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6 05:17:09

미쓰비시 F-2

F-2에서 넘어옴
파일:F-2A_JPN_3.jpg
[ruby(三菱, ruby=みつびし)] [ruby(F-2, ruby=エフに/エフツー)]

1. 개요2. 제원3. 개발사4. 특징5. 개량
5.1. F-2 슈퍼 改5.2. 실제 개량사업
6. 사고 사례7. 대중매체8. 관련 문서9. 외부 링크10. 둘러보기

1. 개요

일본 항공자위대에서 운용 중인 다목적 전투기. 기존의 미쓰비시 F-1을 대체하기 위한 사업인 FS-X 계획하에 미쓰비시 중공업에서 개발을 담당했다. 외형에서도 나타나듯 F-16과 유사하며, 크기를 키우고 ROC를 항공자위대의 요구에 맞게 재조정한 F-16 파생형이라고 봐도 무방하다.[1]

비공식 애칭은 바이퍼 제로(バイパーゼロ/Viper Zero)[2]. 이는 F-16의 애칭인 바이퍼[3]와 2000년경에 배치되었기 때문에 당년도 제식 번호인 0식 즉, 제로센의 명칭을 합친 것이다.

2. 제원

미쓰비시 F-2 지원전투기
형식 F-2A F-2B
분류 지원전투기 ( 전투폭격기)[4]
개발 미쓰비시 중공업
제조사 미쓰비시 중공업
생산대수 98기[5]
승무원 1명 2명
전장 15.52m
주익폭 11.13m (날개 선단 런쳐 포함)
10.80m (날개 선단 런쳐 포함 안함)
전고 4.96m
주익 면적 34.84㎡
폭장량 8,085kg
공허중량 9,527kg
최대이륙중량 22,100kg
엔진 GE F110-IHI-129 터보팬 엔진 × 1
추력 17,000lbf (75.62kN) (드라이 추력)
29,500lbf (131.23kN) (애프터버너 사용시 추력)
최대속도 마하 2.0
페리비행시 항속거리 4,000km
전투행동반경 450해리, 830km
( ASM-2 x 4, AAM-3 x 2, 600갤런 보조연료탱크 x 2)
최대항속거리 약 2,600km (약 1,500nm)
기내연료용량 4,750L
항공전자장치 J/APG-1, J/APG-2[6] AESA 화력통제 레이다
AN/APX-113(V) 피아식별장치
J/ASW-20 데이터링장치
J/ARC-26 무전통신기
J/ARC-701 VHF/UHF 통신장치
J/ASQ-2 통합전자전시스템
J/AAQ-2 FLIR 항법 포드
AN/AAQ-33 스나이퍼 타게팅 포드
무장 기관포 JM61A1 20mm 기관포 × 1
512발 탑재
로켓 J/LAU-3 히드라 로켓 포드 × 19
미사일 AIM-9L/M 사이드와인더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 × 4
90식 단거리 공대공 유도탄 AAM-3
04식 단거리 공대공 유도탄 AAM-5
AIM-7M 스패로우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
99식 중거리 공대공 유도탄 AAM-4
99식 중거리 공대공 유도탄 AAM-4B[7]
80식 공대함 미사일 ASM-1
93식 공대함 미사일 ASM-2
ASM-3
폭탄 500 lbs LDGP Mk 82 폭탄
500lbs 91식 유도장치 폭탄
500lbs GBU-38 JDAM
CBU-87 클러스터 폭탄

3. 개발사

처음 개발 전부터 격렬한 논란에 휩싸인 기종으로, 주로 국산화에 대한 과도한 집착에서 논쟁이 이루어졌으나 결국 일본 기술력의 한계와 정치 외교적 배려 혹은 압력으로 미국과의 공동개발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1988년, 전후 1세대 자국산기인 미쓰비시 F-1 지원기의 내구연한이 다 되어가자 항공자위대와 일본 정부는 시급히 후속 기종을 만들어야 하는 상황이었다. 항공자위대는 일단 F/A-18급 기종을 요구했으나 10년 후에나 획득할 기체를 현용기로 한다는데에 국산파가 반발했고 설계 시작도 안 된 기종에 혈세를 쏟아부을 것이냐는 일선부대와 예산을 책정하는 대장성 등의 반발 또한 상당했다. 당시 대장성은 개발에 1,650억 엔 정도의 예산을 상정했으나 그 네 배 가까운 6,000억 엔은 들 것이라는 예상이 나오자 비명을 질렀다.

