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아시아어족 Afroasiatic Languages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letter-spacing: -0.5px;" |
<colbgcolor=#8e912a> 셈어파 | <colbgcolor=#8e912a><colcolor=#FFF> 동셈어군† | 아카드어† · 에블라어† |
북서셈어군 | 아람어( 서신아람어 · 투로요어 · 아시리아 신아람어 · 칼데아 신아람어 · 만다야어 · 시리아어† · 사마리아 아람어† ) · 가나안어( 히브리어 · 사마리아 히브리어† · 페니키아어† · 퓨니크어†) · 아모리어† | ||
남서셈어군 | 아랍어 ( 아랍어 방언 · 이집트 아랍어 · 하사니야어 · 차드 아랍어 · 수단 아랍어 · 주바 아랍어 · 중앙아시아 아랍어 · 마그레브 아랍어 ) · 몰타어 | ||
남부셈어군 | 사바어† · 하드라마우트어 · 라지흐어 · 소코트라어 · 메흐라어 · 하라시스어 · 그으즈어† · 암하라어 · 티그리냐어 · 티그레어 | ||
이집트어파† | 콥트어† · 고전 이집트어† | ||
베르베르어파 | 누미디아어† · 관체어† · 카빌어 · 리프어 · 실하어 · 샤위아어 · 투아레그어 · 제나가어 · 시와어 · 가다메스어 · 타마지트어 | ||
차드어파 | 하우사어 · 론어 · 볼어 · 바데어 · 부라어 · 투막어 | ||
쿠시어파 | 소말리어 · 오로모어 · 아파르어 · 베자어 | ||
오모어파 | 월라이타어 | ||
|
}}}}}}}}} |
{{{+1 {{{#fff 페니키아 · 카르타고 {{{#000 관련 문서}}}}}}}}}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CCC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f0e68c><colcolor=#000> 역사 | 시칠리아 전쟁 | 포에니 전쟁 |
정치 | 왕정 → 공화정 | |
사법 · 치안 | 신성 기병대 | |
도시국가 | 바알벡 | 비블로스 | 시돈 | 우티카 | 티레 | |
경제 | 셰켈 | |
문화 | 페니키아어 | 페니키아 문자 | |
신화 | 바알 | 아세라 | |
지리 | 가나안 | |
인물 | 디도(카르타고) | 한니발 바르카 | 한노 | }}}}}}}}}}}}}}} |
페니키아어 𐤃𐤁𐤓𐤉𐤌 𐤊𐤍𐤏𐤍𐤉𐤌 / Dabarīm kanaʿnīm Phoenician language |
||
<colcolor=#ffffff><colbgcolor=#8e912a> 유형 | 굴절어 | |
어순 | 서술어-주어-목적어 (VSO) | |
서자방향 | 우횡서 (오른쪽부터 가로쓰기) | |
문자 | 페니키아 문자 | |
주요 사용 지역 |
이스라엘, 레바논, 튀니지 | |
원어민 | 없음 | |
계통 |
아프리카아시아어족 셈어파 서셈어군 중부셈어 북서셈어 가나안어 페니키아어 |
|
언어코드 | <colcolor=#ffffff><colbgcolor=#8e912a> ISO 639-2 | phn |
ISO 639-3 | phn | |
글로톨로그 |
phoe1239: Phoenician phoe1238: 푸닉어 |
[clearfix]
1. 개요
[1]페니키아에서 기원후 4세기까지 사용되었던 언어이다.
2. 역사
가나안 지방에서 쓰이던 가나안어에서 BC 12세기 경에 분화되었다.3. 특징
페니키아어는 주로 해안가에서 쓰였고 내륙에서는 히브리어가 쓰였다.마틴 버널은 당시 페니키아어와 히브리어는 방언 차이 밖에 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페니키아인이 지중해 전역으로 진출함에 따라 이베리아까지 페니키아어가 확산되었고 튀니지에서는 베르베르어의 영향으로 푸닉어가 생겨났다.[2] 이후 푸닉어는 점차 소멸해갔지만 마그레브 아랍어 형성에 영향을 끼치게 된다.
