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거리 | 등장인물 | 회차 목록 | 평가 |
음악 ( 주제가 ・ 삽입곡 ( I Really Want to Stay at Your House)) |
사이버펑크: 엣지러너 관련 틀 | |||||||||||||||||||||||||
|
NETFLIX 오리지널 사이버펑크: 엣지러너 (2022) サイバーパンク エッジランナーズ Cyberpunk: Edgerunners |
|||
|
|||
{{{#efe700,#efe700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장르 | 사이버펑크, 액션, SF, 느와르, 고어 | |
원작 | CD PROJEKT 「 사이버펑크 2077」 | ||
세계관 설정 원안 |
라팔 자키(Rafal Jaki) 마이크 폰드스미스(Mike Pondsmith) |
||
시나리오 원안 |
바르토시 슈티보르(Bartosz Sztybor) 잔 바르트코비치(Jan Bartkowicz) 루카슈 루드코브스키(Łukasz Ludkowski) |
||
감독 | 이마이시 히로유키 | ||
부감독 | 카네코 요시유키 | ||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 와카바야시 히로미(若林広海) | ||
시리즈 구성 |
오오츠카 마사히코 우사 요시키(宇佐義大) |
||
캐릭터 디자인 | 요시나리 요우 | ||
서브 캐릭터 디자인 |
카네코 유토 요시가키 유스케 |
||
미술 감독 | 노무라 마사노부(野村正信) | ||
색채 설계 | 카키타 유키코(垣田由紀子) | ||
촬영 감독 | 카와타 테츠야(川田哲矢) | ||
편집 | 요시타케 마사토(吉武将人) | ||
음향 감독 | 우라카리 히로키(浦狩裕樹) | ||
음악 | 야마오카 아키라 | ||
총괄 프로듀서 |
라팔 자키(Rafal Jaki) 딜런 토마스(Dylan Thomas) 사쿠라이 타이키(櫻井大樹) 우사 요시키 |
||
프로듀서 |
엘더 사야(エルダー爽) 바르토시 슈티보르 가브리엘 모슈코프스키(Gabriel Moszkowski) 혼마 사토루(本間 覚) |
||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
시다 슌스케 츠츠미 나오코(堤 尚子) |
||
애니메이션 제작 | 트리거 | ||
공개 시기 |
2022. 09. 13. 2022. 10. 23. |
||
스트리밍 |
[[넷플릭스| NETFLIX ]] 독점
|
||
편당 러닝타임 | 25분 | ||
화수 | 10화 | ||
시청 등급 | 청소년 관람불가[1] | ||
관련 사이트 | | |
[clearfix]
1. 개요
この[ruby(世界,ruby=せかい)]で[ruby(名,ruby=な)]を[ruby(残,ruby=のこ)]す[ruby(方法,ruby=ほうほう)]はどう[ruby(生,ruby=い)]きるじゃない、
どう[ruby(死,ruby=し)]ぬかよ。
CAN'T MAKE A NAME BY HOW YOU LIVE
ONLY HOW YOU DIE
이 세상에선 어떻게 사느냐로 이름을 떨치는게 아니야,
어떻게 죽느냐로 기억되지
R. 탈소리안 게임스의 TRPG 〈
사이버펑크 시리즈〉와
CD PROJEKT의 오픈월드 RPG 게임 〈
사이버펑크 2077〉를 원작으로 하는 웹 애니메이션 제1탄. 작중의 시점은
원작으로부터
1, 2년 전의 이야기를 담았다.どう[ruby(死,ruby=し)]ぬかよ。
CAN'T MAKE A NAME BY HOW YOU LIVE
ONLY HOW YOU DIE
이 세상에선 어떻게 사느냐로 이름을 떨치는게 아니야,
어떻게 죽느냐로 기억되지
트리거의 대표 감독인 이마이시 히로유키가 지휘봉을 잡았고, 부감독은 카네코 요시유키, 시리즈 구성은 트리거의 대표이사 오오츠카 마사히코, 메인 캐릭터 디자인은 요시나리 요우. 서브 캐릭터 디자인은 카네코 유토와 요시가키 유스케가 맡았다.
부제인 엣지러너는 나이트 시티의 길거리 슬랭으로, 사회의 가장자리(Edge)[2]에서 무법적인 삶을 사는 자들을 뜻한다. 넷플릭스의 공식적인 설명은 무법자 용병.[3] 사이버펑크 2077에서도 진행도 90% 이상 달성시 주인공의 칭호가 '존경'에서 '엣지러너'로 바뀐다.
작중에서 사이버펑크와 엣지러너는 거의 같은 의미로 여겨지는데 일본어 더빙은 사이버펑크라는 표현만 쓰지만, 영어 더빙에서는 3화에서 한 번 사이버펑크를 언급한 후로는 쭉 엣지러너를 사용한다.
2. 공개 정보
2020년 6월 26일, 넷플릭스에서 사이버펑크 2077 세계관을 베이스로 하는 애니가 제작된다는 발표가 올라왔다. # 제작사는 트리거로, 트리거 10주년을 기념하여 만들어지는 작품이라고 한다.실사에 가까운 사실적인 묘사를 하는 게임과 달리 애니메이션은 트리거의 작화를 기반으로 하는 애니메 스타일로 제작되는 것으로 보인다. 내용은 10개의 에피소드로 이루어진 독립된 스탠드 얼론 애니메이션으로, 주인공인 부랑아가 모든 것을 잃을 수도 있는 상황에 부딪히게 되자 무법자 용병인 '엣지러너(EDGERUNNER)'로 활동하게 되는 걸 다룬다고 한다.
2022년이 돼서야 나온다는 발표 때문에 출시 2년 후에 내는 건 너무한 거 아니냐는 반응도 있었으나, 사이버펑크 2077 또한 CDPR의 전작인 더 위쳐 3: 와일드 헌트처럼 발매 이후 꾸준한 사후 지원과 DLC를 예고한 상황이기 때문에 그렇게 큰 문제가 되지 않을 수도 있었다.
2020년 12월 10일, 게임이 홍보했던 것과는 비교도 되지 않는 처참한 완성도로 출시되어 애니메이션의 흥행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게 됐다. 출시 후 CDPR에서 기존에 약속했던 대로 계속하여 패치를 진행하고 DLC도 출시할 것임을 다시 한번 알려 언젠가 게임이 고쳐질 거란 희망의 끈을 놓지 않은 플레이어들도 있었다. 공개된 로드맵에 따르면 2022년 즈음에는 출시 당시 게임이 가지고 있는 대부분의 버그와 문제들은 고쳐질 것으로 점쳐졌기 때문에 오히려 엣지러너의 공개 타이밍이 개선된 사이버펑크 2077을 소개하기에 적절할 수도 있고, 결과적으로 프랜차이즈 전체에 다시금 활력을 불어넣어 줄 수 있을 거라고 예측하는 시각도 있었다.
