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2px; color:#100000,#fff" {{{#!folding [ 메서슈미트 항공기 목록 ] {{{#!wiki style="margin-bottom:-26px" |
민항기 | |
<colbgcolor=#f1f1f1,#151515><colcolor=#366> 연락기 | Bf 108 | |
경주기 | Me 209 | |
여객기 | MeC 164 | |
군용기 | ||
전투기 |
Bf 109 ‧ |
|
쌍발 전투기 |
Bf 110 ‧ |
|
수송기 | Me 321 ‧ Me 323 | |
폭격기 |
|
|
제트기 |
|
|
로켓전투기 |
|
|
헬리콥터 | Bo-105 | |
정찰기 | Bf 108 ‧ Me 261 |
}}} ※ 제조사별 항공기 둘러보기}}}}}} |
[1]
1. 개요
서독 정부의 ' 소련의 방공망을 돌파할 수 있는 전투기'라는 의뢰를 메서슈미트 뵐코브 블롬(MBB)이 받아 개발한 프로토타입 스텔스 전투기.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전투기로 이름 높았던 메서슈미트가 전후 처음으로 개발을 시도한 전투기이다.2. 개발과정과 중단, 그리고 가능성
각종 풍동시험과 RCS 측정시험 끝에 실기 모형이 완성되자 미 공군 고위인사들을 초청해서 공개했다. 당시 F-117은 1급 기밀로 분류되어 존재조차 공개되지 않았음에도 그와 똑같은 방식의 형상스텔스를 적용한 기체가 나타나자 미 공군 장성들은 경악을 금치 못하였다고 한다.람피리데 전투기의 시제품은 당시 미국이 극비리 개발중이던 스텔스 공격기 F-117보다 공기역학적으로 비교도 못할 수준으로 더 안정되었으면서도 스텔스 성능은 오히려 더 뛰어났으며 심지어는 공기역학적인 이유로 아음속으로 설계된 F-117과는 달리 초음속 이었다. 시제품 성능이 워낙 탁월했기 때문에 MBB의 연구자들은 람피리데 전투기가 곧 독일공군의 주문을 받아 대량생산단계에 들어갈 것으로 예상하고 있었다.[2] 그러나 세계최초 스텔스 전투기 타이틀을 빼앗길 것을 우려한 미국이 관련 기술이 동독과 소련에 유출될 가능성을 거론하며 협박에 가까운 수준의 압력을 가해 개발이 강제 중단되었다. 그렇게 독일이 개발중이던 세계최초 5세대 전투기가 될 수 있었던 람피리데 프로젝트를 갈아엎은 미국은 과부제조기라고 불린 항공기를 포함한 동시대 모든 항공기들중에서도 가장 안정성이 최악이며 스텔스와 탑재된 광학장비 들만 제외하면 결함병기 그 자체라고 해도 될 수준의 저열한 성능을 보이는 F-117을 세상에 선보여서 세계최초 스텔스 항공기 타이틀을 독일로부터 빼앗았다. 시제품은 뮌헨에 있는 독일 박물관(Deutsches Museum)에서 전시되어 있다.
