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1 13:27:43

경제상호원조회의

쎄브에서 넘어옴

파일:낫과 망치.svg 공산주의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33%; min-height:2em"
{{{#!folding [ 이념 전반 ]
{{{#!wiki style="margin:-5px 0 -5px; letter-spacing:-0.05em"
<table bgcolor=#fff,#1f2023><colbgcolor=#cd0000><colcolor=#fed800>분파 마르크스-레닌주의
현실사회주의 · 카스트로주의 · 호자주의 · 호찌민 사상 · 마오주의 ( 마르크스-레닌-마오주의 · 중국특색 사회주의 · 신시대 중국특색 사회주의) · 주체사상
볼셰비키-레닌주의
파블로주의 · 신트로츠키주의 ( 클리프주의) · 제3의 진영 · 포사다스주의)
그 외: 사회적 아나키즘 · 좌익공산주의 · 서구 마르크스주의 · 포스트 마르크스주의 · 국민공산주의 · 유럽공산주의 · 기독교 공산주의
인물 카를 마르크스 · 프리드리히 엥겔스 · 카를 카우츠키 · 블라디미르 레닌 · 레프 트로츠키 · 미하일 칼리닌 · 알렉산드라 콜론타이 · 나데즈다 크룹스카야 · 이오시프 스탈린 · 니키타 흐루쇼프 · 겐나디 주가노프 · 요시프 브로즈 티토 · 천두슈 · 리다자오 · 마오쩌둥 · 저우언라이 · 체 게바라 · 피델 카스트로 · 라울 카스트로 · 로자 룩셈부르크· 프랑수아 노엘 바뵈프· 루이 오귀스트 블랑키· 카를 리프크네히트 · 안토니오 그람시 · 호찌민 · 응우옌반린 · 보응우옌잡 · 폴 포트 · 담딘 수흐바타르 · 허를러깅 처이발상 · 고토쿠 슈스이 · 시이 가즈오 · 고이케 아키라 · 키라 요시코 · 야마조에 타쿠 · 아카미네 세이켄 · 박헌영 · 김일성 · 빌헬름 피크 · 발터 울브리히트 · 에리히 호네커 · 게오르게 게오르기우데지 · 엔베르 호자 · 헹크 스네이블릿· 호세 카를로스 마리아테기 · 밥 아바키안 · 게오르기 디미트로프 · 헬렌 켈러 · 김알렉산드라
이론 공산주의 · 사회주의 · 노동가치론 · 변증법적 유물론 · 마르크스 경제학 · 여성해방론 · 프롤레타리아 독재 · 민주집중제 · 계획경제 · 반자본주의 · 무신론 · 사회주의법 · 인민민주주의
정당 공산당
상징 낫과 망치 ·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 · 붉은 별 · 적기
관련 문서 분파 · 역사 · 서기장 · 적색 테러 · 탈공산주의 · 통일전선 · 글라스노스트 & 페레스트로이카 · 파일:레닌_투명.svg 레닌주의 · 파일:스탈린_투명.png 틀:스탈린주의 · 파일:마오쩌둥 투명.svg 틀:마오주의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33%; min-height:2em"
{{{#!folding [ 정당 · 조직 ]
{{{#!wiki style="margin:-5px 0 -5px; letter-spacing:-0.05em"
<colbgcolor=#cd0000><colcolor=#fed800>
볼드체: 여당 또는 연립여당
취소선: 역사적으로 공산주의를 표방했던 정당
이탤릭체: 당 내 일부 분파가 공산주의를 표방하는 정당
현존 정당
아시아
중국공산당 파일:중국 국기.svg · 일본공산당 파일:일본 국기.svg · 노동자공산당 파일:일본 국기.svg · 노동의 해방을 목표로 노동자당 파일:일본 국기.svg · 조선로동당 파일:북한 국기.svg · 대만 공산당 파일:대만 국기.svg · 베트남 공산당 파일:베트남 국기.svg · 라오 인민혁명당 파일:라오스 국기.svg · 버마 공산당 파일:미얀마 국기.svg · 네팔 공산당(통합 마르크스-레닌주의) 파일:네팔 국기.svg · 네팔 공산당(마오주의 센터) 파일:네팔 국기.svg · 네팔 공산당(통합 사회주의) 파일:네팔 국기.svg · 인도 공산당 파일:인도 국기.svg · 인도 공산당(마르크스주의) 파일:인도 국기.svg · 방글라데시 노동자당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 팔레스타인 해방인민전선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 팔레스타인 해방민주전선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 팔레스타인 인민당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 이스라엘 공산당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 예멘 사회당 파일:예멘 국기.svg · 레바논 공산당 파일:레바논 국기.svg · 몽골 인민당 파일:몽골 국기.svg · 카자흐스탄 인민당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 캄보디아 인민당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유럽 유럽 좌파당 파일:유럽연합 국기.svg · 유럽의회 좌파-GUE/NGL 파일:유럽연합 국기.svg · 프랑스 공산당 파일:프랑스 국기.svg · 신인민전선 파일:프랑스 국기.svg · 수마르 파일:스페인 국기.svg · 포르투갈 공산당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 그리스 공산당 파일:그리스 