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수학|대수학 Algebra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이론 | |||
기본 대상 | 연산 · 항등식( 가비의 이 · 곱셈 공식( 통분 · 약분) · 인수분해) · 부등식( 절대부등식) · 방정식( /풀이 · 근( 무연근 · 허근 · 비에트의 정리( 근과 계수의 관계) · 제곱근( 이중근호 · 개방법) · 환원 불능) · 부정 · 불능) · 비례식 · 다항식 · 산술( 시계 산술) | |||
수 체계 | 자연수( 소수) · 정수( 음수) · 유리수 · 실수( 무리수( 대수적 무리수 · 초월수) · 초실수) · 복소수( 허수) · 사원수 · 팔원수 · 대수적 수 · 벡터 공간 | |||
다루는 대상과 주요 토픽 | ||||
대수적 구조 | ||||
군(group) | 대칭군 · 기본군 · 자유군 · 리 군 · 괴물군 · 점군 · 순환군 · 군의 작용 · 동형 정리 · 실로우 정리 | |||
환(ring) | 아이디얼 | |||
체(field) | 갈루아 이론 · 분해체 | |||
대수 | 가환대수 · 리 대수 · 불 대수( 크로네커 델타) | |||
마그마· 반군· 모노이드 | 자유 모노이드 · 가환 모노이드 | |||
선형대수학 | 벡터 · 행렬 · 텐서( 텐서곱) · 벡터 공간( 선형사상) · 가군(module) · 내적 공간( 그람-슈미트 과정 · 수반 연산자) | |||
정리·추측 | ||||
대수학의 기본정리 · 나머지 정리 · 유클리드 호제법 · 부분분수분해 · PID 위의 유한생성 가군의 기본정리 · 산술·기하 평균 부등식 · 바이어슈트라스 분해 정리 · 호지 추측미해결 · 가환대수에서의 호몰로지 추측미해결 | ||||
관련 하위 분야 | ||||
범주론 | 함자 · 수반 · 자연 변환 · 모나드 · 쌍대성 · 토포스 이론 · 타입 이론 | |||
대수 위상수학 | 연속변형성 · 사슬 복합체 · 호몰로지 대수학( 호몰로지 · 코호몰로지) · mapping class group · 닐센-서스턴 분류 | |||
대수기하학 | 대수다양체 · 층 · 스킴 · 에탈 코호몰로지 · 모티브 | |||
대수적 정수론 | 타원곡선 · 디오판토스 방정식 · 유리근 정리 · 모듈러성 정리 | |||
가환대수학 | 스펙트럼 정리 | |||
표현론 | 실베스터 행렬 | |||
기타 및 관련 문서 | ||||
수학 관련 정보 · 추상화 · 1학년의 꿈 · 노름 · 혼합계산 · 분배법칙 · 교환법칙 · 결합법칙 · 교재 | }}}}}}}}} |
1. 개요
identity / 恒 等 式문자를 포함한 등식에서, 문자가 가리키는 미지수의 값과 상관없이 항상 성립하는 등식이라는 뜻이다. 반대로 문자가 특정 미지수의 값일 때만 성립하는 것은 방정식이라고 한다. 항등식의 부등식 버전으론 절대부등식이 있다. 주의할 점은 방정식처럼 보이는 [math(ax+b=0)]같은 식도 [math(a=b=0)]라는 조건이 주어지면 항등식이 된다는 사실이다.[1] 조건을 항상 잘 확인하자. 중1 때 잠깐 나오는 건 맛보기라고 여길 법하지만, 고1로 올라가면 나머지정리ㆍ 인수정리와 엮어서 복잡한 문제로 나온다.
[math(f(x)=(x)]에 관한 식[math())]의 형태로 함수 [math(f(x))]를 정의할 때는 등식 [math(f(x)=(x)]에 관한 식[math())]을 [math(x)]에 대한 항등식으로 생각할 수 있다.
