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27 21:35:32

스텔스(성소수자)

성소수자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1.8em;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color=#373a3c> 주요 분류 성소수자 · LGBT ( 레즈비언(L) · 게이(G) · 양성애(B) · 트랜스젠더(T) · 퀘스처닝(Q) · 인터섹스(I) · 무성애(A) · 범성애(P) · BDSM(K))
상세 분류 인터섹스
젠더퀴어 · 바이젠더 · 안드로진 · 논바이너리 · 뉴트로이스 · 에이젠더 · 팬젠더 · 트라이젠더 · 데미젠더 · 젠더플루이드 · 트랜스젠더 · 젠더리스 · 젠더플럭스 · 제노젠더
남성애와 여성애 · 동성애 · 양성애 · 호모플렉시블 · 헤테로플렉시블 · 다성애 · 범성애 · 전성애 · 무성애
퀘스처닝
기타 분류 및 은어 크로스드레싱 ( 여장 · 남장 · 드랙 · 트랜스베스티즘 · 자기여성애) · BDSM · 후타나리 · 쉬메일 · 넷카마 · 넷나베 · 에세머 · 혐오 레토릭 · 젠더 표현
성전환 성 지정 · 성별 불쾌감 · 트랜스여성 ( 트랜스페미닌 · 쉬메일) · 트랜스남성 ( 트랜스마스쿨린 · 히피메일) · 패싱
과정 · 성전환증 · 성전환 치료 · 호르몬 치료 · 얼굴 여성화 수술 · 얼굴 남성화 수술 · 가슴성형 · 성전환 수술 · 성전환수술자
탈성전환 · 데이비드 라이머 · 포스트젠더리즘 · 제3의 성 · 성별 비순응
현황 및 인식 성소수자 국가별 현황 /대한민국 ( 동성애자 · 트랜스젠더 · 인터섹스) · 성소수자 비하명칭 · 성소수자 인권단체 /대한민국 ( 목록) · 성소수자 인권포럼 · 스포츠 · 퀴어 · 퀴어신학 · 퀴어 이론 · 퀴어학 · 얼라이 · 커밍아웃 · 오픈리 · 스텔스 · 아웃팅 · 성소수자 혐오 ( 호모포비아 ( 게이포비아 · 레즈보포비아 · 자유주의적 호모포비아) · 바이포비아 · 트랜스포비아 ( TERF · 트랜스여성혐오) · 반젠더주의) · 핑크워싱
이데올로기 ( 소수자 운동 · 성소수자 보수주의 · 성소수자 자유주의 · 성소수자 사회주의 · 트랜스페미니즘 · TIRF · 성해방주의 · 핑크자본주의 · 퀴어 내셔널리즘 · 호모내셔널리즘)
제도 및 이슈 탈동성애 운동 · DADT · 교정강간 · 여폭법 성소수자 배제 관련 논란 · 성소수자 없는 구역 · 소도미법 · 군형법상 추행죄 · 나중에 · 다했죠? · 차별금지법 /대한민국 · 가족구성권 · 동성혼 · 시민결합 · 성별 정정 · 성중립 화장실 · 욕야카르타 원칙
논란 및 사건 사고 스톤월 항쟁 · 홍석천 커밍아웃 · 티나 브랜든 살인사건 · 배살구 피살사건 · 육우당 활동가 자살사건 · 비온뒤무지개 법인화 불허 논란 · 육군참모총장 동성애자 군인 색출 처벌 지시 사건 · 부사관 성전환 사건 · 트랜스젠더 숙명여대 합격자 입학 반대 논란 · 이태원 클럽 코로나19 집단 감염 사건 · 신촌역 성소수자 차별반대 광고 훼손 사건 · 김기홍 활동가 자살 사건 · 변희수 하사 자살 사건 · 오태양 성소수자 현수막 훼손 피해 사건 · 2023년 대구 퀴어문화축제 공권력 대치 사태
문화 대한민국 성소수자 커뮤니티 · 대중문화에서의 성소수자 · 은어 · 게이바 · 레즈비언바 · 트랜스젠더바 · 여장 클럽 · 프라이드 플래그 · 프라이드 퍼레이드 · 퀴어문화축제 · 게이 게임(국제 스포츠 경기 대회) · 위장결혼 · 팬픽이반 · 브로맨스 · 워맨스 · 까만봉지 · 잠방 · 게이 게임 · 퀴어 문학 · 퀴어 영화 · BL 작품 · 장미 작품 · 백합 작품
관련 인물 분류:게이 · 분류:레즈비언 · 분류:양성애자 · 분류:범성애자 · 분류:무성애자 · 분류:트랜스여성 인물 · 분류:트랜스남성 인물 · 분류:인터섹스 · 분류:논바이너리 · 분류:젠더퀴어 · 분류:성소수자 인권운동가 }}}}}}}}}