국기.svg · 튀르키예 공산당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 튀르키예 노동자당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 노동인민진보당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 좌파당 파일:독일 국기.svg · 독일 공산당 파일:독일 국기.svg · 오스트리아 공산당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 벨기에 노동당 파일:벨기에 국기.svg · 스위스 노동당 파일:스위스 국기.svg · 연대 파일:스위스 국기.svg · 적색당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 보헤미아 모라바 공산당 파일:체코 국기.svg · 몰도바 공화국 공산당 파일:몰도바 국기.svg · 벨라루스 공산당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 러시아 연방 공산당 파일:러시아 국기.svg · 러시아의 공산주의자들 파일:러시아 국기.svg · 사회당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헝가리 사회당 파일:헝가리 국기.svg · 이윤 이전에 인민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프
리카
경제자유투사당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 기니카보베르데 아프리카독립당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 모잠비크 해방전선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 상투메 프린시페 해방운동-사회민주당 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 · 앙골라 완전독립 민족동맹 파일:앙골라 국기.svg · 앙골라 해방인민운동 파일:앙골라 국기.svg · 짐바브웨 아프리카 국민연합 - 애국전선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 콩고 노동당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 티그라이 인민해방전선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아메
리카
미국 공산당 파일:미국 국기.svg · 미국 혁명공산당 파일:미국 국기.svg · 캐나다 공산당 파일:캐나다 국기.svg · 쿠바 공산당 파일:쿠바 국기.svg · 산디니스타 민족해방전선 파일:니카라과 국기.svg · 베네수엘라 연합사회당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 베네수엘라 공산당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 인민진보당 파일:가이아나 국기.svg · 자유 페루 파일:페루 국기.svg · 브라질 공산당 파일:브라질 국기.svg · 사회주의자유당 파일:브라질 국기.svg · 칠레 공산당 파일:칠레 국기.svg · 사회주의 운동 파일:볼리비아 국기.svg · 에콰도르 공산당 - 붉은 태양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 에콰도르 공산당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 우루과이 공산당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 파라분도 마르티 민족해방전선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해체된 정당
소련 공산당 · 이탈리아 공산당 · 조선공산당 · 남조선로동당 · 세르비아 공산당 · 헝가리 사회노동당 · 폴란드 통일노동당 · 알바니아 노동당 ·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 인도네시아 공산당 · 불가리아 공산당 ·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 · 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 · 말라야 공산당 · 캄푸치아 공산당 · 루마니아 공산당 · 중화민국 공산당 · 영국 공산당 · 독일 사회주의통일당 · 헝가리 노동자당· 튀르키예 공산당(1920년) · 호주 공산당
국제 조직 코민테른 · 코민포름 · 코메콘 · 바르샤바 조약 기구 · 인터내셔널 · 제4인터내셔널 · 공산당-노동자당 국제회의 · 세계반제플랫포옴 · 각종 공산주의 정당 연합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33%; min-height:2em"
{{{#!folding [ 국가 ]
{{{#!wiki style="margin:-5px 0 -10px; letter-spacing:-0.05em"
인민공화국 또는 사회주의 공화국을 표방하는 국가
공산주의 정당이 여당으로 집권 중인 국가 (: 연립정부의 일원)
붕괴된 국가
}}}}}}}}}
}}}
파일:경제상호원조회의 기.png
경제상호원조회의의 상징기
1. 개요2. 특징3. 역사4. 회원국
4.1. 정회원국4.2. 준회원국4.3. 옵저버
5. 같이 보기6. 기타