그 과정에서 F-15나 F/A-18E/F 개조안도 제시되었지만 역시 예상가격이 천정부지로 뛰어오르자 결국 해당안은 폐기되었고, F-14의 직도입까지 거론되었다. 최종적으로 독자개발 또는 F-16을 기반으로 개발이라는 두 가지 안이 남았고 결국 경제적, 정치적 판단으로 미국과의 공동개발로 정해진다. "순국산파"는 아직도 이 결정을 천추의 한으로 여기고 있다. 이를 두고 미디어 창작에서도 관계자가 한탄하는 장면이 종종 나온다. 다만 일본 내부에서는 미국이 일본의 기술을 훔쳐갔다고 개탄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물론 일본의 기술력이야 자타가 공인하는 세계 상위권 수준으로 몇몇 분야에서는 미국보다도 우수한 실력을 가지고 있지만, 군수산업이라면 종합적으로 미국이 명실공히 세계 최고다. 그리고 미국의 군사 R&D 역시 자타공인 세계 제일로, 굳이 쓸데없는 외교적 위협을 감수하면서 다른 나라의 기술을 훔쳐갈 입장은 아니다.
파일:external/img.gawkerassets.com/original.jpg
파일:external/www.strange-mecha.com/fs-x.jpg
파일:external/livedoor.blogimg.jp/a001e9a8.jpg
독자개발 FS-X 상상도와 모형

게다가 실전배치에서 10년 이상 경과한 현재에 이르러 밝혀진 자료를 보자면 순국산화였다면 요구 기간 내에 개발완료는 불가능했을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미쓰비시 가와사키 중공업 양측이 제시한 안은 설계에 손도 안댄 개념안에 불과했고 엔진은 처음부터 국산화를 포기할 정도였다. 미국과의 공동개발은 일본 내에서도 "순국산파"와 "라이센스 생산파"가 서로 타협한 절충안인 셈이였다.

개발 분담율은 일본 60%, 미국 40%로 책정되었다. 1989년, 부시 정부는 F-16의 소스 코드를 일본에 공여하는 것을 제한하고 일본은 미국이 원하는 모든 기술을 넘긴다는 특별성명을 내놓았다. 물론 일본 내부에선 불평등 조약이라며 격렬하게 반대했고, 미 의회 측에서는 한술 더 떠 대일 기술이전 안건에 엔진 기술 공여 제한을 명시한 수정안을 포함하여 가결했다. 그러나 공동개발 확정안이 날이 갈수록 지연되고 일본의 불만도 날이 갈수록 커지자 부시 대통령은 입장을 바꿔 수정안에 대한 거부권을 발동하여 일본에 대한 기술 이전을 승인했는데[8] 거부권은 미 의회의 결의안에 2/3 이상의 찬성이 있으면 무효화 처리할 수 있었다. 결국 상원이 66대34의 표결로 부시 대통령의 거부권 무효화에 실패하면서 대일 기술 이전 안건이 최종 통과되어 일본은 엔진 관련 소스 코드 및 F110 엔진 제조 기술을 얻을 수 있게 되었고, IHI 중공업이 핵심 파트 대부분을 라이센스 생산하게 되었다. # 이때 일본이 받은 F110 엔진 기술로 자국산 군사용 항공기 엔진 개발을 하다가 그 후속 전투기 F-3 GCAP 프로젝트에 흡수, 엔진 개발은 영국의 롤스로이스와 공동 개발 하게 되었다.[9] 즉, 일본은 F-2를 개발하면서 미국의 엔진 기술을 도입하고, F-3를 개발하면서 영국의 엔진 기술도 습득하게 되었다고 볼 수도 있는 것.

다만 미국은 비행제어기술(FBW)과 미션 컴퓨터 소스 코드는 끝내 넘겨주지 않았는데 이에 일본은 자국산 훈련기인 T-2를 개조한 T-2 CCV(Control Configured Vehicle)를 이용해 독자적으로 FBW와 미션컴을 개발, F-2에 적용하였다. # 이후 개발이 가속되어 1995년에 초도비행을 실시, 2000년부터 양산에 돌입했다.

4. 특징

파일:PJASDFF2.jpg 파일:수정됨_EzP0yjoVoAQP_M-.png
단좌형/복좌형 프로토타입 기체들 F-2 양산형

계약과정에서 많은 질곡이 있었으나 일단 만들어놓고 보니 그럭저럭 쓸만한 물건이 탄생했다. 모체인 F-16과 비교해서 달라진 점은 25% 가까이 넓어진 동체 및 주익 면적으로 비행 성능이 올라갔으며 전자장비도 당시 최신형 F-16[10]의 경우에 비하여 더 고성능의 모델이나 일본 자체 모델이 탑재되었다.

