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1 18:33:12

히브리어

이스라엘어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문서는 유대인들의 히브리어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사마리아인들의 히브리어에 대한 내용은 사마리아 히브리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아프리카아시아어족
Afroasiatic Languages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letter-spacing: -0.5px;"
<colbgcolor=#8e912a> 셈어파 <colbgcolor=#8e912a><colcolor=#FFF> 동셈어군 아카드어 · 에블라어
북서셈어군 아람어( 서신아람어 · 투로요어 · 아시리아 신아람어 · 칼데아 신아람어 · 만다야어 · 시리아어 · 사마리아 아람어 ) · 가나안어( 히브리어 · 사마리아 히브리어 · 페니키아어 · 퓨니크어) · 아모리어
남서셈어군 아랍어 ( 아랍어 방언 · 이집트 아랍어 · 하사니야어 · 차드 아랍어 · 수단 아랍어 · 주바 아랍어 · 중앙아시아 아랍어 · 마그레브 아랍어 ) · 몰타어
남부셈어군 사바어 · 하드라마우트어 · 라지흐어 · 소코트라어 · 메흐라어 · 하라시스어 · 그으즈어 · 암하라어 · 티그리냐어 · 티그레어
이집트어파 콥트어 · 고전 이집트어
베르베르어파 누미디아어 · 관체어 · 카빌어 · 리프어 · 실하어 · 샤위아어 · 투아레그어 · 제나가어 · 시와어 · 가다메스어 · 타마지트어
차드어파 하우사어 · 론어 · 볼어 · 바데어 · 부라어 · 투막어
쿠시어파 소말리어 · 오로모어 · 아파르어 · 베자어
오모어파 월라이타어
  • 표시가 된 것은 사멸된 어군 혹은 언어
}}}}}}}}}

셈족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word-break:keep-all"
<colbgcolor=#f4f4f4,#5c5c5c> 동셈족† 아카드인† | 바빌로니아인† | 고대 아시리아인† | 에블라† | 딜문(추정)*†
북서셈족(서북셈족) 히브리인( 유대인 | 사마리아인 | 이스라엘인) | 현대 아시리아인 | 페니키아† | 모압† | 암몬† | 에돔† | 아람† | 아모리인†( 우가리트†) | 칼데아인† | 힉소스(추정)†
남서셈족
( 아랍인)
베두인 | 아랍계 기독교인 | 나바테아인† | 사우디인( 히자즈인) | 현대 이집트인 | 마그레브 아랍인( 몰타인) | 팔레스타인인( 이스라엘 아랍인) | 예멘인( 하드라미인) | 오만인 | 걸프 아랍인 | 요르단인 | 시리아인 | 레바논인 | 이라크인 | 호라산 아랍인 | 중앙아시아 아랍인 | 아랍 흑인( 예멘 흑인( 아크담족) | 이라크 흑인 | 수단 아랍인( 바까라족)) | 무어인( 하라틴인)
남셈족 사바인(추정)**† | 소코트라인 | 마흐라인 | 암하라인 | 티그라이인 | 티그리냐인 | 티그레인 | 마간(추정)**†
표시가 된 것은 사라진 민족
* 동셈계로 추정되지만 확실하지 않다
** 남셈계로 추정되지만 확실하지 않다
독립국
비아랍권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 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 에리트레아 |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독립국
아랍권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모리타니 | 파일: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국기.svg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미승인국)
자치 지역 및 다수 거주지 아라비스탄 | 하타이 | 잔지바르 | 코모로다수 거주국가
해당 지리적 인종 서아시아인 | 아프리카인 | 북아프리카인 | 유럽인
언어 및 문화
언어 셈어파
사상 범셈족주의 | 아랍 민족주의 | 시오니즘
신화 아랍 신화 | 유대 신화 | 메소포타미아 신화(아카드 신화 | 바빌로니아 신화(칼데아 신화) | 아시리아 신화) | 가나안 신화 (아람 신화 | 페니키아 신화 (카르타고 신화))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0038b8> 상징 <colcolor=#000,#fff> 국가 · 올리브 · 다윗의 별 · 이스라엘/국기
역사 역사 전반 · 출애굽 · 12지파 · 이스라엘 왕국 · 유다 왕국 · 바빌론 유수 · 디아스포라 · 홀로코스트 · 중동전쟁
정치 정치 전반 · 이스라엘/행정구역 · 시오니즘 · 리쿠드 · 예쉬 아티드 · 청백동맹 · 야미나 · 이스라엘 노동당 · 이스라엘 베이테이누 · 새로운 희망(정당) · 메레츠 · 연합 아랍 명단 · 샤스 · 유대교 토라 연합 · 종교 시온주의당 · 공동 명단
외교 외교 전반 · JUSCANZ · 이스라엘-팔레스타인-아랍권 관계 · 영국 방안 · 일국 방안 · 양국 방안 · 삼국 방안
경제 경제 전반 · 이스라엘 신 셰켈
교통 철도 환경 · 이스라엘 철도
사회 사회 전반 · 대입능력 계량시험 · 예루살렘 히브리 대학교 · 테크니온-이스라엘 공과대학교
국방 이스라엘군 · 이스라엘 해군 · 이스라엘 육군 · 이스라엘 공군 · 징병제/이스라엘
치안·사법 이스라엘 경찰
문화 문화 전반( 키파) · 유대교 · 요리 · 후무스 · 할라(빵)· 이스라엘/스포츠 · 이스라엘/관광 · 이스라엘 영화 · 이스라엘 축구 국가대표팀 · 히브리어
인물 다비드 벤구리온 · 골다 메이어 · 아리엘 샤론 · 이츠하크 라빈 · 베냐민 네타냐후
지리 갈릴래아호 · 사해 · 골란 고원
사회 이스라엘 마피아
민족 이스라엘인( 아르메니아계) · 이스라엘 아랍인 · 이스라엘계 미국인 · 러시아계 이스라엘인
기타 이스라엘 무슬림 · 이스라엘/논란 및 사건 사고
}}}}}}}}} ||