하지만 2021년 8월, 1.3 패치를 적용한 이후로도 게임의 완성도는 좋다고 평가하기 어려운 수준이며, 출시한 무료 DLC의 퀄리티에 대해서도 일말의 호평을 찾아보기 힘든 상황이다. 더불어 여러 소식통을 통해 들려오는 회사 내외부의 분위기도 영 좋지 않으며, CDPR은 2021년 11월 현재까지도 맨 처음 공개한 두루뭉술한 로드맵 외에 구체적인 향후 개발 계획을 전혀 공개하고 있지 않다. 게임의 평가를 넘어 회사의 신뢰도 자체가 위태로운 상황이라 엣지러너에 대한 기대감도 큰 폭으로 떨어졌다. 다만 이후 2022년 2월 16일, 대규모 패치(1.5 패치)를 통해 어느 정도 봐줄 만한 수준까지 바뀌긴 했다.
물론 게임은 게임이고, 애니메이션은 애니메이션이기 때문에 아직 본 작품에 대한 기대가 완전히 사그라들지는 않았다. 게임이 홍보 단계에서 뿐만 아니라 출시 후 혹평을 들은 이후로도 사이버펑크 2077의 세계관과 스토리,아트웍 만큼은 좋은 평가를 받았기 때문이다.
2.1. PV
|
PV 제1탄 |
|
멜스트롬 갱 트레일러 |
|
공식 예고편 |
|
NSFW[4] 트레일러 |
2.2. 키 비주얼
메인 키 비주얼 | |
|
|
티저 비주얼 | 1차 키 비주얼 |
캐릭터 키 비주얼 | |
|
|
데이비드 마르티네즈 | 루시나 쿠시나다 |
|
|
패러데이 |
3. 줄거리
자세한 내용은 사이버펑크: 엣지러너/줄거리 문서 참고하십시오.4. 등장인물
자세한 내용은 사이버펑크: 엣지러너/등장인물 문서 참고하십시오.
{{{#efe700,#efe7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 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 bgcolor=#246781,#246781><table bordercolor=#246781,#246781>
TV 애니메이션 사이버펑크: 엣지러너 등장인물 & 성우진 |
|
|
|
|
데이비드 마르티네즈 CV KENN / 잭 아귈라 |
루시나 쿠시나다 CV 유우키 아오이 / 에미 로 |
|
|
|
|
메인 CV 토치 히로키 / 윌리엄 C. 스티븐스 |
도리오 CV 카이덴 미치코 / 마리 웨스트브룩 |
|
|
|
|
키위 CV 혼다 타카코 / 스테파니 웡 |
필라 CV 타카기 와타루 / 이안 제임스 콜렛 |
|
|
|
|
레베카 CV 쿠로사와 토모요 / 알렉스 카사레스 |
팔코 CV 카세 야스유키 / 매튜 머서 |
|
|
|
|
리퍼닥 CV 츠다 켄지로 / 보르게 에티엔느 |
패러데이 CV 이노우에 카즈히코 / 지안카를로 에스포지토 |
5. 설정
자세한 내용은 사이버펑크 2077/세계관 및 설정 문서 참고하십시오.
{{{#efe700,#efe700 {{{#!wiki style="margin: 5 -10px;" {{{#!folding [ 에피소드 별 주요 설정 ▼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align=left><tablewidth=100%><tablebordercolor=#270046><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246781><colcolor=#fff> | ||
명칭 | 간단 설명 및 사진 | 공식 사이트 설명 | |
에피소드 1 | |||
NCPD[5] | Night City Police Department. 나이트 시티의 치안을 담당한다. | 나이트 시티 경찰청(NCPD)은 기업의 후원을 받는 경찰로, 나이트 시티의 치안을 책임집니다. NCPD는 기업이 기업다운 행동을 할 수 있도록 도시의 평화를 유지하기 위해 존재합니다. | |
맥스택 | Maximum Force Tactical Division. NCPD 소속의 사이버 사이코 전담 특수 대응 팀. | 맥스택은 NCPD의 정예 특수 부대로, 사이버 사이코 제거라는 단 한 가지 목적에 전념합니다. 맥스택 요원은 사용할 무기를 직접 선택할 수 있고, 최고의 사이버웨어와 신형 프로토타입 장비를 지급받으며, 작전 수행에 관해 자유를 보장받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엄청난 특권에도 불구하고, 제정신이 박힌 사람이라면 맥스택에 절대 지원하지 않을 것입니다. | |
사이버 사이코 |
육신을 대체하는 사이버 웨어 수술을 많이 받게 되면 발생 확률이 높아지는 신체의 거부 반응 극단적으로 진행될 경우 이성을 잃고 미쳐 날뛰는 상태가 된다. | 사이버 사이코시스는 신체에 이식된 하드웨어와 행동 개조 부품, 소프트웨어로 인하여 발생하는 정신병적 불안 관련 인격 장애를 종합적으로 일컫는 용어입니다. 대다수의 사람은 이러한 장애의 원인이 사이버웨어의 결함 때문이라고 생각하지만, 이에 동의하지 않는 사람도 있습니다. | |
ICE | Intrusion Countermeasures Electronics 침입 대응 전자장치. | ICE는 침입 대응 전자 기술(Intrusion Countermeasures Electronics)의 약자로, 네트워크에서 가장 발전된 형태의 보안 기술입니다. 정신이 제대로 박힌 기업이라면 데이터 요새를 수호하기 위해 넷러너로 구성된 해킹 부서를 갖추고 있습니다. 반면에, 자존심이 있는 넷러너라면 기업 ICE에 백도어를 확보하고 서브넷에 침투하기 위해 갖은 노력을 다합니다. | |
BD | Braindance 브레인댄스의 약어. 시각, 청각, 촉각 등의 감각과 감정 등의 다양한 정보를 녹화하여, 다른 사람에게 신경 전달을 통해 그 사건을 동일하게 체험할 수 있는 매체이다. 그 중 XBD는 불법 브레인댄스 영상물을 말한다. | 브레인댄스는 사람의 의식적 경험을 기록("스크롤")해, 영화를 보는 것처럼 간편하게 그 경험을 "체험"할 수 있도록 타인에게 전달하는 기술입니다. 다만 체험을 위해서는 원본 기록을 가공 또는 편집해야 합니다. | |
리퍼닥 | 사람의 몸에 임플란트를 이식해주는 사람으로 기술자와 의사가 결합된 직업이다. | 리퍼닥은 외과 의사와 테키, 예술가 사이의 어딘가에 위치하는 직업입니다. 여유가 되는 사람이라면 리퍼닥에게 가서 최신 임플란트를 시술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운이 나쁜 사람이라면 리퍼닥 클리닉 앞에서 몸이 조각 난 채 친구로부터 버려진 뒤, 그저 리퍼닥이 조립해주기만을 바라게 될 겁니다. | |
트라우마 팀 | 신속한 대응 의료 서비스를 전문으로 하는 의료 서비스 업체. 강력한 범죄가 횡행하는 작중 시점에서는 민간군사기업 수준으로 중무장을 하고 있다. | 트라우마 팀 인터내셔널은 나이트 시티 최대의 의료 서비스 제공 업체로, 의료 제품부터 시작해 건강 보험 의료용 임플란트, 교체 수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트라우마 팀은 엄청난 대중의 신뢰를 받는 유일한 기업일지도 모릅니다. | |