주날개는 당시로서는 드문 탄소섬유 복합재를 사용한 일체성형기술이 처음 시도되었다. 이는 날개 외피를 여러 장의 금속판을 이어 만드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복합소재로 만드는 것으로 조립 및 정비성이 매우 좋으며, 외피 여러 장을 잇기 위하여 추가적인 볼트를 박을 필요가 없으므로 이 부분에 대한 (볼트 구매비용 + 볼트 자리파는 비용 + 인건비) 경비절감 효과도 있다. 현재는 대부분의 신형 전투기와 민항기들이 채용하고 있는 방식이나 개발당시에는 전투기에 대해서는 최초 시도였기에 미국이 일본에게 이 기술에 대한 이전을 요구하여 꽤나 화제가 되었던 부분이었다. 이 기술은 보잉 787의 주익에도 사용되었으며, 미쓰비시 중공업이 787의 복합재 일체형 주익을 독점 생산하는데 공헌하기도 했다. #

형상은 표면상으로는 F-16 블록 40을 토대로 만들었다고 하지만 F-2의 동체는 사실 80년대 말부터 F-16 수출국들에게 제안되던 에자일 팰콘(Agile Falcon)과 매우 유사하다. 넓어진 동체와 주익, 2군데 증가한 파일런, 그리고 이를 큰 무게 증가 없이 달성하기 위해서 복합소재를 이용해 통짜로 찍어낸 일체성형기술의 날개 등 여러가지 확장옵션을 일본이 해내서 그렇지 컨셉자체는 미국에서 이미 설계가 완료되었고 수출하려 했던 형태와 유사하다. 미국 입장에선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실제 양산 노하우를 얻어가는 그림이 그려졌다.[11] 그러니 일본 입장에서야 초반의 불평등 기술조약 문제도 있었으니 기술을 가져간다고 투덜거릴 수도 있었던 것이다. 하지만 귀중한 미국의 전투기 엔진 기술을 손에 넣었으니 일본이 손해본 장사는 아니다.

한동안 일체성형기술을 사용한 탓에 정비성이 나쁘다거나, 전투 중 손상을 입어서 조그만 구멍이 나도 날개를 통째로 갈아끼워야 한다는 루머가 F-2를 뒤따라 다녔으나 이는 사실과 다르다. 점검을 위한 별도의 점검창은 당연히 뚫려있으며[12] 점검을 위해 날개를 통째로 들어내야 하거나 할 필요는 없다. 또한 전투 중 손상을 입으면 날개 외피를 전부 드러내는 것이 아니라 해당 부분만 잘라낸 다음 같은 소재로 덧대서 기우는 방식이다.[13] 내구성과 정비성이 향상되었기 때문에 F-2 이후 생산되는 민항기, 전투기를 포함한 거의 모든 항공기들은 복합소재를 이용한 주익일체성형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F2andF16.png
F-16보다 대형인 F-2

크기가 커졌지만 각종 복합소재의 사용으로 중량이 비교적 많이 늘어나지 않았다. 다만 늘어난 중량에 비해 엔진의 추력강화는 많이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에 가속 성능이나 지속 선회능력은 F-16에 비해 다소 떨어지는 편이다. 그렇지만 주날개가 커진 덕에 순간 선회율은 더 좋다고 한다. 엔진은 F110-GE-129 엔진을 채용했는데, 이것은 개발 당시 기준으로 보자면 F-16 블록40 등이 쓰던 F110-GE-100보다 출력이 높았다. 이후, F-16 블록50에서는 F-2와 동일한 엔진을 사용하며, 블록52의 PW-110 엔진도 GE-129 엔진과 동등한 성능을 지니고 있기에 현재로서는 KF-16과 비교해도 별 차이가 없다. 단 애초에 개발 목적이 대지/대함이 우선인 공격기에 가깝기 때문에 기동성 부분은 크게 신경쓰지 않는 듯하다.
파일:JP_F-2_1.jpg

대부분의 전투기와는 달리 F-2의 도장 패턴은 대체로 짙은 파란색이다. 이는 F-2가 적 전투함이나 상륙함의 접근을 저지하거나 공격하는 등 해상에서의 작전을 중점에 두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도장을 해양위장무늬, 일본에서는 양상미채(洋上迷彩)[14]라고 한다. F-2 뿐만 아니라 F-4 팬텀이나 F-104 스타파이터 등 자위대가 운용한 다른 기체에도 적용된 도장이다.[15]

F-2의 레이더는 일본 자체 개발의 J/APG-1 레이더를 탑재하였는데, 특히 이 레이더는 실용 전투기 탑재용으로서 세계최초로 AESA 를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그러나 거창한 명성에 비해 탐지거리가 70km밖에 되지 않는다. 개발 당시의 항공자위대의 주력 대공 미사일이 스패로우였으니 넓은 범위의 레이더가 필요 없었다.

일본은 FBW(플라이-바이-와이어) 기술과 비행제어 컴퓨터의 소스 코드를 요구했으나 이것만큼은 미국 의회가 거부했다. 그러나 이미 일본은 T-2 훈련기에 자국산 비행제어 시스템을 적용해 시험하고 있었으므로 이를 그대로 F-2에 적용할 수 있었다.

