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6 23:38:46

충무로

충무로5가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타 지역의 충무로에 대한 내용은 충무로(동음이의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tablebordercolor=#dc0d15><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dc0d15> }}}
{{{#!wiki style="color: #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colbgcolor=#dc0d15> <colbgcolor=#ffffff,#191919> 난계로 · 남대문로
다산로 · 동호로
마른내로 · 마장로 · 만리재로 · 무교로
새문안로 · 서소문로 · 서애로 · 소공로 · 소월로 · 소파로 · 손기정로 · 수표로
왕십리로 · 을지로
장충단로 · 중림로
창경궁로 · 청계천로 · 청구로 · 청파로 · 충무로 · 칠패로
퇴계로 · 통일로
필동로
후암로
서울특별시의 도로 틀 둘러보기 }}}}}}}}}

충무로
忠武路 / Chungmu-ro
노선 번호 2707번 서울특별시도
기점 서울특별시 중구 필동1가 충무로역
종점 서울특별시 중구 청계3가 관수교
연장 914m
개통일 - -
관리 서울특별시
왕복 차로수 4차로
주요 경유지 충무로역 을지로3가역 ↔ 관수교

1. 서울특별시 도로
1.1. 개요1.2. 舊 충무로
2. 법정동 충무로
2.1. 이름의 유래2.2. 한국영화계의 메카2.3. 반려동물샵 1번지2.4. 그 외
3. 비유적 의미4. 개그콘서트 과거 코너5. 둘러보기

[clearfix]

1. 서울특별시 도로

1.1. 개요

충무로는 서울특별시 도심의 도로이다. 중구 필동 충무로역 사거리에서 시작하여 입정동 청계천 관수교 남단으로 남북으로 통하는 도로. 부산광역시 서구 암남동 충무동을 잇는 충무대로와도 이름의 유래가 보면 같다 볼 수 있다.[1]

청계3가 관수교 이북으로 돈화문로로 직결. 편도 4차선의 일방통행로이며, 舊 돈화문로에서 관수교 이남을 분리해서 신설되었다.

1.2. 舊 충무로

사실 지금 충무로는 본래의 충무로가 아니다. 현재의 '명동8나길~명동8가길~삼일대로4길~수표로2길~충무로2길~창경궁로1길~퇴계로49길'에 해당되는 골목길들이 진짜 충무로였다. 후술하듯 법정동 충무로1~5가의 영역도 이 골목길을 따라 나 있다.

2. 법정동 충무로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dc0d15>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행정동 법정동
<colbgcolor=#ffd900> 소공동 소공동 | 북창동 | 태평로2가 | 의주로1가 | 충정로1가 | 서소문동 | 정동 | 남대문로2가 | 남대문로3가 | 남대문로4가 | 순화동 | 봉래동1가
회현동 회현동1가 | 회현동2가 | 봉래동1가 | 봉래동2가 | 남창동 | 순화동 | 정동 | 남대문로3가 | 남대문로4가 | 남대문로5가 | 충무로1가
명동 명동1가 | 명동2가 | 장교동 | 무교동 | 다동 | 삼각동 | 정동 | 남대문로3가 | 남대문로4가 | 남대문로5가 | 충무로1가 | 충무로2가 | 태평로1가 | 남산동1가 | 남산동2가 | 남산동3가 | 회현동1가 | 회현동2가 | 회현동3가 | 예장동
필동 필동1가 | 필동2가 | 필동3가 | 주자동 | 남학동 | 충무로3가 | 충무로4가 | 충무로5가 | 예장동 | 장충동2가 | 묵정동
장충동 장충동1가 | 장충동2가 | 묵정동
광희동 광희동1가 | 광희동2가 | 인현동2가 |
구청
예관동 | 쌍림동 | 오장동 | 을지로6가 | 을지로7가 | 충무로4가 | 충무로5가
을지로동 을지로3가 | 을지로4가 | 을지로5가 | 주교동 | 방산동 | 입정동 | 산림동 | 초동 | 저동2가 | 인현동1가
신당동 신당동 | 무학동 | 흥인동
다산동 신당동
약수동
청구동
신당5동
동화동
황학동 황학동
중림동 중림동 | 의주로2가 | 만리동1가 | 만리동2가 }}}}}}}}}

중구 법정동 명칭이기도 하며, 충무로1~5가까지 있다. 다만 위에서 서술했듯, 본래의 충무로는 남북축의 일방통행로가 아닌 동서축의 골목길들이었다. 법정동 충무로1~5가의 영역도 이 길들을 따라 나 있다. 위에서 설명한 현재의 충무로는 원래 돈화문로였던 것을 2010년 도로명주소 개편 과정에서 중구 구간(관수교 이남)만 분리하여 새로 부여한 명칭이다.

