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7 07:25:23

동방박사

공현대축일에서 넘어옴
성탄절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264236><colcolor=#ffd700>관련 인물 예수 · 동방박사
상징 크리스마스트리 · 캐럴 · 산타클로스 · 루돌프
반응 한국 · 해외 · 스포츠 · 화이트 크리스마스
매체 대중매체 }}}}}}}}}

1. 개요2. 상세3. 이름4. 네 번째 동방박사(the Fourth Wise Man)5. 언어별 표기6. 기타

1. 개요

예수께서 헤로데 왕 때에 유다 베들레헴에서 나셨는데 그때에 동방에서 박사들이 예루살렘에 와서 " 유다인의 왕으로 나신 분이 어디 계십니까? 우리는 동방에서 그분의 별을 보고 그분에게 경배하러 왔습니다."라고 말하였다. 이 말을 듣고 헤로데 왕이 당황한 것은 물론, 예루살렘이 온통 술렁거렸다.
왕은 대사제들과 율법학자들을 다 모아놓고 그리스도께서 나실 곳이 어디냐고 물었다.
그들은 이렇게 대답하였다. "유다 베들레헴입니다. 예언서의 기록을 보면, 유다의 땅 베들레헴아, 너는 결코 유다의 땅에서 가장 작은 고을이 아니다. 내 백성 이스라엘의 목자가 될 영도자가 너에게서 나리라.' 하였습니다." 그때에 헤로데가 동방에서 온 박사들을 몰래 불러 별이 나타난 때를 정확히 알아보고 그들을 베들레헴으로 보내면서 "가서 그 아기를 잘 찾아보시오. 나도 가서 경배할 터이니 찾거든 알려주시오."라고 부탁하였다.
왕의 부탁을 듣고 박사들은 길을 떠났다. 그때 동방에서 본 그 별이 그들을 앞서 가다가 마침내 그 아기가 있는 곳 위에 이르러 멈추었다. 이를 보고 그들은 대단히 기뻐하면서 그 집에 들어가 어머니 마리아와 함께 있는 아기를 보고 엎드려 경배하였다. 그리고 보물 상자를 열어 황금과 유향과 몰약을 예물로 드렸다.
박사들은 꿈에 헤로데에게로 돌아가지 말라는 하느님의 지시를 받고 다른 길로 자기 나라에 돌아갔다.
- 마태오의 복음서( 공동번역 성서) 2장 1-12절.

신약성경 마태오 복음 2장에 등장하는 인물들. 마지(Magi)는[1] 마술사, 점성술사라는 의미이며, 이들의 출신인 동방은 페르시아 바빌론, 혹은 아라비아 등지로 추정 가능하다. 조로아스터교의 사제로 추정하기도 한다.[2]

2. 상세

정확한 숫자는 성경에 나와 있지 않으나, 가톨릭 개신교 등 서방 전승에서는 이들이 아기 예수에게 바친 예물이 3가지였음을 근거로, 이들 또한 3명으로 본다.[3] 반면 그리스 정교회 등 동방 교회에서는 12명으로 보는 등 각지의 전승마다 다르게 해석한다.

몇몇 영어 번역에는 왕(kings)으로 번역되어 있기도 하다. 이 때문에 옛날 한국 천주교에서는 동방박사를 삼왕으로 표현하기도 했다. 주님 공현 대축일도 삼왕내조첨례라고 불렀다. 영화 쓰리 킹즈(Three Kings)의 제목도 이 부분에서 따온 언어유희성 제목.

이들이 아기 예수를 경배한 것을 기념하는 날이 1월 6일, 주님 공현 대축일( 가톨릭)·예수 그리스도 신현 축일( 정교회)·공현대축일( 성공회)·주현절( 개신교)이다.

이들은 베들레헴의 별을 보고 메시아의 탄생을 알았으며, 그를 만나기 위해 예루살렘으로 향한다. 그러나 이곳의 왕 헤로데 대왕은 이를 자신을 몰아낼 새로운 왕이 난 것으로 받아들여 매우 당황한다. 왕은 신하들에게 물어 그리스도 베들레헴에서 나기로 예언된 것을 알았고, 이에 자신도 경배하러 찾아가겠다는 명목으로 동방박사들에게 태어난 아기를 찾게 한다.