동체 일부분에는 복합소재를 사용하는 동시에 전파흡수재를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기본적으로 F-2는 스텔스 전투기까지는 아니지만, 여하간에 RCS 감소를 통하여 F-16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레이더 탐지확률을 낮추고 ECM 장비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6]

파일:fXyLGqZr.jpg

또한 전 세계에서 몇 안 되는, 대함 미사일을 4발까지 한번에 탑재할 수 있는 기종이다.[17][18]

다만 실제로 대함 미사일 4발을 탑재할 경우 상당한 제약이 생기는데, 기동성이 극히 떨어져 항속거리 및 반전 속도가 급감할 뿐만 아니라 주날개에 심각한 부하를 줄 위험도 있다. 어차피 제공이나 전투폭격용 목적이 아니라 러시아 함대의 태평양 저지선 구축이나 상륙군 견제 목적이라면 한 발이라도 더 많이 싣고 이륙하는 게 중요하니 희생할 부분을 내 주면서 운용국의 사정에 맞게 설계된 셈. 이는 모든 자위대 자국산 장비의 공통적인 특징이기도 하다. 또한 대함 미사일 4발을 장착하고 비행 도중 적기가 출현하면 무장을 모두 버리고 도주하는 수밖에 없기 때문에 F-15J 등이 제공하는 방공우산 속에서만 운용될 수밖에 없다는 단점도 있다.

파일:dc7a3640-7a13-4ad9-b3a9-83d4873cd26e.jpg

그림속 군함이 어디서 많이 본 군함이다

또한 탄소섬유를 사용한 일체성형기술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미국에서 기술을 뜯어갈 정도의 첨단기술이었고, 일본이 현재 항공용 탄소섬유 시장을 거의 지배하다시피 하는 원동력이 되기도 했다. 따라서 일본 극우파에서 이를 두고 F-2를 세계최강의 전투기라고 자랑하기도 했는데, 이 영향으로 한양대 정치외교학과의 김경민 교수는 이시하라 신타로의 주장을 액면 그대로 받아들여, F-2가 F-16은 물론이고 F-15도 능가한다고 자신의 저서에 써놓았다.[19]

F-2가 나온 이후에는 일체 성형주익을 채택한 기종이 꽤 되지만 개발 당시에는 일종의 실험적 기술이었기 때문에 주익 자체가 조금 불안하기도 했다. F-2 개발초기에 지상에서 하중을 주는 시험을 하던 중 '뚝' 하는 소리가 나서 급히 시험을 중단하고 주날개에 대하여 정밀검사를 한 사례도 있었다. 연료도관 등이 빠져나가기 위하여 구멍이 난 부분이 있었는데, 이 부분에 힘이 집중되어서 미세한 균열이 갔던 것.(균열 자체는 현미경으로 찾아야 할 정도로 작았다고 한다.[20]) 어쨌거나 결함은 결함이므로 이 부분을 금속재질로 보강하는 형태로 재설계가 이뤄졌다. 이 부분이 와전되어서 비행 중 날개가 부러졌다는 루머가 돌았으나, F-2는 개발 단계에서 시험비행 중 추락한 적은 없다. 비슷한 루머로 기총 발사 중 비행제어 컴퓨터가 고장나서 추락했다는 루머도 있으나 이 역시 말 그대로 루머다.

J/APG-1의 대공탐지성능은 좋지 못했으며 초기 F-2의 주력 BVR 무장이 겨우 AIM-7M 스패로우였던 걸 감안해도 짧은 편이었다.

파일:09080116.jpg

대지능력의 경우 자국산 유도 폭탄과 JDAM 등 대지공격옵션을 탑재할 수 있으며, 2020년부터 개발을 시작한 일본판 토마호크라 불리는 순항미사일 플랫폼으로도 사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종합적으로 평가하자면 자체 레이더, 항전장비 개발이나 넉넉한 대함미사일 탑재량 등 일본 특성에 맞춘 사양은 갖추었으나 국산파가 그토록 염원하던 완벽한 국산화는 실현하지 못했고, 생산물량은 원계획인 141대에서 겨우 94대로 종결하면서 가격이 크게 비싸졌다.[21] 게다가 F-2 생산 종료 후 상당수의 전투기 부품 관련 기업들이 줄도산하거나 방위산업에서 무더기로 철수하고 기술 계승과 인재 단절 역시 피하지 못하게 되는 등 사실상 실패한 사업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손에 꼽을 정도의 항공 선진국들만이 만들 수 있는 전투기용 엔진의 제어 소프트웨어와 코어 설계 기술을 세계에서 유일하게 미국으로부터 받아내고 보잉이나 에어버스 등에 납품하는 민간 항공기 부품산업을 더욱 확대하는 등 기술적, 상업적인 이익을 얻은 측면도 분명히 있다.

5. 개량

5.1. F-2 슈퍼 改

파일:external/sg.hu/ds.jpg

공동개발사인 록히드 마틴 사가 2004년 요코하마 시에서 개최된 국제 항공 우주전에서 F-2에 F-16 블록 50/52+를 참고한 것으로 보이는 'F-2 슈퍼 改'라는 이름의 모형과 이미지를 발표했다. 그러나 일본 측에선 이 계획에 대해서 언급도 없었으며, 이후에 구체적인 개수 제안 등에 대한 속보도 없었기 때문에 일종의 장난으로 치부되었다고 한다.