하지만 몇 년 뒤 독일 통일 후 독일군에서 대대적인 군축의 바람이 불었던 것을 감안한다면 실전 배치가 이뤄졌을 가능성은 낮았을 것으로 보인다. 개발소요시간은 최소한 6~7년은 더 걸렸을 것이고 그렇게 되면 람피리데의 개발이 끝나는 시점은 1990년대 초반에서 중후반이 되었을 것이다. 이 시기 독일은 통일 과정에서 과도한 예산을 지출하여 경제사정이 좋지 않았다. 이무렵 람피리데 외에도 DASA의 AT-2000 MAKO 훈련기[3] 프로젝트나 도르니에의 LA-2000[4]도 줄줄이 취소되었다.[5]
3. 외부 링크
링크1링크2
링크3
4. 둘러보기
유럽의 제트전투기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87CEFA> 1940년대
|
<colbgcolor=#EEE,#333>
영국 |
<colbgcolor=#fefefe,#191919> 미티어 | 뱀파이어 | 어태커 | 시호크 |
나치 독일 |
Me 262 | He 162 | He 280 | ||
1950년대
|
영국 |
라이트닝 | 베놈 | 시빅슨 | 스위프트 | 자벨린 | 헌터 | 시미터 | 버캐니어 | 폴랜드 냇 | |
이탈리아 |
피아트 G.91 | ||
스위스 |
|
||
스웨덴 |
J 21R | J 29 툰난 | J 32 란센 | ||
1960년대
|
|||
영국 |
|
||
독일 |
|
||
스웨덴 |
J 35 드라켄 | ||
유럽합작 |
SEPECAT 재규어 - | ||
1970년대
|
영국 |
해리어 | 시해리어 | |
독일 |
|
||
스웨덴 |
AJ 37 비겐 | ||
유럽합작 |
파나비아 토네이도 - - | J-22 오라오 / IAR 93 불투르 - | ||
1980년대
|
|||
영국 |
해리어 II | 토네이도 ADV | ||
독일 |
|
||
루마니아 |
|
||
1990년대
|
영국 |
호크 200 시리즈 | |
이탈리아- 브라질 |
AMX 인터내셔널 AMX | ||
스웨덴 |
JAS 39 그리펜 | ||
체코 |
L-159 ALCA | ||
유고슬라비아 |
|
||
2000년대
|
유럽합작 |
유로파이터 타이푼 - - - | |
2010년대
|
이탈리아 |
M-346FA | |
2020년대
|
스웨덴 |
FS2020 | |
튀르키예 |
휴르제트 공격형 | TAI 칸 | ||
2030년대
|
GCAP | ||
유럽합작 |
FCAS - | ||
※ |
|||
}}}}}}}}} |
✈️ 항공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colbgcolor=#3D3137>
1차 세계대전 |
협상군 |
동맹군 |
|||||||
전간기 |
프랑스 |
|||||||||
2차 세계대전 |
미국 |
영국 |
나치 독일 |
일본 제국 |
||||||
[[틀:2차 세계대전/이탈리아 항공기| 이탈리아 왕국 ]]
|
소련 |
노르웨이 |
스웨덴 |
|||||||
핀란드 |
덴마크 |
스위스 |
태국 |
|||||||
프랑스 |
중화민국 |
[[틀:2차 세계대전/체코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체코슬로바키아 ]]
|
[[틀:2차 세계대전/불가리아군 항공기| 불가리아 왕국 ]]
|
|||||||
헝가리 왕국 |
스페인 |
만주국 |
[[틀:2차 세계대전/몽골 항공병기| 몽골 인민 공화국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제1세계 |
미 공군 | 미 해군 |
서독 |
|||
제2세계 |
소련 |
동독 |
폴란드 |
|||||||
제3세계 |
[[틀:냉전/유고슬라비아 항공기|
유고슬라비아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북미 |
미 공군 | 미 해군 |
캐나다 |
멕시코 |
||||
''' 중미/카리브 '''
|
[[틀:현대전/도미니카 공화국 항공병기|
도미니카 공화국 ]]
|
쿠바 |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
엘살바도르 ]]
|
온두라스 |
||||||
<colbgcolor=#3d3137>남미 |
브라질 |
우루과이 |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
아르헨티나 ]]
|
칠레 |
||||||
볼리비아 |
파라과이 |
페루 |
에콰도르 |
|||||||
콜롬비아 |
베네수엘라 |
|||||||||
서유럽 |
영국 |
프랑스 |
네덜란드 |
벨기에 |
||||||
아일랜드 |
룩셈부르크 |
|||||||||
중부유럽 |
독일 |
폴란드 |
체코 |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슬로바키아 ]]
|
||||||
스위스 |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
오스트리아 ]]
|
헝가리 |
||||||||
남유럽 |
이탈리아 |
스페인 |
포르투갈 |
그리스 |
||||||
루마니아 |
불가리아 |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
슬로베니아 ]]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
크로아티아 ]]
|
|||||||
세르비아 |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
보스니아 ]]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
몬테네그로 ]]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
북마케도니아 ]]
|
|||||||
알바니아 |
키프로스 |
튀르키예 |
||||||||
북유럽 |
스웨덴 |
노르웨이 |
덴마크 |
핀란드 |
||||||
동유럽 |
러시아 |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
우크라이나 ]]
|
벨라루스 |
몰도바 |
||||||