<colbgcolor=#8e912a><colcolor=#fff> 히브리어
עברית[1]
Hebrew language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Idioma_hebreo.png
: 국어 : 제2언어
유형 굴절어
어순 주어-서술어-목적어 (SVO)
서자방향 우횡서 (오른쪽부터 가로쓰기)
문자 히브리 문자
주요 사용 지역
[[이스라엘|
이스라엘
이스라엘
]][[틀:국기|]][[틀:국기|
속령
이스라엘
]]
원어민 약 500만 명
계통 아프리카아시아어족
셈어파
서셈어군
중부셈어
북서셈어
가나안어
히브리어
언어
코드
<colbgcolor=#8e912a><colcolor=#fff> ISO 639-1 he
ISO 639-2 heb
ISO 639-3 heb
.נאמויקי: עץ הדעת שאתה הולך לעשות
나무위키, 여러분이 가꾸어 나가는 지식의 나무.

1. 개요2. 역사3. 히브리 문자4. 음운
4.1. 자음4.2. 모음
5. 발음6. 히브리어의 계통 및 특징
6.1. 성서 히브리어와의 차이
7. 파생 언어8. 위상9. 한국과 히브리어10. 기본 회화11. 구사자
11.1. 가상 인물
12. 들어보기

[clearfix]

1. 개요

히브리어로 읽은 세계 인권 선언 제 13조[2]
유대인들이 사용하는 언어로 아프리카아시아어족 셈어파에 속한다. 히브리 문자를 사용한다.

이스라엘의 공용어이다. 2000여 년 이상 유대교의 언어로서 히브리 성경( 타나크)이나 미슈나 등의 연구, 종교의식, 기도, 또는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서로 떨어진 유대인 공동체 사이의 소통 수단에서나 사용하던 과거 유대인들의 언어를 근대에 와서 '엘리에제르 벤예후다(אֱלִיעֶזֶר בֶּן־יְהוּדָה, Eliezer Ben-Yehuda, 1858–⁠1922)'가 부활시킨 언어이다. 이 언어의 이름인 '히브리(עִבְרִי / ʿivrí)'는, 기원전 유프라테스 강을 넘어 팔레스타인 지방으로 이주해온 사람들을 ' 히브리인'이라 불렀던 것에서 유래한다. 기원전 2000년경, 가나안(현재의 팔레스타인 및 이스라엘 지역) 지역으로 이주했다고 하는 아브라함 일족과, 그 자손들을 일러 '히브리인'이라 한 것에서, 그들이 사용하는 언어를 '히브리어'로 부르게 된 것이다.

히브리어는 아랍어와 비슷하게 문장을 쓸 때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쓴다. 모음을 나타내는 부호가 있지만 실생활에선 성경, 어린이들과 초급자의 교육용 서적, 혹은 읽기 힘든 외래어나 상품명 등의 고유명사를 표기하는 때 외에는 잘 사용하지 않는다. 때문에 히브리어를 읽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 익숙해질 필요성이 있다. 그런 이유는 사실 히브리어의 문자 체계는 애초에 모음을 표기하지 않았고 언어의 특성 상 그래도 가독성에 문제가 없었기 때문이다.[3] 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방언이 갈라지고, 표준화된 독음의 필요성이 부각되자 학자들이 성경에 새로 다 붙였는데, 이 성경 버전을 마소라라고 부른다. 이는 티베리아스 방언을 기준으로 삼았으며, 이는 이후 부활한 현대 히브리어 모음체계의 기준이 되기도 한다.

사멸했던 언어를 다시 부활시킨 격이기 때문에 현대 문물을 지칭하는 단어가 없다시피 하여 아랍어에서 따온 차용어가 많다. 굳이 아랍어인 이유는 아랍어가 셈어파 언어로서 비교언어학적으로 히브리어와 가깝기 때문이다. 그러나 모든 단어를 빌려온 것은 아니기 때문에 한국어를 배운 사람이 일본어 중국어를 배울 때나 다른 경우들처럼, 한자의 비슷한 발음 덕택에 배우는 데에 조금 편했다고 말할 수 있는 수준까지는 아니므로, 아랍어를 배웠다고 해서 히브리어를 배우는 데에 큰 도움이 된다고 보기에는 힘들 수 있다. 게다가 현대 히브리어 문법은 아랍어와는 다르다.

2. 역사

고전 히브리어와 페니키아어는 가나안어파에 속한 언어로서 한때 원시 가나안어로 같은 언어였으며, 이와 같은 이유로 매우 비슷한 언어이다. 지금이야 페니키아와 이스라엘에서 별 연관성을 못 느낄 수 있어도, 당대인들은 티로·시돈·예루살렘 등지의 사람들을 통틀어서 가나안 사람이라고 불렸다. 물론 일신교를 믿는 이스라엘과[4] 페니키아계 도시국가들은 어느 정도 서로를 구분한 것으로 보이나, 언어와 문자 등을 공유했다. 이러한 특징으로 고전 히브리어와 페니키아어는 혈통적으로도 가까운 언어일 뿐만 아니라, 서로간의 문화적 교류를 통해서도 비슷해졌기 때문에 방언이라고도 볼 수 있을 정도로 유사하다. 이러한 이유로 구약성서학 연구자들은 사람마다 차이가 있을지언정 어느 정도씩은 페니키아어 지식을 갖추었다.

