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1 16:05:42

이디시어

이디쉬어에서 넘어옴
게르만어파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북게르만어군 고대 노르드어
OId Norse
동스칸디나비아어군 노르웨이어(보크몰) · 덴마크어 · 스웨덴어
서스칸디나비아어군 노르웨이어(뉘노르스크) · 아이슬란드어 · 페로어 · 노른어
서게르만어군 북해 게르만어군
Ingvaeonic
앵글어군 영어( 고대 영어†) · 스코트어 · 욜라어† · 핑갈어
프리지아어군 프리지아어
저지 독일어
저지 프랑크어군
Istvaeonic
네덜란드어 · 플람스어 · 림뷔르흐어 · 아프리칸스어
고지 독일어
Irminonic
중부 독일어 룩셈부르크어 · 표준 독일어 · 펜실베이니아 독일어
상부 독일어 오스트로바이에른어 · 알레만어( 스위스 독일어) · 오스트리아 독일어
이디시어 · 랑고바르드어†
동게르만어군 고트어† · 크림 고트어† · 반달어† · 부르군트어†
†: 사멸된 어군 혹은 언어 }}}}}}}}}
ייִדיש
이디시어
언어 기본 정보
주요사용국 서유럽 및 북미 아슈케나짐 유대인 공동체
러시아 유대인 자치주[1]
원어민 600,000명 이하
(2021년 관측)
어족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
서게르만어군
엘베게르만어군
고지 독일어
이디시어
문자 히브리 문자
언어 코드
ISO-639-1 yi
ISO-639-2 yid
ISO-639-3 yid
주요 사용 지역
언어별 명칭
영어 Yiddish (Language)
독일어 Jiddisch
러시아어 Идиш
이디시어 ייִדיש [2]

1. 개요2. 현황3. 문자4. 들어보기5. 매체에서6. 외래어가 된 이디시어

[clearfix]

1. 개요

파일:external/farm5.staticflickr.com/5414697398_3f83f1494f_z.jpg
이디시어로 쓴 포스터

이디시어는 아슈케나지 유대인들이 사용했던 언어의 일종이다. 중세 독일어에서 분기되어 내려온 독일어 계통의 언어로 아슈케나짐 문화 정수다.[3]

아슈케나짐 유대인이 주로 활동하던 동유럽 일대에서는 재판 농노제로 인해서 현지인 농노들이 자생적으로 부르주아가 되는 일이 드물었다.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귀족들과 러시아 제국의 귀족들은 농노들이 해방되는 일을 매우 껄끄럽게 여겨서 농노들의 도시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일부러 외지인을 불러들였다. 폴란드는 유대인의 이주를 장려했고 러시아에서는 독일인의 이주를 주로 장려했으며 이들 지역에서 교역과 통상은 거의 독일인들과 유대인들이 장악했다. 이 과정에서 유대인들은 독일인들이 쓰는 말을 배웠는데 (현지 기독교인들이 라디노어나 히브리어를 알아먹을 리가 없으므로) 기독교인들과 거래를 할 때마다 독일인한테 배웠던 말을 그대로 써먹으면서 이디시어가 탄생했다.

히브리어+독일어 방언의 피진에서 시작되어, 폴란드어를 비롯한 슬라브어파의 어휘 유입으로 확립되었다.[4] 이디시어의 표기에는 히브리 문자를 다듬은 것을 쓰는데, 이 때문에 타 민족이 쉽게 알아볼 수 없어서[5] 큰 이질감을 주었다고 한다.

유대인들은 디아스포라로 가는 곳마다 현지 언어+히브리어 영향+히브리 문자표기라는 삼단 콤보로 이른바 유대 제어라는 언어 그룹을 만들어내지만 그 가운데 독보적으로 발달한 것이 바로 이 이디시어다. 이디시어는 중세 기독교의 유대인 탄압으로 어쩔 수 없이 생긴 언어는 아니고[6] 유대인들이 생계를 위해서 기독교인들과 적극적으로 교류하면서 생겨난 언어다.

상술했듯 독일어와 매우 가깝기 때문에 독일어 사용자들은 일단 히브리 문자를 읽을 수만 있다면 고유의 어휘를 제외하면 매우 쉽게 알아들을 수 있다.

