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6 21:21:08

아이슬란드어

게르만어파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2px"
북게르만어군 고대 노르드어
OId Norse
동스칸디나비아어군 노르웨이어(보크몰) · 덴마크어 · 스웨덴어
서스칸디나비아어군 노르웨이어(뉘노르스크) · 아이슬란드어 · 페로어 · 노른어
서게르만어군 북해 게르만어군
Ingvaeonic
앵글어군 영어( 고대 영어) · 스코트어 · 욜라어 · 핑갈어
프리지아어군 프리지아어
저지 독일어
저지 프랑크어군
Istvaeonic
네덜란드어 · 플람스어 · 림뷔르흐어 · 아프리칸스어
고지 독일어
Irminonic
중부 독일어 룩셈부르크어 · 표준 독일어 · 펜실베이니아 독일어
상부 독일어 오스트로바이에른어 · 알레만어( 스위스 독일어) · 오스트리아 독일어
이디시어 · 랑고바르드어
동게르만어군 고트어 · 크림 고트어 · 반달어 · 부르군트어
}}}}}}}}}


||<tablewidth=100%><tablealign=left><tablebordercolor=#02529c><tablebgcolor=#02529c>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dc1e35> 상징 <colcolor=#000,#fff> 아이슬란드 국가 · 아이슬란드 국기 · 국호 · 국장
정치 정치 전반 · 의회 · 대통령 · 총리
역사 역사 전반 · 바이킹 · 북해 제국 · 칼마르 동맹 · 덴마크 왕국 · 아이슬란드 왕국
외교 외교 전반 · 북유럽 협의회 · 북극이사회 · 아이슬란드 여권
지리 아이슬란드 섬 · 행정구역
경제 경제 전반 · 아이슬란드 크로나
문화 북유럽 신화 · 사가 · 냘의 사가 · 에다 · 아이슬란드 요리 · 아이슬란드 영화 · 루터교회( 아이슬란드 복음주의 루터교회)
스포츠 아이슬란드 축구 국가대표팀 · 아이슬란드 축구 협회 · 베스타데일드
교통 아이슬란드 1번 국도 · 아이슬란드 77번 국도
언어 고대 노르드어 · 아이슬란드어
인물 노르드인 · 아이슬란드인 · 아이슬란드계 미국인
국방 아이슬란드군 · 아이슬란드 해안경비대 · 북대서양 조약 기구
치안·사법 아이슬란드 국가경찰
}}}}}}}}} ||
아이슬란드어
Íslenska
Icelandic language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Idioma_island%C3%A9s.png
[1]
<colcolor=#fff><colbgcolor=#65a7da> 유형 굴절어
어순 주어-동사-목적어 (SVO)
서자방향 좌횡서 (왼쪽부터 가로쓰기)
문자 로마자
점자 아이슬란드 점자
주요 사용 지역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원어민 약 36만 명
계통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
북게르만어군
서스칸디나비아어군
아이슬란드어
언어
코드
<colcolor=#fff><colbgcolor=#75b5e7> ISO 639-1 is
ISO 639-2 ice (B)
isl (T)
ISO 639-3 isl

1. 개요2. 특징3. 사멸 위기4. 알파벳5. 발음
5.1. 모음5.2. 자음5.3. 참고 자료
6. 문법7. 들어보기8. 한국에서 배우기9. 기본 회화10. 언어별 명칭11. 외부 링크12. 참고 자료

[clearfix]

1. 개요

Namúwiki: Viskutréð sem við ræktuðum öll í sameiningu.
나무위키, 여러분이 가꾸어 나가는 지식의 나무.
인도유럽어족 북게르만어군에 속하는 아이슬란드 공용어이자 아이슬란드인의 모어이다.

2. 특징

아이슬란드어는 언어학적으로 순혈에 가깝다.[2] 노르웨이 바이킹 아이슬란드 섬에 들어온 후 아이슬란드어는 외부 언어와 접촉 없이 고대 노르드어의 어휘, 문법을 그대로 유지했다. 그래서 스칸디나비아 스웨덴어, 노르웨이어, 덴마크어가 서로 어느 정도 통하는 데 비해 아이슬란드어는 사실상 의사소통이 불가능하다. 심지어 현대 아이슬란드인들은 북유럽 신화가 담긴 고전 사가를 어렵지 않게 읽을 수 있다.