1. 개요2. 주의할 점3. 장단점
3.1. 장점3.2. 단점
4. 방법5. 어려움6. 관련 문서

1. 개요

트랜스젠더 패싱에 완벽하게 성공하여 자신의 과거 내지 흑역사를 들키지 않은 채 자각하는 성별의 시스젠더와 동일하게 살아가는 상태를 뜻한다.

2. 주의할 점

들어가기에 앞서 설명하건대 이 글을 읽으며 오해하지 말아야 할 점이 있다. 스텔스는 개인의 선택이고, 사회를 상대로 하는 사기가 아니라는 것이다.

트랜스젠더 문서에도 어느 정도 설명되어 있지만, 트랜스젠더는 일시적인 상태를 지칭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용어이다. 평생 트랜스젠더라는 라벨을 붙인 채 살아가지 않을 수도 있는 것이다. 더군다나 트랜스젠더는 '원래 남자였던' 사람이 여자가 '되거나', '여자였던' 사람이 남자가 '되는' 것을 뜻하는 용어가 아니며, 트랜스젠더들이 취하는 의학적, 법적 조치들은 자신이 진정으로 느끼는 성별로 받아들여지기 위해 하는 것이다. 즉 성별 정정을 완료하고 원하는 성별이 연상되는 이름으로 개명하면 그 사람은 더 이상 사람들이 자신을 트랜스젠더로 인식하지 않기를 바라기에 그렇게 한 것이다.

당장 시스젠더들의 개명을 놓고 보더라도, 여러 분야에 있어서 가장 보수적이라고 평가받는 법조계마저도 개명 후의 이름을 진정한 이름으로 보고 존중한다. 성별 또한 상술한 사정이 있어서 수정한 것일 뿐이기 때문에 존중받아야 하는 것이다. 하지만 대한민국 사회에서 성전환 사실을 밝히면 으레 돌아오는 것은 지정성별 취급, 잘 풀려야 지정성별도 전환한 성별도 아닌 제3의 성 취급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자신이 전환한 성별의 시스젠더와 동일한 대우를 받기를 바라기 위해 취하는 행위가 스텔스인 것이다.

물론 커밍아웃을 하고 살아가는 트랜스젠더들 중에는 성별 정정을 완료했더라도 트랜스젠더임을 숨기지 않는 경우가 있지만, 그 역시 스스로 트랜스젠더로 인식되기를 바라기 때문에 한 것이다. 만약 트랜스젠더인 사실을 밝히기 싫어함에도 알려진 사람이 있다면, 그 사람은 아웃팅의 피해자일 뿐이다.

간혹 이 문서에서 '시스젠더처럼 살아간다' 라는 표현을 사용한 것은 평범하게 살아가는 시스젠더들의 이해를 돕기 위한 표현일 뿐이다. 의아한 마음이 들 수 있지만, 원래 '~처럼'이라는 표현에는 부정적 의미가 없다.