히브리어가 죽은 말이 됨은 오래 전 일이다. 기원전 6세기 바빌론 유수 시대에 아람어가 들어오면서 유대 민중들은 아람어를 입말로 사용했다. 종교적으로는 히브리어를 사용했지만, 민중들에게는 그것을 아람어로 번역해서 가르쳐줄 필요가 있었다. 그리하여 만들어진 것이 구약성경의 '타르굼 역본'이다. 그 후로도 유대인들은 아람어를 더 많이 사용했고, 예수조차도 입말이 아람어였다.[5]

근대 전까지는 기껏해야 종교의례용으로 쓰였지, 살아있는 언어로 쓰이지는 않았다. 하지만 근대 이후 유럽에서는 민족주의의 바람이 몰아쳤고 유대인도 예외는 아니었다. 이 시기 유럽에서 민족정체성을 구분하는 일반적인 기준은 모어였기 때문에 각지에 흩어져 각기 다른 언어(예를 들어 이디시어)를 구사하던 유대인들 역시 자신들의 모어를 정립하고자 한다. 그 결과 벨라루스 태생의 언어학자 엘리에제르 벤 예후다[6]가 사어화된 히브리어를 부활시켜야 한다고 주장했고, 이후 많은 이스라엘인이 히브리어를 필수 공부 요소로 집어넣어야 한다는 시위를 하여 필수요소로 집어넣었기 때문에 대부분의 이스라엘인이 구사할 수 있다. 그러나 이스라엘 인구의 15% 정도인 아랍계 중에는 히브리어를 못하는 사람들이 있다.

또한 이미 수천 년 전에 더이상 사용하지 않다가 부활한 언어이기 때문에 탈무드 성경 같은 문헌자료 외에는 히브리어 어휘를 되돌릴 수 있는 방법도 없었고, 모음표기법조차 제대로 통일되지 않아서 같은 셈어파의 언어인 아랍어에서 상당한 단어들을 빌려와야 했다. 구약시대에는 전등이라든가, 텔레비전이라든가, 자동차 같은 단어가 없었으니까.

3. 히브리 문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히브리 문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음운

모음 5개중 특별히 어려운 모음은 없지만 자음이 한국인들이 익히기 어려운 자음이 있다.

4.1. 자음

순음 치음 연구개음 구개수음 성문음
양순음 순치음 치경음 치경구개음
비음 /m/ /n/
파열음 유성음 /b/ /d/ /ɡ/
무성음 /p/ /t/ /k/ /ʔ/
파찰음 /ts/
마찰음 유성음 /v/ /z/ /ʁ/
무성음 /f/ /s/ /ʃ/ /χ/ /h/
접근음 /l/ /j/

4.2. 모음

전설모음 후설모음
고모음 /i/ /u/
중모음 /e/ /o/
저모음 /a/

5. 발음

<rowcolor=#373a3c> 문자명 문자 일람 IPA 발음
<rowcolor=#373a3c> 현대 히브리 문자 아랍 문자 고대 문자
일반 문자 필기체 페니키아 문자 아람 문자
알레프 Alef א <colbgcolor=white>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7px-Hebrew_letter_Alef_handwriting.svg.png ا <colbgcolor=white>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px-Phoenician_aleph.svg.png <colbgcolor=white>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px-Aleph.svg.png ʔ
베트 Bet 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7px-Hebrew_letter_Bet_handwriting.svg.png ب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px-Phoenician_beth.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px-Beth.svg.png v, b
기멜 Gimel ג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7px-Hebrew_letter_Gimel_handwriting.svg.png ج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px-Phoenician_gimel.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px-Igimel.png g, d͡ʒ
달레트 Dalet ד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7px-Hebrew_letter_Daled_handwriting.svg.png د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px-Phoenician_daleth.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px-Daleth.svg.png d
헤 He ה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7px-Hebrew_letter_He_handwriting.svg.png ه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px-Phoenician_he.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px-He0.svg.png h
바브 Vav ו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7px-Hebrew_letter_Vav_handwriting.svg.png 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px-Phoenician_waw.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px-Waw.svg.png v, o, u
자인 Zayin ז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7px-Hebrew_letter_Zayin_handwriting.svg.png ز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px-Phoenician_zayin.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px-Zayin.svg.png z, ʒ
헤트 Chet ח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7px-Hebrew_letter_Het_handwriting.svg.png 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px-Phoenician_heth.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px-Heth.svg.png x~χ
테트 Tet ט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7px-Hebrew_letter_Tet_handwriting.svg.png ط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px-Phoenician_teth.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px-Teth.svg.png t
요드 Yod י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7px-Hebrew_letter_Yud_handwriting.svg.png ي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px-Phoenician_yodh.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px-Yod.svg.png j
카프 Kaf כ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7px-Hebrew_letter_Kaf_handwriting.svg.png ك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px-Phoenician_kaph.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px-Kaph.svg.png x~χ, k
카프 꼬리형 Final Kaf ך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7px-Hebrew_letter_Kaf-final_handwriting.svg.png
라메드 Lamed ל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7px-Hebrew_letter_Lamed_handwriting.svg.png 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px-Phoenician_lamedh.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px-Lamed.svg.png l
멤 Mem מ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7px-Hebrew_letter_Mem_handwriting.svg.png م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px-Phoenician_mem.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px-Mem.svg.png m
멤 꼬리형 Mem Final ם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7px-Hebrew_letter_Mem-final_handwriting.svg.png
눈 Nun נ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7px-Hebrew_letter_Nun_handwriting.svg.png ن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px-Phoenician_nun.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px-Nun.svg.png n
눈 꼬리형 Nun Final ן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7px-Hebrew_letter_Nun-final_handwriting.svg.png
사메흐 Samekh ס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7px-Hebrew_letter_Samekh_handwriting.svg.png س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px-Phoenician_samekh.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px-Samekh.svg.png s
아인 Ayin ע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7px-Hebrew_letter_Ayin_handwriting.svg.png ع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px-Phoenician_ayin.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px-Ayin.svg.png ʔ
페 Pe 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7px-Hebrew_letter_Pe_handwriting.svg.png ف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px-Phoenician_pe.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px-Pe0.svg.png p, f
페 꼬리형 Final Pe ף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7px-Hebrew_letter_Pe-final_handwriting.svg.png
차디 Tsade צ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Hebrew_letter_Tsadik-nonfinal_Rashi.png ص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px-Phoenician_sade.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px-Sade_1.svg.png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px-Sade_2.svg.png t͡s, t͡ʃ
차디 꼬리형 Final Tsade ץ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7px-Hebrew_letter_Tsadik-final_handwriting.svg.png
코프 Qof ק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7px-Hebrew_letter_Kuf_handwriting.svg.png ق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px-Phoenician_qoph.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px-Qoph.svg.png k
레쉬 Resh ר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7px-Hebrew_letter_Resh_handwriting.svg.png ر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px-Phoenician_res.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px-Resh.svg.png r~ʁ[7]
쉰 Shin שׁ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7px-Hebrew_letter_Shin_handwriting.svg.png 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px-Phoenician_sin.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px-Shin.svg.png ʃ
신 Sin שׂ س s
타브 Tav ת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7px-Hebrew_letter_Taf_handwriting.svg.png ت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px-Phoenician_taw.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px-Taw.svg.png t

