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배역의 실존인물에 대한 내용은 석린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ec1c12 40%, #000000 100%); color:#ffffff; margin: -5px -10px; min-height: 26px"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word-break: keep-all" |
줄거리 · 평가 · 유튜브 스트리밍 | |
황제는 폐위되셨소이다 | ||
등장인물 | ||
<colbgcolor=black><colcolor=white> 핵심인물 | 이고 · 채원 · 두경승 · 문극겸 · 조원정 · 허승 · 두두을 · 박진재 | |
이의방 측근 | 무비 · 조씨 · 사평왕후 | |
이준의 · 이린 · 이춘부 · 오랑 | ||
정중부 측근 | 정균 · 송유인 · 종참 · 순주 | |
경대승 측근 | 김자격 · 경진 · 손석 · 김광립 | |
이의민 측근 | 최씨 · 부용 · 아란 · 이지순 · 이지영 · 이지광 | |
박존위 · 부루 · 최부 · 자선 | ||
최충헌 측근 | 송씨 · 최우 · 최향 · 최충수 · 홍련화 · 자운선 | |
노석숭 · 김약진 · 정숙첨 · 노인우 · 만적 | ||
황실 | 의종 · 명종 · 신종 · 희종 · 강종 · 고종 | |
공예태후 · 선평왕후 · 대령후 · 임씨 · 수안궁주 · 성평왕후 | ||
신료 | 김돈중 · 한뢰 · 윤인첨 · 한문준 · 조영인 · 유응규 · 이규보 | |
이소응 · 기탁성 · 진준 · 이광정 · 이영진 · 석린 | ||
왕광취 · 최전첨 · 조 환관 · 최 상궁 · 최세보 | ||
기타 | 수혜 · 현소 · 김보당 · 조위총 · 망이 · 망소이 · 김사미 | |
외국인 | 금 세종 · 야율규 · 완안정 · 걸노 · 합진 · 완안자연 · 포리대완 |
|
< 무인시대>의 석린 |
[clearfix]
1. 개요
KBS 대하드라마 < 무인시대>의 등장인물. 실존인물 석린을 바탕으로 한 배역이다. 배우 장순국이 맡았다.2. 배우
배우 장순국은 < 태조 왕건>에서 왕건 가문의 충복 '장수장'을 연기하였고, 후속작 < 대조영>에서는 대중상의 의형제 ' 고돌발'을 연기하였다.3. 극중 행적
작품 초에서는 이고의 수하였으며, 이의방, 조원정의 부하이다.천출 무관. 가난한 형편으로 창고의 낱알을 주워먹으며 연명했을 정도로 불우한 과거를 가진 인물로, '총부' 이영진과 세트 메뉴로 이의방 밑에 있다가 그가 죽은 후 조원정 휘하로 간다.
극중에서는 무신정변과 깊은 관련이 있는 인물이다. 1화에서 보현원에 행차하던 의종이 한뢰의 제안에 따라서 대장군 이소응에게 수박 시합을 시키는데, 그 상대역이 바로 '석린'이었다. 이는 아마도 석린이 당시에 하급 무관 출신이기도 했지만, 무술 감독 경력이 있는 장순국의 특기 또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원래 석린은 상대가 대장군이라 적당히 상대하려 했지만 정중부를 거사에 끌어들이기 위한 이의방의 지시대로 봐주지 말고 수박 시합을 벌이게 되고 나이가 많은 이소응이 지는 건 당연지사 였는데 문제는 이때 한뢰가 이소응의 뺨을 때리며 이소응을 모욕하자 정중부를 비롯한 무신들의 분노를 사게 되는데, 정작 이를 중재해야 할 의종이 거기에 동조해서 이소응을 비웃은 건 물론 사태가 커짐에도 대충 얼버무리고 넘기려 하자, 이에 실망한 정중부가 거병을 결심하게 된다.[1] 다만 대장군을 봐주지 않고 무자비하게 공격한 것치고는 별다른 처벌은 받지 않았는데 애초에 석린은 그냥 봐주지 않고 정석대로 대련한 것뿐이며 무인들의 분노는 이소응을 모욕한 한뢰와 문신들 그리고 그걸 웃으며 방조한 의종에게 향해있던지라 별다른 화를 입지 않았다.