다만 말소리는 아이슬란드어 역시 다른 북게르만어들처럼 많은 변화를 겪었다. 고대 노르드어 시기 이후에 일어난 발음 변화 때문에 철자법도 상당히 꼬였는데, 대표적인 게 자음 뒤의 r이 ur로 바뀐 것이다.
전기( 한국어)
Rafmagn(아이슬란드어)
Elektricitet(덴마크어)
Elektricitet(스웨덴어)
Elektrisitet(노르웨이어)
Elektrizität(독일어)

외래어는 철저히 고유어 단어로 바꿔서 수용한다. 예를 들어 전기(電氣)라는 뜻의 단어를 다른 북게르만어군의 언어들에서는 그리스어 ήλεκτρον에서 온 영어 Electricity를 철자만 자국식으로 바꾼 것으로 쓰지만, 아이슬란드는 아예 ' 호박의 힘'이라고 번역차용[3]한 Rafmagn를 쓰고 있으며, 대부분 전문 용어도 이런 식으로 철저히 자국식으로 만들기 때문에 아이슬란드어는 배우기 아주 어렵다는 이 있다. 실제로 배우기 힘든 언어에 아이슬란드어는 빠지지 않고 언급된다.

그 외 다른 게르만어파 언어와 다른 아이슬란드어의 고유어는 다음과 같다.
역사 한국어
History 영어
Historia 스웨덴어
Historie 덴마크어
Historie 노르웨이어
Saga 아이슬란드어
공룡 한국어
Dinosaur 영어
Dinosaurie 스웨덴어
Dinosaurus 덴마크어
Dinosaur 노르웨이어
Risaeðla 아이슬란드어
북극 한국어
Arctic 영어
Arktis 스웨덴어
Arktis 덴마크어
Arktis 노르웨이어
Norðurskautið 아이슬란드어
남극 한국어
Antarctica 영어
Antarktis 스웨덴어
Antarktis 덴마크어
Antarktis 노르웨이어
Suðurskautslandið 아이슬란드어
구급차 한국어
Ambulance 영어
Ambulans 스웨덴어
Ambulance 덴마크어
Ambulanse 노르웨이어
Sjúkrabíll 아이슬란드어
버스 한국어
Bus 영어
Buss 스웨덴어
Bus 덴마크어
Buss 노르웨이어
Strætó 아이슬란드어
헬리콥터 한국어
Helicopter 영어
Helikopter 스웨덴어
Helikopter 덴마크어
Helikopter 노르웨이어
Þyrla 아이슬란드어
국가 한국어
State 영어
Stat 스웨덴어
Stat 덴마크어
Stat 노르웨이어
Ríki 아이슬란드어
국기 한국어
National flag 영어
National flagga 스웨덴어
National flag 덴마크어
Nasjonal flagg 노르웨이어
Þjóðfáni 아이슬란드어

언어순수주의자들에게 선망의 대상이기도 하다. 사실 이 정도의 언어순화가 가능한 것은 복잡한 어미 변화와 이에 따른 불규칙 활용이 많은 언어적 특성상 외래어를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보다 자국식 어휘로 순화하는 게 더 효율적이기 때문이다.[4] 이러한 점들로 인해 아이슬란드어는 새로운 단어를 만들 때 독일어보다도 더 적극적으로 고유어를 쓰게 된 것이다. 또한 지리적으로 고립된 탓에 근대에까지 외래 문물을 접하기 어려웠던 것도 외래어 직접 차용이 적은 이유 중의 하나이다.

원소 명칭은 다른 대륙 게르만어파 언어들이 그렇듯 독일어와 거의 비슷하다. 이를테면 칼륨은 Kalín이라 쓴다.

사용 인구는 적지만 지형적 특성으로 오랫동안 방언이 독자적으로 발전했다.[5] 현대의 대중 매체와 교육의 영향으로 표준어화가 상당 부분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북부 방언과 남부 방언의 발음 및 어휘 차이는 외국인이 들어도 알 수 있을 정도로 현저하다. 이 글의 사례에서 알 수 있듯, 아퀴레이리식 액센트의 경우 레이캬비크와 달리 유기음이 단어 중간에 끼어도 무기음이 되지 않으며, p/t/k 앞의 l을 무성음화시키지 않는다. 발음차이에 대한 더 상세한 설명은 여기를 참고하자.

페로 제도 페로어와 비슷하다고 하며 글로 쓰면 어느 정도 이해가 가능하다고 하나 말은 통하지 않는다.

