부 시리즈 구동 당시에는 waxing and wanding[34], S!ck[35]를 해금하려면 단위인정을 클리어해야하는 목표가 있었다. 발견! 되살아난 BEMANI 유적 등의 연동 이벤트도 해금 조건에 단위인정 플레이가 있었다.
2.4. 단위 취득 난이도
2022년 기준 단위인정 시스템이 나온 지도 20년이 되었고, 각 단위에 수록된 곡들도 어느정도 정형화가 되었다(밑의 정형화 문단 참조). 그래서 특정 단위를 취득하려면 스탠다드에서 어느 정도 실력이 돼야 하는지에 대해서도 꽤 정확한 분석이 나오고 있는 중이다. 최근 시리즈의 싱글플레이 단위인정에서 7단 이상 단위의 보스곡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7단: THE SAFARI[36] [37]
- 8단: 레벨 11 중급
- 9단: 레벨 12 지력 C~D
- 10단: 레벨 12 지력 A[38]
- 중전: 레벨 12 지력 S[39]
- 개전: 冥[40]
코스가 정형화된 이전의 단위인정에서는 직전 단위의 보스곡과 비슷한 수준의 곡을 하드 클리어 할 줄 알면 다음 단위를 도전할 수 있는 수준이 되었다고 보았는데, 중전 이하 코스들의 보스곡들이 물갈이 되고 코스의 정형화가 깨지면서 이는 옛 말이 되었다. 개전 취득은 대개 최소 지력 A+ 이상의 악곡 하드 클리어를 보유한 이후부터 취득이 가능한 것으로 보여지고 있다.
3. 정형화
꽤 오랫동안 단위인정 모드가 유지되면서 특정 단수에 특정 곡 혹은 특정 패턴의 곡들이 개근했으며, 그로 인해서 유명해진 곡들도 적지 않다. 그 예를 들자면 다음과 같다.3.1. 보스곡
단수 내에서 가장 어려운 곡으로, 다른 곡들보다 훨씬 어려운 난이도로 인해 난민 양산곡으로도 불릴 정도로 악명을 떨치고 있다. 보스곡은 주로 마지막 스테이지에 배치된다. 하지만 3스테이지에 자주 나온 싱글 10단의 Colorful Cookie나 1~2스테이지에 배치되어 초장부터 혼을 빼버리는 더블 7단의 Wanna Party? 등과 같은 예외도 존재한다.보스곡은 시리즈마다 바뀌기도 하지만 대체로는 한 번 등장하면 잘 안 바뀌고 개근하는 특징이 있었다. 특히 초단~4단 정도의 어중간한 단위는 시리즈마다 한 곡 바뀌는 게 전부일 정도로 코스의 변화가 굉장히 적었을 정도. 그래서 꽤 자주 나왔던 보스곡들은 합격을 위한 공략법이 돌아다니기도 했지만, 29 CastHour 전후부터는 실력이 아닌 공략법으로 합격하는 사례를 줄이기 위해서인지 웬만한 장기 집권 보스곡들을 거침없이 칼질하면서 보스곡의 장기 집권은 점점 옛말이 되어가는 추세이다.[41]
꽤 오랫동안 보스곡으로써 단위인정에 수록된 곡들은 아래와 같다. (INFINITAS 수록 관계없이 현시점 최신버전인 32 Pinky Crush에서 제외된 패턴은 취소선)
※ 싱글
-
7급:
earth scape(14 GOLD부터 21 SPADA까지 개근, 22 PENDUAL부터 제외)[42] -
6급:
I Was The One(7th style부터 19 Lincle까지 개근, 20 tricoro부터 제외)[43] -
5급:
LOVE WILL...(9th style부터 19 Lincle까지 개근, 20 trocoro부터 제외)[44] -
4급:
Mr.T.(take me higher)(7th style부터 14 GOLD까지 개근, 15 DJ TROOPERS부터 제외)[45][46] -
3급:
REINCARNATION(9th style부터 개근, 28 BISTROVER부터 제외.) -
2급:
ライオン好き(14 GOLD부터 개근, 29 CastHour 제외.) - 1급: With your Smile (14 GOLD부터 개근)
-
초단:
I Was The One (80's EUROBEAT STYLE)(10th style부터 개근[47], 28 BISTROVER부터 제외) -
2단:
Abyss(7th style부터 개근, 30 RESIDENT부터 제외.)[48] -
3단:
CaptivAte 〜裁き〜(15 DJ TROOPERS부터 개근, 26 Rootage부터 제외)[49] -
4단:
R5(10th style 부터 개근[50], 28 BISTROVER부터 제외) -
5단:
NEW GENERATION -もう、お前しか見えない-(17 SIRIUS부터 개근.[51] 29 CastHour부터 제외.) -
6단:
bloomin' feeling(17 SIRIUS부터 개근. 26 Rootage부터 제외, CS INFINITAS 퇴역)[52] - 7단: THE SAFARI (7th style부터 - 단위인정 도입부터 지금까지 개근)
-
8단:
gigadelic(11 IIDX RED부터 개근. 15 DJ TROOPERS, 26 Rootage부터 제외, CS INFINITAS 잔류) -
10단:
Colorful Cookie(17 SIRIUS부터 개근. 22 PENDUAL, 25 CANNON BALLERS, 26 Rootage, 30 RESIDENT, CS INFINITAS 2024년판 복귀.) -
중전:
MENDES(23 copula부터 - 중전 도입부터 개근. 28 BISTROVER부터 제외, CS INFINITAS 퇴역) - 개전: 冥 (13 DistorteD 부터 - 개전 도입부터 개근)
※ 더블
-
1급:
Voltage (feat. Hidemaru)(15 DJ TROOPERS부터 개근, 30 RESIDENT 제외) -
초단:
.59(16 EMPRESS부터 개근, 30 RESIDENT 제외) -
2단:
DXY!(16 EMPRESS부터 개근, 29 CastHour 제외) - 5단: EURO-ROMANCE (16 EMPRESS부터 개근)
- 6단: CELEBRATE NITE (16 EMPRESS부터 개근.)
- 7단: Wanna Party? (16 EMPRESS부터 개근.[53]), satellite020712 from "CODED ARMS" (22 PENDUAL부터 개근.)
-
8단:
THE LAST STRIKER(18 Resort Anthem부터 개근. 22 PENDUAL, 29 CastHour부터 제외.) -
10단:
Raison d'être~交差する宿命~(18 Resort Anthem부터 개근. 20 tricoro, 30 RESIDENT부터 제외.) - 중전 : Dynamite (24 SINOBUZ부터 개근, 29 CastHour 제외)
- 개전: quasar (13 DistorteD부터 - 개전 도입부터 개근[54],CS INFINITAS 제외[55])
9단의 경우 난이도가 쉬웠던 초창기를 제외하면 다른 단위처럼 장기간동안 수록되었던 보스곡이 현재까지는 없으며, SINOBUZ까지 줄곧 나오던 ALBA -黎明-가 보스 후보로 거론되었지만 그 다음작인 CANNON BALLERS부터 빠지게 되었고, 이후로도 어려운 곡들이 많이 거론되었지만 이들도 많이 나와봐야 2~3작품 연속에 그쳤다.