사진 원본 출처: 위키백과
발음은 히브리-영어 대역성경 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하다.[8]

글자들을 보면, 비슷비슷하게 생긴 글자가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히브리어와 같은 셈어파언어는 모음을 잘 표시하지 않기 때문에, 자음의 배치가 매우 중요한데, 글자가 비슷하게 생긴 탓에 헷갈려서 다른 글자를 적었다간 전혀 다른 뜻의 단어가 되어버릴 수도 있다. 그래서 손으로 쓸 때는 주로 필기체를 사용한다지만 필기체도 글자가 비슷한 게 은근 있다.

게다가 쉰과 신을 보면, 같은 글자에다가 점을 찍은 위치만 다른데, 이스라엘 사람들은 이 점조차도 생략하는 경우가 대다수다.[9] 이 때문에 히브리어가 수십배는 더 어려운 이유가 될지도 모르겠다.

히브리어의 모음, 단 현대 히브리어에서는 장단음, 초단음을 구별하지 않고, 똑같이 '아, 에, 이, 우, 오'로 통으로 묶어서 발음한다.
<rowcolor=#ffd700> 발음 및 명칭 최장모음 장모음 단모음
아 계열 אָה אָ אַ
명칭 카마츠 말레'(קָמַץ מָלֵא) 카마츠 가돌(קָמַץ גָּדוֹל) 파타아(פַּתַח)
에 계열 אֶי/אֵי אֵ אֶ
명칭 체레에/세골 말레'(צֵירֵי/סֶגּוֹל מָלֵא) 체레에(צֵירֵי) 세골(סֶגּוֹל)
이 계열 אִי אִ
명칭 히릭 말레'(חִירִיק מָלֵא) 히릭(חִירִיק)
우 계열 אוּ אֻ
명칭 슈룩(שׁוּרוּק) 쿱부츠(קֻבּוּץ)
오 계열 אוֹ אֹ אָ
명칭 홀람 말레'(חוֹלַם מָלֵא) 홀람(חוֹלָם) 카마츠 카탄(קָמַץ קָטָן)

히브리어 모음 중에서 유의할 것은 '카마츠 카탄'[10]이다. 아 계열 모음인 '카마츠'를 오 발음으로 사용하는 특이한 사례라서 히브리어를 읽을 때 카마츠가 장모음(개음절)으로 쓰였는지 단모음(폐음절)으로 쓰였는지 유의해서 써야 한다. 이를테면 '지혜'를 뜻하는 'חָכְמָה'는 단순히 보면 '하크마아'로 발음될 것처럼 보이지만, 카프 발음이 셔바로 인해 묵음 처리 되었으므로 헤트 발음이 강제로 닫히게 되어 실제로는 '호크마아'로 발음된다.
<rowcolor=#ffd700> 발음 및 길이 명칭 반모음
묵음(혹은 어 혹은 으) 셔바'(שְׁוָא) אְ

셔바는 히브리어의 가장 특징적인 모음으로 대화를 빠르고 자연스럽게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반모음이라는 명칭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음절이 불완전해지며 거의 묵음에 가까울 정도로 빠르게 발음한다. 히브리어는 문법적인 변형이 빈번하기에 여러 음절이 셔바로 생략되는 것을 자주 발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왕'을 뜻하는 세 음절 히브리어 מֶלֶךְּ(Melek, 멜레엨)를 여성 명사 '여왕'으로 변형하면 מַלְכָּה(Malkah, 말카아)가 된다. 여기서 비슷한 음절 수를 유지하기 위해 ל(라메드)의 모음이 반모음으로 처리되었다.
<rowcolor=#ffd700> 발음 및 길이 명칭 복합모음
아 계열 하타프 파타(חֲטַף פַּתַח) אֲ
오 계열 하타프 카마츠(חֲטַף קָמָץ) אֳ
에 계열 하타프 세골(חֲטַף סֶגּוֹל) אֱ

복합모음은 초단음이라고 말하며 모음 '아, 오, 에'로 낼 수 있는 가장 짧은 단모음이다. 일반적으로 후음 아래서 나타나고, 하타프 세골은 후음 외에는 나오지 않는다.

6. 히브리어의 계통 및 특징

아랍어와 더불어 대표적인 셈어파 언어 중 하나다. 구개수음이 있고 표기할 때 모음 표기를 생략하며 좌서문자(우→좌로 적는다)이고 아랍어의 살람(سلام)과 히브리어의 샬롬(שלום), 히브리어의 엘로아(אלוה)와 아랍어의 알라(الله)와 같이 동일 어근의 단어가 많은 등 상당부분의 공통점을 공유하고 있다.