이 언어의 피진[6]으로 바스크인 선원들이 쓰던 바스크-아이슬란드 피진이 있었는데[7], 17세기에 쓰이다가 사멸해서 오늘날에는 쓰이지 않는다.

요일 표기가 일관적이지 않다는 점이 특이하다. 요일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세계의 요일 이름은 행성 이름과 숫자 이름 유래로 나뉘는데[8] 아이슬란드어는 태양계 행성 이름의 유래인 로마 신을 현지화한 북유럽 신에서 유래한 요일 이름을 기독교의 영향으로 바꿀 때 여러가지 기준을 섞어 놓았다. 원래는 sunnudagr(일요일, 해의 날)[9]-mánadagr(월요일, 달의 날)[10]-tysdagr(화요일, 티르의 날)[11]-óðinsdagr(수요일, 오딘의 날)[12]-þórsdagr(목요일, 토르의 날)[13]-frjádagr(금요일, 프레이야의 날)[14]-laugardagr(토요일, 빨래의 날) 였으나 기독교를 받아들인 후부터는 sunnudagur(일요일, 해의 날)[15]-mánudagur(월요일, 달의 날)[16]-þriðjudagur(셋째날)-miðvikudagur(가운뎃날)[17]-fimmtudagur(다섯째날)-föstudagur(금식일)[18]-laugardagur(빨래일) 이런 식으로 요일을 부른다. 일요일, 월요일, 토요일은 gr 표기가 gur 표기로 바뀐 것을 빼면 같다. -

바이킹 소재로 영화 드라마, 만화 등을 만든다면 반드시 알아둬야 할 언어이다. 이 때문에 게임 포아너에서 바이킹 진영 캐릭터들이 사용하는 언어는 거의 아이슬란드어다.

3. 사멸 위기

아이슬란드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지배적인 언어지만 아이슬란드 자체가 전체 인구가 30만 명밖에 안 되는 작은 나라이기 때문에 아이슬란드어 사용 인구 역시 34만 명 수준으로 매우 적다.[19] 때문에 사멸 위험에 처해있다는 위기감이 있다.

구글 번역기에서는 이 언어를 지원하지만, 애플 시리, 아마존닷컴 알렉사 등에서는 지원되지 않는 언어로 분류되었다. 기사. 심지어 구글 안드로이드 애플 iOS에서도 제대로 지원하지 않아 간혹 오역 및 오자나 탈자가 보이는 현상이 있다. 이에 아이슬란드인들 대부분은 스마트폰 기본 언어 설정을 영어로 해두고 쓰고 있다고 한다.

아이슬란드어를 배우려는 외국인도 별로 없어 교재나 교사도 구하기 힘들고, 그러다 보니 아이슬란드어를 배우기는 점점 어려워지는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다.

게다가 아이슬란드 인구 자체가 워낙 적어 아이슬란드 내 방송 프로그램도 대부분 해외에서 수입하고 있고, 넷플릭스 등 OTT 업체들은 수지타산이 맞지 않아 아이슬란드어 자막이나 더빙을 제공하지 않는다. 인터넷에도 아이슬란드어 콘텐츠가 별로 없어 세계적인 디지털 시대가 가속화되면서 아이슬란드인들의 생활 내 영어 의존도는 점점 더 심해지고 있다. 아이슬란드인들은 15세 이상이 되면 영어로 의사소통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하며, 아이슬란드인들의 역사적 자존심에도 불구하고 아이슬란드 젊은 세대들의 모국어 기본기는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다는 분석이 있다.

디즈니 영화들의 아이슬란드어 더빙은 대부분 이루어지고 있지만, 실사 영화의 아이슬란드어 더빙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 실정이다. 링크

