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12 14:47:31

쇼트 선덜랜드

파일:external/palmflying.com/Short-Sunderland.jpg

파일:external/admin.hornby.com/Image_A_The_handsome_good_looks_of_the_Sunderland1.jpg

Short Sunderland
제원
승무원: 9~11명(조종사 2, 항법사 1, 무전수 1, 정비사 1, 폭격수 1, 그외 기총사수 등)
전장: 26.0m
전폭: 34.39m
전고: 10.0m
익면적: 138m^2
공허중량: 15,663kg
최대 이륙 중량: 26,332kg
최고 속력: 336km/h
순항 속도: 285km/h
항속거리: 2,848km
최대 상승 고도: 4,880m
무장: 기수에 .303 기관총[1] 4~6정
방어무장: 동체 상부, 꼬리 기총탑 그외 동체 측면에 .303 기관총 6~10정[2], 전방 기총탑에 M2 브라우닝 중기관총 2정
폭장: 어뢰 2발, 폭뢰, 폭탄 등 최대 2250 lb[3]
출력원: 브리스톨 페가서스 XVIII 성형 엔진(1,065 마력)

1. 개발

1933년, 당시에 흔했던 우편배달용 비행정 개발을 했던 쇼트 브라더즈(Short Brothers) 사(이하 쇼트 사)가 영국 항공성(Air Ministry)에서 차세대 해양 정찰기 개발을 의뢰받아서 엔진 4개를 달고 단엽기든 복엽기든 상관없음 이라는 조건 아래 개발을 시작했다. 쇼트 사는 기존에 개발중인 우편배달기였던 엠파이어(S.23)을 기반으로 S.25를 완성했고 선덜랜드라고 명명하게 되었다. 1937년, 첫 비행을 했고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생산되어 총 777대 생산되었다.

2. 실전 및 활약

1940년
U-55 +, U-26 +,

1943년
U-465, U-663, U-753 +, U-440, U-563 +, U-607, U-461,
U-383, U-454, U-106 +, U-489, U-610,

1944년
U-426, U-571, U-625, U-675, U-955, U-970, U-243,
U-1222, U-385 +, U-270 +, U-107, U-482 +,
선덜랜드의 대표적인 대잠 전과
쇼트 선덜랜드는 대서양에서 해양 초계기로 활약하였는대, 1942년 부터는 본격적인 대잠 초계 레이더인 ACS 레이더를 설치하고 U보트 견제에 나섰다. 하필 비슷한 시기에 에니그마도 해독당하기 시작했기 때문에 크릭스마리네 측에선 헬오션이 열리게 만든 원흉.

상당히 우수한 항속거리를 바탕으로 상당히 넓은 범위를 초계하다 보니 독일 해군 항공대 소속 초계기와의 접촉 및 교전사례도 있었다. 1940년, 독일 공군 소속 Ju 88C형 6대가 초계 중인 선덜랜드를 발견 및 발포를 했는데, 전 금속으로 만든 튼튼한 동체와 최대 16정까지 도배한 기총의 힘으로 도주에 성공했고[4] 독일 공군이 이후 선덜랜드에 Fliegendes Stachelschwein(비행하는 고슴도치)라는 별명을 붙여줬다고 한다. 이러한 항공교전 사례는 자주 있지 않았다. 다만 전방 터렛의 사격각이 좋아서인지 교전을 굳이 피하지도 않았던 모양이다...

의외로 선덜랜드가 자잘한 교전에 휘말리자 전방 터렛에 기총 4정을 달거나 M2로 무장해서 긁어 버리는 일이 자주 있었다고 하며 이런 개량의 힘으로 1943년, 제 461 오스트레일리아 항공대가 비스케이 만에서 초계중인 Ju 88 2대를 발견, 선제타격을 가했고 타격을 입은 Ju 88들이 돌아갔다.(다만 선덜랜드 쪽도 방어기총에 의한 피해가 있었다.)

하지만 이런 항공전 전적 보다는 대잠 초계 성과가 선덜랜드의 핵심 전적이었다.