아라사카 | 보안, 금융 및 제조를 다루는 거대한 글로벌 기업으로 밀리테크와 경쟁 관계이다. | 아라사카 코퍼레이션은 세계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메가코프로, 보안 분야에서 세계 1위를 달리고 있습니다. 오늘날, 아라사카 코퍼레이션은 거대 무기 제조 기업으로서, 전 세계의 무력 분쟁에 개입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최신 기술의 발전과 아라사카의 화수분과도 같은 자본력 덕분에, 아라사카는 자신이 꿈꾸는 거대한 규모의 정치적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지위에 서게 되었습니다. | |
사이버웨어[6] | 몸에 이식하는 기계 및 전자 기기를 통칭하는 단어. 크롬 이라고도 부른다. | 사이버웨어(임플란트 또는 크롬)는 인간의 신체에 장착하는 장치로, 다양한 유형이 존재합니다. 눈에 장착하면 시력을 향상시켜 주는 사이버웨어가 있는가 하면, 다리에 장착하면 점프력을 높여 주는 사이버웨어도 있습니다. | |
산데비스탄 | 중추신경계에 연결하는 반사 부스터 임플란트로 사용 시 자신을 제외한 모든 것이 느려진다. | 산데비스탄(사이버웨어)은 필요할 때 작동시킬 수 있는 일시적인 상태 효과입니다. 산데비스탄은 지정된 시간 동안 시간을 일정 비율로 늦추는 기능이 있기 때문에, 산데비스탄의 사용자는 일반적인 사람들의 눈으로는 쫓을 수 없을 정도로 빠르게 움직입니다. | |
사이버펑크 (엣지러너)[7] |
용병을 뜻하는 단어로 주로 픽서로부터 임무를 받아 진행하고 보상을 받는 걸 업으로 하는 사람. 사이버펑크 2077 게임 기준으로는 솔로/테키/넷러너 등이 있다. 아슬아슬한 삶을 사는 용병, 작중에서는 JK가 만든 XBD 시리즈의 이름이기도 하다. | 사이버펑크 혹은 엣지러너는 위험천만한 삶을 살고 언제나 자신을 한계까지 몰아붙이는 사람들을 말합니다. 이들은 단순히 아등바등 살아가는 데 그치지 않고 끊임없이 자신을 위험에 몰아넣으며, 실패는 곧 죽음을 의미하는 세상에서 아찔한 삶을 살아갑니다. | |
에피소드 2 | |||
기업인 | 나이트 시티에서는 기업인을 상류층으로 가르킨다. 원작 TRPG에서 용병(솔로), 경찰, 픽서 등과 함께 별도의 클래스다. 한국어로 흔히 생각하는 "기업인", 즉 사업가와는 의미가 다르고, 대기업의 임직원 전반을 가리킨다. 원어는 Corpo인데, "기업인"보다는 "기업쟁이", "양복쟁이" 같은 느낌이다. | 기업인들은 나이트 시티의 상류층으로, "부유하고 강력한 달변가"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또한, 근사한 정장을 입고 다니는 게 특징입니다. 기업의 총수와 같은 인물에게 충성을 바치는 캐릭터들이 기업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
스캐빈저 | 사람들을 납치해 임플란트를 뽑아 판매하는 집단. 현실로 보면 장기매매단에 가깝다. | 스캐빈저는 고품질의 임플란트를 입수하는 일은 전문으로 합니다. 이들의 목적은 표적의 물건을 뺏는 것부터 불법 매매 활동까지 매우 다양합니다. | |
에피소드 3 | |||
타이거 클로 | 나이트 시티에서 두번째로 큰 대규모 세력 갱단이며 주로 칼, 바이크 등을 몸에 지니고 다닌다. | 타이거 클로는 잘 조직된 갱으로 매우 효과적이며 지능적이고 활동을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또한, 조직원들의 대다수는 아시아계입니다. 타이거 클로는 주로 재팬 타운, 리틀 차이나, 가부키, 차터 힐에서 활동합니다. | |
픽서 | 용병들에게 일을 알선해주는 중개인 딜러. | 픽서는 용병과 의뢰인 사이에 다리를 놓는 중개인입니다. 이들은 용병에게 사람을 붙여 주고, 가격을 협상해 주고(그중에 자기 몫도 있으니까요), 작업 중에 상황이 심각해지면 구해 주기도 합니다(물론 멍청한 실수 때문에 그렇게 됐다면, 알아서 빠져나와야 할 겁니다). | |
에피소드 4 | |||
테키 | 공학 관련 기술자. | 테키는 처음 보는 장비가 있으면 전부 해체한 다음 다시 조립해야 직성이 풀리는 사람들입니다. 이들은 전기 패널을 열기만 해도, 전원을 끊는 방법뿐만 아니라, 엘리베이터를 원하는 층에 보내고, 경보 시스템을 다시 연결하거나, 군용 로봇을 안전하게 원격으로 조종할 방법을 알아낼 수 있습니다. 또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만나는 곳이라면 어디가 됐든 테키가 필요합니다. 브레인댄스 편집이 그 대표적 예라고 할 수 있겠군요. | |
넷러너 | 몸에 넷을 연결해서 해킹, 첩보 같은 일을 맡는 직업. | 넷러너는 컴퓨터 시스템, 프로그래밍 언어, 살인 바이러스 제작 및 개조 방법을 속속들이 꿰고 있습니다. 덱을 손에 쥔 넷러너는 완전 무장한 기업 요원만큼이나 위험한 존재입니다. 넷러너는 대부분 어디에도 소속되지 않고 프리랜서로 일하지만, 개중에는 메가코프와 계약을 맺고 기업의 데이터 요새를 강화해 침입이 불가능하게 만들기도 합니다. 오늘날의 기업은 다들 제대로 된 넷러너 부대를 고용하고 있습니다. | |
멜스트롬 | 나이트 시티 안에서 일하는 갱단 중 하나이며 몸의 절반을 기계로 바꿀려고 하는 갱단. | 멜스트롬은 왓슨 구획과 북부 산업 구획(NID)을 장악한 갱단입니다. 멜스트롬은 위협적인 안면과 적대적인 안구 임플란트로 쉽게 알아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모습은 멜스트롬 소속임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사이버웨어와 사이버 개조에 대한 이들의 광적인 집착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 |
에피소드 7 | |||
밀리테크 | 신미합중국 연방정부 소유의 국영 군산복합체로 무기 제조 및 민간 용병 계약을 전문으로 하는 메가코프(초거대기업)다. 아라사카와 경쟁 관계이다. | 밀리테크 인터내셔널 아마먼츠는 전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와 영향력을 자랑하는 기업 중 하나입니다. NUSA에서 연방 정부를 지지하는 것으로 잘 알려진 이 기업은 무기와 특수 군사 장비를 포함해, 정부에 물자와 인력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 |
기타 | |||
나이트 시티 | 작중 배경이 되는 캘리포니아 북부와 남부 사이에 위치한 자유도시. | ||
면역 억제제 | 사람의 몸에 임플란트 시술을 많이 받으면 거부 반응이 발생하는데 이 반응을 낮춰주는 약물이다. 사용하지 않으면 점점 거부 반응이 강해지면서 사이버 사이코 증세가 발현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 ||
5.1. 무기 및 장비
자세한 내용은 사이버펑크 2077/장비, 사이버펑크 2077/장비/총기 문서 참고.-
M-10AF 렉싱턴
데이비드가 초반부에 사용하며, 7화에서 신참 훌리오가 가져왔다. NCPD들이 사용하는 권총으로도 등장한다.