2. 예시
[math(e)]는 자연로그의 밑, [math(i)]는 허수 단위이다.2.1. 삼각함수
- [math(\tan\theta = \dfrac{\sin\theta}{\cos\theta})]
- [math(\sin^2\theta+\cos^2\theta = 1)]
- [math(1+\tan^2\theta = \sec^2\theta)]
- [math(1+\cot^2\theta = \csc^2\theta)]
- [math(\cos x+i\sin x = e^{ix})] ( 오일러 공식)
- [math(\sin\theta = -i\sinh i\theta)]
- [math(\cos\theta = \cosh i\theta)]
- [math(\sin x = \dfrac{e^{ix}-e^{-ix}}{2i})]
- [math(\cos x = \dfrac{e^{ix}+e^{-ix}}{2})]
- [math(\tan x = \dfrac{\sin x}{\cos x} = -i\,\dfrac{e^{ix}-e^{-ix}}{e^{ix}+e^{-ix}})]
2.2. 지수
- [math(x^{a+b} = x^ax^b)]
- [math(x^{a-b} = \dfrac{x^a}{x^b})] (단, [math(x^b\neq0)])
- [math((x^a)^b = x^{ab})]
- [math((xy)^n = x^ny^n)]
- [math(e^x = \sinh x+\cosh x)]
2.3. 로그
- [math(\log{ab} = \log a+\log b)]
- [math(\log{\dfrac ab}=\log a-\log b)]
- [math(\log{a^n} = n\log a)]
- [math(\log_ab = \dfrac{\log_cb}{\log_ca})] (밑 변환 공식)
- [math(\log_ab = \dfrac1{\log_ba})]
- [math(\log_ix = \dfrac2{i\pi} \log_ex)]
- [math(\operatorname{li}(x) = (\operatorname{Ei} \circ \log_e)(x))][2]
2.4. 미적분
- [math(\dfrac{\rm d}{{\rm d}x} \,c = 0)] ([math(c)]는 상수)
- [math(\displaystyle \dfrac{\rm d}{{\rm d}x} \,x^n = nx^{n-1} \quad \leftrightarrow \quad \int x^n = \frac1{n+1} \,x^{n+1} +c)] ([math(c)]는 상수)
- [math(\dfrac{\rm d}{{\rm d}x} \,e^x = e^x)]
- [math(\dfrac{\rm d}{{\rm d}x} \ln x = \dfrac1x)]
- [math(\displaystyle \int_a^b f'(x) \,{\rm d}x = f(b) -f(a))] (단, 함수 [math(f'(x))]가 닫힌 구간 [math([a, b])]에서 연속이어야 한다. 미적분의 기본정리 참고.)
- [math(\displaystyle \int_1^e \frac1x \,{\rm d}x = \ln e -\ln1 = 1)]
- [math(\dfrac{\rm d}{{\rm d}x} \sin x = \cos x)]
- [math(\dfrac{\rm d}{{\rm d}x} \cos x = -\sin x)]
- [math(\dfrac{\rm d}{{\rm d}x} \tan x = \sec^2x)]
- [math(\dfrac{\rm d}{{\rm d}x} \cot x = -\csc^2x)]
- [math(\dfrac{\rm d}{{\rm d}x} \sec x = \sec x\tan x)]
- [math(\dfrac{\rm d}{{\rm d}x} \csc x = -\csc x\cot x)]
- [math(\dfrac{\rm d}{{\rm d}x} \sinh x = \cosh x)]
- [math(\dfrac{\rm d}{{\rm d}x} \cosh x = \sinh x)]
- [math(\dfrac{\rm d}{{\rm d}x} \tanh x = \operatorname{sech}^2x)]
- [math(\dfrac{\rm d}{{\rm d}x} \coth x = -\operatorname{csch}^2x)]
- [math(\dfrac{\rm d}{{\rm d}x} \operatorname{sech}x = -\operatorname{sech}x\tanh x)]
- [math(\dfrac{\rm d}{{\rm d}x} \operatorname{csch}x = -\operatorname{csch}x\coth x)]
- [math(\displaystyle \dfrac{\rm d}{{\rm d}x} |x| = \operatorname{sgn}(x) \quad \leftrightarrow \quad \int \operatorname{sgn}(x) = |x| +c)] ([math(c)]는 상수이고 [math(\operatorname{sgn}(x))]는 부호 함수이다.)