ASV 레이더 도입 이후 에니그마 해독을 바탕으로 잠수함의 대략적 작전 위치까지 파악해 난입하기 시작한 선덜랜드는 U보트에게 있어 악몽과도 같았다. 당시엔 아직 잠수함 스노클이 도입되기 이전이었고, 잠수함이 무한정 잠항하며 다닐 수 없었기 때문에 수상 항해 중에는 항상 대잠초계기의 위협에 노출될 수 밖에 없었는대, 대잠 레이더 도입 이후 선덜랜드가 무작위적인 초계를 도는 것이 아니라 U보트를 직접 추적하기 시작했을 뿐더러, 에니그마가 해독되면서 미리 U보트 예상 작전지역에 들어가 기습적으로 공격하는 것이 가능해져, 단순 견시로는 선덜랜드를 제때 발견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해짐에 따라 U보트의 손실은 급증하기 시작했다.

이에 대응하여 크릭스마리네는 원시적인 AIP 체계로 과산화수소 기반 엔진을 연구하였으나 큰 성과가 없었고, 그나마 42년 말 쯤 에니그마를 대체할 새 암호 장비를 도입하면서 일시적으로 손실을 피할 수 있었으나, 연합군은 더욱 짧은 파장을 기반으로 더 정확하고 범위가 넓은 대잠 레이더를 도입하여 이를 무마했다. 결국 43년에 암호체계가 또 뚫리면서 이후 유보트의 손실은 돌이킬 수 없는 수준으로 올라가고 만다.

잠수함으로 항공기를 공격해 봐야 잠수함만 손해이기 때문에, 보통 긴급잠항하여 피하는 것이 상책이지만, 불가피한 상황이거나 혹은 객기로 유보트가 선덜랜드를 공격하는 경우도 있었다. 선덜랜드 등의 대잠 초계로 인한 피해가 자꾸 늘어나자 유보트도 코닝타워의 무장을 마구잡이로 늘려, 본래 20mm 대공기총 하나만 있던 트룸바우1이, 트룸바우3에 오면 대공기총 3개를 다는 미친 과무장을 보여주더니, 트룸바우4 부터는 4연장 대공기총까지 설치했다. 이후 모델들은 아예 U-Flak이라 불릴 만큼 정신나간 대공화기를 달았는데 정작 트룸바우3 보다 성과가 안 좋았다고. 트룸바우3 형이 도입된 이후 칼 되니츠가 항공기와 직접 교전해서 아예 격추해버리라고 명령을 내린 적이 있었는데, 그 결과는 처참한 유보트 손실이었다. 다만, 트룸바우 1형에 비해 2정 늘어난 대공기총 때문인지 격추 성과 자체는 꽤 그럴싸 했다. 전혀 타산이 안 맞으니 문제였지... 이 물건들이 나올 쯤이면 나치 독일이 패전 직전 수준인 탓이 크긴하나, 트룸바우4의 4연장 대공기총만 해도 너무 덩치가 커진 나머지 조작하기가 어려워저서 오히려 적기를 제대로 조준하기 힘들 판이었기에 U-Flak들은 정말 뻘짓이라고 밖엔 볼 수 없다. 게다가 좁아터진 유보트 설계상 제대로 갑판 화기를 운용할 만한 구조가 나올 수가 없었는지라... 결국 나중에 21형 유보트에는 승조원이 갑판으로 나올 필요가 없는 원격 조종형 대공기총이 도입된다.