조지아 |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
아르메니아 ]]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
아제르바이잔 ]]
|
||||||||
동아시아 |
대한민국 |
일본 |
중국 |
대만 |
||||||
북한 |
몽골 |
|||||||||
''' 동남아시아 '''
|
태국 |
베트남 |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
말레이시아 ]]
|
싱가포르 |
||||||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
인도네시아 ]]
|
필리핀 |
브루나이 |
미얀마 |
|||||||
캄보디아 |
라오스 |
|||||||||
''' 중앙아시아 '''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
카자흐스탄 ]]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
우즈베키스탄 ]]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
타지키스탄 ]]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
키르기스스탄 ]]
|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
투르크메니스탄 ]]
|
||||||||||
남아시아 |
인도 |
파키스탄 |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
방글라데시 ]]
|
스리랑카 |
||||||
네팔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항공병기|
아프가니스탄 ]]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항공병기|
|
||||||||
서아시아 |
이스라엘 |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
사우디아라비아 ]]
|
이란 |
이라크 |
||||||
쿠웨이트 |
시리아 |
레바논 |
요르단 |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
아랍에미리트 ]]
|
카타르 |
바레인 |
오만 |
|||||||
예멘 |
||||||||||
''' 오세아니아 '''
|
호주 |
뉴질랜드 |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
파푸아뉴기니 ]]
|
|||||||
''' 북아프리카 '''
|
이집트 |
리비아 |
튀니지 |
알제리 |
||||||
모로코 |
수단 |
자유 리비아 (~'11) |
||||||||
''' 동아프리카 '''
|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
에티오피아 ]]
|
지부티 |
소말리아 |
케냐 |
||||||
탄자니아 |
모잠비크 |
우간다 |
르완다 |
|||||||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
마다가스카르 ]]
|
코모로 |
|||||||||
''' 서아프리카 '''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
나이지리아 ]]
|
세네갈 |
니제르 |
말리 |
||||||
기니 |
모리타니 |
가나 |
토고 |
|||||||
''' 중아프리카 '''
|
차드 |
카메룬 |
가봉 |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
콩고 공화국 ]]
|
||||||
콩고민주공화국 |
앙골라 |
|||||||||
''' 남아프리카 '''
|
남아공 |
보츠와나 |
나미비아 |
레소토 |
||||||
잠비아 |
짐바브웨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제트전투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미국 |
러시아 |
프랑스 |
유럽 |
아시아 |
}}}}}}}}}}}} |
[1]
사진의 것은 축소형으로 실기체의 1/4정도 크기이다.
[2]
F-104 등 구형기체들의 대체물량이 수 백 기에 달했으므로 실제 양산에 들어갔다면 최소한 백 여기 이상은 생산되었을 것이다.
[3]
독일-이탈리아 합작사업으로 시작했지만 이탈리아가 M-346을 독자적으로 개발하기 위해 빠졌다. 이후 DASA 중심으로 개발했고 이후에 관련되는 자국 및 외국업체들의 경우 하청의 형태로 참여했다. EADS가 설립되고 DASA가 그 산하로 들어간 이후 EADS Mako/HEAT로 변경되어 개발되던 중 취소되었다. 기체 크기나 지향하는 바가 T-50 골든이글과 거의 같아서 계획대로 나왔으면 한국 입장에서는 수출에 적신호가 켜졌을 확률이 매우 높았다. 겉은 4세대 기체인 T-50에 비해 Mako/HEAT의 경우 스텔스를 고려한 형태가 확실히 드러났고, 성능도 보다 고성능이었기 때문이다. 또한 독일은 미국제 전투기들을 면허생산한 경험이 있고,
파나비아 토네이도, 알파 제트,
X-31 등의 개발사업을 진행하면서 자체적으로 전투기를 개발하여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쌓아왔다. 물론 기술력과는 별개로 독일군의 현 재정상황으로는 전투기 단독 개발은 어렵다.
[4]
미국의
A-12와 유사한 컨셉의 기종.
[5]
통일 이후 세대교체가 필요하거나 운 좋게 개발이 거의 끝난 일부를 제외하고는 전부 취소당했다. 군축의 칼날은 독일군의 핵심인 지상전력 역시 비켜가지 않았으며, 단적인 예로 기갑세력의 중추인
레오파르트2 역시 정말 필요한 능력만 M1A2 전차와 교전할 수 있는 수준으로만 맞춰놓고 내부 전자장비는 개량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