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1 19:51:52

성군/목록

1. 개요2. 성군 칭호로 불리는 군주들
2.1. 동양사2.2. 서양사
3. 가공인물

1. 개요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다음의 합의사항으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 토론 - 합의사항1
토론 - 합의사항2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 합의사항6
토론 - 합의사항7
토론 - 합의사항8
토론 - 합의사항9
토론 - 합의사항10
토론 - 합의사항11
토론 - 합의사항12
토론 - 합의사항13
토론 - 합의사항14
토론 - 합의사항15
토론 - 합의사항16
토론 - 합의사항17
토론 - 합의사항18
토론 - 합의사항19
토론 - 합의사항20
토론 - 합의사항21
토론 - 합의사항22
토론 - 합의사항23
토론 - 합의사항24
토론 - 합의사항25
토론 - 합의사항26
토론 - 합의사항27
토론 - 합의사항28
토론 - 합의사항29
토론 - 합의사항30
토론 - 합의사항31
토론 - 합의사항32
토론 - 합의사항33
토론 - 합의사항34
토론 - 합의사항35
토론 - 합의사항36
토론 - 합의사항37
토론 - 합의사항38
토론 - 합의사항39
토론 - 합의사항40
토론 - 합의사항41
토론 - 합의사항42
토론 - 합의사항43
토론 - 합의사항44
토론 - 합의사항45
토론 - 합의사항46
토론 - 합의사항47
토론 - 합의사항48
토론 - 합의사항49
토론 - 합의사항50
||

토론 합의사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성군 문서의 실존인물 예시 목록 문단에는 나무위키에서 정한 근거 신뢰성 순위 6순위 이상의 자료들에서 명확하게 성군이라고 평가 또는 명시된 군주들만 추가하며 각주로 그 근거 출처를 반드시 밝혀놓는다. 또한 성군이라는 평가의 근거 출처가 전혀 확인이되지 않는 군주들은 목록에서 삭제를 원칙으로 한다. }}}}}}}}}

성군 문서 참조.

2. 성군 칭호로 불리는 군주들

2.1. 동양사

대한민국에서 보통 '성군'이라 하면 세종대왕이 대표적으로 꼽힌다. 세종은 한국사에서 진정 '성군'이라 불리는 가장 대표적인 군주인데, 물론 다른 군주들 가운데서도 성군이라고 할 만한 인물이 전혀 없는 건 아니지만 세종대왕의 업적이 워낙 넘사벽인 것도 있고[1] 무엇보다 세종대왕은 백성들을 생각해 고유 문자인 한글을 창제해냈다는 발상 그 자체, 그리고 그 문자가 현재 한국어의 공식 표기문자라는 점에서 한국인들에게 성군이라 하면 세종의 입지와 인지도와 위상이 가장 확고한 상황이다.
한국
고구려 고국천왕[2]
백제 무령왕[3], 성왕[4]
고려 태조[5]
조선 세종[6], 성종[7], 숙종[8], 영조[9], 정조[10]
중국
삼황오제 , [11]
태종[12]
태조[13]

2.2. 서양사

서양의 경우 보통 시성된 군주를 성군(saint-king)이라고 한다. 교파마다 다를 수 있다.
그리스
동로마 제국 콘스탄티누스 1세[14], 테오도시우스 1세[15], 테오도시우스 2세[16], 유스티니아누스[17], 마르키아누스[18]
노르웨이
노르웨이 왕국 올라프 2세[19]
독일
신성 로마 제국 하인리히 2세[20]
덴마크
덴마크 왕국 크누드 4세[21]
러시아
키예프 루스 키예프의 올가[22], 블라디미르 1세[23]
불가리아
불가리아 제1제국 보리스 1세[24], 페터르 1세[25]
스페인
서고트 왕국 헤르메네길드[26]
카스티야 연합왕국 페르난도 3세[27]
세르비아
세르비아 왕국 스테판 네마니치[28], 스테판 블라디슬라프[29], 스테판 드라구틴[30], 스테판 우로시 2세 밀루틴[31]
세르비아 제국 스테판 우로시 5세[32]
스웨덴
스웨덴 왕국 에리크 9세[33]
아르메니아
아르메니아 왕국 티리다테스 3세[34]
영국
노섬브리아 노섬브리아의 오즈왈드[35]
웨식스 앨프레드 대왕[36]
잉글랜드 왕국 참회왕 에드워드[37]
이탈리아
교황령 바오로 1세[38], 레오 3세[39], 파스칼 1세[40], 레오 4세[41], 니콜라오 1세[42], 하드리아노 3세[43], 레오 9세[44], 그레고리오 7세[45], 첼레스티노 5세[46], 비오 5세[47], 비오 10세[48], 요한 23세[49], 바오로 6세[50], 요한 바오로 2세[51]
사보이 공국 아메데오 9세[52]
조지아
이베리아 왕국 미리안 3세[53], 바흐탄그 1세[54]
조지아 왕국 타마르[55], 바흐탄그 3세[56]
체코
보헤미아 공국 바츨라프 1세[57]
프랑스
프랑크 왕국 클로비스 1세[58], 다고베르 2세[59]
부르군트 왕국 군트람
브르타뉴 공국 살로몬[60]
프랑스 왕국 루이 9세[61]
폴란드
폴란드 왕국 야드비가[62]
헝가리
헝가리 왕국 라슬로 1세[63], 이슈트반 1세[64]