중전은 고정적인 보스곡 포지션이 없는 대신 SINOBUZ와 CastHour, RESIDENT에 나왔던 Flashes가 제일 어렵다고 평가되며, EX단위로 기준을 바꾸면 Holic, moon_child 같은 곡들이 강세를 보인다. 그 외에는 CastHour를 제외하고 SINOBUZ부터 배정된 Dynamite도 저주걸리기 쉬운 채보 특성과 겹쳐서 보스곡으로 평가받기도 했다.
3.2. 개전의 정형화
싱글 개전의 경우에는 처음 등장할 때부터 冥이 최종 보스곡으로 등장했고, 그 외에 곡들은 등장 초기였던 DistorteD와 GOLD의 경우 개전에 넣을 곡이 부족해서 헐화와 rage against usual, FIRE FIRE 등이 나오기도 했었다가[56], 15 DJ TROOPERS부터는 전작 원모어 엑스트라곡이나 해금 이벤트의 최종 해금곡 중에서 개전에 넣을만한 곡[57]과 嘆きの樹가 1~2스테이지[58], 3스테이지는 卑弥呼로 코스가 정형화되기 시작했다.그러다가 21 SPADA에서 1~2스테이지 법칙이 바뀌었는데, 한탄수는 무조건 1스테이지에 들어가고 2스테이지에는 스크래치곡인 灼熱Beach Side Bunny가 등판하면서 수 많은 유저들의 화제를 일으켰다. 기어이 22 PENDUAL에서는 전작과 완전히 동일한 코스로 나오면서 유저들에게 충격을 주었다. 물론 스크래치에 약한 유저들의 원성이 상당했지만, 점차 스크래치력의 시험에 납득하는 유저들이 많아졌고, 제작진 역시 스크래치력 시험을 의도한 것인지 이후 버전에서도 작열비치를 2스테이지 자리에 넣고 있다.
23 copula부터는 한탄수가 perditus paradisus로 대체되며 개근을 뺏긴 것을 시작으로 1스테이지만 종종 바뀌면서 싱글 개전의 구조는 嘆きの樹와 같은 개전 난이도의 곡 → 灼熱Beach Side Bunny → 卑弥呼 → 冥가 되었다. 이후 24 SINOBUZ까지 p†p가 1스테이지였다가 25 CANNON BALLERS에서 한탄수가 다시 복귀하였으며, 세 작품 뒤인 28 BISTROVER에서는 EMERALDAS가 새로운 싱글 개전 1스테이지곡이 되었다.
더블 개전도 싱글과 비슷하게 첫 개전에 수록된 quasar가 지금까지도 최종 보스곡 역할을 맡고 있다. 다만 퀘이사는 13 DistorteD 당시 1스테이지였다는 것이 차이점.[59] 그 다음 작인 14 GOLD에서 헐화가 처음으로 등장했고, 당시 2스테이지였다가[60] 15 DJ TROOPERS에서 1스테이지로 위치가 바뀐 것이 21 SPADA까지 이어졌다. 그 동안에 2스테이지에는 싱글과 비슷하게 전작 원모어곡 또는 최종 해금곡 중에서 개전급 되는 패턴이 들어갔는데, 싱글과 달리 개전급에 못 미치는 패턴 뿐만 아니라 개전 수준을 능가하는 흉악 패턴들[61]도 나와서 같은 곡이 연이어 등장하는 사례가 일찍부터 있었다.[62]
이후 22 PENDUAL에서 1스테이지에 있던 헐화가 과거 더블 개전 수록곡이었던 Bad Maniacs로 대체되며 개근과 정형화가 깨졌다. 그리고 첫 등장 당시 전작 최종 해금곡이었던 天空の夜明け는 짤리지 않고 유지되었으며 이후의 더블 개전에서도 퀘이사 바로 앞 스테이지에 배정되는 더블 개전 준보스 역할로 격상했다. 다음작인 23 copula에서 더블 단위인정이 3스테이지에서 4스테이지로 개편되며 새로 생긴 자리에 헐화가 복귀하면서 헐화 → 배매니 → 천공 → 퀘이사의 코스가 24 SINOBUZ까지 이어지다가, 이후 작품부터는 더블 개전이 개전급 패턴 두 개 → 천공 → 퀘이사로 정형화되고 이 중 1~2스테이지는 27 HERIOC VERSE와 RESIDENT를 제외하면[63] 둘 중 한 곡은 유지, 다른 한 곡은 교체하는 규칙이 이어지고 있다.
이렇듯 싱글/더블 모두 개전의 곡 구성이 정형화되다 보니 지겹다는 의견이 만장일치에 가까워서 30 RESIDENT의 극 단위인정에서는 레젠다리아 난이도 위주로 모든 곡 구성을 엎어버린 우라 개전이 특수 코스로 추가되었다.[64]
3.3. 기타
- 19 Lincle부터 21 SPADA까지 싱글 8단 2 스테이지는 스크래치곡이었다.(Lincle에서 灼熱Beach Side Bunny, tricoro에서 Snake Stick, SPADA에서 Black.by X-Cross Fade) 때문에 앞으로 새로운 법칙이 생기나 했는데, 22 PENDUAL에서 KAMIKAZE가 들어가 무산되었다. 또한 Rootage부터 BISTROVER까지 2스테이지는 스크래치곡 구성이었다.
- 21 SPADA와 22 PENDUAL에서는 싱글 9단 2스테이지에 각각 Bounce Bounce Bounce, Just a Little Smile이 들어가 스크래치곡이 고정되나 했지만, 이번에도 23 copula에서 Chrono Diver -PENDULUMs-가 들어가면서 설레발로 끝났다. 이후 26 Rootage부터 naughty girl@Queen's Palace를 필두로 BISTROVER, RESIDENT 제외하고는 9단 2스테이지에 스크래치곡이 등장하는 경향이 있다.
- 23 copula와 24 SINOBUZ, 25 CANNON BALLERS에서는 싱글 9단에 헬 차지 노트가 있는 곡들이 들어갔다. copula에서 Acid Pumper, SINOBUZ에서 Kailua (HCN ver.), CANNON BALLERS에서 Golden Palms (LEGGENDARIA). 26 Rootage부터는 9단에 헬 차지 노트가 채용된 곡이 수록되지 않았다.
- 싱글 중전 또한 26 Rootage부터 2스테이지 스크래치곡 구성을 유지중이며, BISTROVER 이후 12레벨 중급 스크래치곡이 늘면서 싱글 10단에서도 2스테이지에 스크래치곡을 넣으려고 하는 시도가 보이기 시작한다.
- 더블 10단은 Rootage~HEROIC VERSE 제외하고는 tricoro 이후로 스테이지 불문하고 스크래치곡 한곡은 무조건 들어가며, 더블 중전 또한 최근들어 CastHour 이후로 스크래치곡이 한곡씩 들어가는 추세다.
- 역대 단위인정을 통틀어 가장 많이 수록된 곡은 sync다. RESIDENT 기준으로 가정용/아케이드, SP/DP 모두 합하여 총 46회 수록.
- 그 외 오랫동안 개근 중이거나 개근했던 곡들은 다음과 같다. (보스곡은 제외. 괄호 안은 수록버전이다.)
