葉 잎 엽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艸, 9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3획
|
||||
중학교
|
5급
|
||||||
-
|
|||||||
일본어 음독
|
ヨウ, ショウ
|
||||||
일본어 훈독
|
は, かみ, すえ
|
||||||
叶
|
|||||||
표준 중국어
|
yè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葉은 '잎 엽'이라는 한자로, ' 잎', ' 꽃잎', ' 세대' 등을 뜻한다.2. 상세
유니코드에는 U+8449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TPTD(廿心廿木)로 입력한다.갑골문 때부터 존재했던 한자이다. 처음 만들어질 때는 나무에 잎이 달린 모습을 나타내는 상형자였으나 자형이 변하면서 艹( 풀 초)와 枼(나뭇잎 엽)이 합쳐진 모양으로 변했다.
'잎 엽', '땅 이름 섭', '책 접'이라는 훈음을 갖고 있지만 단어로는 거의 '잎 엽'을 쓰고, 이름으로는 섭씨와 엽씨가 있다. 그리고 그 밖에도 '구획'이라는 뜻을 갖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전두엽과 후두엽에 쓰인다. '땅 이름 섭'이란 훈음은 한국에선 그대로 남아 있지만 중국에선 이 음이 '잎 엽'과 합해져, 현재 중국에서는 지명이나 성씨로도 '엽'에 해당하는 yè로만 읽는다. 단 가섭(迦葉)만은 현대 중국어에서도 shè로 읽는다.
3. 성씨
한국의 성씨 한자 상위 100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ont-size:.9em" |
100위까지 성씨는 내국인 인구의 99.16%입니다 (2015년 통계청 자료) 인구 비율이나 100위 아래의 성씨 등은
한국의 성씨별 인구 분포 문서 참고 |
||||||||||||||||||||||||||||||||||||||||||||||||||||||||||||||||||||||||||||||||||||||||||||||||||
## 🔶🔶 0는 정렬의 위한 배경색의 안보이는 0
|
}}}}}}}}} |
섭씨와 엽씨 두 가지로 나뉜다.
섭씨는 2000년 기준 448명이 갖고 있는 성씨이고, 엽씨는 2000년 기준 119명이 갖고 있는 성씨이다.
3.1. 단어
- 엽(葉)
- 대뇌의 구조
- 고엽( 枯葉)
- 낙엽( 落葉)
- 복엽( 複葉)
- 단신복엽( 單 身 複葉)
- 복엽기( 複葉 機)
- 복엽비행기( 複葉 飛 行 機)
- 우상복엽( 羽 狀 複葉)
- 기수우상복엽( 奇 數 羽 狀 複葉)
- 다출우상복엽( 多 出 羽 狀 複葉)
- 삼출우상복엽( 三 出 羽 狀 複葉)
- 수회우상복엽( 數 回 羽 狀 複葉)
- 우수우상복엽( 偶 數 羽 狀 複葉)
- 이회우상복엽( 二 回 羽 狀 複葉)
- 장상복엽( 掌 狀 複葉)
- 엽록소(葉 綠 素)
- 엽록체(葉 綠 體)
- 엽산(葉 酸)
- 엽서(葉 書)
- 엽전(葉 錢)
- 엽탁(葉 托)
- 중엽( 中葉)
- 지엽( 枝葉)
- 침엽( 針葉)
- 태엽( 胎葉) - 원래는 鐷(쇳조각 엽)을 쓴 胎鐷이었으나 상용한자가 아니어서 葉으로 바뀌었다.