-
유니티
루시가 사용하는 권총, 슬라이드가 보라색이다.
-
HJEK-11 유키무라
1화에서 제임스 노리스 중위가 오마하와 함께 사용하며, 8화에서 데이비드가 에니멀 갱단과의 전투에서 사용한다.
-
M-76E 오마하
1화에서 제임스 노리스 중위가 유키무라와 함께 사용한 권총, 레베카도 사용한다.
-
오버추어
도리오가 사용하는 리볼버로 등장.
-
RT-46 부르야
팔코가 사용하는 리볼버로 등장.
-
카니지
레베카가 개조한 "거츠"가 등장하는데, 이 총은 게임에서 같은 디자인으로 습득 가능하다.
-
DB-2 사타라
1화에서 제임스 노리스 중위가 사용하며(맥스택의 공격으로 파괴된다.), 7화에서 훌리오가 데이비드에게 받아서 사용한다.
-
L-96 주오
6화에서 메인이 트라우마팀, NCPD와 교전을 벌일때 사용한다. 이후 데이비드가 9화에서 사용한다.
-
크러셔
메인이 사용, 이외에도 레베카도 잠시 사용했다.
-
TKI-20 신겐
7화에서 레베카가 멜스트롬과 전투를 벌일때 마사무네와 함께 사용한다.
-
HJSH-18 마사무네
1화에서 제임스 노리스 중위가 사용하며, 7화에서 레베카가 신겐과 함께 사용한다.
-
M-179E 아킬레스
맥스택의 주 무기로 등장. 노리스 중위가 사살당할 때 맥스택 요원이 노리스 중위 코앞에 들이대고 쏜 바로 그 총이다.
-
D5 코퍼헤드
밀리테크 병력의 주무장으로 등장하며, 레베카도 사용한다.
-
MK.31 HMG
8화에서 레베카가 에니멀 갱단과 전투를 벌일때 사용한다. 10화에서는 아담 스매셔가 사용.
6. 음악
자세한 내용은 사이버펑크: 엣지러너/음악 문서 참고하십시오.
OP This Fffire |
ED Let You Down |
||||
노래 | <colcolor=#010101> 프란츠 퍼디난드 | 노래 | <colcolor=#010101> 다비드 포드시아드워 | ||
삽입곡 I Really Want to Stay at Your House |
7. 회차 목록
- 대부분의 퀘스트 명을 영미권 대중음악에서 따 왔던 원작처럼 모든 회차가 음악의 제목으로 되어있는데, 이는 역시 제목을 음악들과 음악 장르에 관한 명칭으로 채웠던 카우보이 비밥에 대한 오마주로 추정된다. 다만 카우보이 비밥은 대부분 재즈, 블루스 록에 관련된 곡인 반면 본작은 팝이나 힙합 음악의 제목이 대다수이다. 또다른 공통점이라면 각각의 엔딩 테마곡을 에피소드의 제목에도 사용했다는 것인데, 카우보이 비밥은 마지막 회차에 엔딩 테마의 제목을 사용한 반면 본작은 첫 회차에 사용했다는 점이다.
- 원작에서 퀘스트 타이틀을 대중음악의 제목이라는 고유성이 있어서 한글화를 할 때 ‘영문 제목 [한글화된 제목]’의 형식으로 병행 표기하여 번역하였는데, 애니메이션의 타이틀 또한 원작의 한글화 형식을 따라 병행 표기되어 있다.
- 전화 총 작화감독: 요시나리 요우
<rowcolor=#efe700,#efe700> 회차 | 제목[8] | 각본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제1화 |
Let You Down[9]/期待を背に Let You Down [기대와 실망] |
우사 요시키 (宇佐義大) |
카네코 요시유키 | 카네코 요시유키 |
타케다 나오키 (竹田直樹) 요시가키 유스케 |
제2화[10] |
Like A Boy[11]/少年は何を思う Like A Boy [소년처럼] |
우사 요시키 오오츠카 마사히코 |
시모다이라 유이치 (下平佑一) |
하세가와 테츠야 (長谷川哲也) 사카모토 마사루 |
|
제3화 |
Smooth Criminal[12]/裏稼業 Smooth Criminal [어둠의 무리] |
아메미야 아키라 |
오오와다 마이 (大和田麗衣) |
타무라 에미 (田村瑛美) 카네코 유토 |
|
제4화 |
Lucky You[13]/ツキが回って Lucky You [행운아] |
카네코 요시유키 |
후루카와 아키라 (古川゙晟) |
하가노 요시후미 (波賀野義文) 도히 시몬 (土肥志文) |
|
제5화 |
All Eyez On Me[14]/刺さる目線 All Eyez On Me [시선 집중] |
나카노 코다이 (中野広大) |
아라이 히로키 (荒井洋紀) 우다 사키코 |
||
제6화[15] |
Girl on Fire[16]/炎に包まれて Girl On Fire [불꽃에 휩싸이다] |
이카라시 카이 | 카네코 요시유키 |
이카라시 카이 칸노 이치고 |
|
제7화 |
Stronger[17]/もっと強く Stronger [더욱 강한 모습으로] |
오오츠카 마사히코 | 미야지마 요시히로 |
무네히로 토모유키 (宗廣智行) |
요시가키 유스케 타케다 나오키 |
제8화 |
Stay[18] /いかないで Stay [가지 마] |
시모다이라 유이치 |
타무라 에미 하세가와 테츠야 아라이 히로키 타케다 나오키 요시가키 유스케 |
||
제9화 |
Humanity[19]/人間らしさ Humanity [인간답게] |
카네코 요시유키 | 후루카와 아키라 |
하가노 요시후미 도히 시몬 |
|
제10화[20] |
My Moon My Man[21]/私の月、私の恋 My Moon My Man [나의 달, 나의 사랑] |
이마이시 히로유키[22] 스시오 요시나리 요우 |
나카노 코다이 |
스시오 요시가키 유스케 하세가와 테츠야 아라이 히로키 도히 시몬 하가노 요시후미 요시나리 요우 |
8. 평가
자세한 내용은 사이버펑크: 엣지러너/평가 문서 참고하십시오.9. 흥행
넷플릭스 시청 시간 | |||
<rowcolor=#efe700> 날짜 | 전체 순위 | 비영어 순위 | 주간 시청 시간 |
2022-09-12(월) ~ 2022-09-18(일) | 15위 | 8위 | 14,880,000시간 |
2022-09-19(월) ~ 2022-09-25(일) | 14위 | 7위 | 13,760,000시간 |