동방박사들은 베들레헴에서 다시 떠오른 별을 보고 아기 예수와 그의 모친 마리아를 찾아낸다. 아기에게 경배하고 자신들의 보물인 황금, 유향, 몰약을 바친 뒤, 그들은 꿈의 지시를 받아 헤로데를 만나지 않고 바로 고국으로 돌아간다. 동방박사들에게 속은 것을 안 헤로데가 그 시기에 태어난 베들레헴 안의 사내아이를 다 죽이지만, 아기 예수 성모 마리아 나자렛의 성 요셉은 미리 알고 이집트로 피신해 있었다.

마르코 폴로 동방견문록에는 그가 동방에서 들은 동방박사들의 이야기가 기록되어 있는데, 이들은 1명씩 들어가서 예수를 경배할 때 각각 저와 비슷한 나이의 예수를 만났으며, 셋이서 함께 들어갔을 때는 아기 예수를 만났다고 한다. 예수는 그들에게 공물을 받고 변치않는 믿음의 상징으로 검은 돌[4]을 대신 주었다. 하지만 세 박사는 그 돌의 가치를 알지 못하고 돌아가는 길에 우물에 버렸는데, 우물에서 불기둥이 쏟아져 나오자 그제야 그 가치를 깨닫고 그 불을 퍼가서 고향에 교회를 짓고 섬겼다고 한다. 어쩐지 조로아스터교의 "영원한 불"이 연상되는 이야기다.

신약성경, 구약성경 및 각종 외경 위경 등을 통틀어 동방박사가 언급되는 기사는 마태오 복음서가 유일하고 그 언급도 매우 간략하기 때문에 동방박사가 누구이며 어디서 왔는지, 몇 명인지에 대해서는 모두 후대의 창작에 가깝다. 초창기에는 단순히 현자로 여겨졌으나 3세기 초에 이르러 왕의 신분으로 격상되었다. 각각 아라비아, 페르시아, 인도의 왕으로 칭해졌으며, 시편 72(불가타 역 71)편의 " 타르시스와 섬나라 임금들이 예물을 가져오고 세바와 스바[5]의 임금들이 조공을 바치게 하소서. 모든 임금들이 그에게 경배하고 모든 민족들이 그를 섬기게 하소서"와 같이 모든 왕이 메시아에게 복종하였다는 예언이 실현되었음을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아니면 구세주의 나심을 축하함과 동시에 구세주의 위대함과 상징을 나타내기 위해 ' 황금 유향 몰약 이 세 가지 상징을 나타내려고 존재를 만들어낸 것 아니냐라는 주장도 있다.

1164년 쾰른 대주교 라이날드 폰 다셀(Rainald von Dassel, 1114~1167)은 밀라노로부터 "동방박사의 유해"를 가져와 쾰른 대성당에 안치하였는데, 물론 진짜 동방박사의 유골일 가능성은 거의 없다. 움베르토 에코의 소설 바우돌리노에 이 사건에 대한 일화가 실려 있다.

3. 이름

7세기 무렵 서유럽 그리스도교에서는 동방박사 3명의 이름과 상징이 정리되었다. 이들의 이름과 상징이 현재와 같은 형태로 나타나는 가장 오래된 기록은 6세기경에 쓰인 <Excerpta Latina Barbari>로 알려져 있다. 정례화된 상징이므로, 성화에 이름을 써놓지 않아도 누가 누군지 알아맞힐 수 있다. 예시[6]

단, 실제 성경에 동방박사들의 이름과 외모가 묘사된 것이 아니므로, 전승에 따라 멜키오르가 청년이고 카스파르가 노인으로 묘사되거나, 발타자르가 노인으로 혹은 예수님께 드린 선물의 종류가 다르게 전해지는 전승도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성 베다 존자(St. Bede the Venerable, 672~735)가 정의한 위의 내용으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다.

동방박사들이 바친 황금, 유향, 몰약은, 예수님께서 참 하느님이시자 참 사람이시며, 하늘과 땅의 왕이심을 의미한다.

동방박사는 중세 유럽에서 성인으로서 널리 공경되어, 현재도 가톨릭에서는 3명 모두 1월 6일 주님 공현 대축일에 기념하고 있으며 특히 이들이 예수 그리스도를 경배한 최초의 이교도라는 점을 매우 중시하고 있다. 전 세계 인류의 대표라는 의미에서 각각 백인, 흑인, 황인으로 묘사되는 경우도 있는데, 이때는 멜키오르가 백인, 발타사르가 흑인[7], 가스파르가 황인으로[8] 묘사된다. 성인 공경을 인정하지 않는 개신교 장로회에서도 1월 6일의 경우는 주현절(主顯節)로 기념하고 있다.