- 싱글
- 7급 : 5.1.1. (7~20)
- 6급 : We are Disっ娘よっつ打ち命 (12~22), I'm so Happy (20~27)
- 5급 : LOVE WILL・・・ (7~19[65])
- 4급 : サヨナラ・ヘヴン (21~27), ƒƒƒƒƒ (21~29), She is my wife (22~28)
- 3급 : 405nm(Ryu☆mix) (21~29), SigSig (20~28)
- 2급 : sync (8~28) , 合体せよ!ストロングイェーガー!! (Ryu☆ remix) (13~23)
- 1급 : GRADIUSIC CYBER (7~19), quasar (12~23), MENDES (16~28)
- 초단 : .59 (7~16), Blind Justice ~Torn souls, Hurt Faiths~, GOLD RUSH (16~27)
- 2단 : Abyss (7~29), Monkey Dance (9~29), Zenius -I- vanisher (13~29, 31~)
- 3단 : Presto (14~29), CaptivAte 〜裁き〜 (15~26), BRIDAL FESTIVAL !!!(16~26)
- 4단 : era (nostal mix) (7~27[66]), 虹色 (14~29)
- 5단 : sync (7~16), smooooch・∀・ (17~23)
- 6단 : Colors (radio edit)[67] (7~14)
- 개전 : 嘆きの樹 (13~22, 25~27), 灼熱Beach Side Bunny (21~), 卑弥呼 (16~)
- 더블
- 7급 : I Was The One[68], earth scape (23~)
- 6급 : KEEP ON MOVIN' (23~)
- 5급 : Nothing Ain't Stoppin' Us (7~15), GAMBOL, 5.1.1., I Was The One (16~22까지 동일한 코스)
- 4급 : Dr.LOVE (17~28), airflow (16~[69])
- 3급 : Stay my side (20~29) Almace, World Wide Love (22~)
- 2급 : OVER THE CLOUDS (7~15), D.A.N.C.E.! (16~29)
- 1급 : I'm Screaming LOVE (16~29)
- 초단 : 19,November (15~27)
- 2단 : Cheer Train (14~[70]27)
- 3단 : 虹色 (21~28), Abyss (15~27)
- 4단 : KAMIKAZE (17~), Kick Out 仮面 (16~[71]27), BRIDAL FESTIVAL !!! (16~25)
- 5단 : B4U (17~25[72])
- 6단 : サヨナラ・ヘヴン (19~27)
- 7단 : Summer Vacation (CU mix) (19~[73]27)
- 8단 : 突撃!ガラスのニーソ姫! (20~24[74], 30)
- 9단 : THE EARTH LIGHT (7~13[75])
- 10단 : BLACK.by X-Cross Fade (20~24,29)
- 개전 : 蠍火 (14~21, 23~25[76]), 天空の夜明け (20~)
4. 이야깃거리
4.1. 랜덤 선곡
단위인정이 도입된 이후 몇몇 시리즈에서는 한 단위에 4(3)곡 이상의 곡을 놓고 랜덤으로 곡이 선택되게 하는 경우도 있었다. 하지만 고단위의 랜덤선택은 실력측정보다는 운의 요소가 크게 작용하므로[77] 10th 이후로는 그러한 경향은 사라졌다. 하지만 싱글 5단의 경우에는 8th부터 랜덤 선곡이 이루어졌으나 별 차이가 없다고 판단했는지, 15 DJ TROOPERS까지도 랜덤선택이 이루어졌다.[78]- 랜덤으로 곡이 결정되는 단위인정 모음
- 아케이드[79]
- 8th Style - 싱글 5단, 9단, 10단 / 더블 4단, 5단, 6단, 10단
- 9th Style - 싱글 5단, 9단, 10단 / 더블 4단, 5단
- 10th Style ~ 12 Happy Sky - 싱글 5단 / 더블 4단
- 13 DistorteD ~ 15 DJ TROOPERS - 싱글 5단
- 가정용
- 8th Style - 싱글 9단
- (ANOTHER 11) Blame
- (ANOTHER 11) Giudecca
- (ANOTHER 10) LAB
- (ANOTHER 11) murmur twins
- (ANOTHER 10) WAR GAME
- (ANOTHER 9) era (step mix)
- (ANOTHER 11) G2
- (ANOTHER 10) 革命
- (ANOTHER 11) R5
- (ANOTHER 9) Real
- (ANOTHER 10) THE EARTH LIGHT
- (ANOTHER 10) NEBULA GRASPER
- 9th Style - 싱글 9단 (단 마지막 스테이지는 quasar와 Usual Days -remix 두곡중 랜덤)
- (ANOTHER 10) fun
- (ANOTHER 10) Karma
- (ANOTHER 11) Logic Board
- (ANOTHER 11) quasar
- (ANOTHER 10) Quickening
- (ANOTHER 10) Really Love
- (ANOTHER 10) rottel-the-Mercury
- (ANOTHER 9) Your Body
- (ANOTHER 11) CHECKING YOU OUT
- (ANOTHER 10) Macho Gang
- (ANOTHER 11) Linus
- (ANOTHER 10) 5PM ETERNAL
- (ANOTHER 11) Usual Days -remix
4.2. AC 10th style의 싱글 8단 버그
일본 월드 게임 서커스에서 녹화한 영상.
단위인정에서 일어난 유명한 버그가 있는데, 아케이드판 10th style 가동 당시 싱글 8단 수록곡이 모두 어나더로 나와서 많은 8단 도전자들을 충격과 공포에 빠트렸다. 왜 충격과 공포인지는 아래 8~10단 곡 목록과 병기한 난이도를 보자.
CS 단위인정 8단 | 단위인정 8단 | 단위인정 9단 | 단위인정 10단 | ||||||
곡명 | 난이도 | 곡명 | 하이퍼 | 어나더 | 곡명 | 난이도 | 곡명 | 난이도 | |
雪月花(H) | 10 | moon_child | 10 | 12 | EXE | 10 | Spica | 11 | |
No.13(H) | 10 | 雪月花 | 10 | 12 | Innocent Walls | 12 | One More Lovely | 12 | |
Daisuke | 10 | one or eight | 10 | 12 | sync | 10 | moon_child | 12 | |
rainbow rainbow | 11 | No.13 | 10 | 11 | quasar | 11 | No.13 | 11 | |
합계 | 41 | 합계 | 40 | 47 | 합계 | 43 | 합계 | 46 |
원래 4곡 모두 하이퍼(7KEYS)여야 하는데 어나더로 잘못 설정되어 AC 10th 8단은 그 당시 9단을 뛰어넘는 역사상 최흉의 8단으로 남게 되었다.[80] moon_child와 No.13은 같은 작품의 10단에도 들어가 있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서 No.13은 SIRIUS 9단에 수록되었고 moon_child는 DJT~RA 9단 보스, 설월화는 LC 9단 보스를 맡는다. 그리고 문차일드가 인피니타스 9단 보스로 복귀해 지금에 이르고 있다. 9단 보스곡이 8단에 두 곡이나 들어갔으니 충공깽이 아닐 수가 없다. 만약 전부 하이퍼 채보로 적용하면 다른 작품들의 8단 평균 레벨들과 비교해 봐도 마지막 스테이지로 고정되는 어떤 곡을 제외하면 비슷한 편이다.[81] EXPERT 모드에서 하이퍼 채보로 플레이한 영상
덧붙여서 설월화와 No.13은 원래 해금 어나더라 beat#2 때 9단, 10단과 함께 해금되어야 하지만, 8단에 떡하니 두 곡의 어나더가 들어가있었기 때문에 beat#1 시점부터 정체가 까발려졌다.