타르테소스어가 페니키아어의 방언이라는 설이 있다.
이 언어와 켈트어파의 언어, 이베리아 토착언어와 원시 이탈리아어파의 언어가 섞여 루시타니아어가 탄생했다.
몰타 거주민 숫자가 적었던 데다 아랍화 이전에 몰타인들이 사용했던 언어가 아랍어와 가까운 언어인 이 언어와, 아람어였기 때문에 불과 220년 동안 통치를 받았을 뿐인데 이전에 쓰던 언어의 흔적은 거의 없어져 버리고 완전히 아랍어를 사용하는 지역이 되었으며 나중에 이탈리아어 등의 인도유럽어족 로망스어군 계열 언어가 유입되면서 몰타어가 만들어졌다.
4. 음소
출처4.1. 자음
양순 | 순치 | 치 | 치경 | 후치경 | 경구개 | 연구개 | 구개수 | 인두 | 성문 | |||||||||||
무 | 유 | 무 | 유 | 무 | 유 | 무 | 유 | 무 | 유 | 무 | 유 | 무 | 유 | 무 | 유 | 무 | 유 | 무 | 유 | |
<colbgcolor=white,#1f2023> 비 | m | n | ||||||||||||||||||
파열 | p | b | t / t◌ | d | k | ɡ | q | ʔ | ||||||||||||
마찰 | s / s◌ | z | ʃ | ħ | ʕ | h | ||||||||||||||
접근 | j | |||||||||||||||||||
[ruby(접근, ruby=설측)] | l | |||||||||||||||||||
전동 | r | |||||||||||||||||||
[ruby(연구개, ruby=양순)] | ||||||||||||||||||||
무 | 유 | |||||||||||||||||||
접근 | w |
4.2. 모음
전설 | 후설 | |||
평 | 원 | 평 | 원 | |
<colbgcolor=white,#1f2023> 고 | i / iː | u / uː | ||
중고 | eː | oː | ||
저 | a / aː |
5. 문자
자세한 내용은 페니키아 문자 문서 참고하십시오.6. 어휘
- 𐤂(기멜): 투척 막대기
- 𐤂𐤓𐤎𐤊𐤍(gisco, 기스코): 사쿤(Sakkun) 신의 신도
- 𐤍(눈): 뱀
- 𐤃(달레트): 문
- 𐤃𐤌(돔): 피
- 𐤋(라메드): 몰이 막대기
- 𐤓(레쉬): 머리
- 𐤌𐤌(meme, 메메): 물
- 𐤌(멤): 물
- 𐤅(바브): 갈고리
- 𐤁𐤏𐤋(baal, 발): 주인, 군주, 바알
- 𐤁(bet, 베트): 집
- 𐤎(사메크): 기둥
- 𐤔𐤋𐤌(샬롬): 평화
- 𐤔(신): 치아
- 𐤀𐤓𐤍(아론): 가슴, 상자(궤), 관짝
- 𐤀𐤁(아브): 아버지
- 𐤏(아인): 눈(신체)
- 𐤀(aleph, 알레프): 소
- 𐤉(요드): 팔
- 𐤆(자인): 무기
- 𐤑(차데): 파피루스
- 𐤊(카프): 손바닥
- 𐤒(코프): 바늘
- 𐤊𐤄𐤍(코헨): 제사장, 사제
- 𐤕(타우): 표시
- 𐤈(테트): 바퀴
- 𐤐(페): 입
- 𐤇𐤍(hann, 한): 은총
- 𐤇𐤍𐤁𐤏𐤋(hannibal, 한니발): 바알의 은총
- 𐤄(헤): 창문
- 𐤇(헤트): 담장
[1]
출처:
ILoveLanguages!
[2]
고대 카르타고어라고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