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7 23:44:52

한글로 표기할 수 없는 발음/사례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20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20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개요

한글로 표기할 수 없는 발음들을 나타낸 문서다. 여기에는 도대체 어떻게 써뒀지?

2. 공통

3. 자음

3.1. 양순음

3.2. 설순음

한국어에는 설순음이 없어 표기할 수 없다. 애초에 전 세계적으로도 보기 드문 발음이다.

3.3. 순치음

3.4. 치음

3.5. 치경음

3.6. 후치경음

후치경음 전체가 이에 해당된다. 치경구개음과 유사하지만 엄연히 다른 소리이다.

3.7. 권설음

혀를 말아서 내는 소리이다. 중국어에서 많이 접할 수 있는 발음이다.

3.8. 치경구개음

3.9. 경구개음

3.10. 연구개음

3.11. 구개수음

아랍어의 ق가 이 소리다
클링온어의 Q가 이 소리다.
프랑스어 r이 이 소리다.
클링온어 H가 이 소리다.
독일어 r이 이 소리다
조지아어 ყ가 이 소리다.

3.12. 인두음

아랍어의 ح와 ع이 이 소리다

3.13. 후두개음

아미어의 ’가 이 소리다.
아르치어의 гӀ가 이 소리다.
인구시어의 Ӏ가 이 소리다.
소말리어의 c가 어두에 올 때 이 소리가 난다.
아굴어의 хӏ가 이소리다.
아미어의 h가 간혹 이 소리가 난다.
체첸어의 хь의 변이음 중 하나가 이 소리다.

3.14. 성문음

4. 모음

4.1. 고모음

4.2. 근고모음

4.3. 중고모음

4.4. 중모음

4.5. 중저모음

4.6. 근저모음

4.7. 저모음

5. 학술적인 발음 표기

이 문단은 "한글은 이상적인 음성학 기호가 될 수 있다."와 같은 주장의 반론을 위한 곳이다. 한글을 학술적인 음성학 기호로 쓸 때 표기할 수 없는 발음을 기술하는 곳이므로, 실제 언어에 용례가 없더라도 이론상으로 가능한 발음이기만 하면 된다. 또한 여기서의 한글은 옛한글을 포함한다. 다만 '뉆'과 같은 미사용 조합을 한글로 표기할 수 없는 발음에 임의적으로 할당하는 것은 음성학적 정당성이 없으므로 불허한다. 발음 기호로서의 '뉆'은 무조건 [nwelm]이라고만 발음되어야 한다.

5.1. 국제음성기호


[1] 1980년대 이후 출생 세대에서는 장단음의 구별이 사실상 사라져 가고 있는 추세라지만, 아직까지 표준어에는 장단음이 음운으로 존재한다. 이는 한자를 공부하면 쉽게 알 수 있는데, 우리가 사용하는 한자어 자체에도 장단음이 있었으며 위의 말처럼 옛날 분들은 장단음의 구별이 가능했다고 한다. [2] 현재 미국식 영어에서는 장단음 구별이 없어졌다고 본다. [3] 이중 모음의 경우 CGVC까지도 가능하다. G는 반모음이다. [4] 예를 들면 / 합용병서라거나. [5] 다만 현대 한국어 기준으로 이중 자음은 '없다'나 '앉다'처럼 표기상으로나마 발음 변화에 영향을 끼치는 예시가 있다(없다 /업따/ → 없어 /업써/, 앉다 /안따/ → 앉아 /안자/). 다만 어디까지나 종성에서의 얘기다. [6] 현재 사용되는 모음 중에 가장 약한 모음이다. [7] 굳이 발음하자면 시계소리를 표현하는 '똑'소리를 내고 쿵이라고 하면 된다. 즉 똑쿵. 그러나 한글 그대로 '똑쿵'이라고 읽으면 당연히 그들 입장에선 못 알아듣는다. 눈치껏 알아들을 지도 [8] 단모음 발음이 원칙인 ㅚ나 ㅟ와는 달리 ㅢ의 원칙상 발음은 (ɰi)이므로 이것까지 단모음으로 치기는 어렵다. [9] 훈민정음 창제 당시 기준으로 하면 ㅏ/a~ɐ/, ㅓ/ə/, ㅗ/o/, ㅜ/u/, ㅡ/ɯ/, ㅣ/i/, ㆍ/ʌ~ɔ~ɒ/로 7개다. [10] 설측 치경 접근음 /l/이 아니다. [11] 사실 일부 음성학자들은 한글 자음 ㄴ의 기본음가를 이것으로 보기도 한다. 한국어는 어두비음이 탈비음화(denalized)된다. (이로인해 비음성이 강한 언어들의 화자들은 한국어 어두의 '나', '놈', '니' 등을 '다', '돔', '디'로 인식하기도 한다.) 문제는 이것을 음운과정의 결과로 보느냐 아니냐에 따라 기본음가가 달라진다는 것이다. /n̥/를 ㄴ의 기본음가로 보는 견해는 어두무성음을 파열음과 파찰음의 기저형으로 보는 연장선상에 따른 것이다. [12] 다만 이 발음은 일본인들 중에서도 부정확하게 발음하는 경우가 있으며, 실제로 해당 사건 당시에도 조선인 외에 방언을 사용하는 일본인들이 같이 묶여서 팀킬을 당한 사례가 수없이 많았다. [13] 다만 요즘은 발음법이 까다로워서인지 대만식 보통화 및 여러 지방어들을 중심으로 치경음에 합류 및 동화되는 현상이 관측되고 있다. [14] 저 둘을 작게 한 기호이다. [15] 모음이기에 중간발음이 성립한다. [16] 이 둘을 단순히 장단음 차이로 착각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i\]는 전설 고모음이고 [ɪ\]는 근전설 근고모음이다. 즉 장단음을 따지기 이전에 모음의 조음위치 및 음가 자체가 다르다는 소리다. 특히 미국 영어에서는 장모음과 단모음의 구별이 소실되어가는 추세라 두 모음의 음가를 구별함이 더더욱 중요하다. [17] 일부에서는 /u/와 /ʊ/를 /로 대응시켜 표기하기도 하나 이는 단순히 발음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설명의 예시에 불과하며, /ʊ/를 로 표기할 수 있다는 얘기는 아니다. 의 음가인 /ɯ/와 /ʊ/의 차이는 와 /ʊ/의 차이보다도 더욱 크며, 무엇보다 모음자 는 이미 자음군의 표기에 쓰이고 있기 때문이다. [18] 다만 'ᆜ'가 [jɯ\] 발음인 점을 고려하면 일관성이 없긴 하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