하지만 상황은 개선되지 않고, 공식 홈페이지에서도 이러한 상황을 그대로 인정했다. 즉 버그가 아니고 "원래 8단 코스는 모두 어나더 채보이다."라고 선언한 것. 그 결과 10th의 8단 합격자 수는 9th의 1/3에도 미치지 못한 692명을 기록하게 되었다.
이후 SINOBUZ의 CLASSIC CLASS에서 이 코스가 그대로 싱글 8단 코스로 재현되었다. 제작진들도 이 8단이 인상깊게 남은 듯하다.
다행히도 BISTROVER 이후 추가된 극 단위 대상으로는 들어가지 않았다.
구 시리즈를 다수 보유하고 있는 플레이 하우스 에리나라는 오락실에서는 진짜 8단이 한다는 조건[82]으로 10th style 8단 챌린지 도전자 모집 공지를 올렸다.
4.3. CS 7th Style의 숨겨진 싱글 8단, 9단
급수 선택화면에서 SELECT 버튼을 누른채로 싱글 8단이나 9단을 선택할 경우 원래와는 다른 코스가 나오게 된다.우라 싱글 8단 | |||
곡명 | 난이도 | BPM | 노트수 |
Love Me Do | ANOTHER | 167 | 1058 |
era(nostalmix) | ANOTHER | 90~180 | 786 |
A | 7KEYS | 93~191 | 1111 |
MAX 300 | 7KEYS | 12~300 | 982 |
우라 싱글 9단 | |||
곡명 | 난이도 | BPM | 노트수 |
DXY! | ANOTHER | 148 | 1158 |
traces | ANOTHER | 152 | 1083 |
革命 | ANOTHER | 83~148 | 1183 |
5.1.1. | ANOTHER | 101 | 786 |
4.4. CS Happy Sky의 숨겨진 7급
Scripted Connection⇒ 문서를 참조.4.5. CS DistorteD 더블 개전
많은 더블 유저들이 가장 어려운 더블 개전이 뭐냐는 질문을 받는다면 가장 먼저 튀어나오는 답이 CS DD의 개전일 거라는 것에는 이견이 없을 것이다. 곡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Stage | 곡명 | 레벨 | 노트 수 |
1st | quell -the seventh slave- | 12 | 1752 |
2nd | QUANTUM TELEPORTATION | 12 | 1999 |
Final | quasar | 12 | 1562 |
이 곡들은 공통적으로 Q로 시작하는 곡이기에 함께 묶어서 QQQ로 불리게 되었는데, 일본 현지에선 3Q라 부른다. 일본어로 Thank You랑 발음이 같다. 니코니코 대백과에서의 해당 문서의 첫 문장은 "3Q는, G59(지옥)이다."이며 읽는 방법은 삐-(...).
앞의 두 곡의 난이도가 터무니없이 어려워서 일부를 제외하면 매 개전마다 최종 보스곡의 자리를 지켜온[83] quasar가 제일 할 만한 곡으로 취급받을 정도로 난이도가 타 개전에 비해 많이 어려웠기에 최악의 더블 개전으로 두고두고 회자된다. 그래서 니코동 같은 곳에서 생방송으로 CS DD에 도전하던 사람들은 QUANTUM TELEPORTATION를 클리어한 시점에서부터 시청자들한테 개전 축하 메시지를 받았다.
quasar는 개전이 생기기 전부터 계속 수록되어 있었고, quell은 SIRIUS 때, QUANTUM은 Lincle 때 수록되어 아케이드에서도 제작진들이 마음만 먹으면 이 코스를 그대로 실을 수 있게 되었지만, 아직까지는 그러지 않고 있다. 그리고 copula부터는 더블 플레이의 단위인정도 4곡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복각을 해도 한 곡을 더 추가해야 하니 가능성이 없어보였지만... SINOBUZ의 CLASSIC CLASS에서 그대로 재현되었다. 하지만 이전에 AC SIRIUS 때 퀀텀 대신 헐화가 들어가는 방식으로(헐화-퀠-퀘이사) 비슷하게 재현된 적은 있었다. 하지만 이 구성이 의도된 것인지는 불분명.
copula에서 익스퍼트 코스로 재현한 사람도 있었다. 단, 4스테까지 있어서 마지막 스테이지는 하드게이지 최강으로 알려진 冥을 넣은 것 같다.
4.6. 더블 비기너 채보
원래 더블 플레이는 비기너 없이 노멀부터 시작하지만, 일부 CS 버전의 급위 코스에는 단위인정 전용으로 노멀보다 쉽게 만들어 비기너의 이름을 붙인 채보가 있다.자세한 내용은 beatmania IIDX/난이도 체계 문서 참고하십시오.
5. 역대 시리즈별 단위인정
beatmania IIDX 역대 단위인정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아케이드 | |||||
7th style | 8th style | 9th style | 10th style | IIDX RED | ||
HAPPY SKY | DistorteD | GOLD | DJ TROOPERS | EMPRESS | ||
SIRIUS | Resort Anthem | Lincle | tricoro | SPADA | ||
PENDUAL | copula |
SINOBUZ ( 클래식 코스) |
CANNON BALLERS ( 클래식 코스) |
Rootage | ||
HEROIC VERSE | BISTROVER | CastHour | RESIDENT | EPOLIS | ||
가정용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11px -11px; word-break: keep-all" |
INFINITAS ( 개편 전 단위) |
ULTIMATE MOBILE |
}}}}}}}}} ||
나무위키에 별도 항목이 없는 시리즈는 역대 AC 단위인정 목록 및 역대 CS 단위인정 목록을 참조해보자.
- beatmania IIDX 19 Lincle/단위인정
- beatmania IIDX 20 tricoro/단위인정
- beatmania IIDX 21 SPADA/단위인정
- beatmania IIDX 22 PENDUAL/단위인정
- beatmania IIDX 23 copula/단위인정
- beatmania IIDX 24 SINOBUZ/단위인정
- beatmania IIDX 25 CANNON BALLERS/단위인정
- beatmania IIDX 26 Rootage/단위인정
- beatmania IIDX 27 HEROIC VERSE/단위인정
- beatmania IIDX 28 BISTROVER/단위인정
- beatmania IIDX 29 CastHour/단위인정
- beatmania IIDX 30 RESIDENT/단위인정
- beatmania IIDX 31 EPOLIS/단위인정
- beatmania IIDX 32 Pinky Crush/단위인정
- 단위인정/역대 수록곡: 7단부터 개전까지의 아케이드 버전별 역대 수록곡을 비교할 수 있다.