이 목록은 가톨릭이 아닌 다른 교회에서는 또 다르게 전승되고 있다.

4. 네 번째 동방박사(the Fourth Wise Man)

미국 개신교 목사이자 외교관 헨리 반 다이크의 소설 『 네 번째 동방박사』에 관한 이야기도 있다. 원래 알려진 세 명의 박사와 아르타반(Artaban)이라는 이름의 네 번째 박사가 같이 떠나려고 하였는데, 그는 도중에 늦어져서 3명이 먼저 떠난 후에야 약속 장소에 도착했다.

아르타반은 혼자서라도 뒤따라가야겠다고 생각하여 홍옥, 청옥, 진주 3가지의 예물을 준비해 여행을 떠났으나, 도중에 가난한 사람이나 위기에 처한 사람들을 도와주느라 홍옥 청옥을 써버리고 예수도 만나지 못한 채 33년이 흐르고 만다. 그리하여 아르타반은 지치고 피곤한 상태로 예루살렘으로 터덜터덜 돌아왔는데… 예수는 33세에 죽었다. 그렇다. 아르타반이 돌아온 날은 하필이면 예수 십자가에서 처형된 바로 그 날이었다. 아르타반은 기겁해서 자기에게 마지막 남은 진주를 주어서라도 메시아를 구해야겠다고 생각하고 골고타 언덕으로 달려가는데 도중에 또 불쌍한 사람을 만난다.

아르타반은 갈등하지만 결국 진주마저 주어버리고서 급히 골고타 언덕으로 향했지만, 이미 예수는 십자가에 못박힌 상태였다. 그는 예수가 못박힌 십자가 아래에서 기력이 다해가면서, 결국 자신이 예수에게 예물을 드리지도 못했다며 용서를 빌면서 숨을 거둔다. 그가 죽어가는 순간 하느님이 나타나 "네가 구한 불쌍한 사람들이 모두 나였다."고 하며 그의 선행을 높이 사서 그는 천국으로 갔다는 결말의 이야기다.[9]

이 이야기의 중심 사상은 "너희가 가장 작은 이들에게 해준 것이 바로 나에게 한 것이다 (일명 황금률 (Golden Rule))"[10], "내가 원하는 것은 희생제물이 아니라 자비다"라는 예수의 말씀이다. 이를 토대로 볼 때, 아르타반은 실패한 것이 결코 아니며, 그 나름의 방법으로 예수를 섬기고 사랑을 실천하였으며, 마지막 순간까지 겸허하게 자신을 내려놓으며 하느님께 자신을 내어맡긴 참된 의인이라고 할 수 있다.

위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마틴 신 주연의 4번째 동방 박사 <The Fourth Wise Man>이라는 1985년 TV영화가 제작되기도 했다.

5. 언어별 표기

언어별 명칭
<colbgcolor=#ADADAD><colcolor=#ffffff> 그리스어 μάγοι (magoi)
라틴어, 이탈리아어 Magi
프랑스어 Rois mages
영어 Magi( 단수: magus), three wise men, three kings, Biblical Magi, Three Wise Men
한자 東方博士
일본어 東方の三博士(とうほうのさんはかせ), 東方の三賢者(とうほうのさんけんじゃ), 東方の三賢人(とうほうのさんけんじん)
에스파냐어 Reyes Magos
독일어 Heilige Drei Könige
러시아어 Три царя
히브리어 שלושת האמגושים

6. 기타

가톨릭에서는 주님 공현 대축일에 동방박사가 아기 예수를 찾아온 것을 기념한다. 본래의 날짜는 1월 6일이지만, 의무 축일이 아닌 곳에서는 1월 2일과 8일 사이에 오는 주일에 지낸다[11]. 한국 천주교에서도 후자의 방식으로 지낸다.

1959년 찰턴 헤스턴 주연의 영화로 널리 알려진 미국의 루 월리스의 소설 벤허에서는 각각 그리스, 인도, 이집트인으로 설정되어 나오며 각각 철학의 도시, 종교의 도시, 철학과 종교가 골고루 섞여있는 도시에서 내세와 영혼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며 각각 믿음, 사랑, 선한 일들을 통해 나아가다 하나님께 계시로 응답을 받아 모이게 되어 예루살렘으로 가는 것으로 나온다. 이 중 이집트인으로 설정되어 나오는 발타자르는 30년 뒤 유대 땅으로 돌아가 자신이 경배했던 아기 예수를 성인이 된 모습으로 만나 감격하며 예수가 십자가에 달려 운명할 때 함께 사망하는 것으로 나오는 등 그리스도교 소설답게 신앙적인 면이 부각되어 나온다.