크릭스마리네는 뒤늦게나마 레이더 경보기를 도입하였으나, Metox 레이더 경보기는 나무 막대에 와이어를 대충 감아놓은 조잡한 물건으로 제 기능을 하기는 커녕 엉뚱한 신호를 오인하여 경보하는 등 영 좋지 않은 물건이었으며, 심지어 전파를 역으로 뿜뿜해서 피탐율을 올리는 문제까지 있었다. 이게 의미있는 수준은 아니었으니 그냥 Metox의 탐지 성능이 한심한거였다. 후속 모델로 Borkum 레이더 경보기가 나온 다음 부터는 그나마 쓸만해젔으나, 이미 연합군 측은 ASV 레이더를 한참 뛰어넘는 후속 장비를 보급한지 오래였기에, 역시 유보트가 수상항해를 하면서 초계기를 피하기엔 무리였다. 그 Borkum 마저도 너무 늦게 나온 나머지 이미 수많은 유보트가 폭뢰를 두들겨 맞고 수장당한 뒤였다. 이후 Naxos 레이더 경보기가 나오고 나서야 크릭스마리네는 진짜 제대로 연합군을 피해다닐 만한 성능의 레이더 경보체계를 갖출 수 있었다. 하지만 연합군은 이미 H2B라는 끝판왕급 사기템을 도입했고, 10cm 이하의 파장을 이용한 레이더의 등장을 몰랐던 크릭스마리네는 나포한 솔트 스털링을 뜯어보고 나서야 헤딩 레이더의 존재를 눈치채고 Tunis 레이더 경보기를 만드는대, 이것은 굉장히 우수한 레이더 경보기였으나, 이게 나왔을 쯤엔 이미 나치가 망했다.

결국 선덜랜드의 폭뢰 공격에 시달린 끝에 크릭스마리네는 세계 최초의 잠수함 스노켈이란 혁신을 내놓았다. 이름은 스노켈의 독일어 이름인 스노르헬이었는대, 발상은 심히 간단해서, 스노클링하듯 그냥 배기/통기용 빨대(?)를 달아버리자는 것이었다. 이것 때문에 U보트는 스노켈 이전의 잠수함이 가진 근본전 문제인, 장기간의 잠항 불가능을 해결할 수 있었고, 아예 물 밖으로 안 나오고 잠망경 심도에서 죽치고 있기로 대잠 초계기를 근본적으로 피할 수 있었다. 물론, 잠항은 수상 항해보다 훨씬 느리고 연료도 더 퍼먹기에 U보트의 작전능력 저하는 피할 수 없었지만. 그리고 축전지 충전을 위해 스노켈을 올리고 디젤 엔진을 굴리는 동안 스노켈이 뿜어대는 매연은 적 선박의 견시에 걸리기 딱 좋았다. 게다가 스노켈 자체도 선체 전체가 드러난 것보다는 덜해도 레이더에 잡혔다. (지금도 같은 이유로 재래식 잠수함은 스노클링이 필요한 시기에 제일 취약해진다.)

한편 지중해에서도 활약한 적이 있는데 주로 정찰기로 활동하며 크레타에서 피난민을 수송하기도 했고 이탈리아 해군주력이 정박중인 타란토를 정찰해서 항공모함의 야간공습이 가능함을 보고하기도 했다.

3. 기타

전후에는 다시 본업인 우편배달 및 수송업으로 돌아간 기체들이 많고 일부는 퇴역할 때까지 초계기로 운용되었다. 영국은 1959년 까지 운용하였고 뉴질랜드에서는 1960년대 말까지 운용했다.

선덜랜드는 특이하게도 비행정임에도 불구하고 내부폭장이 가능했는데 다름아닌 날개 아래에 폭탄을 안에서 내보낼 수 있는 레일이 있다!!!

파일:external/www.airpowerworld.info/short-sunderland-bomb-rack.jpg
폭뢰

파일:external/static.warthunder.com/04_1280720_83847031151bec6ec2ff99929bc3a847.jpg
폭탄

4. 파생형 및 후계기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Short_Empire_G-AFBL_Cooee_-_Rod_El_Faray_-_Cairo.jpg
선덜랜드의 설계 기반이 되었던 S.23 쇼트 엠파이어

파일:external/cdn-www.airliners.net/1452634.jpg
선덜랜드의 무장을 제거한 순수 민간 여객기 버전 쇼트 샌드링엄(Sandringham)

파일:external/aviarmor.net/s.45_searofd.jpg
선덜랜드 Mk.IV로 개발을 시작해서 엔진을 교체, 일부 동체를 수정해서 폭장이 2배가량 늘어나고 방어무장을 효율적으로 바꾼[5] S.45 쇼트 시포드(Seaford)와 여기서 무장을 제거한 쇼트 솔렌트(Solent)

파일:external/www.ww2warbirds.net/ww2shorstirling-1.jpg
선덜랜드를 기반으로 만든 영국의 중폭격기 쇼트 스털링(Stirling). 해당 문서 참고.