6. 단위인정 합격 ID 수
단위인정 합격자 수를 보면 플레이어 수와 그 수치의 변동 경향을 대략적으로나마 파악할 수 있다. 한 사람이 두 개 이상의 카드를 쓰는 경우가 있을 수 있어 정확하다고 보기는 어렵다.- 버전별 총 취득 ID 수(싱글)
버전 | 취득 ID 수 | 전작 대비 변동폭 |
DistorteD | 62,302개 | - |
GOLD | 76,010개 | △ 13,708 |
DJ TROOPERS | 84,990개 | △ 8,980 |
EMPRESS | 86,901개 | △ 1,911 |
SIRIUS | 82,121개 | ▽ 4,780 |
Resort Anthem | 79,178개 | ▽ 2,943 |
Lincle | 83,479개 | △ 4,301 |
tricoro | 98,478개 | △ 14,999 |
SPADA | 90,515개 | ▽ 7,963 |
PENDUAL | 89,597개 | ▽ 918 |
copula | 76,490개 | ▽ 13,107 |
SINOBUZ | 73,677개 | ▽ 2,813 |
CANNON BALLERS | 63,942개 | ▽ 9,735 |
Rootage | 61,086개 | ▽ 2,856 |
HEROIC VERSE | 59,456개 | ▽ 1,630 |
BISTROVER | 53,221개 | ▽ 6,235 |
CastHour | 51,757개 | ▽ 1,464 |
RESIDENT | 51,002개 | ▽ 755 |
-
급/단수별 취수 ID 수(싱글)
시리즈가 진행될수록 5단부터 취득자 비율이 확 늘어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급(級)/단(段) | EMPRESS | Lincle | SPADA | PENDUAL | copula | SINOBUZ | CB | Rootage | HV | BISTROVER | CastHour | RESIDENT |
7급(七級) | 2287 | 2792 | 1620 | 2115 | 1111 | 960 | 670 | 674 | 757 | 824 | 640 | 655 |
6급(六級) | 2324 | 2438 | 1247 | 1955 | 1435 | 1255 | 784 | 718 | 685 | 650 | 462 | 349 |
5급(五級) | 1215 | 1269 | 2467 | 1186 | 774 | 687 | 468 | 549 | 549 | 317 | 574 | 615 |
4급(四級) | 909 | 890 | 2298 | 2397 | 1409 | 1186 | 753 | 636 | 570 | 348 | 355 | 310 |
3급(三級) | 1261 | 964 | 1737 | 1344 | 955 | 759 | 575 | 470 | 486 | 546 | 391 | 402 |
2급(二級) | 1842 | 1317 | 1675 | 1336 | 970 | 753 | 639 | 520 | 356 | 308 | 456 | 699 |
1급(一級) | 1904 | 1460 | 1476 | 1194 | 757 | 581 | 400 | 454 | 554 | 713 | 662 | 508 |
초단(初段) | 3700 | 2899 | 2321 | 2082 | 1627 | 1457 | 1125 | 1093 | 1125 | 590 | 835 | 667 |
2단(二段) | 2849 | 1800 | 1704 | 1565 | 1146 | 1009 | 789 | 773 | 799 | 644 | 710 | 551 |
3단(三段) | 3046 | 2170 | 3237 | 3182 | 2167 | 1883 | 1523 | 1495 | 1300 | 1166 | 1098 | 1279 |
4단(四段) | 2813 | 2233 | 2310 | 1174 | 1086 | 1007 | 928 | 1043 | 1023 | 781 | 683 | 1131 |
5단(五段) | 4170 | 5114 | 4954 | 5769 | 6162 | 4451 | 3450 | 3402 | 3065 | 2670 | 2498 | 2318 |
6단(六段) | 17950 | 13624 | 14413 | 12608 | 9617 | 10906 | 9415 | 7603 | 7298 | 5889 | 5857 | 5892 |
7단(七段) | 8989 | 8400 | 8937 | 9767 | 8403 | 7851 | 5853 | 5928 | 5953 | 5162 | 4185 | 3488 |
8단(八段) | 10701 | 8060 | 14148 | 12874 | 11223 | 11572 | 11901 | 10324 | 12100 | 11519 | 10000 | 10000 |
9단(九段) | 7730 | 13019 | 8096 | 7481 | 7749 | 7422 | 5241 | 5475 | 4367 | 4146 | 5038 | 4521 |
10단(十段) | 11078 | 11926 | 13722 | 16300 | 7859 | 7421 | 6849 | 7621 | 6403 | 5038 | 4914 | 7363 |
중전(中伝) | 6808 | 6965 | 7214 | 7017 | 6842 | 6979 | 7000 | 4718 | ||||
개전(皆伝) | 2133 | 3104 | 4153 | 5280 | 5232 | 5552 | 5365 | 5291 | 5224 | 4931 | 5399 | 5536 |
총합(総合) | 86901 | 83479 | 90515 | 89609 | 76490 | 73677 | 63942 | 61086 | 59456 | 53221 | 51757 | 51002 |
7. 다른 게임에서
단위인정은 일종의 단급제도 중 하나일 뿐이라 크게 복잡하지 않은 개념임에도 불구하고 도입된 리듬 게임이 그렇게 많지 않은데, 많지 않은 곡 수가 곡 별로 레벨이 매겨져 있어서 단순히 해당 곡 레벨 클리어만으로 실력을 판단하거나, 일종의 Elo 레이팅 제도를 도입하여 단위인정 외에도 실력을 판단할 수 있게 제작된 경우가 있기 때문. 특히 단위인정은 무슨 곡이 들어가냐에 따라 클리어 난이도가 요동치기 때문에 레이팅 제도가 도입된 게임은 오히려 단위인정이 찬밥 신세가 되는 경우도 많아지고 있다.★는 클리어에 따른 칭호가 부여되지는 않으나, 특수한 클리어 조건으로 인해 비공식적으로 실력 확인 용도로 인정받는 사례이다.
- DanceDanceRevolution
- 댄스 드릴 코스 - 10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플레이 도중 배속 변경이 불가능한 것이 특징. X2에서는 도중에 배속 변경이 가능해졌고 단계도 15개로 더욱 늘어났다. X3 vs 2ndMIX에서 삭제.
- 단위인정 - A20부터 신설. 급위 없이 초단부터 시작하며 9단부터는 골든 리그 소속에 따라 플레이가 가능하다. 브론즈에는 9단, 실버에는 10단, 골드에는 개전이 해금되며 이전 단위를 취득해야 도전할 수 있다. World 버전에서 삭제.
- 팝픈뮤직
- 팝픈 검정 - 팝픈뮤직 18 전국열전에서 잠시 도입된 시스템으로, 동시치기, 계단, 오쟈마 등으로 구성된 코스를 특정 조건을 만족한 채로 클리어 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
- 라이센스 코스
- crossbeats REV.
- 챌린지 클래스 모드 - 초기 상태에서는 클래스 5까지 상주한 상태이며, 클래스별로 4곡 구성이다. 이후는 점차 클리어하면서 해금할수 있다. 게이지가 상당히 짜고[85] 남은 게이지량은 다음 스테이지로 인계가 되기 때문에 플레이에 상당한 주의가 필요하다.
- maimai 시리즈
- 초대작부터 칭호 해금 조건[86]으로 있던 '단위 챌린지'(段位チャレンジ)가 maimai PiNK PLUS부터 1스테이지에서 진입하는 4곡짜리 단위인정 코스로 변경, 이후 maimai FiNALE에서는 서바이벌 코스와 통합된 'FiNALE 코스'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a]
DP의 경우 1P 2P MIRROR + FLIP의 형태로만 가능
[2]
증가량은 다른 서바이벌 게이지와 같으나, GOOD만 내도 회복이 가능하고 감소량은 이지 게이지보다 적다. 그래서 이지 게이지로 보더 클리어를 할 정도라도 이지 게이지의 변화량이 비교적 안정적이면 단위 게이지가 회복되는 경우가 많다.
