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9:11:43

최전첨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ec1c12 40%, #000000 100%); color:#ffffff; margin: -5px -10px; min-height: 26px"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word-break: keep-all"
줄거리 · 평가 · 유튜브 스트리밍
황제는 폐위되셨소이다
등장인물
주인공

파일:무인시대 이의방 아이콘.png · 파일:무인시대 정중부 아이콘.png · 파일:무인시대 경대승 아이콘.png · 파일:무인시대 이의민 아이콘.png · 파일:무인시대 최충헌 아이콘.png
<colbgcolor=black><colcolor=white> 핵심인물 이고 · 채원 · 두경승 · 문극겸 · 조원정 · 허승 · 두두을 · 박진재
이의방 측근 무비 · 조씨 · 사평왕후
이준의 · 이린 · 이춘부 · 오랑
정중부 측근 정균 · 송유인 · 종참 · 순주
경대승 측근 김자격 · 경진 · 손석 · 김광립
이의민 측근 최씨 · 부용 · 아란 · 이지순 · 이지영 · 이지광
박존위 · 부루 · 최부 · 자선
최충헌 측근 송씨 · 최우 · 최향 · 최충수 · 홍련화 · 자운선
노석숭 · 김약진 · 정숙첨 · 노인우 · 만적
황실 의종 · 명종 · 신종 · 희종 · 강종 · 고종
공예태후 · 선평왕후 · 대령후 · 임씨 · 수안궁주 · 성평왕후
신료 김돈중 · 한뢰 · 임종식 · 윤인첨 · 한문준 · 조영인 · 유응규 · 이규보
이소응 · 기탁성 · 진준 · 이광정 · 이영진 · 석린
왕광취 · 최전첨 · 조 환관 · 최 상궁 · 최세보
기타 수혜 · 현소 · 김보당 · 조위총 · 망이 · 망소이 · 김사미
외국인 금 세종 · 야율규 · 완안정 · 걸노 · 합진 · 완안자연 · 포리대완
}}}}}}}}}}}} ||

1. 개요2. 배우3. 극중 행적

[clearfix]

1. 개요

KBS 대하드라마 < 무인시대>의 등장인물. 가공의 인물. 배우 이춘식이 맡았다.

2. 배우

배우 이춘식은 < 정도전>에서는 득보아범 역을, < 징비록>에서는 내관 역을 맡았다.

3. 극중 행적

명종의 환관, 익양후 시절부터 사가에서 함께 한 인물.

명종이 즉위한 후 명종을 부추겨 환관 세력을 키우려고 했고, 이 과정에서 이의방과 충돌한다. 물론 무신정권에 우호적이지 않은 문신들 역시 최 환관을 적대한다.[1]

김보당의 난 당시 김보당과 연계를 취하다 김보당이 좆망테크를 타자 사건이 잠잠해지길 기다리려 했으나 본인이 끌어들였던 조 환관이 진작부터 정중부와 내통하고 있었기에 결국 김보당과 내응하던 게 발각되어 형문을 받고 참수당하게 된다.

명종은 최측근인 최 환관이 자신을 배신을 했다며 충격에 빠지는데, 사실 엄밀히 말하면 최 환관은 명종을 배신한 게 아닌, 김보당을 이용하려는 것 뿐이었다. 일단 김보당의 난을 틈타서 무인들을 살육한 다음, 그들에게 협력하는 척하다 조정의 대신들과 합세하여 김보당 역시 제거하려고 했던 것. 애초에 김보당은 의종을 복위시키려는 세력이었던 만큼, 최 환관 및 명종 측과는 양립이 불가능한 상대였다.

다만 이러한 사실을 명종에게는 전혀 알리지 않았기에 명종은 당연히 최 환관이 배신한 것으로 오해할 수밖에 없었기에 결국 비참한 최후를 맞이하게 된다.[2]


[1] 애초 문신들의 수장인 윤인첨부터가 무신정변에서 살아남은 이유가 의종 때의 환관들과 정적이었기 때문이었다. 무신정권에 우호적이진 않더라도 애초 환관들을 싫어해 환관들과 손을 잡은 문신들과 달리 환관들을 적대했었기에 무신정변에서 살아남은 이들이 생존한 문신들이다보니 애초 이들은 무신들보다 환관들을 더 싫어했다. [2] 일시적이긴 하나 반란군과 손 잡는다는 걸 황제에게 고한다는 게 말이 되나 싶겠지만, 경대승이 거사를 벌이기 전 태자에게 미리 고하였기에 태후와 태자에게서 충신이라는 신임을 얻을 수 있었고 이후에도 황제와 사이가 단단히 틀어지긴 하나 적어도 거사 자체는 부정당하지 않았다. 명종도 무인들을 상당히 안 좋게 생각했으니 결과론적으론 차라리 미리 명종에게라도 해당 사실을 밝히는 게 나았을 것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78
, 3.3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78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