페니키아 지방의 언어가 중동지방에서 발전을 같이 거쳤기 때문에, 이와 같은 공통점이 많이 나타나는 데다가, 히브리어를 다시 일상용어로써 부활시킬 때 상당수의 단어들을 당시 아랍어에서 차용해왔기 때문에 이런 현상이 두드러지게 된다.

아랍어와 히브리어로 번갈아 가며 부른, 유대인과 아랍인의 평화를 노래한 곡이 있다. 매우 흥겨운 노래. 영어 자막이 있다. 비슷한 어휘가 많이 나옴을 알 수 있다.


모음이 없다는 건 언어 자체에 모음이 없다는 게 아니라 아랍어나 페르시아어처럼 단지 모음 표기를 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비유하자면 thnk y vry mch[11]라고 적어놓고 '땡큐 베리머치'라고 알아서 읽는 식이다. 물론 필요할 때는 글자 밑에 점을 찍는 식으로 모음을 표기한다.

대부분의 오래된 언어들( 그리스어 등)는 오랜 시간을 거쳐 많은 변화가 있지만 히브리어에는 그러한 변화가 적은 편이다. 왜냐하면 수천년 동안 예배 때나 쓰이는 사어였다가 복원한 언어이기 때문이다. 처음 쓰기 시작한 현대인은 엘리에제르 벤 예후다로, 그는 열정적인 시오니스트였다. 그는 아들을 낳고 나서 당시에는 아무도 안 쓰던 히브리어로만 에서 대화를 했다고 한다. 이 때문에 아들은 다른 아이들보다 몇 년 더 늦게 말문이 트였다.

히브리어 알파벳은 숫자에 대응된다. 이를 이용해 단어 단위로 숫자를 쪼개서 문자 → 숫자 → 문자 변환으로 다양한 애너그램이 가능하다. 대런 애러노프스키 감독의 영화 《 파이》에도 이 내용이 나온다.

한국인 입장에서 특이한 점을 몇 꼽자면, 일단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쓴다. 우 횡서가 낯선 사람들에겐 이상하게 느껴질 수도 있다. 또, 수식어가 피수식어의 뒤에 붙는다. 한국어에서는 '멋진 사람' 이라고 하지만, 히브리어로는 '사람 멋진'이 되는 격이다. 마지막으로 과거형이나 미래형 등 시제가 몇 인칭이냐, 남성이냐 여성이냐에 따라 달라진다. 이는 라틴어에서 많이 볼 수 있다.

6.1. 성서 히브리어와의 차이

현대 히브리어와 성서 히브리어는 어순이 다르다. 성서 히브리어는 표준 아랍어와 마찬가지로 동사(V)-주어(S)-목적어(O)가 평서문의 기본적인 형태이며, 시간부사가 나올 때는 맨 앞에 나오는데,[12] 현대 히브리어는 주어(S)-동사(V)-목적어(O)의 형태로, 이는 이디시어의 영향을 받았다고 생각된다.

또한 본래 성서 히브리어는 시제가 아니라 완료/미완료의 만을 구분하는 언어였는데 현대 히브리어는 유럽어에서처럼 과거/현재/미래의 시제를 구분한다. 본래 존재하지 않았던 현재시제는 성서 히브리어의 분사에서 유래했고, 분사 활용을 간직한 덕분에 주어의 수와 성에 따라 형태가 달라질 뿐 인칭에 따라 변하지는 않는다.

7. 파생 언어

여러 곳으로 퍼져나간 유대인들은 현지어를 익히면서 현지어를 그들식으로 묘하게 융화시킨 언어를 썼다. 보통 현지어 바탕+히브리계 종교어휘+히브리 문자 사용의 삼단 콤보를 이룬다. 이들을 가리켜 유대 제어(諸語)라고 하는데 그 종류가 아주 많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세파르딤(북아프리카권/남유럽권 유대인)의 라디노어(유대-스페인어)나 아슈케나짐(서유럽권/동유럽권 유대인)의 이디시어이다. 특히 이디시어는 이 언어로 된 문학작품으로 노벨상을 받은 작가가 있을 정도로 상당한 문학전통도 지니고 있으나, 이스라엘 건국과 더불어 쇠퇴일로에 있으며 현재는 미국의 유대인 공동체에서 쓰이는 정도이다. 그러나 이 언어 몰락의 가장 큰 원인은 나치와 문화적 시온주의이다. 나치는 이디시어를 쓰는 수많은 사람을 죽였고, 시온주의자들은 여러 언어의 짬뽕인 이디시어를 배제하고자 했다.

이디시어는 중세의 옛 독일어를 바탕으로 히브리계 종교어휘 및 슬라브어의 영향을 받은 언어다. 이디시어의 표기 문자는 물론 히브리 문자로, 히브리어 표기에 쓰이는 것과는 다소 차이가 있으며, 가장 큰 차이는 히브리어에 존재했지만 이디시에는 존재하지 않는 일부 글자들을 모음 표기에 사용해 완전히 알파벳처럼 사용하게 된 것. 유대인의 언어가 이처럼 현지어와 다른 것으로 분화한 것은 유대인이 고립된 공동체(게토)에서 오랫동안 분리되어 있었으며, 종교를 바탕으로 정체성을 유지해온 까닭이 크다.

라디노어, 이디시어는 스페인어와 독일어의 옛 형태를 유지하고 있는 경우가 많아, 연구에 참고가 된다고 한다.

8. 위상

히브리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는 나라 또는 문화권으로서는 이스라엘이 유일하다. 유창하게 할 수 있는 인구는 전 세계적으로 1000만 명 정도이다.