[3]
가동 개시 시점에서 약 4~5주 뒤, 날짜로는 11월 중순. 가동 신곡 중 12레벨 채보들도 이 때 같이 공개된다.
[4]
9, 10단 개방 시점에서 약 7~8주 뒤, 날짜로는 1월 초~중순. 단위인정 -극-도 이 때부터 플레이할 수 있다.
[5]
이는 신곡 12레벨 채보들이 늦게 공개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beat#1, beat#2, beat#3 구분이 있던 시절의 잔재이다. beat#1에서 beat#2로 넘어갈 때 9단과 10단과 신곡 12레벨 채보들, beat#2에서 beat#3으로 넘어갈 때 개전이 공개되었다.
[6]
마찬가지로 코스 선택을 하는 익스퍼트 모드를 포함해서 기기 설정에 따라 최대 60초까지 설정 가능.
[7]
1級 > 一級
[8]
7th은 10단까지 모두 해금되어있다.
[9]
DDR A20부터 A3까지의 단위인정이 이 방식이다.
[CS]
단위인정 전용 채보 및 전용 곡은 프리 모드(아케이드) 선곡 및 하이 스코어에 기록이 불가능하며, 스코어 그래프가 나오지 않는다.
[11]
10th부터 삭제되었다가, DistorteD에 추가되었으며, EMPRESS에 4급, 3급으로만 등장한다.
[12]
IIDX RED 가정용이 DistoreD 가동 이후 몇개월 후에 발매 되었다.
[CS]
[14]
게스트는 8단 이하만 플레이 할 수 있다.
[CS]
[16]
더블 비기너랑 달리, 난이도가 표기되지 않는다.
[17]
후속작 영상이긴 하지만
달성률 100% + 불합격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18]
전작까지는 "인터넷 랭킹 등록 > 세이브 데이터 저장 > 단위인정 리절트"순으로 나왔다.
[19]
EXPERT가 삭제되면서 같이 삭제된걸로 추정.
[a]
[21]
2014년 12월 22일부터는 "시간의 모래시계"을 통해, 미러 배치를 키거나, 끄는 옵션이 생겼다. 다만, "시간의 모래시계"는 과금제 아이템이다.
[22]
5급 밑에 7급~6급이 새로 생겼다기보다는 기존의 5급이 7급~5급의 3단계로 찢어졌다라고 보는 쪽이 더 적절할 것이다.
[23]
보통 연속 5시즌
[DP]
하지만, 더블 플레이의 경우 23 copula 이후의 4곡 코스방식으로만 할 수 있으며, 23 copula 이전의 3곡 코스는 등장하지 않는다. 또한 가정용 코스는 INFINITAS만 등장한다.
[25]
다만, 부활곡 및 LEGGENDARIA 난이도의 단위가 싱글 플레이밖에 없으므로, 더블 플레이에서 부활곡이나 LEGGENDARIA 난이도를 해금할려면 해당하는 단위를 취득해야한다.
[DP]
[27]
하지만 EX 단위를 선택할 수 없다. INFINITAS는 EX 단위에 도전할 수 없지만, 가져오면서 INFINITAS와 동일하게 EX 단위를 빠진 것으로 추정된다.
[28]
중국판
트리코로의 경우
嫡传(적전)으로 번역되어 있다.
[29]
처음으로 따지자면, 9th style이다. 7th style은 캐릭터 자체가 등장하지 않았고, 8th style은 지르치가 등장한다.
[30]
단, 29 CastHour부터는 일본에서만 출력되고, 그 외 지역에서는 출력되지 않는다.
[31]
4단은 어떻게든 R5까지 가는데 3단의 thunder에 막히는 경우
[32]
Don't be afraid myself(GOLD 5단),
snow storm(tricoro 5단),
東京神話(EPOLIS 5단)은 6단 합격자를 힘들게 할 정도로 어렵다.
[33]
THE SAFARI와
GET ON BEAT (WILD STYLE)의 개인차를 이용한 상위 단위 취득 혹은 THE SAFARI와
gigadelic의 개인차를 이용한 상위단위 취득.
개인차에 따라 8단 합격자가 rainbow rainbow에서 막히는 경우(GOLD 7단). [34] 혹은 익스퍼트 코스를 2회 이상 클리어. [35] DistorteD 한정. DJ TROOPERS은 한 곡은 곡이 끝나는 시점에서 SUDDEN+ green을 573으로 맞추고 클리어 포함. [36] 7th style~ [37] 대강 레벨 10 상급에 해당한다. [38] BEAT PRISONER( CastHour~) [39] Sigmund( BISTROVER~ CastHour), perditus†paradisus( RESIDENT~) [40] DistorteD~ [41] 대신에 초단 이상의 과거 장기집권 보스곡들은 라이트닝 모드 전용 컨텐츠인 단위인정 극에 자주 등장하고 있다. [42] 역대 최강 7급에 기여한 Tangerine Stream SPH는 1회 수록이며 트릴이 레벨 대비 미친 듯이 어려운 5.1.1.은 7th style부터 20 tricoro까지 개근했지만 초반만 어려운 것을 고려하여 제외하였다. [43] 6급도 7급과 마찬가지로 특출나게 튀는 곡은 없지만 역대 6급 중 D.A.N.C.E.!와 I Was The One(SPH), We are Disっ娘よっつ打ち命이 그나마 튄다. 이 중 난이도는 불렙인 D.A.N.C.E.!가 가장 어렵다고 평가받지만 수록횟수가 많지 않고 가장 많이 마지막 스테이지에 배정받은 We are Disっ娘よっつ打ち命도 I Was The One에 비하면 수록횟수가 적다. [44] 8th style 단위인정은 4급에 수록되었다. [45] Final Stage 배정은 9th style부터. DJ TROOPERS에서는 3급으로 승격되었으나 이후 퇴출됨. [46] 초심자들의 손을 꼬이게 만드는 흑백 동시치기로 악명 높은 불렙곡이다. 27 HEROIC VERSE가 돼서야 4에서 5로 올랐는데 여전히 불렙이라는 말을 듣는다. [47] 10th style, 11 IIDX RED까지는 3 스테이지, 12 HAPPY SKY 이후는 마지막 스테이지 [48] 마지막 스테이지는 15 DJ TROOPERS 부터 [49] 난이도로만 따지면 thunder도 3단의 보스곡에 해당하지만 과하게 어려운 난이도 때문인지 4단으로 빠진 뒤 제외되었다. 그래서 CaptivAte 〜裁き〜보다 수록횟수가 적고 마지막 스테이지에 배정된 적이 없다. [50] 10th style, 11 IIDX RED까지는 3 스테이지, 12 HAPPY SKY 이후는 마지막 스테이지 [51] 19 Lincle에서만 2 스테이지, 나머지에서는 마지막 스테이지 [52] 6단은 평준화가 비교적 잘 되어있는 단위라 독보적인 보스곡은 없는 편이지만 언급된 bloomin' feeling을 제외하면 Distress, DXY!, Colors (radio edit), rottel-the-Mercury 등이 꼽힌다. 