2. 현황

아슈케나지 유대인의 모어로 2차 세계대전 이전에는 화자수가 1000만 명에 달했으나, 러시아 제국 소련 반유대주의, 포그롬 등으로 인해서 철퇴를 맞은 상황에서 나치 독일의 유대인 추방과 학살( 홀로코스트)로 언어 사용자의 씨가 말라버리다시피해 오늘날에는 미국 뉴욕, 캐나다 몬트리올 및 이스라엘의 아슈케나지 하레디 유대인 사회를 중심으로 간신히 명맥을 유지하는 정도다. 소련에서는 히브리어를 반동적이라며 이디시어의 사용을 장려했지만 스탈린 시기 이디시어로 문학 활동을 하던 유대계 작가들이 숙청의 칼날을 맞으면서 크게 위축되었고, 2차 세계대전기 이후로도 유대인들이 어느정도 남아있었기는 했으나 이들은 모어로 러시아어를 쓰게 되었다. 극동 지역의 유대인 자치주 비로비잔(이디시어: ביראָבידזשאַן, 러시아어: Биробиджан)에서는 아직 준 공용어로 남아 있기는 하지만 이미 간판만 유대인 자치주일 뿐 유대인 인구가 기회가 되는 대로 이스라엘로 이주해 버리는 바람에 유대인 인구 비중은 1%에도 미치지 못해 전망이 밝지 않다. 유대인 자치주가 세워지기 전에는 러시아계 유대인들이 만주의 하얼빈시로도 많이 이주해서 그 흔적이 남아 있긴 한데 이들도 전부 기회가 되는대로 미국으로 도망가는 바람에 말 그대로 흔적만 남았다.

이스라엘에서도 히브리어 부활로 인해 세력은 미미하고 이디시어보단 차라리 동유럽계 아슈케나지들의 러시아어가 더 많이 통용될 정도다. 이디시어로 된 성씨와 이름도 전부 히브리어로 바꿔 가는 추세다. 이스라엘 건국의 핵심은 아슈케나지 유대인이었지만 이스라엘 건국과 함께 아랍권에서 추방되어 다수 유입된 중동계 유대인인 미즈라힘들이 게르만어파인 이디시어를 전혀 몰랐기 때문에 모두가 전례어로 어느 정도 친숙했던 히브리어를 공용어로 채택하는 것이 선택지였다. 20세기 초반에 먼저 정착한 시온주의자들은 본래 자기네 말도 아니고 남의 언어와 섞인 이디시어에 부정적이어서 의식적으로 히브리어를 썼고 그러다 보니 이미 이스라엘 건국 전에 히브리어가 모어인 정착 2세대가 성인이 되어 있었다. 대표적인 인물이 모세 다얀.

그러나 한편으로는 이디시어 지지자들도 많았는데 이들은 주로 국제사회주의자, 정통파 하시딤 등이었다. 전자는 피착취 민중의 생활어로서, 후자는 속세와 분리된 신성한 히브리어 대신 쓰일 일상어로서 이디시를 지지했다. 히브리/이디시 논란은 20세기 전반 유럽계 유대인 사회의 방향을 놓고 공개적으로 일어난 노선 갈등으로서 유대인 음모론과는 맥이 다르며 이런 경합은 민족국가를 정립하는 과정에서 으레 있는 일이다. 참조할 만한 칼럼. 당장 그리스어도 오스만에서 독립한 뒤 튀르키예어의 잔재를 털어내는 과정에서 민중어 디모티키와 학술적으로 부활시킨 카사레부사의 대립구도 속에서 현대 그리스어가 탄생했다.

이미 이디시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도 많이 이루어졌고, 이디시어 문학 작품도 다수 있으며, 자료도 많이 모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적어도 부활시키고자 하면 부활시킬 수는 있다고 한다. 최소한 라틴어, 만주어처럼 학술어로서 위치는 견고히 지킬 것이다. 지금도 이디시어 사전이 소량으로나마 출판되기까지 할 정도면 언어로서 전망이 밝지는 않아도 잃어버린 언어가 될 가능성은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무엇보다 이디시어는 멸종한 언어가 아니고 이스라엘에서 여전히 현역으로 쓰인다. 하레디 분파 중에 이디시어 지지 분파가 현재에도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들은 모어로 이디시어를 쓰기 때문에 언어가 끊이지 않고 이어지고 있으며 히브리어는 전례용 언어로만 써야 한다고 주장한다.[7] 이스라엘에서 하레디의 숫자가 계속 증가한다는 것을 생각해 보면 이디시어가 죽을 일은 없는 셈이다.