5.2. 실제 개량사업

파일:T8zYiCs.jpg

파일:수정됨_Ey7apHYVoAEXi7M.png

일본 방위성은 2005년부터 지원기 항목으로 분류하던 F-2를 멀티롤 파이터로 개칭하고 2010년부터 일본제 데이터 링크 시스템인 JDCS (F) 탑재 및 새로운 무장인 AAM-4, AAM-5, ASM-3, JDAM 등을 운용하기 위해 대폭적인 개량을 실시하고 있는데 대부분은 레이다 자체에 초점이 맞춰져 있고 개량된 레이다는 J/APG-2로 모델명을 갱신하고 있으며, 2020년 들어서는 추가적인 능력향상도 고려하고 있다. #

또한 미션 컴퓨터도 최신으로 교체하며, 링크 16 데이터링크와 스나이퍼 XR 타게팅 포드를 탑재해 대지 공격력 역시 강화시킬 예정이다. #

6. 사고 사례


한편, F-2는 다음과 같은 루머에 시달리기도 했다.

6.1.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

파일:F-2_Tsunami_1.webp

2011년 동일본 대지진의 쓰나미 여파

2011년 3월 11일, 동일본 대지진으로 주둔 기지에 쓰나미가 몰려오면서 F-2B 18대가 바닷물에 휩쓸려 버렸다. 하필이면 이 18대는 F-2B형으로 항공자위대의 훈련용 F-2 전량에 가깝기 때문에 훈련에 큰 차질을 줬다. 일반 민물이라고 해도 비행기라는 물건이 내부가 전자장비로 채워져 있기에 기체복구가 매우 힘든데, 하물며 소금이 듬뿍 들어간 바닷물이라면 가망은 더 떨어진다. 32대의 F-2B 중 18대가 침수됨에 따라 오버홀과 장비의 정비 등을 고려하면 교육 비행대의 능력을 상당 부분 상실해버린 것이다. 거기다가 전투기만 쓰나미에 휩쓸려간 것이 아니고 교육 비행대의 건물이나 사무장비는 물론 각종 군용장비의 손실이나 파손도 심각했다. 전력공백이 심각해져서 침수된 전투기를 살려보려 노력했고 18기 검사하는데 요청한 검사비만 2천억원이 소요됐다.

2013년 1월 22일, 방위성은 침수된 18기 중 5기는 도저히 손 쓸 수 없어 폐기, 나머지 13기는 수리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 초기 6기 수리비용은 1090억엔, 이후 7기를 수리하여 2018년 2월 28일까지 13기를 모두 재배치했다. F-2B 전력이 복구될 동안 신규 F-2 조종사에 대한 훈련은 미 공군의 F-16 훈련부대에 위탁하는 것으로 해결하였다. #

귀중한 전투기를 무려 5기나 재해로 잃어버린 것이 아깝지만, 역설적으로 거의 새로 조립하는 것과 다름없는 F-2의 수리 문제 때문에 F-2 양산 종료 후 흩어지거나 사라질 뻔한 인프라가 계속 돌아가게 되었고, 이로 인해 ATD-X 제작에 대한 인프라가 거의 보존된 덕분에 이후 개발을 좀더 순조롭게 만드는 데에 일조했다는 평가도 존재한다.

7. 대중매체

일본쪽 매체에서는 굳이 말할 것 없이 자주 등장하지만, 그 외의 서방권 매체에서는 쉽게 보기 힘들다. 반면 한국 쪽 매체에서도 자주 등장하는 편인데, 역시 동네북 이미지로 많이 등장한다. 다만 일본 항공자위대를 상징할 때 전반적으로 일본 쪽 매체에서는 중심 기체로서 이미지는 F-15J와 F-4EJ를 등장시키는 반면, 한국과 중국 쪽 매체에서는 F-2를 주로 등장시키고 있다.
파일:502500_20220620214311_1.png }}} ||
에이스 컴뱃 시리즈에서는 남코가 일본 게임사이기 때문인지, 거의 전 시리즈 개근 출연하고 있다. 다만 성능은 특출나지 않아 취급은 애매한 편. 어중간한 성능의 중간급 기체로 나오는 경우가 잦아 시리즈가 진행될수록 초기 기체에 가까워지는 F-16 계열보다 저평가되기 일쑤다. 에이스 컴뱃 어설트 호라이즌에서는 아에 공격기 계열로만 쓸 수 있으며 전투기로서의 능력은 거의 전무하다. 하지만 공격기로서의 성능은 Su-34와 함께 투톱으로서 매우 위력적인 성능을 자랑한다. 또한 캠페인에서 유일한 공격기 미션이 함대공략전이기 때문에 사실상 F-2를 쓰라고 만든 미션이라고 생각될 정도다. 작중 적 항공모함 쿠츠네초프를 격침하는 장면. 시리즈에 잊을 만 하면 얼굴을 비추는 케이 나가세의 애기로도 등장. 심지어 핀업걸 도장 버전도 있다. 7편에서는 HVAA/RKT/LASM으로 무장했는데, HVAA/RKT는 초심자가 쓰기에 어려운 무장인데다 일대다 전투가 많은 게임 특성상 다중 공격 무기가 없는것 또한 단점. 이후 최첨단기 DLC를 통해 F-2A Super Kai가 6AAM/LASM/IEWS를 들고 나와 상당히 유용해졌다. 특히 IEWS는 이번 작품에서는 가상기체와 F-2A Super Kai가 아니면 고를 수 없는데다가 멀티플레이에서 굉장히 강한 무장이라 골라볼 법 하지만 기동성이 둔해져서 여전히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하고 있다.