4. 알파벳

아이슬란드어는 총 32개 알파벳을 사용한다.
철자 이름 읽기 빈도
Aa a 아 [a] 10.11%
Áá á 아우 [au̯] 1.8%
Bb 볘 [pjɛ] 1.04%
Dd 뎨 [tjɛ] 1.58%
Ðð 에드 [ɛð̠] 4.39%
Ee e 에 [ɛ] 6.42%
Éé é 예 [jɛ] 0.65%
Ff eff 에프 [ɛfː] 3.01%
Gg 계 [cɛ] 4.24%
Hh 하우 [hau̯] 1.87%
Ii i [20] [ɪ] 7.58%
Íí í 이 [i] 1.57%
Jj joð 요드 [joð̠] 1.14%
Kk 카우 [kʰau̯] 3.31%
Ll ell 에들 [ɛtl̥] 4.53%
Mm emm 엠 [ɛmː] 4.04%
Nn enn 엔 [ɛnː] 7.71%
Oo o 오 [ɔ][21] 2.17%
Óó ó 오우 [ou̯] 0.99%
Pp 폐 [pʰjɛ] 0.79%
Rr err 에르 [ɛr] 8.58%
Ss ess 에스 [ɛs] 5.63%
Tt 톄 [tʰjɛ] 4.95%
Uu u 위 [ʏ] 4.56%
Úú ú 우 [u] 0.61%
Vv 파우 [22] [fau] 2.44%
Ww 부 [vu] 0.55%
Xx eks 엑스 [23] [ɛks] 0.05%
Yy ypsilon y 윕실론 이 [ʏfsɪlɔn ɪ] 0.9%
Ýý ypsilon ý 윕실론 이 [ʏfsɪlɔn i] 0.23%
Þþ þorn 소르든 [θ̼ɔrtn̥] 1.45%
Ææ æ 아이 [ai̯] 0.87%
Öö ö 외 [œ] 0.78%

아래는 없어진 알파벳이다.[24]
철자 이름 읽기
Zz seta 세타 [sɛta]

5. 발음

양순음 순치음 치음 치경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성문음
비음
m

n
ɲ̊
ɲ
ŋ̊
ŋ
파열음 p

t̪ʰ
c
k
마찰음 f
v
θ
ð
s ç x
ɣ
h
전동음
r
접근음 j
설측접근음
l
전설 모음 중설모음 후설모음
고모음 i u
근고모음 ɪ / ʏ
중저모음 ɛ / œ ɔ
저모음 a

5.1. 모음

a ng, nk 앞에서는 /au/로 발음하고, gi, gj 앞에서는 /ai/라고 발음하지만 그 외에는 /a/라고 발음한다.
á /au/로 발음한다.
æ /ai/라고 발음한다. 절대로 ㅐ가 아니다!
au /øɪ/로 발음된다.
e 일반적으로 한국어 ㅐ 발음인 ɛ로 발음되나[25] ng, nk, gi, gj 앞에서는 /ei/로 발음된다.
ei, ey /ei/라고 발음된다.
é /jɛ/로 발음된다.
i, y 보통 /ɪ/라고 발음되지만 ng, nk, gi, gj 앞에서는 /i/라고 발음된다. 두 발음 모두 한국어로는 'ㅣ'라고 표기되지만 실제로는 약간 차이가 있다.
í, ý /i/라고 발음된다.
o /ɔ/라고 발음된다. 영어 for의 o 발음.
ó /ou/라고 발음된다. 영어 hello의 o 발음.
ö 일반적으로 /œ/로 발음되나 ng, nk, gi, gj 앞에서는 /øɪ/로 발음된다. 두 발음 모두 한국어로는 'ㅚ'라고 표기되지만 실제로는 약간 차이가 있다.
u 일반적으로 /ʏ/라고 발음되지만 gi, gj 앞에서는 /ʏi:/라고 발음되며, 단어가 -unum으로 끝날 땐 이 unum을 /ɔnʏm/처럼 읽는다. ng, nk 앞에서는 /u/라고 발음된다.
ú /u/라고 발음되며 gi, gj 앞에서는 길게 발음한다.