2022-09-26(월) ~ 2022-10-02(일) | 14위 | 7위 | 11,090,000시간 |
2022-10-03(월) ~ 2022-10-09(일) | 18위 | 8위 | 8,020,000시간 |
공개 후 28일간 시청 시간 | 49,000,000시간[23] | ||
누적 시청 시간 | 47,750,000시간+α | ||
Netflix Top 10 집계 기준 |
9.1. 원작 판매량 증가
원작이 되는 사이버펑크 2077도 큰 수혜를 얻고 있는데, 애니가 공개되기 일주일 전 업데이트한 1.6 패치를 엣지러너 업데이트로 명명하고 1.6 패치로 애니메이션과 연계되는 요소들이 새로 추가됐으며, 공개와 함께 50% 할인을 진행하면서 애니메이션을 통한 신규 유입과 복귀 유저들 덕에 스팀 기준 동시 접속자가 크게 늘어났고 판매 순위 1위를 찍었을 정도로 게임 홍보에도 성공한 모습을 보여줬다. 또한 22년 4월까지 1800만 장을 팔았던 게임이 9월 말에 2천만 장을 돌파했는데 패치와 핫픽스, 엣지러너의 성공이 있었기에 가능한 수치라고 보고 있다.10. 한국 넷플릭스 공개
한국 넷플릭스에서는 한때나마지만 볼 수 없었다. 영상물등급위원회의 등급분류 처리 지연으로 인해 연기된 줄 알았으나, 9월 15일 기준 영상물등급위원회의에 심의 신청조차 되어있지 않았었다. 우선 한국 넷플릭스가 영등위에 신청부터 넣어야 하는데 신청도 안 넣은 상황이라 언제 공개될지 불투명한 상황이었다. 이 때문에 한국 사람들은 그 때 당시에는 VPN으로 시청하고 있었는데, 넷플릭스가 한국 시청자들을 넷러너로 전직시킨다는 드립이 성행했었다.10월 6일 기준으로 드디어 신청완료되었다. 신청완료 후 진행중, 심사완료 단계를 거치는 데에 대략 2주 정도가 걸린다는 점, 넷플릭스가 한국에서 독점 애니메이션이 심의 완료되어도 한참 뒤에 공개하는 경우가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11월은 지나야 공개될 것으로 보였었다.
그러나 10월 17일 한국 넷플릭스에 10월 23일 일요일 공개로 확정되었다. 전세계에 비해서 한달 이상 늦게 공개하는 것이지만, 여타 심의로 인해서 공개가 밀렸던 애니메이션들과 비교하면 매우 빠르게 공개한 케이스에 속한다.
예정대로 10월 23일 한국 시간 오후 4시에 공개되었다. 게임판과는 달리 대부분의 넷플릭스 판권 일본 애니들이 그렇듯이 한국어 더빙판은 나오지 않는다.
11. 제작 비화
|
|
<rowcolor=#efe700,#efe700> 제작 비화 #1 | 제작 비화 #2 |
- 처음에는 CDPR에서 보내준 대본을 그대로 따라서 만들었고 특히 1화는 CDPR이 녹음까지 해 놓은 걸 그대로 따라갔으나 트리거의 대표이사 오오츠카 마사히코는 각본은 재밌기는 한데 게임에 어울리지 애니메이션에 어울리는 내용은 아니라며[24] 난색을 표했고 CDPR이 원하는 방향성과 트리거가 잘 만들 수 있는 내용의 합의점을 찾는 과정에만 자그마치 2년이 걸렸다고 한다. 또한 트리거가 수동적으로 CDPR의 지시를 따르기만 한 것도 아니다. 예를 들어 9~10화의 경우 지금보다도 훨씬 더 잔혹하고 비참한 배드엔딩이었기에 트리거가 난색을 표하며 자기 멋대로 수정했는데 운좋게 이를 CDPR이 마음에 들어하여 그대로 갔고, 레베카의 경우는 온전히 트리거가 만들어낸 새로운 캐릭터다. 제작진 말대로는 레베카처럼 그릴 때 즐거운 캐릭터가 한 명 정도는 있어야 했다고. 참고
- CDPR은 트리거에 세 가지 버전의 스토리를 제안했다. 그 중 제일 먼저 보낸 플롯의 제목은 픽서. 패러데이에 포커스를 맞춘 내용이었다고 한다.동영상 23분 참조. https://youtu.be/cbbmLdB6CIY?t=1392
- 사이버펑크 2077의 사이드 프로젝트임을 감안해서 무기와 전투 방식[25]은 물론이고, 배경, 등장인물 등이 거의 완벽하게 반영되었다.
- 배경으로 쓰이는 곳은 실제로 게임 내에서 모두 방문 가능한 곳이다.[26] 트리거 애니메이터/스토리 보드 작가 등이 실제 게임을 플레이하며 맵을 왔다갔다 하며 지역 탐사를 했고, 각 장면에서 액션이 어떻게 플레이 될지, 또 다른 씬에선 화면전환으로 인해 배경화면이 어떻게 보일지 등을 세심하게 구상했다고 한다. 배경과 구도의 레이아웃을 짤 때 연출가와 애니메이터가 게임을 캡처해서 레이아웃으로 썼다고 한다. 개발 버전을 사용해서 정식 출시된 게임에서는 할 수 없는 카메라 앵글로 캡처를 할 수 있었다고 한다. 부감으로 하늘에서 내려다 보는 것도 가능했다고 한다. 그래서 스태프롤에 '캡처 레이아웃'이라는 직책이 있다. 주로 산토 도밍고의 아로요, 배드랜드 외곽 지역, 도심 플라자 지역 등이 등장한다. 세부 내용은 나이트 시티 문서 참고.
- 실제 게임을 플레이하며 연구한 덕분인지 전투 방식에 대한 묘사 또한 게임에서 구현이 가능한 수준으로 정확하다. 각 캐릭터의 능력과 특성은 레베카의 쌍수 무기와 사이버 스켈레톤을 제외하면 모두 바닐라 인게임에서 캐릭터 빌드로 구현이 가능하고, HJSH-18 마사무네의 3점사, HMG의 상대적으로 느린 연사 속도와 같은 각 총기별 특성도 살려냈으며, 데이비드의 가장 중요한 능력인 산데비스탄을 파워 총기와 병행해서 사용할 때는 느려져보이는 탄속을 보완하기 위해 영거리 사격을 주로 한다는 사실까지 반영되었다. 또한 데이비드의 비상식적 운전, 메인이 한 허공에서 NCPD가 출현한다는 말 등등 다양하게 보여준다.[27]
12. 기타
- 부제인 엣지러너(Edgerunners)는 블레이드 러너의 오마주다. 다만 뜻하는 바는 서로 상이하다. 엣지러너는 아슬아슬한 삶을 사는 솔로를 칭하는 단어이지만 블레이드 러너는 살아있는 것 자체가 불법인 폐기 레플리컨트들을 처리하기 위한 형사팀의 이름이다. 칼날 같은 경계를 거니는 용병과 공권력의 이름 하에 칼자루를 쥐고 달려오는 사형집행인으로 대조를 이룬다.