5. 등장 미디어

항공 시뮬레이션 게임 워 썬더에서 등장한다. 1-2랭크에 배치되어있으며 고증대로 전방고정무장이 있어 플레이어가 사격할 수 있다. 다만 나는 고슴도치라는 별명에 어울리지 않게 최고 떡장 카탈리나처럼 튼튼하지는 못하다.

히어로즈 인 더 스카이 에서 프리미엄 기체로 출시되었다. 그러나 애매하게 큰 덩치에 느려터진 속도때문에 묻혔다.

잠수함 게임 UBOAT에서 적으로 등장한다. 플레이어의 U보트를 감지하면 날아와서 폭뢰를 뿌리기 때문에 굉장히 위협적인 적. 전망탑 업그레이드로 대공화력을 강화하더라도 요격 자체가 위험하다보니 레이더 경보장치 업그레이드로 접근을 미리 감지하고 긴급잠항하는 게 더 안전하다.

6. 둘러보기

제2차 세계 대전의 영국군 항공병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color=#242b3d> 제2차 세계 대전
영국군 항공기
전투기 복엽기 <colbgcolor=#fefefe,#191919> 글로스터 글래디에이터
단엽기 볼튼 폴 디파이언트, 슈퍼마린 스핏파이어 F/LF/HF, 호커 허리케인, 호커 타이푼, 호커 템페스트, 슈퍼마린 스파잇풀
함재기 글로스터 시글래디에이터, 페어리 풀머, 페어리 파이어플라이, 호커 시허리케인, 슈퍼마린 시파이어 F, 슈퍼마린 시팽, 호커 시퓨리 FBA, 드 해빌랜드 시호넷 F/NFA
쌍발기 브리스톨 보파이터, 웨스트랜드 훨윈드, 드 해빌랜드 모스키토 FB/NF, 드 해빌랜드 호넷A
제트기 글로스터 미티어, 드 해빌랜드 뱀파이어A, 슈퍼마린 어태커A
뇌격기 페어리 소드피시, 페어리 알바코어, 페어리 바라쿠다, 블랙번 파이어브랜드, 브리스톨 뷰포트
폭격기 경폭격기 드 해빌랜드 모스키토 B, 페어리 배틀, 브리스톨 블렌헤임
中폭격기 빅커스 웰링턴, 암스트롱-위트워스 휘틀리, 핸들리 페이지 햄든, 잉글리시 일렉트릭 캔버라A
重폭격기 숄트 스털링, 핸들리 페이지 핼리팩스, 아브로 랭커스터, 아브로 링컨
급강하폭격기, 공격기 블랙번 스쿠아, 페어리 바라쿠다, 브리스톨 브리건드A, 웨스트랜드 와이번A
수송기 빅커스 발레타
정찰기 슈퍼마린 스핏파이어 FR/PR, 슈퍼마린 시파이어 FR, 드 해빌랜드 모스키토 PR, 드 해빌랜드 호넷 FR/PRA
렌드리스 항공기 전투기 벨 에어라코브라, 커티스 키티호크, 리퍼블릭 썬더볼트, 노스 아메리칸 머스탱, 브루스터 버팔로(B-339E), 그루먼 마틀렛, 그루먼 가넷(헬캣), 보우트 콜세어, 록히드 라이트닝
뇌격기, 공격기 제너럴 모터스 어벤저, 브루스터 버뮤다, V-156 체사피크, 더글라스 하복, 벌티 벤전스
폭격기 록히드 허드슨, 록히드 벤추라, 마틴 볼티모어, 컨설리데이티드 리버레이터 B, 보잉 포트리스, 노스 아메리칸 미첼, 마틴 머로더, 보잉 워싱턴A, 마틴 메릴랜드
회전익기 시코르스키 호버플라이
수상기 슈퍼마린 왈루스, 컨솔리데이티드 카탈리나, 컨솔리데이티드 코로나도, 숄트 선더랜드
시제기 빅커스 베놈, 글로스터 E.28/39, 에어스피드 플리트 쉐도워, 호커 토네이도, 블랙번 파이어크레스트
노획 기체 메서슈미트 Bf 109, 포케불프 Fw 200, 포케불프 Fw 190, 포케불프 Ta 152, 하인켈 He 219, 하인켈 He 70, BV 184, BV 185, BV 187, 하인켈 177, 슈토르히 Fi 156, 융커스 188 A-2, A-3, 아라도 232 B-0, MXY-7 오카A, C-012A, 도르니에 335A, 융커스 352A, 메서슈미트 Me 410 A-3A
무기대여법으로 공여받은 기체는 영국식 표기로 기재하였다. 윗첨자A: 전후 도입/노획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jet_icon__.png 항공병기 }}}
}}}}}}