5.2. 자음

b /p/로 발음한다. 한국어 '병'의 'ㅂ'.
d /t/로 발음한다. 한국어 '담'의 'ㄷ'. l, n 과 g, n, l, k, s 사이에 올 때는 묵음이 된다.
ð 영어 the의 th 발음인 /ð/로 발음한다. 어말이나 무성음 앞에서는 우리가 흔히 아는 번데기 발음 /θ/로 발음된다. r과 n 사이 혹은 g와 s 사이에 올 때는 묵음이 된다.
f 보통 /f/로 발음되나 'gaflar'처럼 l, n과 모음 사이에 있을 땐 /p/로 발음되고, 모음 뒤에 올 경우엔 /v/로 발음된다. ó와 모음 사이에 올 때는 묵음이 된다.
fnd /mt/[26]로 발음한다.
fnt /m̥t/[27]로 발음한다.
g 보통 한국어 'ㄱ'인 /k/로 발음되나 e, i, í, y, ý, æ, j 앞에서는 경구개음 /c/[28]로 발음되고, 'saga'처럼 모음의 뒤에 있을 땐 /ɣ/[29]로 발음되며, lagi나 segja처럼 모음과 i, j의 사이에 있을 땐 /j/[30] 발음이 나며 모음과 s, t 사이엔 /x/[31]로 발음되고, á, ó, ú,와 a, u 사이에 끼어 있을 때에는 묵음이 된다[32]. 다만 최근에는 경구개화가 사라지는 추세다.
h 보통 /h/ 발음이 나며 j 앞에선 /ç/ 발음이 난다는 것까진 한국어와 같으나 v 앞에서는 /kʰ/ 발음이 된다. 따라서 hver는 '흐베르'가 아니라 '크베르'가 맞는 표기.
j 영어 y 발음인 /j/ 발음. 일부 자음의 소리를 바꾼다.
k 보통 한국어 ㅋ 발음인 /kʰ/로 발음되며 e, i, í, y, ý, æ, j 앞에선 /cʰ/로 발음되고, 모음의 뒤나 s의 뒤에선 발음을 아이슬란드어 알파벳 g처럼 /k/나 /c/로 발음된다. 다만 k, t, n 앞에서는 /hk/ 발음이 나고[33] s, t 앞에서는 /x/ 발음이 난다.
l /l/ 발음.
ll /tl/ 발음. 다만 외래어의 경우 그냥 l과 비슷하게 읽는다.
m /m/ 발음.
n /n/ 발음.
nn 강세가 들어가는 모음이나 이중 모음 뒤에서는 (사실상 대부분의 경우) /tn/ 발음, 이외에는 (보통은 관사 -inn) /n/ 발음이 난다. 예를 들어 steinn은 '스테이튼'으로 읽지만, 관사가 붙어 steinninn이 되면 '스테이트닌'으로 읽는다.
ng /ŋk/ 발음이지만 l, s, t 앞에서는 그냥 /ŋ/처럼 읽고, i와 j 앞에서는 /ɲc/로 구개음화된다.
nk ng와 동일하지만 ng와 달리 k 발음이 없어지지 않는다.
p 보통 /pʰ/라 읽으나 모음과 s 뒤에선 /p/라 읽는다. l, n, p 앞에선 /hp/라 읽고 k, s, t 앞에선 /f/처럼 읽는다.
r /r/ 발음.
rl /rtl/ 발음. 따라서 hákarl은 하우카르틀이 된다.
rn /rtn/ 발음.
s /s/ 발음.
sl /stl/ 발음. 그냥 /sl/이라 읽어도 된다.
sn /stn/ 발음. 그냥 /sn/이라 읽어도 된다.
t 보통 /tʰ/ 발음이나 모음이나 s 뒤에선 /t/로 읽고 l, n, t 앞에서는 /ht/ 발음이 된다.
v /v/라고 발음된다.
x 영어 x와 비슷하게 발음되며 /xs/처럼 발음될 때도 있다.
z /s/ 발음. 지금은 쓰이지 않는다.
þ 그 유명한 번데기 발음(/θ/)이 난다. 자세한 건 위의 'ð'를 보자.

5.3. 참고 자료

아이슬란드어의 발음을 들어보고 싶다면 마이크로소프트 애저에서 개발한 TTS인 Guðrún(여성 목소리)과 Gunnar(남성 목소리)를 참고하는 것이 좋다.[34] 발음은 물론이고 문장에서의 호흡도 자연스러우며 소리가 선명하고 잡음이 거의 없어서 구글 번역기의 TTS와는 감히 비교할 수가 없다. 링크[35][36]

6. 문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이슬란드어/문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들어보기


아이슬란드의 국가(國歌) Lofsöngur


아이슬란드 공영방송 RÚV의 뉴스


LazyTown You Are A Pirate 의 아이슬란드어판. (아이슬란드 작품이지만 LazyTown 자체는 영어로 제작됐으며, 아이슬란드어판은 이를 번역한 것이다.)


아이슬란드의 록밴드 Trúbrot의 Rain.


겨울왕국의 〈 Love Is an Open Door〉 아이슬란드어 더빙판〈Ástin er opnar dyr〉.


Inspired by Iceland의 영상[37]


2013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아이슬란드 출전곡 〈Ég Á Líf〉.


The Mine Song의 원본 노래.