현대 히브리어는 사어를 부활시킨 것이라 20세기 전반만 해도 일상 생활에 거의 사용되지 않아서, 나이든 사람들 중에서는 이스라엘 유대인이라도 히브리어가 모어가 아닌 사람들이 많다. 이스라엘의 유대인 비율은 74%이지만 히브리어를 모어로 하는 이스라엘인 비율은 60%밖에 안 되고, 20세 이상은 50%도 안 된다. #

하지만 이스라엘 사람들은 모어가 아니더라도 유치원 초등학교, 이스라엘군 교육기관을 통해 히브리어를 의무적으로 학습하고, 외국에서 이스라엘로 이민한 유대인 이민자들도 울판(Ulpan)이라는 어학당에서 히브리어를 배우므로 대부분의 사람들은 히브리어를 유창하게 할 수 있다. 특히 정·재계의 요직으로 출세하려는 사람들은 히브리어를 어떻게 해서라도 최대한 빨리 배워야 한다. 왜냐하면 오늘날 이스라엘 경제는 정부관료들과 국유기업 위주의 관치경제으로 굴러가는 나라이기 때문이다. 이런 마당에서 국가공무원 지방공무원, 군무원 직업군인, 공기업의 회사원과 관변단체의 직원으로 취직하거나 승진하려면 중앙정부가 강요하는 최소한의 원칙으로서 무조건 히브리어가 유창해야 한다. 그러니 히브리어를 못하더라도 출세하려면 어학당이라도 들어가서 능숙하게 구사해야 한다.

예를 들어 20년간 야드 바솀 총재로 재임한 이츠하크 아라드[13] 아니아 북스타인[14]은 모어가 각각 폴란드어 러시아어지만, 지금은 각각 히브리어로 책을 쓰거나 # 노래를 부를 정도로 # 히브리어를 유창하게 구사한다. 또한 스탠리 피셔(이스라엘은행 총재)[15] 로베르토 바히(이스라엘 중앙통계국장)도 모어가 히브리어가 아니지만 그래도 이 언어로 공무수행이 가능하다. 히브리어를 유창하게 하지 못하는 이스라엘 국민들은 어쩔 수가 없이 민영기업에 취직해야 하는데, 거기서 일하는 노동자들은 영어 프랑스어 러시아어 가운데 최소한 하나라도 대화가 가능해야 오래 일할 수가 있다.[16]

성서 히브리어는 타나크(히브리 성서)에 쓰여진 언어여서, 이스라엘에 가면 싸게 성서 히브리어를 배울 수 있는 곳들이 널렸다. 신학이나 종교학을 전공하는 사람들이 많이 간다. 또 신학교에서는 학부 때부터 필수로 과목이 개설되며, 이전에 배웠던 걸 까먹지 않으려는 몇몇 학생에 의해 교양으로 매번 열린다. 그래서 기독교 서점에 가면 히브리어 교재, 사전, 성서 등을 쉽게 구할 수 있고, 어떤 면에서는 오히려 이 쪽이 국내 히브리어 학습 수요의 대부분이다. 온라인, 오프라인 서점에서 히브리어 어학서적을 찾아보면 다들 기독교계 출판사에서 나왔거나 신학자, 종교인이 쓴 성서 히브리어 서적이 대부분이라 오히려 '현대 히브리어 회화' 같은 실용서적은 찾아보기 힘들다.

철학에서도 나름의 비중이 있는 언어다. 고대 철학은 남아 있는 글이 적은 탓에 그리스어, 라틴어, 아랍어를 제하면 그 다음으로 중요한 언어가 히브리어가 된다. 또한 그리스도교가 고대 철학에도 나름대로 영향력을 끼쳤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러나 아랍어권 나라들에서는 대우가 몹시 나쁜 언어다. 요르단에서는 1990년대의 전반기에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오슬로 평화협정 체결과 함께 요르단과 이스라엘의 상호 승인에 따라 중동아시아의 평화 분위기가 고조되었을 당시 이에 편승하기 위해 암만 대학교에서 히브리어 학과를 만들었었는데 대학생들이 격렬하게 반발하여 히브리어 학과가 폐지되어버렸을 정도였다.[17] 이집트에서는 오래 전부터 지피지기를 강조하는 관청들과 기업들의 수요에 대응하여 여러 곳의 대학교들과 어학원들이 히브리어를 가르치고 있다.

에티오피아의 경우 유대인들의 비중과 위상이 높아지면서 히브리어를 가르치는 경우가 90년대부터 많아지고 있다.

9. 한국과 히브리어

일단은 한국의 기독교인 숫자로 인해서 개신교 신학교에서는 코이네 그리스어와 함께 거의 필수적으로 배우지만 회화를 배우는 것은 아니고 성서 히브리어 문법을 배운다. 히브리어계 외래어( 아멘, 야훼[18] 등.)는 다음 문단 참고.

본래 건국대학교에 히브리어과[19]가 대한민국 내 유일한 정규 전공과정이었으나 2008년 폐과되었으며, 현재는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아시아언어문명학부 내에 서아시아언어문명전공 내에서조차 배울 수 없다. 한국외국어대학교에 '히브리어의 이해'라는 이름의 교양과목이 개설되어 있으며 단국대학교에도 교양과목으로 개설되어 있다. 또한 학원으로 운영하는 방식으로는 이스라엘 문화원이 있으며 스터디 방식에는 노아하이드 히브리어 스터디 그룹이 있다

2018년 12월, 뜬금없이 네이버 사전 고대 히브리어 사전이 수록되면서 한국 최초의 온라인 히브리어 사전이 생겨났다.[20] 그리고 고대 히브리어로 끝나는 게 아니라 현대 히브리어 사전도 수록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2021년말에는 현대 히브리어 사전이 네이버 사전에 수록됐고 듣기도 포함됐다.[21] 히브리어는 한국에서 특수외국어에 포함된 언어중의 하나이다.