소설가 이문열은 자신의 작품 사람의 아들의 인물 민요섭의 글을 통해, "구세주의 탄생을 축복하러 온 사람들이 생각없이 헤로데에 물어 구세주의 목숨까지 위험하게 했고 죄없는 아이들을 죽게 했다"며 이 모든 일을 계획한 야훼를 깠다. 게다가 "위대한 지혜"의[12] 가호를 받아 탄생하는 아하스 페르쯔의 불길하고 악한 징조를 보고 사막에서 공포에 떠는 모습으로 나온다. 훗날 장성한 아하스 페르쯔가 진리와 신을 탐구하는 과정에서 배화교의 사제로 일하자, 고위 성직자였던 이들은 그의 과거를 눈치채고 추방한다.

세인트 영멘에서는 "세상에 그 추운날 마굿간에서 출산하느라 지친 성모 마리아에게 불쑥 나타나서는 아기를 보러 온 아저씨들"이라고 회술된다. 마리아가 인터넷 주부 게시판에 올렸더니 다들 "정신 나간 작자들"이라고 욕했다고. 신생아와 산모는 외부 감염에 취약하기 때문에, 외부인의 출입을 철저하게 통제한다. 과거 신생아 사망률이 높았던 것이나, 아기가 태어나면 금줄을 쳤던 행동도 이 영향력. 그런데 이들은 외부인도 모자라 여행자이니, 선물은커녕 어떤 오염물질을 이역만리에서 달고 왔을지 알 수가 없다.

크리스마스 캐럴 We Three Kings of Orient Are가 동방박사를 소재로 하고 있다. 흥겹고 밝은 다른 크리스마스 캐럴과는 달리 차분하고 장엄한 분위기를 가지고 있다.

이를 빗대어 몇몇 인터넷 짤방에는 동방박사가 다녀간 후 3명의 나이 지긋한 여인들이 찾아와서 기저귀, 이유식 등 아기 예수 성모 마리아, 성 요셉 성가정에 더 도움이 될 선물들을 전해주었다는 그림이 올라오기도 한다. 이름하여 '3명의 더 현명한 여인들'(three wiser women)[13]

미하엘 엔데의 소설인 짐 크노프 시리즈의 주인공인 짐 크노프는 다름아닌 멜키오르 왕의 후손이란 설정이다.

아서 클라크의 단편소설 '별(The Star)'에서는 동방박사들을 이끌었다는 별이 초신성이었던 것으로 묘사된다. 그런데 그 초신성이 주계열성이던 시절의 항성계에는 우주선으로 성계 내부를 이동할 정도로 고도의 문명을 가진 생명체가 살고 있었고, 아직 초광속 기술은 없었기에 멸망을 직감한 이들이 자신들이 살았음을 알리기 위해 성계 외부에 남긴 문명의 기록을 바라보며 주인공[14]의 신앙은 흔들린다. 미드 환상특급의 한 에피소드(1985 시리즈)에서 영상화되었다. 다만 환상특급 에피소드에선 그 기록에 '우리가 죽을 운명이라면 우리의 죽음이 다른 행성의 거주자를 위한 뜻 있는 일이 되게 해 주소서'라는 내용이 있어서 마치 그들이 구세주의 탄생을 지구에 알리기 위해 희생한 것처럼 결말을 바꾸었다. 이는 해당 에피소드가 크리스마스 특집으로 제작되었기 때문이다.

갓 오브 워 2에서 운명의 세 여신 중 둘을 이기고 나오는 방에서 3개의 벽화가 있는데 하나는 타이탄과 신들의 전쟁, 하나는 모든 게 파괴되고 폐허에서 1명이 살아남은 모습, 마지막 하나는 별을 향해 여행하는 3명의 사람으로 그리스 신들의 몰락과 예수의 시대가 올 것을 암시하고 있다.[15]

리니지의 글루디오 던전 3~4층에서 동방박사의 이름을 딴 보스급 몬스터 셋이 비슷한 외형을 한 세마와 함께 등장한다: 카스파, 발터자르, 메르키오르.

멕시코 일부 도시에서는 동방박사의 날 전후로 대규모 약탈 사건이 벌어지는데, 치안이 불안한 몇몇 장소가 해당된다. 이 비디오 베라크루스에서 벌어진 약탈 사건이며, 에카테펙 데 모렐로스에서는 대규모 연례행사처럼 벌어진다. 비디오를 보면 자녀들에게 줄 장난감을 훔쳐간다고 한다. 베라크루스에서 일어난 사건의 경우 지역 특성으로 인해 해병대가 나서서 진압 및 체포 작전을 벌였다.