옛 아이슬란드어 찬송가 Heyr Himna Smiður


Sigur Rós의 Góðan daginn.[38]


아이슬란드의 민요.

8. 한국에서 배우기

북유럽어 중에서도 한국에서 배우기 매우 힘든 언어로 알려져 있다. 아이슬란드어의 문법자체가 복잡한데다 한국에서는 아이슬란드어 교재가 거의 없다.[39] 한국의 대학교에도 노르웨이어, 스웨덴어 등 여러 북유럽 언어 학과가 개설되어 있어도 아이슬란드어만큼은 한국 어느 대학교에서도 관련 과정 및 과목이 없고, 교재도 딱 한 권뿐이다. 심지어 이 교재는 단순히 아이슬란드-한국어 사전일 뿐이고 다만 사전 앞과 맨 뒤 부록에서 아이슬란드어의 발음, 명사, 인칭대명사 등등의 기초적인 사항만 설명하고 있다. 2019년 기준 한국에서 한국어로된 아이슬란드어 교재는 이것밖에 없다. 즉 아이슬란드어 맛보기에는 딱 좋을지는 몰라도 전문적으로 배우기 위해선 영어, 독일어 등 메이저 유럽어들로 익히는 편이 쉽다. 일본 도쿄외국어대학아시아에서 유일하게 아이슬란드어 과정이 개설되었으니 참고하자. 그리고 하쿠스이샤에서도 아이슬란드어책을 갈행했다.

9. 기본 회화

안녕 <colbgcolor=#ffffff,#1f2023>Halló 할로우, sæll(남성에게) 사이틀, sæl(여성에게) 사일[40]
안녕(아침인사) Góðan dag(ginn)고우단 닥(인)
잘가 Vertu sæll og blessaður(남성에게) 베르트 사이틀 어그 블라사두르
Vertu sæl og blessöð(여성에게) 베르트 사일 어그 블레쇠드
bless 블레스
만나서 반갑습니다 Gaman að kynnast þér 카만 아드 킨나스 뎨르
어떻게 지내? hvernig hefur þú það? 크베드니 하부르 두 다드?
좋아 Góður(남성) 고우두르, Góð(여성) 고우드
나빠 Vondur(남성) 번뒤르, Vond(여성) 번트
...이 어디 있나요? Hvar er ...? 크봐르 에르 ...?
화장실이 어디있나요? Hvar er klósettið? 크봐 에르 클로우세흐티그?
이름이 뭐예요? Hvað heitir þú? 크바드 헤이티르 두?[41]
저는 ... 입니다 Ég heiti ... 예그 헤이티 ...
당신은 ... 입니까? Heitirðu ...? 헤이티르두 ...?
Já 야우, Jú 유[42]
아니요 Nei 네이
고마워요 Takk 타흑

10. 언어별 명칭

<colbgcolor=#f5f5f5,#2d2f34> 언어별 명칭
아이슬란드어 Íslenska
한국어 아이슬란드어
노르웨이어
덴마크어
Islandsk
독일어 Isländische Sprache
라틴어 Lingua Islandica
러시아어 Исландский язык
스웨덴어 Isländska
에스페란토 Islanda lingvo
영어 Icelandic language
일본어 アイスランド[ruby(語, ruby=ご)]
중국어 [ruby(冰岛语, ruby=Bīngdǎo yǔ)], [ruby(冰島語, ruby=Bīngdǎo yǔ)]
프랑스어 Islandais
핀란드어 Islannin kieli