이 중 Colors (radio edit)는 초기 개근곡이었지만 마지막 스테이지에 배정된 횟수가 적다. [53] 18 Resort Anthem부터 22 PENDUAL까지는 1 스테이지, 나머지에서는 2 스테이지. [54] 13 DistorteD에서는 1 스테이지, 14 GOLD부터 마지막 스테이지. [55] Almagest가 대신 들어갔다. [56] 레이지는 DistorteD, 파이어파이어는 GOLD에서만 나왔다. 레이지는 이중계단 하나만은 당시 개전에 넣기에는 충분했으나 나머지 구간이 당시 10단보다 조금 높은 정도라서 난이도에 맞지 않았고, FIRE FIRE는 9단주제에 건방지게 개전에 나와서 허접한 수준이다보니 한 작품만에 강판됐고, 헐화는 그나마 난이도가 있어서 DJ TROOPERS까지는 나왔었다. [57] 전반적인 난이도가 뒤쳐지거나, 개인차가 심한 패턴은 넣지 않았고, 둘 모두 넣지 못하면 다른 곡을 넣었다. 그 사례로는 15 DJ TROOPERS의 경우 본작 최종해금곡이 대신 나왔고, 17 SIRIUS의 경우에는 전작 최종 해금곡이 이미 개전에 있었으며, 남은 자리는 전작에서 추가된 다른 개전급 패턴이 아닌 본작 해금곡 중 13 CS DD 개전에 들어갔었던 quell이 들어갔었다. [58] 둘 중 어려운 쪽이 2스테이지에 들어갔다. [59] 13 DistorteD 당시 마지막 스테이지는 GENOCIDE. [60] 14 GOLD 당시 1스테이지는 Logic Board. [61] 대표적인 사례가 각각 17 SIRIUS, 18 Resort Anthem의 최종 해금곡인 Almagest와 perditus†paradisus이다. 덤으로 Almagest는 당시 처음 나온 차지 노트를 적극 활용한 패턴이라 개인차의 여지도 있었다. [62] 15 DJ TROOPERS ~ 16 EMPRESS의 MENDES, 18 Resort Anthem ~ 19 Lincle의 Bad Maniacs, 20 tricoro ~ 21 SPADA의 天空の夜明け. 17 SIRIUS는 예외적으로 quell -the seventh slave-가 들어갔는데, 16 EMPRESS의 최종 해금곡 卑弥呼가 너무 어렵다 싶었는진 몰라도 본작 해금곡 중 하나였던 퀠을 넣었는데, 문제는 퀠이 그 흉악 패턴에 해당되는 대표적인 탈개전 패턴이라 상당히 말이 많았다. [63] 1~2스테이지가 모두 바뀌었다. [64] 단위인정 극 개전에 가정용 IIDX를 섞어 넣기에는 가정용 IIDX도 13부터 개전이 나오기 시작했기 때문에 더 늦게 등장한 중전을 제외한 다른 단위와 달리 단위인정 극으로 빙글빙글 돌릴 경우의 수가 적다는 점도 있다. [65] 8th까지 SPN, 이후 SPH [66] 1스테이지 고정은 13 DistorteD부터 [67] blooming feeling이 나오기 전까지 6단의 보스곡을 담당했었다. [68] 7급 생성 전까지 5급 수록 [69] 26부터 5급으로 강등 [70] 14 GOLD 한정으로 초단에 수록 [71] 15 DJ TROOPERS 한정으로 3단에 수록 [72] 8th부터 13 DISTORTED까지 6단 수록 [73] 7th style 한정으로 9단에 수록 [74] 22 PENDUAL 에선 2스테이지, 나머지는 1스테이지. [75] 23 copula 때 8단에 부활했었다. [76] 22 PENDUAL은 Bad Maniacs에게, 26 Rootage는 Mare Nectaris에게, 27 HEROIC VERSE는 GENOCIDE에게 자리를 내줬다. [77] 특히 가정용 8th, 9th의 싱글 9단은 곡이 너무 많이 배정되어 있어 속칭 로또인정이라고까지 불렸다. 곡도 많은데 BPM 폭까지 다양해서 아케이드 버전처럼 처음 배속이 끝까지 가는 시스템으로는 무리라고 생각했는지, 이 두 작품에서는 곡별로 자신이 원하는 배속을 미리 지정하는 시스템을 넣었다. [78] 실제로는 5개의 5단 수록곡 중 Don't be afraid myself나 G2, ZERO-ONE 같이 까다로운 곡도 들어가곤 했다. 4단과 6단 사이의 적당한 난이도를 구현하는 것이 어렵다고 판단해서 이렇게 했는지는 알 수 없지만 어떤 수록곡이 나오냐에 따라 6단 합격자가 잡히는 경우가 나오기도 했다. 랜덤선곡이 사라진 이후에도 5단 난이도의 적정선을 찾지 못하고 있다는 인상이 강하다. 그래서 5단은 그렇게 높은 단위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역대 단위 중 난이도 등락이 가장 심한 단위로 꼽힌다. [79] 더블 4단, 5단은 3번째 스테이지만 랜덤선곡 [80] 2023년 시점으로 봐도 무난한 9단 라인업과 유사한 급이다. 반대로 하이퍼로 설정되어 버린 더블 10단은 물단위가 되었다. [81] No.13 하이퍼는 어나더처럼 초반만 어렵고 나머지는 위닝런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단위인정 난이도가 애매하다. [82] 실력이 9단 이상인데 여러가지 이유로 8단에 머물러 있는 가짜 8단은 제외. [83] DistorteD AC에선 첫 곡으로, GOLD CS와 TROOPERS CS에선 개전에 들어가지 않았다. [84] 한국에서는 플레이 카운트에 의한 레벨 제한 완전해제가 불가능하다. [85] 얼티밋 게이지만큼은 아니더라도 잘 안 찬다. 통상 옵션의 서바이벌 게이지보다 좀 더 짠 걸 4배로 늘린 느낌. [86] 특정 4곡을 S랭크 이상 클리어
개인차에 따라 8단 합격자가 rainbow rainbow에서 막히는 경우(GOLD 7단). [34] 혹은 익스퍼트 코스를 2회 이상 클리어. [35] DistorteD 한정. DJ TROOPERS은 한 곡은 곡이 끝나는 시점에서 SUDDEN+ green을 573으로 맞추고 클리어 포함. [36] 7th style~ [37] 대강 레벨 10 상급에 해당한다. [38] BEAT PRISONER( CastHour~) [39] Sigmund( BISTROVER~ CastHour), perditus†paradisus( RESIDENT~) [40] DistorteD~ [41] 대신에 초단 이상의 과거 장기집권 보스곡들은 라이트닝 모드 전용 컨텐츠인 단위인정 극에 자주 등장하고 있다. [42] 역대 최강 7급에 기여한 Tangerine Stream SPH는 1회 수록이며 트릴이 레벨 대비 미친 듯이 어려운 5.1.1.은 7th style부터 20 tricoro까지 개근했지만 초반만 어려운 것을 고려하여 제외하였다. [43] 6급도 7급과 마찬가지로 특출나게 튀는 곡은 없지만 역대 6급 중 D.A.N.C.E.!와 I Was The One(SPH), We are Disっ娘よっつ打ち命이 그나마 튄다. 이 중 난이도는 불렙인 D.A.N.C.E.!가 가장 어렵다고 평가받지만 수록횟수가 많지 않고 가장 많이 마지막 스테이지에 배정받은 We are Disっ娘よっつ打ち命도 I Was The One에 비하면 수록횟수가 적다. [44] 8th style 단위인정은 4급에 수록되었다. [45] Final Stage 배정은 9th style부터. DJ TROOPERS에서는 3급으로 승격되었으나 이후 퇴출됨. [46] 초심자들의 손을 꼬이게 만드는 흑백 동시치기로 악명 높은 불렙곡이다. 