- 폐엽( 肺葉)
- 활엽수( 闊葉 樹)
3.2. 고사성어/ 숙어
- 거기지엽( 去 其 枝葉)
- 경지옥엽( 瓊 枝 玉葉)
- 고월조심지 홍엽하추정( 高 月 照 深 池 紅葉 下 秋 庭)
- 구주매화락 계행죽엽성( 狗 走 梅 花 落 鷄 行 竹葉 成)
- 군성진벽천 낙엽전추산( 群 星 陣 碧 天 落葉 戰 秋 山)
- 금지옥엽( 金 枝 玉葉)
- 낙엽귀근( 落葉 歸 根)
- 낙엽표요( 落葉 飄 颻)
- 녹엽성음( 綠葉 成 陰)
- 만산홍엽( 滿 山 紅葉)
- 백화초엽( 百 花 草葉)
- 섭공호룡(葉 公 好 龍)
- 세거인두백 추래수엽황( 歲 去 人 頭 白 秋 來 樹葉 黃)
- 오동일엽( 梧 桐 一葉)
- 우적천강비 엽락만산수( 雨 積 千 江 肥 葉 落 萬 山 瘦)
- 유지첨엽( 有 枝 添葉)
- 일엽소선( 一葉 小 船)
- 일엽장목( 一葉 障 目)
- 일엽주( 一葉 舟)
- 일엽지추( 一葉 知 秋)
- 일엽편주( 一葉 片 舟)
- 일엽폐목불견태산( 一葉 蔽 目 不 見 泰 山)
- 조비지이월 풍취엽팔분( 鳥 飛 枝 二 月 風 吹葉 八 分)
- 지엽말절( 枝葉 末 節)
- 지엽상지( 枝葉 相 持)
- 천지만엽( 千 枝 萬葉)
- 추엽상전락 춘화우후홍( 秋葉 霜 前 落 春 花 雨 後 紅)
- 추지대엽( 麤 枝 大葉)
- 추풍낙엽( 秋 風 落葉)
- 춘래이화백 하지수엽청( 春 來 梨 花 白 夏 至 樹葉 靑)
- 화발천산홍 엽생만수청( 花 發 千 山 紅 葉 生 萬 樹 靑)
- 후엽색( 朽葉 色)
3.3. 인명
- 성씨가 섭씨나 엽씨인 사람들[1]
- 일본의 성씨와 이름
- 모미지( 紅葉) - 야마무라 모미지( 山 村 紅葉), 소마 모미지( 草 摩 紅葉), 천마 모미지( 天 魔 紅葉)···
- 시모이나바( 下 稲葉)
- 시이바( 椎葉) - 시이바 고우( 椎葉 剛)···
- 신바( 榛葉)
- 아오바( 青葉)[2][3] - 아오바 코즈에( 蒼葉 梢), 아오바 츠무기( 青葉 つむぎ), 모리 아오바( 森 青葉), 아오바 모카( 青葉 モカ)···
- 아이바( 相葉)[4] - 아이바 마사키( 相葉 雅 紀), 아이바 히로키( 相葉 裕 樹), 아이바 미기스케( 相葉 右 助)···
- 아카바( 紅葉) - 아카바 치즈루( 紅葉 知 弦)···
- 아키바( 秋葉) - 아키바 나가레( 秋葉 流), 아키바 메구루( 秋葉 巡)···
- 야나기바( 柳葉)
- 야마하( 山葉)[5]
- 오오바( 大葉)
- 요츠바( 四葉) - 나카노 요츠바( 中 野 四葉), 스기모토 요츠바( 杉 本 四葉), 요츠바 마야( 四葉 真 夜)···
- 이나바( 稲葉) - 이나바 미노루( 稲葉 実), 이나바 카케루( 稲葉 駆), 이나바 아마네( 稲葉 天 音)·, 이나바 유우( 稲葉 友)··
- 이츠하( 一葉)
- 치바( 千葉) - 치바 레이코( 千葉 麗 子), 치바 사에코( 千葉 紗 子), 치바 스스무( 千葉 進 歩)···
- 코노하( 木葉/ 好葉) - 코노하 아키노리( 木葉 秋 紀), 이노우에 코노하( 井 上 心葉), 모리무라 코노하 ( 森 村 好葉)···
- 코토노하( 琴葉)- 코토노하 아카네( 琴葉 茜), 코토노하 아오이( 琴葉 葵)
- 하나시(葉 梨)
- 하무로(葉 室)
- 하야마(葉 山) - 하야마 코지(葉 山 宏 治), 하야마 테루(葉 山 照), 하야마 하야토(葉 山 隼 人)···
- 하즈키(葉 月) - 하즈키 에리노(葉 月 絵 理 乃), 하즈키 카렌(葉 月 可 恋), 하즈키 나기사(葉 月 渚)···
- 하토리(葉 鳥) - 하토리 아라요시(葉 鳥 新 義)···
- 후타바( 二葉/ 双葉) - 후타바 호타루( 双葉 ほたる), 후타바 아오이( 双葉 アオイ), 타테이시 후타바( 立 石 双葉)
3.4. 지명
- 섭현(葉 縣) - 중국 허난성 핑딩산시의 현. 한나라 시기부터 형주자사부 남양군에 속했던 유서 깊은 지역이다.
- 아키하바라(秋葉原)
- 치바현(千葉県) - 도쿄도 동쪽의 현. 나리타 국제공항이 치바현 나리타시 소속이다.
- 치바시(千葉市) - 치바현의 현청 소재지
-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주엽동( 注葉 洞)
- 경상북도 청도군 이서면 칠엽리( 七葉 里)
3.5. 창작물
4. 모양이 비슷한 한자
5.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蠂(메뚜기 섭)
- 鐷(쇳조각 섭)
- 䜓(실언할 섭)
- 僷(날씬할 엽)
- 瞸(눈꺼풀 엽/협)
- 䭟(떡 엽)
- 𣩨[⿰歹葉](앓을 엽)[6]
- 擛(움직일 엽)
- 㵩(삶은파 예)
- 𧝵[⿰衤葉](홑옷 접)[7]
- 𡑢[⿰土葉](성가퀴 첩)[8]
- 𠿚[⿰口葉](재재거릴 첩)[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