제2차 세계 대전의 노르웨이군 항공병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bgcolor=#032b6a> 전투기 <colbgcolor=#032b6a> 복엽 전투기 암스트롱 휘트워스 시미타, 글로스터 글래디에이터
단엽기 P-36 호크, 슈퍼마린 스핏파이어, Ca.310
폭격기 中폭격기 DH-98 모스키토
경폭격기 포커 C.V, 노드롭/더글라스 8-A
뇌격기 더글라스 DT, He 115, N-3PB
비행정 PBY 카탈리나, 숄트 선더랜드
정찰기 Ar 196, Fw 189
수송기 Ju 52
수상기 Ar 196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군의 운용장비 | 파일:jet_icon__.png 항공병기 }}}
}}}}}}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현대 노르웨이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노르웨이군 (1945~현재)
Forsvaret
<colbgcolor=#BA0C2F> 회전익기 <colbgcolor=#BA0C2F> '''[[무장헬기|
경헬기
]]'''
H-13(D-1/G-3) 수우 · AB 47(J/J-2)R
'''
다목적 헬기
'''
AW101 멀린 모델 612 | 벨 412(HP/SP) | 시킹 Mk.43(A/B)R | 링스 Mk.86R | UH-1B 이로쿼이R | UH-19D 치카소R
대잠헬기 MH-60R 시호크 | NH90 NFHR
'''[[전투기|
전투기
]]'''
프롭 스핏파이어 LF.IXeR
'''[[1세대 전투기|
1세대
]]'''
뱀파이어 (F.3/FB.52)R | F-86F 세이버R ·  F-86K 세이버 도그R | F-84(E/G) 썬더제트R ·  F-84F 썬더스트릭R
'''[[2세대 전투기|
2세대
]]'''
CF-104 · F-104G 스타파이터R | F-5(A/B) 프리덤 파이터R
'''[[4세대 / 4.5세대 전투기|
4세대
]]'''
F-16(A/B)R 블록 1/5/15 F-16(AM/BM) 블록 20 MLU 파이팅 팰콘R
'''[[5세대 전투기|
5세대
]]'''
F-35A 라이트닝 II
폭격기 B-17G-BO 플라잉 포트리스R | 모스키토 FB.6R
'''[[정찰기|
정찰기
]]'''
전술 RF-5A (G)R | RF-104GR | RF-84F 썬더플래시R | 스핏파이어 PR.XIR | Fi 156R
'''[[수송기|
수송기
]]'''
경량 옥스포드 (I/II)R | Ju 52/3mR | C-60A 로드스타R
전술 C-130J-30 슈퍼 허큘리스 | C-130(E/H) 허큘리스R | C-53D 스카이트루퍼R | C-47A 스카이트레인R | C-119G 플라잉 박스카R
수상기 HU-16B 알바트로스R | 선덜랜드 Mk.VR | 카탈리나 (IB/IVA/IVB) · PBY-5AR
다목적기 DHC-6 트윈 오터R | DHC-3 오터R | C-64 노스만 Mk.(IV/VI)R | 앤슨 Mk.I | N-3PB 노매드R
'''
지원기
'''
'''[[공중조기경보통제기|
조기경보기
]]'''
E-3A 센트리NAEW&CF | { E-7}NAEW&CF
'''[[대잠초계기|
해상초계기
]]'''
P-8A 포세이돈 | P-3(B/C/N) 오라이언R
'''[[공중급유기|
공중급유기
]]'''
A330 MRTTMMF
전자전기 다쏘 팔콘 20ECMR
'''
연락기
'''
L-19A 버드 도그R | L-18C 슈퍼 컵R | Fi 156R
'''[[UAV|
무인기
]]'''
'''
SUAV
'''
클래스 1 - 극소형
인다고 3 | PD-100 블랙 호넷 나노
클래스 1 - 초소형
RQ-20B 푸마 AE | RQ-12A 와스프 III 블록 IV | RQ-11 레이븐
'''[[훈련기|
훈련기
]]'''
프롭 MFI-15 사파리 | 사브 91(B/B-2) 사피르R | PT-26R | PT-19R | 하버드 (II/IIb) · SNJ-3/4R | 모스키토 T.3R | Fw 58R
제트 CF-104D · TF-104GR | T-33A 슈팅스타R | 뱀파이어 T.55R
VIP 탑승기 다쏘 팔콘 20C-5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NAEW&CF: NAEW&CF 공동 운용 기종
※ 윗첨자MMF: NATO MMF 공동 운용 기종
※ 윗첨자: 해당 군 운용 (육군/해군/공군), 표기 없을 시 공군
}}}}}}}}}