- [math(\displaystyle \dfrac{\rm d}{{\rm d}x} \operatorname{sgn}(x) = 2\delta(x) \quad \leftrightarrow \quad \int 2\delta(x) = 2\theta(x) +c = \operatorname{sgn}(x) +1+c)] ([math(c)]는 상수, [math(\delta(x))]는 디랙 델타 함수, [math(\theta(x))]는 헤비사이드 계단 함수이다.)
2.5. 벡터
- [math(({\bf a} \times {\bf b}) \times {\bf c} = -({\bf c} \cdot {\bf b}){\bf a} +({\bf c} \cdot {\bf a}){\bf b})]
-
[math({\bf a} \times ({\bf b} \times {\bf c}) = {\bf b}({\bf a} \cdot {\bf c}) -{\bf c}({\bf a} \cdot {\bf b})
)] - [math({\bf a} \times ({\bf b} \times {\bf c}) +{\bf b} \times ({\bf c} \times {\bf a}) +{\bf c} \times ({\bf a} \times {\bf b}) = {\bf 0})]
2.6. 미분류
-
[math({}_n{\rm P}_r = \dfrac{\Gamma(n+1)}{\Gamma(n-r+1)} = (n-r+1) \dfrac{\Gamma(n+1)}{\Gamma(n-r+2)} = (n-r+1) \cdot {}_n{\rm P}_{r-1})]
(단, 감마 함수에 들어가는 인수의 실수부가 0 이하의 정수이면 안 된다.) - [math(\operatorname{Im}(a) = 0 \quad (a\in\R))][3]
2.7. 곱셈 공식
자세한 내용은 곱셈 공식 문서 참고하십시오.1. [math((a+b)^2=a^2+2ab+b^2)]
2. [math((a-b)^2=a^2-2ab+b^2)]
3. [math((a+b)(a-b)=a^2-b^2)]
4. [math((x+a)(x+b)=x^2+(a+b)x+ab)]
5. [math((ax+b)(cx+d)=acx^2+(ad+bc)x+bd)]
2.8. 인수분해
자세한 내용은 인수분해 문서 참고하십시오.1. [math(a^2+2ab+b^2=(a+b)^2)]
2. [math(a^2-2ab+b^2=(a-b)^2)]
3. [math(a^2-b^2=(a+b)(a-b))]
4. [math(x^2+(a+b)x+ab=(x+a)(x+b))]
5. [math(acx^2+(ad+bc)x+bd=(ax+b)(cx+d))]
곱셈 공식들의 양변을 바꾼 것들이다.
3. 미정계수법
[math(x)]에 관한 등식 [math(a_nx^n +a_{n-1}x^{n-1} +\cdots +a_1x +a_0 = 0)]이 [math(x)]에 관한 항등식이 되기 위한 조건은 [math(a_n = a_{n-1} = \cdots = a_1 = a_0 = 0)]인 것이다. 비슷하게, [math(a_nx^n +a_{n-1}x^{n-1} +\cdots +a_1x +a_0 = b_nx^n +b_{n-1}x^{n-1} +\cdots +b_1x +b_0)]이 [math(x)]에 관한 항등식이 되기 위한 조건은 [math(a_0=b_0, a_1=b_1, \cdots, a_{n-1}=b_{n-1}, a_n=b_n)]인 것이다. 이 두 성질을 이용해서 어떤 다항식의 계수를 찾는 방법을 미정계수법이라고 한다. 방법은 크게 2가지가 있다.- 계수비교법: 동류항의 계수는 같아야 하므로, 동류항의 계수끼리 비교해 식을 세운 뒤 값을 구하는 방법.
- 수치대입법: 문자에 그냥 아무 값이나 대입한 뒤[4] 방정식을 푸는 방법.
4. 판별법
[math(a\times y = a\times y)]식을 정리했을 때, 위와 같이 좌변과 우변이 같다면 항등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