8. 관련 문서

9. 외부 링크

10. 둘러보기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현대 일본 자위대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B76E79,#914852> '''[[틀:현대전/일본 항공병기|
일본 자위대 (1954~현재)
日本 自衛隊
]]'''
회전익기 <colbgcolor=#B76E79,#914852> '''[[무장헬기|
경헬기
]]'''
OH-1 닌자 | BK 117 | OH-6(D/J) 카유스 | H-13 수우
'''
다목적 헬기
'''
EC225 슈퍼 퓨마 | { UH-2} | UH-60(J/JA) 블랙 호크 | UH-1J 휴이 | UH-1(B/H) "히요도리" | S-62J | S-61A | S-55A · H-19 "하츠카리"
수송헬기 MV-22 오스프리 | CH-47(J/JA) 치누크 | KV-107 "시라사기" | H-21B "호오"
공격헬기 AH-64DJ 아파치 | AH-1S 코브라
대잠헬기 SH-60(J/K/L) 시호크 | SH-3(B/D/H) "치도리"
소해헬기 MCH-101 멀린 | MH-53E 시 드래곤
'''[[전투기|
전투기
]]'''
'''[[1세대 전투기|
1세대
]]'''
F-86F "쿗코" · F-86D "겟코"
'''[[2세대 전투기|
2세대
]]'''
F-104(J/DJ) "에이코"
'''[[3세대 전투기|
3세대
]]'''
F-4EJ → EJ 改 팬텀 II | F-1
4(.5)세대 F-15(J/DJ) → F-15J 改 이글 | F-2(A/B)
'''[[5세대 전투기|
5세대
]]'''
F-35(A/{B}) 라이트닝 II
'''[[6세대 전투기|
6세대
]]'''
{ GCAP}
공격기 TBM-3 어벤저
'''[[정찰기|
정찰기
]]'''
전술 RF-4(E/EJ) | RF-86F
전자 { RC-2} | EP-3 | EP-2J
'''[[수송기|
수송기
]]'''
경량 YS-11 | R4D-6Q "마나즈루"
전술 C-2 | C-130(H/R) 허큘리스 | C-1A | C-46D 코만도
수상기 US-2 | US-1A | HU-16 "하리가네" | G-21 구스
다목적기 U-125A | U-4 | U-36A | LR-2 | LC-90 | LR-1 | LM-1 | 가와사키 KAL-2
'''
지원기
'''
'''[[공중조기경보통제기|
조기경보기
]]'''
E-767 | E-2(C/{D}) 호크아이
'''[[대잠초계기|
해상초계기
]]'''
P-1 | P-3C 오라이언 | P-2J 넵튠 | S-2F-1 "아오타카" | PV-2 하푼
'''[[공중급유기|
공중급유기
]]'''
{ KC-46A 페가수스} | KC-767J | KC-130R
전자전기 { EC-2} | EC-1 | YS-11(EA/EB)
'''
연락기
'''
L-19 "소요카제" | L-5 센티넬 | L-21B 슈퍼 컵 | L-16
'''[[무인기|
무인기
]]'''
'''
SUAV
'''
클래스 1 - 소형
RQ-27 스캔이글
UAV
클래스 3 - HALE급
RQ-4 글로벌 호크 블록 30(I)
'''[[훈련기|
훈련기
]]'''
프롭 후지 T-7 | 후지 T-5 | 후지 T-3 | KM-2 | 비치 B65 "우미바토" | T-34A "하츠카제" · LM-1 "닛코" | T-28B 트로젼 | T-6(D/F/G) "마츠카제"
제트 T-4 | T-400 | T-2 | T-1(A/B) "하츠타카" | 뱀파이어 T.55X | T-33A "와카타카"
헬기 TH-135 | TH-480B | OH-6DA | TH-55J 오세이지
VIP 탑승기 B777-300ER | U-4 | EC225 LP | B747-47C
갈색 글자: 퇴역 기종
※ 윗첨자X: 연구 목적 도입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 해당 자위대 운용 (육자/해자/공자), 표기 없을 시 항공자위대
}}}}}}}}}