✈️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3D3137> 1차
세계대전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협상군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동맹군
전간기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2차
세계대전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1943-1947).svg
미국
파일:RAF_type_C1_roundel.svg
영국
파일:독일 공군(나치 독일) 라운델2.svg
나치 독일
파일:일본 공군 라운델.svg
일본 제국
파일:Italy-Royal-Airforce.svg
[[틀:2차 세계대전/이탈리아 항공기|
이탈리아 왕국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1914-1940).svg
노르웨이
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1934-1945).svg
핀란드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Roundel_of_the_Royal_Thai_Air_Force_(1941-1945).svg
태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대만 국장.svg
중화민국
파일:Czech_roundel_(right_wing).svg
[[틀:2차 세계대전/체코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체코슬로바키아
]]
파일:Roundel_of_Bulgaria_(1937-1941).svg
[[틀:2차 세계대전/불가리아군 항공기|
불가리아 왕국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1942-1945).svg
헝가리 왕국
파일:Nationalist_air_force_black_roundel_with_arrows.svg
스페인
파일:Manchukuo_Air_Force_Roundel.svg
만주국
파일:Emblem_of_Mongolian_People's_Army.svg
[[틀:2차 세계대전/몽골 항공병기|
몽골 인민 공화국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제1세계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서독
제2세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국가인민군 공군 라운델.svg
동독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1921-1993).svg
폴란드
제3세계 [[틀:냉전/유고슬라비아 항공기|파일:유고슬라비아 항공 및 반항공군 라운델.svg
유고슬라비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
중미/카리브
'''
[[틀:현대전/도미니카 공화국 항공병기|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colbgcolor=#3d3137>남미 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 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 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북유럽 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
동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
동남아시아
'''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
중앙아시아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
남아시아 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항공병기|파일:아프가니스탄 라운델.png
아프가니스탄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항공병기|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공군 라운델.png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
서아시아 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
오세아니아
'''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
'''
북아프리카
'''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
동아프리카
'''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
서아프리카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
중아프리카
'''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
남아프리카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제트전투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럽
파일:아시아 위치.svg
아시아
}}}}}}}}}}}}


[1] M1919 브라우닝의 영국제 브리티시 0.303(7.7mm) 버전 [2] 측면에 기총을 장착하지 않기도 하며, 동체 상부터렛의 경우 기총 2정 버전과 4정 버전이 있다. [3] 대전 초기에 사용된 폭뢰 기준 약 8발을 장비할 수 있는 폭장량이다. [4] 버전마다 조금씩 차이나지만 초기버전도 동체상부 터렛과 꼬리 터렛에 각각 기총 4정씩 장착된 것이 있다. [5] 터렛의 기총을 M2 브라우닝 중기관총에서 히스파노 기관포로 교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