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0-02-07 01:09:19

고속철도/목록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고속철도
1. 국가별 고속철도 목록2. 국가별 고속철도 노선(고속열차 전용선) 목록3. 시장점유율

1. 국가별 고속철도 목록

🚄 세계의 고속철도 브랜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 아프리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KTX BI.svg
파일:SRT BI.svg
[ruby(新幹線, ruby=しんかんせん)] 파일:CRH 로고.svg
파일:CRH(푸싱호 계열) 로고.svg

파일:바이브런트 익스프레스 로고.svg 홍콩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파일:NHSRCL 로고.svg 파일:타이완 고속철도 로고.svg 파일:afrosiyob.jpg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파일:하라마인 고속철도 로고.svg 파일:알 보라크 로고.svg 파일:Whoosh.jpg
유럽 · 북미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프랑스· 스위스
파일:TGV inOui 로고.svg
파일:OUIGO 로고.svg
파일:Renfe_AVE.svg 파일:TGV 리리아 로고.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LeFrecce.jpg
파일:italo.png
파일:Avanti West Coast.png 파일:LNER Logo.png
파일:GWR 로고.svg 파일:East_Midlands_Railway.png
파일:YHT 로고.svg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네덜란드· 벨기에· 오스트리아· 스위스)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노르웨이· 덴마크)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ICE 로고.svg 파일:sj2000.png 파일:삽산 로고.svg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오스트리아· 체코 러시아· 핀란드
파일:체코국철.png 파일:Railjet 로고.svg 파일:allegrotrain.png
(영업중단)
프랑스· 영국·벨기에·독일· 네덜란드 벨기에·네덜란드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유로스타 로고 2023.svg 파일:fyra-logootje.png
(폐지)
파일:NS 로고.svg 파일:벨기에 국철 로고.svg Intercity Direct
파일:aplogo1.png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발트3국 (폴란드)
파일:acela.png 파일:브라이트라인 로고.svg EIP 파일:RBLOGO.png
파일:Texas_Central_logo.png * 파일:CAHSRA.png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파일:tavbrasil.webp
음영 : 건설 중 · 예정. 그 외의 로고 미정 목록은 해당 목록 참조. }}}}}}}}}
개통년도 이름 국가 영업최고속도
(km/h)
비고
1964 신칸센 일본 320[1] 세계최초의 고속철도 시스템.
1976 인터시티 125 (InterCity 125) 영국 201 동력차인 Class 43은 디젤기관차 최고속도 238km/h로 세계기록을 갖고 있다.
1981 TGV[2] 프랑스 320 한때 레일위의 콩코드라고 불렸으며 세계 최초로 영업운전이 300km/h를 돌파하였다.
1988 레 프레체 이탈리아 300 고속 신선 개통은 1977년에 이루어졌으며,
1988년 펜돌리노 투입 이전까지는 일반 철도차량으로 고속선 구간에서 200km/h로 주행했다.
1989 SJ 2000 스웨덴 200 기존선에서의 고속철도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1991 ICE 독일,
오스트리아,
네덜란드
320
1992 AVE 스페인 310
1992 인터시티 225 (InterCity 225) 영국 225 시험용 틸팅열차 APT를 기반으로 제작한 전기기관차 견인 고속열차
1993 TGV 리리아 프랑스,
스위스
320 프랑스-스위스 국제 고속철도 브랜드. 이전부터 이미 프랑스 TGV의 스위스 직통은 이뤄지고 있었다.
1994 유로스타 영국,
프랑스,
벨기에
300
1996 탈리스 프랑스,
벨기에,
네덜란드,
독일
300
1998 알파 펜둘라르 포르투갈 220 기존선에서의 준고속철도 서비스.
2000 아셀라 익스프레스 미국 240 기존선에서의 고속철도 서비스. 하지만 추후 기존선 직선화 및 신차 도입 등의 개량을 거쳐 최고속도를 높일 예정
2002 펜돌리노 영국 201 알스톰의 기술로 만든 APT를 계승한 전기 동력분산식 틸팅열차.
2004 KTX 대한민국 305[3][4]
2007 CRH 중국 350 고속 신선은 2000년대 초반부터 개통되고 있었으나 고속철도의 기준이라 할 수 있는 고속 신선 250km/h 이상을 운행하게 된 시기가 2007년이다.
2007 타이완 고속철도 대만 300
2008 레일젯 오스트리아, 체코 200 ICE를 독일 DB와 같이 써오던 오스트리아 국철 ÖBB가 이와는 별도로 새롭게 개발한 고속철도 시스템이다. 오스트리아 연방 철도의 적자로 운행 초기에 일부 열차가 체코 철도에 판매되서 일부 노선은 양사가 공동 운영한다.
2009 삽산 러시아 250 광궤 궤간으로 달리는 고속철도이다.
마찬가지로 기존선에서의 고속철도 서비스.
소련 시절부터 200km/h 주행은 가능했으나 1주 1왕복만 운행했다.
2009 YHT 터키 250 'Yüksek Hızlı Tren'의 약자. 처음에는 앙카라 ~ 에스키세히르 구간이 부분 개통되었으며,
2014년 7월 앙카라 ~ 이스탄불 구간이 최종 개통되었다.
2010 알레그로 러시아,
핀란드
200 러시아 철도와 핀란드 국철의 공동 운행.
2011 아프로시욥 우즈베키스탄 250 스페인의 탈고 열차를 채택했으며, 중앙아시아 최초의 고속철도.
2012 이탈로 이탈리아 300 이탈리아의 사철 회사 NTV에서 운영하는 고속 열차로 이탈리아 대부분 지역을 커버한다.
이탈리아 국영철도인 Trenitalia와 동일 구간에서 동일 선로를 운행하며 경쟁하고 있다.
2013 OUIGO 프랑스 320 프랑스의 SNCF의 자회사 OUIGO에서 운영하는 고속철도. TGV와 동일선로를 운행하며, 저렴한 대신 정차역이 많고 정차역이 시내와 멀리 떨어져 있다.
2016 SRT 대한민국 300 주식회사 SR에서 코레일의 KTX와는 별도로 운영 중인 고속열차.
서울 강북 도심에서 출발하는 KTX와 달리 강남의 수서역에서 출발하여 수서평택고속선을 경유하여 운행한다.
평택 인근에서 기존 경부고속선과 합류하여 KTX와 병행 운행한다.
주식회사 SR이 코레일의 자회사이고 운용인력, 차량 등을 모두 코레일에서 임대하므로 반 정도는 KTX 계통으로도 취급된다.
2018 바이브런트 익스프레스 홍콩( 중국) 300 MTR이 운영하며, 중국 CRH380A를 채택했다. 중국-홍콩 직통용 국제열차로 사용된다.
2018 하라마인 고속철도 사우디아라비아 300 중동 최초의 고속철도이다.
2018 카사블랑카-탕헤르 고속철도 모로코 320 프랑스 TGV 듀플렉스를 채택했다. 탕헤르-케니트라 구간이 2018년 개통되었으며 카사블랑카까지의 연장은 2020년 예정이다. 아프리카 최초의 고속철도이다.