2.1. 이름의 유래

나의 친가(親家)는 건천동(乾川洞)에 있었다. 청녕공주(靑寧公主) 저택의 뒤로 본방교(本房橋)까지 겨우 서른네 집인데, 이곳에서 국조 이래로 명인(名人)이 많이 나왔다.
김종서ㆍ정인지ㆍ이계동(李季仝)이 같은 때였고, 양성지(梁誠之)ㆍ김수온(金守溫)ㆍ이병정(李秉正)이 한 시대였으며, 유순정(柳順汀)ㆍ권민수(權敏手)ㆍ유담년(柳耼年)이 같은 시대였다. 그 후에도 노 정승(盧政丞 노수신(盧守愼))과 나의 선친 및 지사(知事) 변협(邊協)이 같은 때이며, 근세에는 유서애(柳西厓 서애는 유성룡(柳成龍)의 호)와 가형(家兄) 및 덕풍군(德豊君) 이순신(李舜臣)ㆍ원성군(原城君) 원균(元均)이 한 시대이다. 서애는 국가를 중흥(中興)시킨 공이 있었고, 원ㆍ이 두 장수는 나라를 구원한 공이 있었으니 이때에 와서 더욱 성하였다.
ㅡ 《성소부부고》 제24권 성소부부고 #
허균의 작품 <성소부부고>에서 묘사된 건천동. 충무공 이순신이 태어난 곳을 묘사했다.

이름의 유래는, 아마도 대부분의 한국인이라면 자연스럽게 떠올리겠지만 충무공 이순신. 광복 이후 일본식으로 된 도로명을 한국식으로 바꿀 당시, 이곳 인근 건천동에서 태어난 가장 유명한 인물인 이순신 장군 시호에서 이름을 따서 붙였다. 현재 명보극장 주변에 충무공이 태어났다는 표석이 세워져 있다. 하지만 사실 정확한 위치는 명보극장 앞은 아니라고 한다.

일제강점기 시절 충무로의 이름은 드라마 야인시대에서도 나와서 잘 알려진 '혼마치(本町)'로, 구한말부터 일본 상인이 일대로 많이 진출하여 상업 중심지가 되었다. 이 거리에 이순신 장군의 이름을 붙인 것도 일본인이 많이 살던 곳이라서 광복 후 일본의 삿된 기운을 다스리고 일제강점기를 청산하는 의미로 붙인 격이기 때문이다.[2]

일찍이 건천동 일대는 "마른내"라고 불리었다. 마른내가 바로 건천(乾川)이다. 비가 올 때만 냇물이 되는 아주 가는 실개천이 흘러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지금은 을지로 퇴계로 사이에 동서로 구불구불 뻗어 있는 도로로,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부터 명동성당을 지나 롯데백화점까지 뻗어 있는 도로이다. 이 길은 일본인 거주구역 중심지인 메이지초(명동)와 혼마치(충무로)가 되었으며, 일제강점기 당시에는 현재의 퇴계로가 존재하지 않았다. 지금의 세운-진양상가 구역과 퇴계로는 2차대전 후반기 미군 폭격을 우려한 일제 당국이 시가지를 철거하고 소개공지[3]를 닦아놓은 곳에 각각 건물과 길을 올린 것이다. 현재는 옛 길에 '마른내길'이라는 도로명을 붙여놓고 있다.

이순신 외에도 조선 시대의 내로라하는 많은 위인이 태어났고 또한 거주했던 곳이다. 세종 때의 정치가인 정인지의 집, 홍길동전의 저자로 유명한 허균과 그의 누이 허난설헌의 친가의 집[4], 북방 개척으로 유명한 김종서의 집, 세조 때의 양성지의 집과 김수온의 집, 연산군 때의 신수근의 집이 이곳에 있었다. 또한 임진왜란 때의 명재상 류성룡 이항복, 고전시가의 대표자이자 예송논쟁의 중추였던 고산 윤선도도 이곳에서 살았다. 실제로 류성룡과 이순신은 이 건천동 시절부터 알고 지낸 막역한 사이다.

2.2. 한국영화계의 메카

1983년 초반에 첫 선을 보인 KBS의 시사교양 프로그램인 추적 60분의 첫 방송 소재가 이 충무로 영화가를 소재를 다루었는데 당시 방영되었던 제목은 "한국의 헐리우드, 충무로 영화가"였다.