파일:아시아 위치.svg 아시아의 제트전투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292>
1940년대
<colbgcolor=#EEE,#333>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colbgcolor=#fefefe,#191919> Ku-4 | J9Y 킷카 | Ki-201 카류 | R2Y2 케이운 改 | J7W2/3 신덴 改
1950년대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J-2 파곳 | J-5 프레스코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HF-24 마루트
1960년대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J-6 파머 | J-7 피쉬캔
1970년대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미쓰비시 F-1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J-12 | Q-5 판탄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내셔 | 크피르
1980년대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J-8 핀백 | J-9 | J-7(E/G) 피쉬캔-D | J-13 | Q-6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라비
1990년대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F-CK-1 징궈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JH-7 플라운더 | J-11 플랭커-L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아자라크쉬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나메르
2000년대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F-2 "바이퍼 제로"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J-10 파이어버드 | JL-9 샨잉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사에케 | M-ATF | 샤파크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중국- 파키스탄
JF-17 썬더 / FC-1 샤오룽
2010년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FA-50 파이팅이글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J-15 플랭커-X2 | J-16 플랭커-G | J-20 페이긴 | FC-31 궈잉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LCA 테자스 Mk.1(A)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카헤르 313 | 코우사르
2020년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KF-21 보라매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J-35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MWF 테자스 Mk.2 | TEDBF | FGFA
2030년대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F-3
GCAP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J-36 | J-50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ADF 프로젝트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AMCA
취소선: 개발 취소 기종
}}}}}}}}}


✈️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3D3137> 1차
세계대전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협상군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동맹군
전간기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2차
세계대전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1943-1947).svg
미국
파일:RAF_type_C1_roundel.svg
영국
파일:독일 공군(나치 독일) 라운델2.svg
나치 독일
파일:일본 공군 라운델.svg
일본 제국
파일:Italy-Royal-Airforce.svg
[[틀:2차 세계대전/이탈리아 항공기|
이탈리아 왕국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1914-1940).svg
노르웨이
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1934-1945).svg
핀란드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Roundel_of_the_Royal_Thai_Air_Force_(1941-1945).svg
태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대만 국장.svg
중화민국
파일:Czech_roundel_(right_wing).svg
[[틀:2차 세계대전/체코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체코슬로바키아
]]
파일:Roundel_of_Bulgaria_(1937-1941).svg
[[틀:2차 세계대전/불가리아군 항공기|
불가리아 왕국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1942-1945).svg
헝가리 왕국
파일:Nationalist_air_force_black_roundel_with_arrows.svg
스페인
파일:Manchukuo_Air_Force_Roundel.svg
만주국
파일:Emblem_of_Mongolian_People's_Army.svg
[[틀:2차 세계대전/몽골 항공병기|
몽골 인민 공화국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제1세계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서독
제2세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국가인민군 공군 라운델.svg
동독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1921-1993).svg
폴란드
제3세계 [[틀:냉전/유고슬라비아 항공기|파일:유고슬라비아 항공 및 반항공군 라운델.svg
유고슬라비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
중미/카리브
'''
[[틀:현대전/도미니카 공화국 항공병기|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colbgcolor=#3d3137>남미 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 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 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북유럽 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
동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
동남아시아
'''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
중앙아시아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
남아시아 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항공병기|파일:아프가니스탄 라운델.png
아프가니스탄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항공병기|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공군 라운델.png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
서아시아 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
오세아니아
'''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
'''
북아프리카
'''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
동아프리카
'''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
서아프리카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
중아프리카
'''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
남아프리카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제트전투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럽
파일:아시아 위치.svg
아시아
}}}}}}}}}}}}