점점 사라지는 이디시어 문헌들을 연구하기 위한 이디시어 디지털 도서관이 존재하는데 스티븐 스필버그가 지원했다.

듀오링고에서 학습이 가능하다.

3. 문자

이디시어는 히브리 문자로 표기한다. 히브리 문자는 아브자드지만 이디시어 문자는 히브리어 유래 단어를 제외하면 모음을 모두 표기하기 때문에 알파벳에 해당한다[8].
문자 이름 로마자(YIVO) 발음[9]
א 묵음 알레프(shtumer alef) - -[10]
אַ 파세흐 알레프(pasekh alef) a /a/
אָ 코메츠 알레프(komets alef) o /ɔ/
ב 베이스(beys) b /b/
בֿ 베이스(veys)[a] v /v/
ג 기믈(giml) g /ɡ/
ד 달레드(daled) d /ɡ/
דזש 달레드 자옌 신(daled zayen shin) dzh /dʒ/
ה 헤이(hey) h /h/
ו 보브(vov) u /ʊ/
וּ 멜루픔 보브(melupm vov) u /ʊ/[12]
וו 츠베이 보븐(tsvey vovn) v /v/
וי 보브 유드(vov yud) oy /ɔj/
ז 자옌(zayen) z /z/
זש 자옌 신(zayen shin) zh /ʒ/
ח 헤스(khes)[a] kh /x/
ט 테스(tes) t /t/
טש 테스 신(tes shin) tsh /tʃ/
י 유드(yud) y, i /j/, /i/[14]
יִ 히리크 유드(khirik yud) i /i/[15]
יי 츠베이 유든(tsvey yudn) ey /ɛj/
ײַ 파세흐 츠베이 유든(pasekh tsvey yudn) ay /aj/
כּ 코프(kof)[a] k /k/
כ ך 호프(khof)[17] kh /x/
ל 라메드(lamed) l /l/[18]
מ ם 멤(mem)[19] m /m/
נ ן 눈(nun)[20] n /n/[21]
ס 사메흐(samekh) s /s/
ע 아인(ayin) e /ɛ/, /ə/
פּ 페이(pey) p /p/
פֿ ף 페이(fey)[22] f /f/
צ ץ 차데크(tsadek)[23] ts /ts/
ק 쿠프(kuf) k /k/
ר 레이시(reysh) r /ʀ/~/r/~/ɾ/
ש 신(shin) sh /ʃ/
שׂ 신(sin)[a] s /s/
תּ 토프(tof)[a] t /t/
ת 소프(sof)[a] s /s/

이디시어로 적힌 글의 예시.
히브리 문자 יעדער מענטש װערט געבױרן פֿרײַ און גלײַך אין כּבֿוד און רעכט. יעדער װערט באַשאָנקן מיט פֿאַרשטאַנד און געװיסן; יעדער זאָל זיך פֿירן מיט אַ צװײטן אין אַ געמיט פֿון ברודערשאַפֿט. א
라틴 문자 Yeder mentsh vert geboyrn fray un glaykh in koved un rekht. Yeder vert bashonkn mit farshtand un gevisn; yeder zol zikh firn mit a tsveytn in a gemit fun brudershaft.
독일어 Alle Menschen sind frei und gleich an Würde und Rechten geboren. Sie sind mit Vernunft und Gewissen begabt und sollen einander im Geist der Brüderlichkeit begegnen.

4. 들어보기






원어인 이디시어로 부른 내게 당신은 아름다워요.

5. 매체에서

이래 보여도 노벨문학상 수상자를 배출한 언어다. 1978년 수상자인 폴란드계 유대인 작가 이츠호크 바셰비스 징게르(יצחק באַשעװיס זינגער‎, 1902년 11월 21일 ~ 1991년 7월 24일)[27]는 이디시어를 모어로 사용했으며 1935년 미국으로 망명한 뒤에도 영어가 아닌 이디시어로 작품 활동을 했다.

이디시어는 모어 사용자는 적지만 자료도 많고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 있어 2010년대에 방영하는 시대극 드라마에서 유대인 이민자 캐릭터들이 이디시어를 쓰는 모습을 방영할 수 있을 정도인데 1920년대 미국을 배경으로 하는 보드워크 엠파이어를 보면 유대인 캐릭터들이 이디시어를 쓰는 장면이 많이 나온다.