- 공개 당시 인터뷰에서 트리거의 사장 오오츠카 마사히코가 트리거의 10주년을 기념하여 최고의 제작진을 꾸렸다고 발표했다. 실제로 공개된 주요 스태프들은 트리거의 창립 멤버부터 사장과 부사장까지 총집합 한 이보다 더 높을 순 없는 제작진이다. 그래서인지 엣지러너의 대성공을 본 시청자 중엔 닌자 슬레이어 프롬 애니메이시욘를 두고 한탄을 하기도 했다고.[28]
- 트리거의 전작 SSSS.DYNAZENON 마지막 화에서 본작의 포스터가 소품으로 붙어있었다. 일종의 제작사 전통인 차기작 홍보다.
- 게임 내에 죽은 사람의 이름을 따 칵테일을 만드는 애프터라이프에 존재하는 칵테일 중 재키 웰즈, 조니 실버핸드, 데이비드 마르티네즈가 있다 보니 원작 게임의 과거 시점으로 추정되고 있다.[29] 또한 애프터라이프의 칵테일 이름이 된 사람들은 대개 처절한 최후를 맞이했기 때문에, 이 애니 역시 비극적인 결말로 끝날 복선[30]이라 보는 시선이 많다. 또한 배경이 나이트 시티인 만큼 게임의 관련 등장인물들이 애니메이션에 나올 것으로 추정된다.[31]
- 이마이시 히로유키가 감독한 트리거 작품에서 개근했던 성우들인 이나다 테츠, 코니시 카츠유키, 히야마 노부유키, 신타니 마유미가 주연 성우진에 포함되지 않았다. 에피소드 별 단역에 캐스팅 될 가능성도 존재하지만 보통 주요 조연에 캐스팅 되기에 의외라는 반응이 많다.
- 원작 게임에서 애니메이션 방영을 기념하기 위한 특별 아케이드 모드를 공개하였다.
- 원작 게임은 한국어 음성을 지원한 것에 비해 애니메이션은 한국어 더빙을 지원하지 않는다. 최초 공개 당시에는 일본어와 영어 음성 더빙만 지원했고, 추후 이를 포함한 13개의 언어 더빙을 지원한다. 지원하는 음성 언어 목록은 다음과 같다.
- 체코어,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헝가리어, 인도네시아어, 이탈리아어, 일본어, 폴란드어, 포르투갈어(브라질), 스페인어(남미), 스페인어(브라질), 태국어
- 영상 공개 이후 원작 수록곡인 < I Really Want to Stay at Your House>에 대한 인지도가 크게 증가하여 관련 2차 영상 창작물에서 널리 쓰이고 있다. 해당 문서 참조.
-
아래는 게임과 애니메이션의 요소를 비교한 정보.
비교 영상
<rowcolor=#efe700,#efe700> 게임 내 요소가 애니메이션 반영된 점 모음 | 게임 내 애니메이션 등장 지역모음(1분 37초부터) |
- 사이버펑크 엣지러너를 다루는 유튜브 중 Bumper Jumper 이라는 유튜버는 데이비드는 죽지 않았다는 내용의 동영상을 올려 화제가 된 적이 있었다.[35] 해당 동영상의 핵심 내용은 첫째는 메인, 도리오, 레베카 등의 인물들은 죽는 장면이 그대로 묘사되었지만 데이비드만은 피가 흩뿌려진 채 정확하게 죽은 장면을 묘사하지 않았다는 점, 두 번째는 사이버펑크 2077에서 팔코가 데이비드의 죽음을 암시하는 내용 등이 있지만 애매모호하다는 점, 세 번째는 아라사카는 이전부터 데이비드의 사이버웨어 적응 능력을 보았고 사이버 스켈레톤을 통해 테스트 자료를 얻으려는 것이 목적이었는데 허무하게 죽인다는 것은 아깝다는 점[36], 네 번째는 시즌 1이 성공했고 CDPR과 넷플릭스는 이 시리즈를 활용하고자 하는 의향이 있는데 시즌 2를 만들지 않는다면 이는 아까운 것이라고 주장하는 등의 내용이 들어있다.[37] 해당 내용들은 영어인 점은 주의해야한다. David Is NOT Dead, The Untold Truth About David's Death [38]
- 충격과 공포의 닛신식품 공식 콜라보레이션 컵라면 광고가 나왔다(...) 엣지러너 오프닝 애니메이션을 패러디했다.[39] 트리거의 공식 일러스트.
-
애니메이션의 흥행으로 시즌 2를 원하는 팬들의 목소리가 많았으나
포브스를 통해
CDPR이 공식적으로 "지금 엣지러너 2기 계획은 없다"고 선언했다. 본래부터 단독 시즌으로 기획했기 때문에 추후 애니를 더 만든다 해도 엣지러너 2기가 될지 다른 애니가 될지 모른다.