탑기어 중동 스페셜이 동방박사를 모티브로 한 에피소드이다. 3MC가 마쓰다 MX-5, BMW Z3, 피아트 바르케타를 타고 이라크, 튀르키예, 시리아, 요르단, 이스라엘을 거치며 최종적으로 예수의 탄생지 베들레헴에 도착한다.[16]

영화 스토커(러시아 영화)의 세 주인공인 스토커, 작가, 교수가 동방박사에 대한 은유라는 해석이 있다.

애니메이션 신세기 에반게리온에서는 3대의 유기물 기반 슈퍼컴퓨터에 각각 이름이 붙고 3대의 시스템을 MAGI라고 부른다. 개발자의 사고 패턴이 인공지능 운영체제 모델로 들어가있으나 서로의 가치관이 달라 세 컴퓨터의 회의로 문제를 해결한다.


[1] 교회 라틴어 발음으로, 고전 라틴어 발음은 ‘마기’이다. 복수명사이며, 단수형은 마구스(Magus). 영어 발음은 "메자이"에 가깝다. [2] 후술하겠지만 현대 가톨릭에서는 이들이 조로아스터교의 사제였음이 맞다고 보고 있으며, 이 또한 그리스도에 대한 신학적 의미를 부여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한다. [3] 픽션에 가까운 전설이긴 해도, 네 번째 동방박사 이야기가 설교 예문이나 성극의 모티브로 쓰이기도 한다. 아래 항목 참조 [4] 전자는 석유/ 블랙다이아몬드(Black Diamond), 후자는 석탄/ 현무암을 말하기도 한다. [5] 현재의 에티오피아 [6] 맨 앞의 무릎 꿇은 노인이 멜키오르, 뒤편에 서 있는 흑인 남성이 발타자르, 왼편에 서 있는 수염을 기른 젊은 남성이 카스파르다. [7] 이 때문에 옛부터 서구권에서는 종교행사 등지에서 동방박사 분장을 할 때 발타자르는 주로 흑인처럼 분장한 백인이 맡는 경우가 많았으며 20세기 이후 이러한 부분이 종종 논란이 되기도 하였다. [8] 엄밀히 말하면 중동인. 사실 근세 이전까지 황색을 통한 분류는 중동인을 지칭하기 위한 것이었다. 오늘날처럼 "황인"이라는 말에 주로 몽골 계통의 민족을 떠올리게 된 것은 콜럼버스와 마젤란의 신항로개척으로 유럽인들만의 독자적인 동아시아 무역 경로가 성립된 후에 단어의 쓰임새가 변경되었기 때문이다. [9] 동방박사의 이야기는 아니지만 비슷하게 전개되는 소설로 레프 톨스토이 사랑이 있는 곳에 신이 있다가 있다. 이 이야기는 1885년에 저술됐고 반 다이크의 이야기는 1896년 나왔으나, 이때는 톨스토이가 한참 맛이 간 후라 그의 이야기를 반 다이크가 읽었을 가능성은 매우 낮다. [10] 네 번째 동방박사 마지막 부분에 아르타반이 듣는 말도 이 구절에서 변형된 것이다. 최후의 심판에서 예수가 의인들에게 할 말도 이 말이라고 한다. [11] 가톨릭 교회의 「전례주년과 전례력에 관한 일반 규범」 37항 [12] 사탄이자 절대악이라는 오해를 뒤집어썼는데 그 내막은 다르다. [13] 동방박사의 영어 명칭이 '3명의 현자들'(three wise men)인 것을 빗댄 명칭이다. [14] 천체물리학자이자 예수회 신부 [15] 당연하지만 전 세계에서 가장 신자가 많은 그리스도교의 신을 도륙당하는 게임 보스로 등장시킬 리는 만무하다. 그리스나 북유럽 신화는 현재 종교로 믿는 사람이 사실상 없으므로 이런저런 장난(?)을 칠 수 있는 것. 디렉터인 코리 발록의 트윗에 따르면 갓 오브 워 세계관에도 그리스도교는 있지만 아직 등장시킬 생각은 없다고 언급했다. [16] 이때 제레미는 아기 예수에게 닌텐도 DS(…)를 선물하려 했으나 아기 예수가 사실 아기 스티그임이 밝혀지며 허무하게 끝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