일본의 몇몇 철도회사는 아무리봐도 고속철도(high-speed rail)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OO고속철도"라는 명칭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고속철도는 high-speed rail라기보다는, rapid transit의 의미로 쓰인 것이다. 이는 일본 도시계획법상 노면전차 등 저속의 철도와는 달리 도로의 신호체계에 영향받지 않는 고가·지하철도나 모노레일 등의 도시철도도시고속철도라고 정의하고 있는 데에서 유래한다. 여기에 해당하는 사례로 사이타마 고속철도, 나고야 임해고속철도, 교토시 고속철도,[5] 센보쿠 고속철도선, 고베 고속철도, 키타큐슈 고속철도 등이 있다. 도쿄메트로의 구칭(舊稱)인 제도고속도교통영단(帝都高速度交通営団, 과거 흔히 '에이단'이라 불렀던)에도 '고속'이라는 단어가 들어가 있었다.

2. 국가별 고속철도 노선(고속열차 전용선) 목록

취소선이 있는 경우는 아직 미완성된 노선을 의미한다.

3. 시장점유율

파일:/image/009/2015/04/27/20150428_1430124276._99_20150427175003.jpg
여기에는 표시가 안 되어 있지만 기타로 표시된 부분의 상당 부분은 스페인의 몫이다.

중국이 빠른 속도로 치고 올라가면서 점유율을 50%나 끌어올렸다.[6] 현 시점에서는 싸게 지으려면 중국이라는 공식이 성립하며 상대적으로 철도 환경이 좋지 않은 미국, 돈이 없는 아프리카 등에서는 중국이 수주를 얻는 데 성공하고 있다. 다만 2017년 시점에서 중국이 국외에서 수주하여 완공된 것은 2014년 터키 앙카라∼이스탄불 구간뿐이며 사업 투명성 문제와 해당국 정부와의 갈등 등으로 미국, 멕시코, 미얀마, 리비아, 베네수엘라 등에서 중국이 수주한 총 475억 달러 규모의 고속철 사업이 취소됐다. 2015년에 그나마 인도네시아에서 일본의 신칸센을 따돌리고 고속철 건설 계약을 따내긴 했다.


[1] 도카이도 신칸센은 선형이 나빠 285에서 묶인다. 320을 밟는 차량은 도호쿠 신칸센 E5계&H5계& E6계. 다만 2020년에 도카이도 신칸센에 도입될 예정인 차량 N700S계는 시험운전에서 시속 362km을 돌파하였다. [2] 2020년까지 브랜드명을 TGV inOui로 변경할 예정임. [3] 정차역 수가 적거나 지연회복을 하는 경우 310km/h 정도까지 속도가 나기도 한다. TVM430 신호 기준에 따라 진행 300km/h 신호일 경우 315km/h 에서 비상제동이 자동 활성화 되기 때문이다. 이는 유럽의 TVM430을 쓰는 고속선 모두 같다. [4] KTX의 영업최고속도는 2008년 11월 26일부터 305km/h로 상향되었다. 여기를 참고하자. [5] 교토 시영 지하철의 조례상 정식 명칭. [6] 사실 대부분은 중국 내의 노선들이다. 중국은 고속철도를 정치적인 목적으로 짓고 있기 때문에 중국 대륙 구석구석 노선을 건설하고 있는 중이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고속철도 문서의 r575 판, 3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