#
- 하지만 2024년 8월 28일 CDPR 상반기 실적 발표에서 이전 "엣지러너 시즌2 계획은 없다"라는 말을 뒤집고 "CDPR은 사이버펑크 세계관을 배경으로 한 애니메이션을 다양하게 계획 중이다"라는 계획을 밝혔다. # #2 #3
[1]
등급분류 결정내용: 성행위가 구체적으로 제시되고 노출도 노골적이어서 선정성 수위가 높고, 총기 등을 이용한 여러 살상장면들에서 신체훼손과 유혈 표현이 노골적이어서 폭력성과 공포의 표현 수위도 높은 청소년관람불가
(내용정보 표시항목: ) [2] 때문에 같은 사이버펑크 장르의 게임이자 사회에 저항하는 세력과 주인공을 다룬 게임 미러스 엣지 시리즈의 엣지 역시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재미있게도, 엣지러너 애니메이션의 '러너'는 기본적으로 넷러너를 포함한 해킹을 주로 다루는 가상 공간에서의 해커들을 의미하는 공각기동대와 뉴로맨서, 블레이드 러너 속 의미를 그대로 가져왔으나, 미러스 엣지 시리즈에서의 러너는 정말로 현실에서 두 발로 뛰는 러너들을 의미한다는 점이 차이이다. [3] Mercenary Outlaw. [4] 유혈, 성(性)적 묘사들이 가감없이 나오니 관람 시 주의. NSFW는 후방 주의(Not Safe For Work)라는 뜻이다. [5] 나이트 시티 경찰청 / 나이트 시티 경찰 [6] 임플란트 또는 크롬 [7] 애니메이션에서만 사용하는 단어로 원작 게임에서는 사용 예를 찾아보기 어렵다. [8]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스트리밍사인 넷플릭스판을 기준으로 한다. [9] 본작의 엔딩 테마 Let You Down [10] 원화 사토 토시유키, 오구로 아키라, 우다 사키코, 니이 히로타카, 사카모토 마사루, 도히 시몬(土肥志文) 등. [11] 시에라의 싱글 Like A Boy [12] 마이클 잭슨의 Smooth Criminal [13] 에미넴의 Lucky You [14] 투팍 샤커의 All Eyez on Me [15] 원화 이가라시 유키, 미키 타츠야, 사토 토시유키, 이카라시 카이, 칸노 이치고 등. [16] 앨리샤 키스의 Girl on Fire [17] 카니예 웨스트의 Stronger [18] 더 키드 라로이, 저스틴 비버의 STAY [19] 스콜피온즈의 Humanity [20] 원화 니이 히로타카, 우다 사키코, 사이토 타쿠야, 미키 타츠야, 칸노 이치고, 카네코 유토, 스기에 토시하루, 스시오, 요시가키 유스케, 도히 시몬, 이카라시 카이제2원화, 요시나리 요우제2원화, 이마이시 히로유키제2원화 등. [21] 파이스트의 My Moon My Man [22] 이마이시가 콘티 원본 작성. 스시오와 요시나리가 예쁜 그림으로 클린 업. [23] 2022년 3분기 실적 발표 보고서에서 공개 # [24] 원안은 패러데이가 중심인 플롯이었고, 카메라워킹이나 액션 등 여러 요소가 애니메이션보다는 영화에 더 가까웠다고 한다. [25] 각 캐릭터의 빌드를 인게임에서 따라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며 작품에서 쓰인 무기와 특수 능력도 게임과 비슷하게 구현되어 있다. [26] 대표적으로 데이빗이 살았던 아파트는 산토 도밍고 아로요 지역의 메트로: 월리즌 스트리트 옆에, 메인의 팀이 자주 모여서 뒷풀이를 가졌던 터보의 바(Turbo's Bar)는 메가빌딩 H8 옆 강가쪽에, 루시의 아파트는 바로 그 옆에, 레베카와 필라의 아파트는 왓슨 노스사이드 지역의 롱쇼어 북부에 있다. 자세한 내용은 위 애니메이션 등장 지역모음 영상 참조. [27] 전자의 경우엔 게임 내에서의 꽤나 붕뜨는 조작감으로 구현할 수 있지만 게임쪽에서 이동수단 사용 중에 사이버웨어 사용이 가능해지는 특전을 추가해 산데비스탄을 운전 중에 사용할 수 있도록 수입했고, 후자는 게임의 대표적인 조롱거리였지만 현재는 NCPD가 이동수단을 사용해 접근하는 방식으로 바뀌면서 메인의 사이버사이코화를 부각하는 장치로만 남게 됐다. [28] 비록 인살어를 필두로 닌자와 관련된 정신나갈 듯한 설정 때문에 덜 부각될 뿐이지 닌자 슬레이어도 엄연히 사이버펑크 장르의 작품이며 애니메이션을 제작한 제작사도 동일하다보니 닌자 슬레이어 애니메이션의 제작진이 엣지러너의 제작에 참여하기도 했다. [29] 1.6 패치 이후 나온 보조 임무를 통해 작중 배경이 본편으로부터 1년 전인 2076년 시점이라는 걸 알 수 있다. 순식간에 실적을 쌓아 애프터라이프에 입성했다가 크게 사고를 쳐서 위태로운 상황에 몰렸다는 것까지 V와 일맥상통한 삶으로 보인다. 보조 임무를 이어가다 보면 데이비드의 팀원 중 한 명이었던 팔코와 메시지를 주고받게 되는데, 그 일에 대해 입에 올리기는커녕 가판대 밑 쥐처럼 숨죽이고만 있다며 더 이상 파고들지 말아달라 간청하고 데이비드의 자켓을 보상으로 넘겨주는 것으로 끝난다. [30] 플래그스러운 발언들도 많고, 게다가 애니 오프닝의 여러 장면들(산데비스탄을 사용해 달리면서 사지와 몸이 분리되는 모습 등)과, 특히 마지막 장면이 복선임을 알 수 있다. [31] 본편에서의 캐릭터가 등장한 건 애프터라이프에서 로그, 애머슨, 클레어가 목소리 없이 지나가듯 출연했으며 와카코는 7화에서 목소리로만 한 번 등장. 또한 아라사카에서 픽서 목록을 열 때 파드레, 레지나 존스 등의 인물이 등장하며 아담 스매셔가 10화 중후반부터 최종보스로서 등장했다. [32] 이 경우에도 현장직은 V가 다 도맡는다. [33] 인게임 초반에 알 수 있겠지만, 이미 V는 뇌가 곤죽이 되었다가 소생했다. 작중 플레이어 입장에선 V가 조니와 이야기를 해도, 타인이 보기엔 여러 차례 혼잣말을 하는 듯한 행동들로 보이게 된다. 즉, 이미 정신 상태는 사이버 사이코시스 상태와 비슷하게 있는 것이라 유추해 볼 수 있다. 다만 후유증을 논하기엔 작중의 사건들도 꽤 짧은 시간에 일어난 일들이고, V도 시한부 판정을 받은 몸이라 사이코시스 후유증이 발현되기까지는 시간이 부족했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34] 특히 화제가 된 4화의 사이버 사이코 장면의 원화를 담당한 애니메이터 사토 토시유키는 본 작품의 1, 2, 6화의 원화를 담당했다. [35] 해당 동영상은 조회수가 71만에서 55만을 찍었다. [36] 해당 유튜버도 만일 이 부분으로 시즌 2를 제작한다면 아담 스매셔가 죽은 뒤 데이비드 스매셔가 되어 아라사카에 세뇌당하거나, 데이비드를 이용해서 루시를 유인시키는 내용으로 만들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했다. [37] 해당 유튜버는 The Untold Truth About David's Death 편에서도 이 동영상을 많은 곳에 공유해달라는 말을 남겼다. 그렇게 하면 사이버펑크 제작자 및 작가들에게 영감을 줄지도 모른다는 말을 남겼다. [38] 다만 이마이시가 데이비드는 정말로 죽었다고 말을 남겼지만 언제 해당 발언을 뒤집을지는 모른다. [39] 광고에 나오는 캐릭터가 컵라면을 맛보고는 감동한 나머지 사이버사이코시스 증세를 보이는 연출이 압권.