27 HEROIC VERSE가 돼서야 4에서 5로 올랐는데 여전히 불렙이라는 말을 듣는다. [47] 10th style, 11 IIDX RED까지는 3 스테이지, 12 HAPPY SKY 이후는 마지막 스테이지 [48] 마지막 스테이지는 15 DJ TROOPERS 부터 [49] 난이도로만 따지면 thunder도 3단의 보스곡에 해당하지만 과하게 어려운 난이도 때문인지 4단으로 빠진 뒤 제외되었다. 그래서 CaptivAte 〜裁き〜보다 수록횟수가 적고 마지막 스테이지에 배정된 적이 없다. [50] 10th style, 11 IIDX RED까지는 3 스테이지, 12 HAPPY SKY 이후는 마지막 스테이지 [51] 19 Lincle에서만 2 스테이지, 나머지에서는 마지막 스테이지 [52] 6단은 평준화가 비교적 잘 되어있는 단위라 독보적인 보스곡은 없는 편이지만 언급된 bloomin' feeling을 제외하면 Distress, DXY!, Colors (radio edit), rottel-the-Mercury 등이 꼽힌다. 이 중 Colors (radio edit)는 초기 개근곡이었지만 마지막 스테이지에 배정된 횟수가 적다. [53] 18 Resort Anthem부터 22 PENDUAL까지는 1 스테이지, 나머지에서는 2 스테이지. [54] 13 DistorteD에서는 1 스테이지, 14 GOLD부터 마지막 스테이지. [55] Almagest가 대신 들어갔다. [56] 레이지는 DistorteD, 파이어파이어는 GOLD에서만 나왔다. 레이지는 이중계단 하나만은 당시 개전에 넣기에는 충분했으나 나머지 구간이 당시 10단보다 조금 높은 정도라서 난이도에 맞지 않았고, FIRE FIRE는 9단주제에 건방지게 개전에 나와서 허접한 수준이다보니 한 작품만에 강판됐고, 헐화는 그나마 난이도가 있어서 DJ TROOPERS까지는 나왔었다. [57] 전반적인 난이도가 뒤쳐지거나, 개인차가 심한 패턴은 넣지 않았고, 둘 모두 넣지 못하면 다른 곡을 넣었다. 그 사례로는 15 DJ TROOPERS의 경우 본작 최종해금곡이 대신 나왔고, 17 SIRIUS의 경우에는 전작 최종 해금곡이 이미 개전에 있었으며, 남은 자리는 전작에서 추가된 다른 개전급 패턴이 아닌 본작 해금곡 중 13 CS DD 개전에 들어갔었던 quell이 들어갔었다. [58] 둘 중 어려운 쪽이 2스테이지에 들어갔다. [59] 13 DistorteD 당시 마지막 스테이지는 GENOCIDE. [60] 14 GOLD 당시 1스테이지는 Logic Board. [61] 대표적인 사례가 각각 17 SIRIUS, 18 Resort Anthem의 최종 해금곡인 Almagest와 perditus†paradisus이다. 덤으로 Almagest는 당시 처음 나온 차지 노트를 적극 활용한 패턴이라 개인차의 여지도 있었다. [62] 15 DJ TROOPERS ~ 16 EMPRESS의 MENDES, 18 Resort Anthem ~ 19 Lincle의 Bad Maniacs, 20 tricoro ~ 21 SPADA의 天空の夜明け. 17 SIRIUS는 예외적으로 quell -the seventh slave-가 들어갔는데, 16 EMPRESS의 최종 해금곡 卑弥呼가 너무 어렵다 싶었는진 몰라도 본작 해금곡 중 하나였던 퀠을 넣었는데, 문제는 퀠이 그 흉악 패턴에 해당되는 대표적인 탈개전 패턴이라 상당히 말이 많았다. [63] 1~2스테이지가 모두 바뀌었다. [64] 단위인정 극 개전에 가정용 IIDX를 섞어 넣기에는 가정용 IIDX도 13부터 개전이 나오기 시작했기 때문에 더 늦게 등장한 중전을 제외한 다른 단위와 달리 단위인정 극으로 빙글빙글 돌릴 경우의 수가 적다는 점도 있다. [65] 8th까지 SPN, 이후 SPH [66] 1스테이지 고정은 13 DistorteD부터 [67] blooming feeling이 나오기 전까지 6단의 보스곡을 담당했었다. [68] 7급 생성 전까지 5급 수록 [69] 26부터 5급으로 강등 [70] 14 GOLD 한정으로 초단에 수록 [71] 15 DJ TROOPERS 한정으로 3단에 수록 [72] 8th부터 13 DISTORTED까지 6단 수록 [73] 7th style 한정으로 9단에 수록 [74] 22 PENDUAL 에선 2스테이지, 나머지는 1스테이지. [75] 23 copula 때 8단에 부활했었다. [76] 22 PENDUAL은 Bad Maniacs에게, 26 Rootage는 Mare Nectaris에게, 27 HEROIC VERSE는 GENOCIDE에게 자리를 내줬다. [77] 특히 가정용 8th, 9th의 싱글 9단은 곡이 너무 많이 배정되어 있어 속칭 로또인정이라고까지 불렸다. 곡도 많은데 BPM 폭까지 다양해서 아케이드 버전처럼 처음 배속이 끝까지 가는 시스템으로는 무리라고 생각했는지, 이 두 작품에서는 곡별로 자신이 원하는 배속을 미리 지정하는 시스템을 넣었다. [78] 실제로는 5개의 5단 수록곡 중 Don't be afraid myself나 G2, ZERO-ONE 같이 까다로운 곡도 들어가곤 했다. 4단과 6단 사이의 적당한 난이도를 구현하는 것이 어렵다고 판단해서 이렇게 했는지는 알 수 없지만 어떤 수록곡이 나오냐에 따라 6단 합격자가 잡히는 경우가 나오기도 했다. 랜덤선곡이 사라진 이후에도 5단 난이도의 적정선을 찾지 못하고 있다는 인상이 강하다. 그래서 5단은 그렇게 높은 단위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역대 단위 중 난이도 등락이 가장 심한 단위로 꼽힌다. [79] 더블 4단, 5단은 3번째 스테이지만 랜덤선곡 [80] 2023년 시점으로 봐도 무난한 9단 라인업과 유사한 급이다. 반대로 하이퍼로 설정되어 버린 더블 10단은 물단위가 되었다. [81] No.13 하이퍼는 어나더처럼 초반만 어렵고 나머지는 위닝런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단위인정 난이도가 애매하다. [82] 실력이 9단 이상인데 여러가지 이유로 8단에 머물러 있는 가짜 8단은 제외. [83] DistorteD AC에선 첫 곡으로, GOLD CS와 TROOPERS CS에선 개전에 들어가지 않았다. [84] 한국에서는 플레이 카운트에 의한 레벨 제한 완전해제가 불가능하다. [85] 얼티밋 게이지만큼은 아니더라도 잘 안 찬다. 통상 옵션의 서바이벌 게이지보다 좀 더 짠 걸 4배로 늘린 느낌. [86] 특정 4곡을 S랭크 이상 클리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