넷플릭스 미니드라마 그리고 베를린에서는 주인공이 뉴욕의 하시디즘 공동체에서 자라 많은 등장인물들이 이디시어를 구사한다. 가끔 영어를 섞어 쓰는 경우도 있지만 거의 절반 정도 수준의 분량이 이디시어다. 배우가 "촬영 장소가 베를린으로 바뀌었음에도 이디시어만 들려서 묘했다"고 말할 정도. 메이킹 필름에 따르면 이디시어를 담당하는 선생님이 있다고 한다.

홀로코스트를 다루는 매체 중 고증이 잘 되어 있는 몇몇은 등장인물들이 이디시어로 말하기도 한다. 사울의 아들이 대표적. 헝가리 영화다 보니 헝가리어를 쓰지만 그리스나 폴란드 등 다른 지역에서 온 유대인들과는 이디시어로 대화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울펜슈타인 시리즈의 등장인물, 세트 로스가 이디시어 화자다. 때문에 주인공 일행을 아이들이란 의미에 '킨덜레(קינדער)'라 부르기도 하며, 급하게 이동할 때는 '로쯔(לאָזן)'[28]란 표현을 쓰기도 한다.

6. 외래어가 된 이디시어

이디시어도 히브리어와 함께 유대어(유대 제어)를 이루므로 편의상 한국어의 외래어/유대어 항목에 같이 기술합니다.


[1] 법적 공용어로 이디시어가 지정된 세계 유일한 지역이지만 이스라엘 건국 이후 유대인들이 거의 다 빠져나가서 현재 이디시어 사용자는 매우 적다. [2] 영어 위키백과 이디시어 위키백과. [3] 마찬가지로 세파르딤 유대인들은 라디노어라는 스페인어에서 갈라진 언어를 사용하고 있다. 그 외에도 다른 로망스어군에서 갈라진 유대 제어의 언어들이 일부 존재했지만 라디노어를 제외하면 거의 소멸되었다. [4] 아쉬케나짐 유대인의 성씨 중에는 -berger 같은 독일계 성씨도 많지만 -ski로 끝나는 폴란드계 성씨도 적지 않다. [5] 때문에 몇몇 유대인 상인들이 고객들을 속이는 용도로 이디시어를 악용했다고 한다. [6] 동유럽에서도 유대인 탄압은 종종 있었지만 이디시어를 만들어낸 동유럽 유대인들은 당시 동유럽의 농노들보다 생활 조건이 훨씬 나았다. [7] 물론 대부분의 하레디는 히브리어를 모어로 쓴다. 이디시어를 모어로 쓰고 배우는 사람들은 하레디 중에서도 어디까지나 일부이며 이들도 이스라엘의 공용어인 히브리어를 할 줄은 안다. [8] 비슷한 예로 위구르어 쿠르드어 아랍 문자 표기가 있다. [9] 유대인 공동체마다 정확한 발음은 다를 수 있다. [10] 모음으로 시작하는 단어 맨 앞에 나오며, 별도의 음가는 없다. [a] 셈어 계통 단어에서만 쓰인다. [12] ו 앞뒤나 י 앞에서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쓰인다. [a] 셈어 계통 단어에서만 쓰인다. [14] 음절 맨 앞에선 /j/, 그 외엔 /i/로 읽힌다. [15] /j/로 발음되는 י 뒤나 다른 모음 앞뒤에서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쓰인다. [a] 셈어 계통 단어에서만 쓰인다. [17] 어두나 어중에선 כ, 어말에선 ך로 적는다. [18] 구개음화되면 /ʎ/로 읽힐 때도 있다. [19] 어두나 어중에선 מ, 어말에선 ם로 적는다. [20] 어두나 어중에선 נ, 어말에선 ן로 적는다. [21] 어말에선 /ŋ/, /m/으로 읽힐 때도 있다. [22] 어두나 어중에선 פֿ, 어말에선 ף로 적는다. [23] 어두나 어중에선 צ, 어말에선 ץ로 적는다. [a] 셈어 계통 단어에서만 쓰인다. [a] 셈어 계통 단어에서만 쓰인다. [a] 셈어 계통 단어에서만 쓰인다. [27] 거의 모두 영어식으로 '아이작 바셰비스 싱어(Isaac Bashevis Singer)'로 표기한다. 대표작들은 모두 시와 단편이라 잘 알려지지 않았고 제일 잘 알려진 작품은 영화화되기도 했던 '원수들, 사랑 이야기' 이다. [28] 영어 Let's와 상응하는 독일어 Los에서 온 표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