요약하자면 성전환 사실을 숨기고 스텔스로 살든, 스텔스를 하지 않고 커밍아웃을 하든 그것은 전적으로 개인의 자유이다. 다만 기본적으로 법적 성별 정정을 마친 사람은 시스젠더와 동일하게 간주해야 하는 것이 타당한 것이고, 스텔스는 그 타당함을 누리기 위한 방법이기 때문에 나쁜 짓으로 볼 수 없는 것이다.

3. 장단점

3.1. 장점

3.2. 단점

4. 방법

일러두기: 한 해외 사이트에 올라온 팁을 참고하여 한국 실정에 맞게 가필, 수정하였음.

5. 어려움

보통 트랜지션을 진행하고 성별 정정까지 완료하였으며 퀴어 커뮤니티에 더는 크게 엮일 생각이 없는 이들[2]만이 스텔스를 지향한다. 물론 시스젠더들과 비슷한 출발선에 서는 것이 로망일 수밖에 없는 현실도 문제이지만 이 현실을 이겨내는 많은 트랜스젠더의 삶에 있어서 스텔스를 위한 싸움은 여전히 일생일대의 과업이다.

그 과업이 100% 달성될 수 없다는 것 또한 크나큰 문제. 먼저 외모, 말투, 행동거지가 트랜지션을 했더라도 걸림돌이 될 수 있다. 아무리 호르몬 치료를 하고 수술을 하더라도 머리, 손, 발의 크기를 비롯한 여러 골격은 바꿀 수 없고, 트랜스젠더가 자각하는 성별로서의 경험을 충분히 연습할 자리가 전무한 한국 사정상 정정 후에도 시스젠더와는 다른 언행이 어딘가에는 꼭 있기 마련이다. 당장 동성애자들도 겉으로 보이는 모습만으로는 성적 지향을 판별할 수 없지만 언행으로 인해 의심을 사거나 아웃팅당하는 사례가 있는 것을 보면 당연한 이야기이다.

물론 스텔스 상태를 최대한 빈틈없이 유지할 만큼 강한 멘탈과 사리분별 능력을 가졌다면 나쁜 놈에게 아웃팅당할 위험은 어느 정도 피해가겠지만, 남학교나 여학교를 나온 경우 이력서에 학력을 기재할 때 취업에 지장이 생긴다. 그조차 무마하더라도 의료진이 과거의 수술 이력을 묻거나 보험회사가 가입 신청자의 과거 병력을 조회하려 든다면 골치 아프다.

불임이라는 치명적 결점도 있다. 이는 성적 지향과는 관계없이 파트너를 찾고 그 관계를 유지하는 데 대단한 걸림돌로 작용한다.

결론적으로 시스젠더와 100% 동일한 출발선을 얻을 수는 없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트랜스젠더들은 당장의 성별 위화감으로 인해 성별 정정, 스텔스만을 목표로 삼는 자세를 으레 보이고는 한다. 하지만 이것들에 너무 매몰되면 이러한 현실로 인하여 크게 좌절하고, 정정 후에 하고 싶은 일도, 해야 할 일도 불명확하여 방황하게 된다. 그러므로 어렵더라도 성별 정정 너머의 일을 생각해보는 자세를 갖자.

6. 관련 문서



[1] 성소수자 당사자인 비공인을 하나 둘 정도 팔로우하는 정도라면, '동아리에서 만났다', 'XX학원에서 만났다'와 같이 적당히 둘러댈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인권운동가, 인권단체를 대놓고 팔로우한다면 성소수자와 깊은 연관이 있을 것이라는 의심을 피할 수 없게 되고, 이는 아웃팅의 씨앗이 될 수 있다. [2] 성적 지향에 관계없이 신뢰할 수 있는 평생의 짝을 찾았거나 독신으로 살기로 한 이들. 물론 교류를 여전히 이어나가는 사례도 있지만 그만큼 리스크도 올라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