1. 개요

러시아어: Сове́т экономи́ческой взаимопо́мощи, 약칭 СЭВ
영어: Council for Mutual Economic Assistance, 약칭 COMECON 혹은 CMEA

경제상호원조회의, 일명 코메콘[1] 또는 쎄브[2]는 옛 동구권의 국제경제협력기구다. 1949년 창설되었고 1991년 해체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영어 약칭인 코메콘을 주로 사용하며 북한에서는 러시아어 약칭인 쎄브를 사용한다.

2. 특징

코메콘은 경제협력의 성격을 표방하였지만 이오시프 스탈린이 집권하던 시기에는 참여 국가들의 대외 무역 활동을 조절하는 데 기본을 두었기 때문에 각국이 자급자족 체제를 형성하고 소련을 중심으로 수직적인 산업협력을 하는 식으로 진행되었다.

하지만 1954년 집권한 니키타 흐루쇼프는 코메콘을 대외무역뿐만 아니라 각국의 경제계획을 국제분업으로 재편성하고 사회주의 국제분업을 완성하기 위한 도구로 활용하고자 했다. 인민 경제 계획에 있어서 중요한 생산 부분에서 이사회 성원국 대표들이 참여하는 경제 및 과학 기술 상설 위원회들을 창설하였으며 각 부문별 상설위원회의 회의들은 활발히 진행되었다. 1959년에는 코메콘의 원론적인 제도와 구조를 개혁하기도 했고 1961년 12월 제15차 총회에서 코메콘은 '사회주의적 국제분업의 기본원칙'을 채택하였다. 이는 사회주의적 국제분업의 목표를 참여 국가 전체의 경제개혁 향상과 각국 간 경제 격차 축소라고 언급하는 내용이 담겨 있었지만 국제분업을 하게 되면 선진 공업국에서 공업화를 진행할수록 후진 공업국은 다른 분야를 특화해야 하기 때문에 경제구조 격차가 확대된다는 모순이 있었다.

다음은 1962년 기준으로 창설된 상설위원회의를 모두 나열한 것이다.
창설된 상설 위원회를 살펴보면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 상설 위원회가 있는데 이는 쿠바 미사일 위기 이후 미국과의 관계 안정화를 통해 평화공존론을 실현하고자 한 흐루쇼프의 의도로 세워진 것이라고 볼 수 있지만 이로 인해 북한이 코메콘 가입을 거부하고 북러관계가 틀어지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3]

3. 역사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미국 서유럽 국가들에 대한 재건과 원조 기획인 마셜 플랜을 발표하였다. 소련은 여기에 자극을 받아 같은 해에 동구권 국가들의 경제 협력 강화를 도모하는 몰로토프 플랜을 입안하였는데 이것이 1949년 코메콘의 창설로 이어졌다. 체코슬로바키아, 폴란드, 헝가리는 마셜 플랜에 관심이 있었지만 스탈린의 압력으로 인해 불발되었다.

코메콘이 창설되자 알바니아가 1개월 뒤에 가입했고 동독이 1950년에 가입했다. 몽골 인민 공화국은 1962년에 가입하였고 쿠바가 1972년, 베트남이 1978년에 가입하였다. 1957년부터 중국, 북한, 유고슬라비아가 옵서버로서 참석했고 1958년부터 1961년까지는 중국, 북한, 베트남, 몽골이 옵서버로 참석했다.

한편 코메콘은 1961년 12월 제15차 총회에서 '사회주의적 국제분업의 기본원칙'을 채택하였으며 국제분업의 활성화를 위해 1962년에는 코메콘 제16차 임시 회의를 통해 참여 각국의 1966년부터 1970년까지의 경제 장기 계획을 조정하였고 흐루쇼프는 사회주의 진영 국가들이 코메콘에 정식으로 참여할 것을 요구했다. 이는 당시 많은 사회주의 진영 국가들에게 내정간섭 행위로 보였기 때문에 대국주의라는 비판을 받았다. 따라서 1962년에 중국, 베트남, 북한은 옵서버를 탈퇴하였다. 이후 베트남은 코메콘에 정식 회원으로 가입하였지만 북한은 코메콘이 해체될 때까지 가입하지 않았다.

1991년 12월 26일 경제상호원조회의와 소련 붕괴 후 발트 3국, 체코, 슬로바키아, 폴란드, 루마니아, 불가리아, 헝가리, 크로아티아, 슬로베니아가 유럽연합에 가입하였고 체코, 슬로바키아, 폴란드, 헝가리는 비셰그라드 그룹을 결성하였다.

4. 회원국

※ 괄호 안은 가입년도.

4.1. 정회원국

4.2. 준회원국

4.3. 옵저버

5. 같이 보기

6. 기타

바르샤바 조약 기구의 회원국이 동유럽에 치중되어 있는 것과는 달리 코메콘은 전 세계적으로 공산권 국가들이 가입한 국제 기구라는 점에서 현대 상하이 협력 기구와 비교되기도 한다. 이쪽도 마찬가지로 세계적 규모의 대강 친러 혹은 친중 국가들의 모임이다.

[1] 서구권 약칭, 영어 명칭의 약어이다. [2] 동구권 약칭, 러시아어 명칭의 약어이다. [3] 박아름, "1962년 북한의 '사회주의 국제분업' 이탈 분석", 2021.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