[1] 실제로 일본은 F-16의 운용에 관한 포럼에 초청받은 적이 있다. # [2] 또는 " 헤이세이 제로센(平成の零戦)" 라고도 한다. [3] '파이팅 팰콘(Fighting Falcon)'이라는 공식 별칭이 있긴 하지만 조종사들은 '바이퍼(Viper)로 더 많이 부른다. [4] 2005년 방위대강(防衛大綱)에서 '지원전투기' , '요격전투기'(F-15J/DJ)의 명칭 및 개념을 삭제하고, "전투기"라는 이름으로 통일하였다. [5] 시제기 4대 포함 [6] 미쓰비시 F-2 전투기는 J/APG-1을 운용하다가 J/APG-2로 개량했다. [7] J/APG-2 레이더 개수 이후에 통합되었다. [8] 이 거부권은 부시 대통령이 임기 중 최초로 발의한 것이다. [9] 단독 개발보단 공동 개발이 비용 면에서도 적게 들 수도 있고 시행 착오를 줄일 수가 있다는 점에서 시간적, 금전적 리스크를 줄이는 효과도 있다. [10] F-2 전투기의 개발 시작 기준인 1988~1989년 당시 F-16의 최신형은 F-16C/D Block 40/42으로 1988년부터 배치가 시작되었으며 F-16C/D Block 30/32가 등장한 것은 1987년이고 Block 50/52의 경우 1991년부터이다. [11] 에자일 팔콘도 어차피 바탕은 F-16의 동체이기 때문에 덩치가 불어난 F-2와 같은 설계도를 쓴다고 볼 순 없다. [12] 일반적으로 금속판을 이어 붙이는 방식의 전투기들도 날개 부분은 평상시 열고 닫아야 하는 점검창 부분 이외의 곳은 대부분 리벳처럼 한 번 고정하면 다시 풀 수 없는 방식으로 체결한다. [13] 굳이 일체성형날개가 아니더라도 일반적으로 전투기의 외피 중 복합소재로 된 부분은 이런 방식으로 전투수리를 하며, 심지어 금속판으로 된 부분도 유사한 방식으로 응급수리를 한다. [14] 바다 위(洋上)에서 잘 보이지 않게(迷) 칠한 색(彩). [15] 항공자위대만의 개성적인 도장이다 보니 모델러들이 F-14 F-22 같은 일본이 도입을 시도했거나 도입했으면 어땠을까 싶은 기종에 해당 도장을 칠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16] 이것 때문인지 미국의 스텔스 전투기들에 사용한 전파흡수 기술이 일본에서 건너간 것으로 알려지기도 했다. 하지만 미국은 2차대전 직후부터 전파흡수물질에 대한 연구를 시작해서, 5, 60년대에 개발한 SR-71이나 70년대에 개발한 F-117에 전파흡수재료를 사용하였다. 미국이 일본에서 기술을 전수받아서 자국의 스텔스기에 적용했다고 보긴 어렵다. [17] 이 요구 조건은 소련이 함대를 동원하여 침공할 경우 여기에 맞서기 위해서 항공자위대가 개발 초기부터 무조건적으로 요구하던 부분이다. 대함 미사일을 4발 이상 탑재할 수 있는 기종은 당시로서는 거의 전폭기나 폭격기 외에는 없었다. [18] 원형인 F-16의 경우 대함 미사일 펭귄은 최대 4발을 탑재할 수 있지만 평균적인 미사일 크기인 하푼은 최대 2발 밖에 탑재할 수 있다. 다만 KF-16의 경우 국방부가 공대함 미사일에 관심이 없기 때문에 운용능력은 있어도 수량은 많지 않다. F-15K도 마찬가지. [19] 김경민 교수는 1990년대 이래 <일본이 일어선다>, <일본인도 모르는 일본>, <어디까지 가나, 일본 자위대> 등 한국에서 일본 군사력에 관한 책들을 여러 권 발표한 바 있다. [20] 그러나 높은 힘과 열을 받는 항공기 특성상 균열이 갔다는 점에서 큰 문제임은 부인할 수 없다. 실제로 항공기의 부품은 겉으로는 멀쩡해보인다하더라도 초음파검사를 하여 내부적 균열이 있다면 교환하게 되어 있다. 이는 민항기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원래 시험이라는 것이 가혹한 환경을 인위적으로 가했을 때 어디부터 먼저 박살나는가를 찾는 것이 목적이라는 점은 명심해 둘 필요가 있다. 즉 시험은 어디까지나 잠재된 문제를 찾아내는 과정이지 문제가 없음을 증명하는 과정이 아니다. [21] F-2는 현재 국군이 보유한 F-15K보다 약 300억 가량 더 비싸며, 랩터와는 겨우 200억 정도의 가격 차이를 보이는 정도이다. [22] 훈련 중 기체의 무장 운용을 통제하는 안전장치인 '마스터 암(Master Am)'이 올려져있던 상태임을 조종사가 인지하지 못한 채 사격 훈련을 진행하다 미사일이 발사되어 편대원을 격추해버린 사고. 심지어 이게 F-15의 유일한 공대공 격추기록이다. 항자대 입장에선 정말 지우고 싶은 흑역사. [23] 예전에 F-1 전투기 편대의 편대장이었는데 주인공 한 사람에게 편대가 전멸돼서 집안에서 명예에 먹칠했다고 쫓겨났다. [24] 기체 이름이 신풍이다. [25] 탈출한 조종사를 향한 공격은 제네바 협약 위반으로 전범 행위다. [26] 대회규정상 위반이다. 대회 요원이 이륙하려는 주인공의 기체 앞바퀴를 저격한다. [27] 이때 주인공 눈의 모세혈관이 파괴되면서 시야가 붉게 된다. [28] 게다가 F-2의 베이스 모델인 F-16이 F-2보다 동체 크기가 크다. [29] 극중에는 ATF라는 명칭으로 등장하는데, 기체 설명이라든지 모양으로 보나 F-22에 더 가깝다. 애초에 ATF라는 별칭부터가 F-22의 개발명이었다. [30] 사실 F-15 문서만 봐도, H.A.W.X.가 이런 적이 한두번이 아니다. [31] 특이하게도 기체당 4발이 아닌 2발만 탑재하고 등장한다. [32] 다만 사출 장면이 있는 점으로 보아 조종사들은 전원 탈출한 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