시원스쿨에서 히브리어 강좌를 수록한다고 밝혔다. #

한국의 히브리어 강좌는 대부분 기독교인들을 대상으로 한 것이 많아서 주로 성경으로 히브리어를 가르친다.

9.1. 한국에서 자주 쓰이는 히브리어 출신 외래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한국어의 외래어/유대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기본 회화

안녕하세요. (아침 인사) בּוֹקֶר טוֹב Boqer tov 보케르 토브.
안녕하세요. (저녁 인사) עֶרֶב טוֹב `Erev tov 에레브 토브.
안녕하세요. (밤 인사)
안녕히 주무세요/잘 자요
לַיְלָה טוב Lay'lah tov 라ㄹ라 토브.
안녕/안녕하세요/잘 가/잘 있어 שָׁלוֹם Shalom 샬롬.
안녕히 가세요./안녕히 계세요. לְהִתְרָאוֹת L'hit'raot ㄹ힛라오트.
내 이름은 @@입니다. .@@ שמי 셰미 @@.
나는 ...에서 왔다. אני מ ... Ani meh... 아니 메...
어떠세요? (여자에게 말할 때/남자에게 말할 때) מַה שׁלוֹמֵך / מַה שׁלוֹמךָ Ma shlomekh/Ma shlomkha 마 쉴로메크? / 마 쉴롬카?[22]
매우 좋다. טוֹב מְאוֹד tob m'od 토브 ㅁ오드.
예. כֵּן ken 켄.
아니요. לֹא lo 로.
아마도. אוּלַי 'ulay 울라이.
제발, 부디, 미안하지만 בְּבַקָשָה b'vaqasha ㅂ바카샤.[23]
도와주세요! הצילו Hatsilu 하찔루!
불이야! שרפה srefah 쓰레파!
도둑이야! גָּנַב ganab 가나브!
감사합니다. תוֹדָה todah 토다.
대단히 감사합니다. תוֹדָה רַבָּה todah rabah 토다 라바.
미안합니다./실례합니다. סליחה Slicha 슬리하.
천만에요. עַל לֹא דָבָר al lo dabar 알 로 다바르.
영어를 할 줄 아세요? (여자에게 말할 때) את מדברת אנגלית at medaberet anglit 아트 메다베레트 안글리트?
영어를 할 줄 아세요? (남자에게 말할 때) אתה מדבר אנגלית atah medaber anglit 아타 메다베르 안글리트?
...은 히브리어로 어떻게 말합니까? איך אומרים ... בעברית Eych omrim ... be'ivrit? 에이크 오므림 ... 베이브리트?[24]
나는 당신을 사랑합니다. (남자가 여자에게 말할 때) אני אוהב אותך ani ohev otach 아니 오헤브 오타크.
나는 당신을 사랑합니다. (여자가 남자에게 말할 때) אני אוהבת אותך ani ohevet otcha 아니 오헤베트 오트카.

11. 구사자

11.1. 가상 인물

단순히 주문이나 마법 스킬명을 히브리어로 외치는 것은 제외, 히브리어권 출신 캐릭터는 제외. 단 하프나 쿼터인 경우 등재. 하프나 쿼터인 경우 볼드체로 표기

12. 들어보기


ILoveLanguages!의 영상.


Wikitongues의 히브리어 기록.


히브리어 타낙 창세기 1장


위의 영상은 평어체로 읽었지만, 실제 유대교 랍비들은 이슬람 쿠란 독송할 때처럼 정해진 음의 높낮이를 붙여서 읽는다. 위 영상은 과월절에 읽는 토라독송의 모습.


나오미 셰메르의 《황금의 예루살렘(ירושלים של זהב)》의 남성 합창 버전. 영화 쉰들러 리스트에도 삽입된 곡으로, 이스라엘의 비공식 애국가라고 불릴 정도로 유명한 곡이다.


라이온 킹》 OST Be Prepared 번안곡 נתכונן


겨울왕국》 OST Love Is an Open Door 번안곡 דלתות נפתחות


포카혼타스(פוקהונטס)의 Colors of the Wind 번안곡 צבעי הרוח


가사가 구약성경 시편 23편 4절 구절로 이뤄진 이스라엘 특유의 싸이트랜스 EDM. 'Gam Gam'.
가사

גַּם גַּם גַּם כִּי-אֵלֵךְ
감-감-감 키 엘렉
나 비록 음산한 죽음의

בְּ בְּ גֵיא צַלְמָוֶת
비-비 게 살마벳
골짜기를 지날지라도

לֹא לֹא לֹא-אִירָא רָע
로-로-로 이라 라
내 곁에 주님 계시오니

כִּי-אַתָּה עִמָּדִי
키 아자 이마디
무서울 것 없어라

שִׁבְטְךָ וּמִשְׁעַנְתֶּךָ
시브테카 우미쓰아느테카
막대기와 지팡이로 인도하시니

הֵמָּה הֵמָּה יְנַחֲמֻנִי
헤마-헤마 여나카무니
걱정할 것 없어라


오메르 아담(עומר אדם)의 שני משוגעים(Shnei Meshugaim). 2020년 10월 기준으로 6000만 조회수를 돌파했다.