과거 이 길가에 대형 영화관과 영화 제작사 사무실이 많았기 때문에[5] 한국 영화 대명사가 되었으며, 이 때문에 충무로 국제 영화제 같은 대규모 행사가 열리기도 했다. 그러나 2010년대 현재 이 지역 전통 극장은 멀티플렉스 유행에 밀려나서 숫자가 크게 줄면서 그나마 변신을 꽤 한 대한극장 등 소수만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가 대부분 폐업 하였다.

자세한것은 충무로 항목 참조.

2.3. 반려동물샵 1번지

퇴계로 5~6가 사이에 위치한 충무로 애견거리는 애견/애묘 매니아들 사이에서 반려동물의 메카라고 하여 명성이 자자한데, '애견센터'라고도 불리기도 한다.

1955년부터 명동 제일백화점 자리에 있었던 국내 최대 애완동물 상점인 '애조원'이 1960년대 명동 개발로 밀려나 충무로로 옮기면서 상권이 형성되었다. 당시까지만 해도 애완동물은 부유층의 전유물이었기 때문에 보통 사람들은 그냥 동물원처럼 눈요깃거리로 취급하는 분위기였으나, 1970~80년대에 걸쳐 경제성장이 진전되고 산아제한 정책으로 가족 형태가 대가족에서 핵가족으로 바뀌자 반려동물 사육 인구가 늘어나면서, 애견 시장 규모가 커져 충무로 애견 상권은 유례 없던 전성기를 누렸다. 당시에는 "애완동물을 사려면 충무로로 가라"는 말까지 나올 정도.

그러나 1999년 안티 충무로 카페가 개설되고 2001년 4월 오마이뉴스 기사와 2007년 1월 MBC 불만제로를 통해 몇몇 점포에서 벌어진 부정적인 면이 폭로되어 애견 타운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졌고, 2010년대 들어 '몰리스펫샵', '펫가든', '이리온' 등 대기업들의 반려동물 판매업계 진출과 인터넷 거래 성행, 충무로 재개발 등으로 예전과 달리 명성을 누리지 못해 어려움을 겪는 상태이다.

리그베다 위키에선 MBC 불만제로 등의 영향으로 해당 항목 내에서 애견 업계에 대한 부정적인 서술이 있었으나, 충무로 애견 업자들이 명예훼손을 이유로 고소할 것[6]이라는 우려로 문단이 삭제되었다. 나무위키에서도 매의 눈으로 지켜보는 업계인이 존재할지 모르니 작성에 유의하자.

2.4. 그 외

영화 골목이라는 이미지는 이제 거의 찾아볼 수 없고 밀집한 인쇄소가 그 이미지를 대신한다. 그리고 인접한 퇴계로 오토바이 거리의 영향으로 모터사이클 점포와 수리점, 용품점들도 아주 많다. 전국적으로도 모터바이크 관련 상가가 가장 밀집된 지역 중 하나. 동국대학교가 인근에 있지만 타 대학가에 비해서 맛집이나 먹자골목은 상대적으로 빈약한 편. 오히려 인쇄소를 상대로 하는 먹자골목이 흥한다. 퇴계로를 기준으로 학생들을 상대로 하는 호프골목은 남단에, 인쇄소를 상대로 하는 먹자골목은 북단에 있다. 인쇄소쪽 먹자골목에서는 추억의 영화 포스터들을 가게 간판에 걸어놓아 과거를 회상하고 있다.

3. 비유적 의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충무로(은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한국 영화를 의미하는 비유적 의미로도 쓰인다.