오랜 기간 이영진과 세트로 현장에서 구르다 보니, 어느덧 '대장군'까지 승진하게 된다. 실제 기록에 따르면 상장군까지 올랐다고 한다.[2] 사료에 따르면 청탁을 거절한 안찰사의 파직을 명종이 거절하자 어전에서 관대를 내던지며 난동을 부렸다고 하는데, 극중에서는 의종 실록이 편찬될 때 문신들만 참가한 것에 중방이 반발한다는 뜻을 내비치기 위해 명종 앞에서 투구를 바닥에 내리 꽂는 것으로 각색되었다. 정확히는 조원정의 명령을 받아 안찰사를 벌하라고 상소를 올리는데 명종이 즉시 처벌을 해주지 않자 안찰사가 실록이 편찬되면 자신과 같이 정변에 참가한 무신들이 힘을 잃을 것이라고 공공연히 말한다며 그런 사람들을 빨리 처벌하라 화를 낸 뒤 투구를 내던졌다.
조원정의 난이 일어날 때, 이의민의 눈치를 보며 미적지근하게 반응하는 이영진, 정세유 등과는 달리,본인은 발을 빼기는 늦었다고 생각했는지[3] 적극적으로 동조했으나, 이의민이 진작에 거병을 눈치 채고 있었던 바람에 난은 허망하게 실패했고 일단 몸을 피한 후 친구였던 이영진을 찾아가서 황도를 빠져나가게 재물을 좀 달라고 사정한다. 하지만 너무 대놓고 찾아온 탓에[4] 이영진은 그를 관청으로 넘겨버린다. 두 사람은 언제나 짝을 이루며 약방의 감초마냥 등장했는데, 그런 사이가 반역과 관련된 문제 때문에 박살나는 광경은 여러모로 씁쓸하기 짝이 없다. 결국 이영진을 신의 없다고 비난하며 끌려간 후 반역죄로 조원정과 사이좋게 처형당하면서 죽음을 맞는다. 그래도 마지막엔 무인의 자존심을 지키기 위해 자신이 조원정이라는 걸 밝히고 당당하게 최후를 맞이한 조원정과 달리 이영진을 신의 없다고 비난하면서 최후를 맞는지라 좀 없어보인다. 애초에 반역 수괴를 도와준다는 건 빼도 박도 못하는 반역죄로 이영진의 가문까지 멸족당할 수 있는 행위이며 눈치도 없이 대낮에 대놓고 도와달라고 찾아온 걸 보면 생각이란 게 있는지 의심스러운 인물이다.
[1]
원래 정중부는 이의방과
이고의 성화에 못 이겨 의종이 보현원으로 가면 거병을 하고 아니면 거병을 하지 말자고 합의를 한 상태였는데 막상 의종이 보현원으로 가는 와중에도 마음을 정하지 못하고 있었으나 한뢰가 이소응을 모욕하고 의종에게 환궁할 것을 청한
김돈중을 제외한 나머지 문신들과 황제가 이 같은 행태를 말리기는 커녕 이소응을 비웃고 모욕하자 마침내 폭발하여 거병을 하기로 마음을 굳히는 계기가 되었다.
[2]
그런데 이 부분에 있어서 극중 혼란이 몇 차례 있는데 조원정이 석린을 부를 때 상장군이라는 호칭을 쓰는 반면 자막에는 대장군으로 나온다. 의상과 배석도 대장군 위치라 각본과 연출상의 오류로 보인다.
[3]
명종 앞에서 투구를 내리 꽂거나 이의민을 배신하고 뒤통수를 후려치는 등 눈밖에 날 짓을 제일 많이 했고 제일 적극적으로 조원정에게 동조하였으니 빠져나가기는 힘들다고 판단한 듯하다.
[4]
한밤중에 은밀하게 찾아왔으면 모를까, 대낮에 그것도 정세유와 정존실 등이 다 보고 있는 앞에서 도움을 청하는데,
이는 명백하게 반역죄로 연루되어 이영진의 가문까지 멸문지화를 당하고도 남는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