나디브 라파드의 시인 요아브 중


이스라엘 가수 노아 키렐의 Stephane Legar


[1] עִבְרִית‎ / ʿivrít. 국제음성기호 표기는 [ivˈʁit\] 또는 [ʕivˈrit\]. [2] 한국어 해석: "모든 사람은 자국내에서 이동 및 거주의 자유에 대한 권리를 가진다. 모든 사람은 자국을 포함하여 어떠한 나라를 떠날 권리와 또한 자국으로 돌아올 권리를 가진다." 낭독자는 지휘자이자 피아니스트인 다니엘 바렌보임이다. [3] 사실 우횡서, 아브자드는 전부 셈어파 언어들의 특징이다. 문자들의 뿌리도 같다. [4] 일신교로 강하게 규범화되었다기보다는, 고대 이스라엘의 영역 안에서도 다신교 주민과 일신교 주민들이 공존했다. 성경에서 바알이나 암몬 숭배를 시도 때도 없이 비난하는 구절은 바로 이를 반영한 것이다. [5] 예수가 히브리어를 구사했다는 오해가 이스라엘에 퍼져있는 모양이고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도 이를 이야기하다가 프란치스코 교황에게 지적받은 바 있다. [6] 현대 히브리어의 아버지이지만, 이디시어 지지자들에게는 이디시어 말살의 원흉으로 지목된다. 집안에서도 가족들에게 히브리어만 쓰라고 했을 정도였다고 한다. [7] 전통적으로 아슈케나짐은 이디시어의 영향을 받아 구개수음을, 세파르딤을 위시한 비 유럽계 유대인들은 라디노어 아랍어의 영향으로 치경음을 선호했다. [8] 해당 웹사이트에서 사용된 듣기 파일의 주인공은 아브라함 슈무엘로프(Abraham Shmuelof)라는 사람이다. [9] 고대 원시 셈어에선 무성 설측 치경 마찰음 /ɬ/이었다가 두 갈래로 나뉜 것으로 여겨진다. 다시 말해 오늘날 왼쪽에 점찍힌 신ש은 사메흐ס와 발음이 같다. [10] 작은 카마츠라는 뜻을 지녔다. [11] 알레프가 'a'발음이 나지만, 모음으로 쓰이지 않을 때 한정이다. 예를 들어 '아카'라는 단어를 '아+ㅋ+아'로분류할때, 단어 맨앞에있는 '아'는 단독으로 내는 소리이고, 'ㅋ+아'에서의 아는 'ㅏ'소리를 내기위한 모음에 불과하다. 따라서 전자의 경우에서 알레프를 표기하지만 후자의 겻우에는 모음기호등을 붙이게 된다는 것이다. [12] 대표적인 것이 창세기 1:1 [13] 본래 폴란드 유대인으로, 원래 이름도 성이 폴란드식인 이츠하크 루드니츠키(Icchak Rudnicki)였다. 1939년 소련에 병합된 폴란드 동부에 살고 있었다. 바르바로사 작전으로 독일이 소련 서부를 석권하고 유대인 대학살을 자행하자 소련 빨치산에 들어가 활약했다. 2차대전이 끝난 1945년 12월 영국령 팔레스타인으로 불법 이민하여 이스라엘 육군 준장을 지냈다. [14] 본래 러시아 유대인으로, 1990년 소비에트 연방에서 이스라엘로 이민했다. 가수, 성우, 배우 등 다방면으로 활약하고 있다. [15] 이스라엘은행 총재로 영입되기 이전에도 세계은행 수석이코노미스트, IMF 수석부총재를 지냈으며, 미국으로 돌아간 이후에는 재닛 옐런 아래에서 Fed 부의장까지 지낸 거물이다. 교수 시절 박사과정 지도학생들의 면면도 스타군단 수준인데, 벤 버냉키 올리비에 블랑샤르, 그레고리 맨큐의 박사과정 지도교수가 바로 피셔다. [16] 실제로 민영기업에서 회의할 때는 오히려 영어를 히브리어보다 권장할 때도 있다. [17]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을 배경으로 하는 이스라엘의 넷플릭스 드라마 《파우다》에서 유대인 주인공과 아랍인 주인공이 나누는 대화는 극히 일부를 제외하면 모두 아랍어로 이뤄지며, 유대인이 아랍어를 모르는 경우 그냥 영어로 대화한다. 물론 이를 역이용하여 테러리스트들이 대학에서 배운 히브리어로 예비역 코스프레를 하자 보통이라면 험악하기 짝이 없을 이스라엘 육군의 검문을 아주 화기애애한 분위기 속에 가볍게 통과하는 장면도 있다. 다만 이는 근래로 올수록 잘 안 통하는 수법인데, 신 베트 공안부 경찰청 아랍어를 유창하게 구사하는 형사들로 편성한 광역수사대를 파견하여 체포하기 때문이다. 정보기관이나 군경에서는 이렇듯 아랍어 능력이 여러 사람의 목숨을 좌지우지하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히브리어 못지 않게 아랍어 학습 또한 적극 권장하며 인사에도 반영한다. [18] 엘 샤다이 [19] 2005년 히브리중동어과로 변경. [20] 정확하게는 그리스어, 고대 그리스어, 고대 히브리어, 테툼어, 미얀마어 5개 사전이 신설된 것. [21] 덴마크어, 노르웨이어, 우르두어, 타갈로그어, 라오어와 함께 수록됐다. [22] 영어로 치자면 How are you?에 해당하는 말이다. [23] 영어의 Please에 해당. [24] 영어로 치자면 How do you say ...in Hebrew?라고 할 수 있다. [25] 죽기 몇 년전에 공부했다고 한다. [26] 가톨릭 사제. 구약성서의 원문인 히브리어와 그리스어를 한국어로 번역한 성경학자이다. [27] 하마스의 최고지도자로, 과거 이스라엘 감옥 수감 시절에 히브리어를 배웠다. [28] 오스트리아의 총리로 독일어를 포함해서 아랍어, 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히브리어, 헝가리어, 이탈리아어를 구사할 줄 안다. # # [29] 한국어, 영어 이외에 라틴어, 히브리어, 독일어, 중국어에 능통하다고 나온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