4. 개그콘서트 과거 코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충무로(개그콘서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90deg, #330d0d 0%, #a52a2a 10%, #a52a2a 90%, #330d0d)"
{{{#!wiki style="margin: -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a52a2a><tablebgcolor=#a52a2a> 파일:이순신 수결 흰색.svg 이순신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a52a2a><colcolor=#fff> 소속 <colbgcolor=#fff,#1c1d1f> 삼도수군통제사 · 선무공신
가족 아내 방수진
장남 이회, 차남 이예, 삼남 이면
맏형 이희신의 아들 이완 · 딸의 시아버지 홍가신
먼 친척 형 이광 · 19촌 이이
후손 ( 이봉상 · 그 외 후손)
관련 인물 친구 류성룡 · 류성룡의 제자 허균
육군 동료 ( 이일 · 신립 · 권율 · 이경록)
수군 동료, 부하 ( 이억기 · 권준 · 김돌손 · 김완 · 김억추 · 나대용 · 무의공 이순신 · 배흥립 · 안위 · 오계적 · 이영남 · 이운룡 · 정운 · 준사 · 최호 · 송희립 · 우치적 · 어영담 · 황세득 · 송여종 · 김인영 · 신호 · 원균 · 배설 · 이언량 · 류형 · 진무성)
주군 ( 선조 · 선조비 의인왕후 · 분조 광해군)
생애 생애 · 전투 관련 · 여담
관련 장소 이순신이 태어난 곳 한양 건천동 · 이순신 일가의 생가 아산
이순신의 묘소 장군묘 · 이순신의 사당 현충사
명량해전이 벌어진 곳 명량수도 · 노량해전이 벌어진 곳 남해 관음포
관련 사건 탄신일 · 니탕개의 난 · 녹둔도 전투 시전부락 전투 · 이몽학의 난 · 백의종군
임진왜란, 정유재란 해전 ( 옥포 해전 · 합포 해전/적진포 해전 · 사천 해전 · 당포 해전 · 당항포 해전 · 율포 해전 · 한산도 대첩 · 안골포 해전 · 장림포 해전 · 절영도 해전 · 초량목 해전 · 부산포 해전 · 웅포 해전 · 장문포 해전 · 명량 해전 · 절이도 해전 · 왜교성 전투 · 노량 해전)
관련 물건 쌍룡검 · 백원 주화 ·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
작품 장계별책 · 난중일기 · 이충무공전서
기록에서의
모습 및 행적
용모 · 창작물
평가 관련 기록 · 평가 · 의문점
창작물 성웅 이순신(1962) · 성웅 이순신(1971) · 난중일기(영화) · 칼의 노래 · 천군(영화) · 명량 · 한산: 용의 출현 · 노량: 죽음의 바다 · 칼의 노래(뮤지컬)
파일:이순신 서명.svg 파일:이순신 수결 흰색.svg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97455, #c3d89d 23%, #c3d89d 77%, #697455)"
{{{#!wiki style="margin: -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c3d89d><tablebgcolor=#c3d89d> 파일:허균 수결.svg 허균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c3d89d><colcolor=#000> 소속 <colbgcolor=#fff,#1f2023> 허씨 5문장 · 북인 · 선무원종공신 · 이달의 문화인물
가족 아버지 허엽 · 이복 형 허성 · 동복 형 허봉 · 동복 누나 허난설헌
이복 누나의 남편 우성전 · 동복 누나 허난설헌의 남편 김성립 · 조카 김희윤
매형 김성립의 이종사촌 신흠 · 딸 소훈 허씨의 남편 폐세자 이지
관련 인물 스승 ( 이달 · 사명당 · 류성룡)
제자 ( 서양갑 · 이식 · 기준격)
친구 ( 강변칠우 · 이매창 · 박엽 · 류몽인)
존경하는 인물 ( 정도전 · 이순신)
본이 되는 인물 ( 방회 · 이지)
작품 내 등장인물 ( 이달 · 홍길동)
주군 ( 선조 · 광해군)
관련 장소 허균 일가의 생가와 외갓집 강릉 · 허균의 친가 한양 건천동
허균 일가의 묘소 용인시 · 허난설헌의 묘소 광주시
친구 강변칠우의 거주지 여주시 · 이매창과 교류한 장소 부안군
관련 사건 임진왜란, 정유재란 · 계축옥사
작품 홍길동전 · 도문대작 · 그 외 작품
기록에서의
모습 및 행적
노비 · 특징 · 생애 · 창작물
평가 평가 · 사상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radius: 4px"
파일:허균 수결.svg }}}

}}}}}}}}} ||



[1] 충무대로는 충무동에서 유래하였으나 충무동 역시 충무로와 마찬가지로 충무공에서 유래하였다. [2] 인근의 을지로도 원래 '황금정(黃金町)'이었는데, 이곳은 중국인( 화교)들이 몰려 상권을 형성했던 곳이라 역시 해방 이후 ' 중국의 기운을 다스린다'는 의미로 을지문덕 장군의 성을 따 '을지로'로 개칭됐다. [3] 공터를 만들어 폭격으로 인한 화재가 더 이상 옮겨붙지 않도록 방화선을 구축해놓은 곳 [4] 허균, 허봉, 허난설헌은 강릉에서 태어났다. 문서 참조. [5] 충무로역 앞에 현재도 운영 중인 대한극장 외에도 현재 아시아경제신문이 입주하고 있는 아시아미디어타워 자리에 있던 스카라극장, 스카라극장의 대각선 위치에 있는 명보극장(현 명보아트홀) 등이 충무로의 대표적인 개봉관이었다. [6] 이미 업계측은 2000년대 초 안티충무로 커뮤니티를 겨냥하며 '허위 사실'이라고 소송까지 불사하겠다고 하며 맞선 바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