11. 외부 링크

12. 참고 자료



[1] 내륙이 칠해져 있지 않은 이유는 내륙에서 사람이 거의 안 살기 때문이다. [2] 한국어로 치면 한자어가 없고 그 자리를 모조리 순우리말이 차지한 셈이다. [3] Electricity는 그리스어로 호박을 뜻하는 ήλεκτρον, 또는 Electrum에서 유래했다. 호박을 마찰시켜서 나타나는 정전기를 근원으로 한다. Rafmagn는 이것을 직역한 것. [4] 예를 들어, 한국어에서는 외래어 표기법 그대로 받아들여서 조사를 붙이거나 '하다'를 붙여 활용하면 되기 때문에 마음만 먹으면 외래어를 받아들이기 쉽다. 극단적인 예시로 '구글링하다'가 있다. [5] 참고로 방언 발달은 인구의 규모보다는 지형적 고립성에 더 기인한다. 뉴기니 티모르가 대표적인 경우인데, 해당 지역들은 면적이 작고 인구도 적지만, 워낙 고립이 심해서 중국이나 인도보다도 많은 토착 언어가 사용되고 있다. [6] 두 언어가 접촉하면서 섞여서 생겨나는 언어의 한 형태. 자세한 내용은 크리올어 문서 참고. [7] 바스크어는 다른 유럽 언어들과의 연결점을 전혀 찾을 수 없는 고립어로, 두 언어 모두 배우기 무지하게 어려운 난이도를 자랑한다. [8] 같은 한자 문화권인데 한국, 일본은 행성 유래 요일을 쓰고 중국은 숫자 유래 요일을 쓴다. [9] 영어 Sunday와 동원어 [10] 영어 Monday와 동원어 [11] 영어 Tuesday와 동원어 [12] 영어 Wednesday와 동원어 [13] 영어 Thursday와 동원어 [14] 영어 Friday와 동원어 [15] 영어 Sunday와 동원어 [16] 영어 Monday와 동원어 [17] 독일어 Mittwoch와 동족어 [18] 종교개혁 이전 금요일에는 육식을 금했기 때문에 이런 명칭이 붙었다. 현재도 가톨릭, 정교회에서는 금요일에 육식을 금하는 것이 원칙이다. [19] 얼마나 적은지 감이 안 온다면, 사용자 전체 인구가 서울특별시 강남구는 물론 경상남도 진주시 보다 적다는 것이다. [20] 정확한 발음은 문서 참고 [21] 실제 발음은 o와 ɔ사이 어딘가에 있다. [22] 주로 외래어에 쓰인다. [23] 주로 외래어에 쓰인다. [24] 1973년 정서법을 개정하면서 없앴다. [25] ɛ는 'ㅐ'와 같은 발음이나, 한국어처럼 /e/와의 구분이 희미해진 언어가 많아서, 표기할 때는 태국어 베트남어 정도를 제외하면 보통 'ㅔ'라고 쓴다. 가령 air는 애어가 더 원어에 가까우나 에어라고 표기된다. 실제로 에어라고 해도 영미인들은 차이를 별로 못 느끼기 때문. [26] 가끔 /md/로 발음될 때가 있다. [27] /mt/의 무성음 버전 [28] 한국어에서는 동남 방언이나 충청도 방언 등에서 볼 수 있는 발음. 레이캬비크도 과거에는 거의 레이비크 처럼 소리났었다. 다만 젊은 세대들은 그냥 /kj/처럼 발음한다. [29] 한국어엔 없는 발음이다. 연구개음 참고. [30] 영어의 y. [31] 한국어 '흐름'의 'ㅎ'. 러시아어의 kh도 여기에 들어간다. [32] 예를 들어 fljúga는 '플류아' 비슷하게 읽는다. [33] 거의 'ㅎㄲ'정도로 발음한다고 생각하면 편하다 [34] 물론 원어민 발음을 직접 듣는 것이 가장 정확하지만, 이 경우 원하는 문장이나 단어를 아무때나 말하게 할 수가 없다는 한계가 있다. [35] 언어를 Icelandic으로 설정하고 텍스트 상자에 원하는 말을 아무거나 적으면 된다. [36] 물론 아이슬란드어뿐이 아니라 해당사의 TTS 전반이 질이 매우 높은 편이다. 아이슬란드어마저 있을 정도니 지원하는 언어 역시 굉장히 다양하며 영어 스페인어처럼 사용 국가가 많은 언어들은 각국의 억양을 선택해서 들을 수도 있다. [37] 가사 전체가 아이슬란드어는 아님에 주의. [38] 아이슬란드어로 좋은아침, 좋은 점심을 뜻한다. [39] 한국과 아이슬란드는 지도로 봤을때 서로 끝자락에 있다. 게다가 지리적으로 매우 멀다보니 언어교류도 적은 편이라서 시중에서 유통된 책들이 거의 없다. [40] sæll, sæl은 Góðan dag같은 인사보단 덜 격식적이다. 주로 가족, 친구 사이에서 사용한다. 또한 sæll자체는 원래 행복을 뜻하는 단어이다. [41] 직역하면 '당신은 무엇으로 불립니까?'이다. [42] Já와 Jú의 차이점은 Já는 긍정의문문에서의 대답, Jú는 부정의문문에서의 '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