3. 가공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성군/창작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99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99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말년에는 건강의 악화로 이때의 업적 상당수는 세종 본인이 시작하고 장남 문종이 완성한 일이 대부분이었다. 그래서 건국대학교 신병주 교수는 조선의 황금시대를 세종과 문종 부자가 같이 만들었다고 보고 있다. 하지만 그런 점을 감안한다 쳐도 세종의 전반적인 즉위 기간 동안 남긴 업적이 역대 왕들을 통틀어 봐도 엄청난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2] 한국사 연대기 > 을파소 [3] 6세기 전후 전북 동부지역 가야세력과 신라의 관계에 대하여 ( 전북연구원, pp. 10-13 (12 pages), 김선숙) [4] 국제문화홍보정책실 발췌. [5] 고려시대 君主觀의 二元的 이해와 정치적 상징, pp. 12, 한정수) [6] 세종의 왕도정치에 미친《大學衍義》의 영향 -《세종실록》의 기록을 중심으로- (임소영, 이성남, 중국학논총, 2017, vol., no.53, pp. 103-131 (29 pages)) ; 한국문화사 > 23권 다양한 문화로 본 국가와 국왕 ; 조선 초기 군주 수양론 전개에 관한 연구 (박제균,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vol., no.87, pp. 41-74 (34 pages)) ; 弘齋 正祖의 學問觀 (김인규, 온지논총, 2009, vol., no.23, pp. 293-320 (28 pages)) [7] 조선 성종조 거버넌스체제 변화과정 분석 (심재권, 한국행정사학지, 2019, vol.46, no.46, 통권 46호 pp. 51-75 (25 pages)) ; 조선 초기 군주 수양론 전개에 관한 연구 (박제균,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vol., no.87, pp. 41-74 (34 pages)) [8] 『肅宗春坊日記』에 나타난 숙종의 세자 생활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奎章閣, Vol.33, pp. 21-40, 주기평) [9] 한국문화사 > 23권 다양한 문화로 본 국가와 국왕 ; 영·정조의 탕평책과 정치 리더십 (박병철, 민족사상, 2023, vol.17, no.2, pp. 45-78 (34 pages)) [10] 한국문화사 > 23권 다양한 문화로 본 국가와 국왕 ; 영·정조의 탕평책과 정치 리더십 (박병철, 민족사상, 2023, vol.17, no.2, pp. 45-78 (34 pages)) ; 弘齋 正祖의 學問觀 (김인규, 온지논총, 2009, vol., no.23, pp. 293-320 (28 pages)) ; 정조의 개혁정치에 나타난 리더십에 관한 연구 (박병철, 민족사상, 2020, vol.14, no.3, pp. 337-372 (36 pages)) [11] 한국문화사 > 15권 하늘, 시간, 땅에 대한 전통적 사색 [12] 당 태종의 군주역할론 : 『貞觀政要』를 중심으로 [13] 肅宗 御製 <陳摶墮驢圖> 硏究 = A study on Chen Duan Falls off a Donkey: The Political Painting with Sukjong’s Royal Inscription [14] https://www.oca.org/orthodoxy/the-orthodox-faith/church-history/fourth-century/constantine [15] https://www.oca.org/saints/lives/2000/01/17/109027-emperor-theodosius-the-great [16] https://www.oca.org/saints/lives/1951/07/29/100346-emperor-theodosios-the-younger [17] https://www.oca.org/saints/lives/2022/11/14/103301-saint-justinian-the-emperor [18] https://www.newadvent.org/cathen/09644a.htm [19] https://www.newadvent.org/cathen/11234a.htm [20] https://www.newadvent.org/cathen/07227a.htm [21] https://www.newadvent.org/cathen/03307a.html [22] https://www.catholic.org/saints/saint.php?saint_id=427 [23] https://www.newadvent.org/cathen/15497a.html [24] https://www.oca.org/saints/lives/2019/05/02/101277-saint-boris-in-baptism-michael-equal-of-the-apostles-prince-and [25] https://www.oca.org/saints/lives/0216/01/30/100378-blessed-peter-king-of-bulgaria [26] https://www.newadvent.org/cathen/07276a.htm [27] https://www.newadvent.org/cathen/06042a.html [28] https://www.oca.org/saints/lives/2014/02/13/100514-venerable-stephen-in-monasticism-simeon-the-myrrhgusher-and-prin [29] https://www.oca.org/saints/lives/2024/09/24/102720-saint-vladislav-of-serbia [30] https://www.oca.org/saints/lives/2016/10/30/103119-venerable-dragutin-theoctistus-in-monasticism-of-serbia [31] https://www.oca.org/saints/lives/2020/10/30/103118-saint-stephen-milutin-of-serbia [32] https://www.oca.org/saints/lives/2024/12/02/103464-saint-stephen-urosh-king-of-serbia [33] https://www.catholic.org/saints/saint.php?saint_id=3168 [34] https://armenianchurch.ge/en/component/content/article/108-ststiridates [35] https://www.newadvent.org/cathen/11348c.html [36] https://www.newadvent.org/cathen/01309d.htm [37] https://catholicsaints.info/saint-edward-the-confessor/ [38] https://www.newadvent.org/cathen/11577a.htm [39] http://www.newadvent.org/cathen/09157b.htm [40] https://www.newadvent.org/cathen/11514a.htm [41] https://www.newadvent.org/cathen/09159a.htm [42] https://www.newadvent.org/cathen/11054a.htm [43] https://www.newadvent.org/cathen/01156b.htm [44] https://www.newadvent.org/cathen/09160c.htm [45] https://www.newadvent.org/cathen/06791c.htm [46] https://www.newadvent.org/cathen/03479b.htm [47] https://www.newadvent.org/cathen/12130a.htm [48] https://www.newadvent.org/cathen/12137a.htm [49] [65] [50] https://www.vaticannews.va/en/pope/news/2018-02/pope-francis-paul-vi-canonization.htm [51] https://www.vatican.va/content/francesco/en/homilies/2014/documents/papa-francesco_20140427_omelia-canonizzazioni.html [52] https://www.catholic.org/saints/saint.php?saint_id=1296 [53] https://www.oca.org/saints/lives/1989/10/01/108936-equals-of-the-apostles-emperor-mirian-and-empress-nana-of-georgi [54] https://www.oca.org/saints/lives/2025/11/30/103908-saint-vakhtang-gorgasali-king-of-georgia [55] https://www.oca.org/saints/lives/2025/05/01/101261-right-believing-tamara-queen-of-georgia [56] https://www.oca.org/saints/lives/2025/11/30/103908-saint-vakhtang-gorgasali-king-of-georgia [57] https://www.newadvent.org/cathen/15587b.htm [58] https://www.newadvent.org/cathen/04070a.htm [59] https://www.catholic.org/saints/saint.php?saint_id=2809 [60] https://www.santiebeati.it/dettaglio/92252 [61] Gaposchkin, M. Cecilia. "Boniface VIII, Philip the Fair, and the sanctity of Louis IX." Journal of Medieval History 29.1 (2003): 1-26.; Guo, Ke. "King Louis IX of France-Personal Life and Leadership Success." 2022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and Arts (SSHA 2022). Atlantis Press, 2022. 외 다수 논문 및 문헌 [62] Brzezińska, Anna. "Jadwiga of Anjou as the Image of a Good Queen in Late Medieval and Early Modern Poland." The Polish Review 44.4 (1999): 407-418.; Kellogg, Charlotte, and Frank H. Simonds. Jadwiga, Poland’s Great Queen. Pickle Partners Publishing, 2018. 외 다수 논문 및 문헌 [63] https://www.newadvent.org/cathen/08737a.htm [64] 법학저널 발췌, "그의 특출난 인물상과 그의 모든-(이전에 서술된 이민자 정책 등을 통합 국가 건설과 국가의 번영에)-필수적인 활동들이 그가 왜 성인이 되었고 왜 헝가리에서 엄청난 명성을 갖고 있는지 설명해준다." (His outstanding character and his all-essential activities give explanation why he became a saint and why he has great reputation in Hungary.), Kirs, Eszter. "Saint Stephen's Legacy, Immigration and Foreign Policy in Hungary in X-XIst Century." Miskolc J. Int'l L. 1 (2004): 1. 외 다수 논문 및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