(내용정보 표시항목: ) [2] 때문에 같은 사이버펑크 장르의 게임이자 사회에 저항하는 세력과 주인공을 다룬 게임 미러스 엣지 시리즈의 엣지 역시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재미있게도, 엣지러너 애니메이션의 '러너'는 기본적으로 넷러너를 포함한 해킹을 주로 다루는 가상 공간에서의 해커들을 의미하는 공각기동대와 뉴로맨서, 블레이드 러너 속 의미를 그대로 가져왔으나, 미러스 엣지 시리즈에서의 러너는 정말로 현실에서 두 발로 뛰는 러너들을 의미한다는 점이 차이이다. [3] Mercenary Outlaw. [4] 유혈, 성(性)적 묘사들이 가감없이 나오니 관람 시 주의. NSFW는 후방 주의(Not Safe For Work)라는 뜻이다. [5] 나이트 시티 경찰청 / 나이트 시티 경찰 [6] 임플란트 또는 크롬 [7] 애니메이션에서만 사용하는 단어로 원작 게임에서는 사용 예를 찾아보기 어렵다. [8]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스트리밍사인 넷플릭스판을 기준으로 한다. [9] 본작의 엔딩 테마 Let You Down [10] 원화 사토 토시유키, 오구로 아키라, 우다 사키코, 니이 히로타카, 사카모토 마사루, 도히 시몬(土肥志文) 등. [11] 시에라의 싱글 Like A Boy [12] 마이클 잭슨의 Smooth Criminal [13] 에미넴의 Lucky You [14] 투팍 샤커의 All Eyez on Me [15] 원화 이가라시 유키, 미키 타츠야, 사토 토시유키, 이카라시 카이, 칸노 이치고 등. [16] 앨리샤 키스의 Girl on Fire [17] 카니예 웨스트의 Stronger [18] 더 키드 라로이, 저스틴 비버의 STAY [19] 스콜피온즈의 Humanity [20] 원화 니이 히로타카, 우다 사키코, 사이토 타쿠야, 미키 타츠야, 칸노 이치고, 카네코 유토, 스기에 토시하루, 스시오, 요시가키 유스케, 도히 시몬, 이카라시 카이제2원화, 요시나리 요우제2원화, 이마이시 히로유키제2원화 등. [21] 파이스트의 My Moon My Man [22] 이마이시가 콘티 원본 작성. 스시오와 요시나리가 예쁜 그림으로 클린 업. [23] 2022년 3분기 실적 발표 보고서에서 공개 # [24] 원안은 패러데이가 중심인 플롯이었고, 카메라워킹이나 액션 등 여러 요소가 애니메이션보다는 영화에 더 가까웠다고 한다. [25] 각 캐릭터의 빌드를 인게임에서 따라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며 작품에서 쓰인 무기와 특수 능력도 게임과 비슷하게 구현되어 있다. [26] 대표적으로 데이빗이 살았던 아파트는 산토 도밍고 아로요 지역의 메트로: 월리즌 스트리트 옆에, 메인의 팀이 자주 모여서 뒷풀이를 가졌던 터보의 바(Turbo's Bar)는 메가빌딩 H8 옆 강가쪽에, 루시의 아파트는 바로 그 옆에, 레베카와 필라의 아파트는 왓슨 노스사이드 지역의 롱쇼어 북부에 있다. 자세한 내용은 위 애니메이션 등장 지역모음 영상 참조. [27] 전자의 경우엔 게임 내에서의 꽤나 붕뜨는 조작감으로 구현할 수 있지만 게임쪽에서 이동수단 사용 중에 사이버웨어 사용이 가능해지는 특전을 추가해 산데비스탄을 운전 중에 사용할 수 있도록 수입했고, 후자는 게임의 대표적인 조롱거리였지만 현재는 NCPD가 이동수단을 사용해 접근하는 방식으로 바뀌면서 메인의 사이버사이코화를 부각하는 장치로만 남게 됐다. [28] 비록 인살어를 필두로 닌자와 관련된 정신나갈 듯한 설정 때문에 덜 부각될 뿐이지 닌자 슬레이어도 엄연히 사이버펑크 장르의 작품이며 애니메이션을 제작한 제작사도 동일하다보니 닌자 슬레이어 애니메이션의 제작진이 엣지러너의 제작에 참여하기도 했다. [29] 1.6 패치 이후 나온 보조 임무를 통해 작중 배경이 본편으로부터 1년 전인 2076년 시점이라는 걸 알 수 있다. 순식간에 실적을 쌓아 애프터라이프에 입성했다가 크게 사고를 쳐서 위태로운 상황에 몰렸다는 것까지 V와 일맥상통한 삶으로 보인다. 보조 임무를 이어가다 보면 데이비드의 팀원 중 한 명이었던 팔코와 메시지를 주고받게 되는데, 그 일에 대해 입에 올리기는커녕 가판대 밑 쥐처럼 숨죽이고만 있다며 더 이상 파고들지 말아달라 간청하고 데이비드의 자켓을 보상으로 넘겨주는 것으로 끝난다. [30] 플래그스러운 발언들도 많고, 게다가 애니 오프닝의 여러 장면들(산데비스탄을 사용해 달리면서 사지와 몸이 분리되는 모습 등)과, 특히 마지막 장면이 복선임을 알 수 있다. [31] 본편에서의 캐릭터가 등장한 건 애프터라이프에서 로그, 애머슨, 클레어가 목소리 없이 지나가듯 출연했으며 와카코는 7화에서 목소리로만 한 번 등장. 또한 아라사카에서 픽서 목록을 열 때 파드레, 레지나 존스 등의 인물이 등장하며 아담 스매셔가 10화 중후반부터 최종보스로서 등장했다. [32] 이 경우에도 현장직은 V가 다 도맡는다. [33] 인게임 초반에 알 수 있겠지만, 이미 V는 뇌가 곤죽이 되었다가 소생했다. 작중 플레이어 입장에선 V가 조니와 이야기를 해도, 타인이 보기엔 여러 차례 혼잣말을 하는 듯한 행동들로 보이게 된다. 즉, 이미 정신 상태는 사이버 사이코시스 상태와 비슷하게 있는 것이라 유추해 볼 수 있다. 다만 후유증을 논하기엔 작중의 사건들도 꽤 짧은 시간에 일어난 일들이고, V도 시한부 판정을 받은 몸이라 사이코시스 후유증이 발현되기까지는 시간이 부족했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34] 특히 화제가 된 4화의 사이버 사이코 장면의 원화를 담당한 애니메이터 사토 토시유키는 본 작품의 1, 2, 6화의 원화를 담당했다. [35] 해당 동영상은 조회수가 71만에서 55만을 찍었다. [36] 해당 유튜버도 만일 이 부분으로 시즌 2를 제작한다면 아담 스매셔가 죽은 뒤 데이비드 스매셔가 되어 아라사카에 세뇌당하거나, 데이비드를 이용해서 루시를 유인시키는 내용으로 만들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했다. [37] 해당 유튜버는 The Untold Truth About David's Death 편에서도 이 동영상을 많은 곳에 공유해달라는 말을 남겼다. 그렇게 하면 사이버펑크 제작자 및 작가들에게 영감을 줄지도 모른다는 말을 남겼다. [38] 다만 이마이시가 데이비드는 정말로 죽었다고 말을 남겼지만 언제 해당 발언을 뒤집을지는 모른다. [39] 광고에 나오는 캐릭터가 컵라면을 맛보고는 감동한 나머지 사이버사이코시스 증세를 보이는 연출이 압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