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문서: 삼국지/지명
관련 문서: 연주(중국)
삼국지 | 三國志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 ||
,,,, | ,,,, | |||
<colbgcolor=#980000> 삼국 | 조조 | 실존 인물 · 가공 인물 · 조위정통론 | |
유비 | 실존 인물 · 가공 인물 · 촉한정통론 | ||
손권 | 실존 인물 · 가공 인물 | ||
관련 정보 | 인물 · 연표 · 지명 · 관직 · 이름 표기 · 삼국지연의/수혜자 · 삼국지연의/피해자 · 삼국지연의/미등장인물 | ||
관련 작품 | 소설 · 만화 · 책 · 영화 · 애니메이션 · 드라마 · 라디오 드라마 · 게임 | }}}}}}}}} |
후한 13주 | |||||||||||||
사례 司隸 |
연주 兗州 |
예주 豫州 |
기주 冀州 |
유주 幽州 |
병주 幷州 |
옹주 雍州 |
양주 涼州 |
익주 益州 |
청주 靑州 |
서주 徐州 |
형주 荊州 |
양주 揚州 |
교주 交州 |
|
[clearfix]
1. 개요
기원전 107년에 처음 자사를 설치할 때, 이 방면을 맡는 자사의 감찰 구역이 원래 하수(河水) 하류와 제수(泲水) 사이의 하동 지방을 가리키던 지방 이름인 연주(兗州)와 겹치는 부분이 있어 연주자사부가 되었다. 순욱이 "천하의 중심"이라며 극찬한 곳으로, 실제로 동·서·남·북으로 각각 청주·서주·예주·사례·기주로 통하는 중원의 중심부에 자리잡고 있다. 후한 말부터 삼국시대에 특별한 변화가 보이진 않으나, 단지 관도대전을 전후한 시기에 이전이 이호태수(離狐太守)를 맡았고 미축이 영군태수(嬴郡太守) 직을 제안받은 특이한 사례가 확인된다. 이 두 태수직은 모두 임시 관직으로 보이며, 다른 인물이 해당 태수직을 맡은 것은 확인되지 않는다.군웅할거 초기에 동탁은 연주자사로 유대를 임명해 보냈는데, 정작 유대는 반동탁연합이 결성되자 이에 합류했다. 반동탁연합이 와해되고, 유대는 192년에 황건적 잔당과 교전 중에 전사했다. 이때 유대의 세력은 진궁의 설득으로 원소가 자의적으로 임명한 동군태수 조조의 세력으로 합류했고, 이에 실질적으로 조조를 통제하고 있던 원소는 멋대로 조조를 연주목으로 내세웠다. 그러나 이 시점에 조조가 연주 전체를 장악한 것은 아니었는데, 당시에는 공손찬이 멋대로 임명한 연주자사 선경도 활동 중이었고, 조정에서 정식으로 임명한 연주자사 김상도 공존했기 때문이었다. 193년을 기점으로 공손찬은 세력이 위축되었고, 원술에게 의지하고 있던 김상도 축출되었다. 하지만 194년에는 진류태수 장막이 여포를 끌어들여 조조에게 반기를 들면서 조조의 연주 통치에 큰 위기가 찾아왔는데, 원소의 지원을 받아 세력을 회복하고 장막과 여포 등을 평정하면서, 결국 195년 연말에 조정에서 조조를 정식 연주목으로 임명했다. 이듬해에는 협천자에 성공하여 그 권위를 더 굳혔다.
- 치소(治所)[1]: [후한]산양군 창읍현→[195]제음군 견성현→[204?]동군 늠구현
- 195년 이후: 동군 이호현 일대에 이호군을 설치함.
- 200년 무렵: 이호군을 폐지함.
2. 동군(東郡)
진(秦)나라가 기원전 225년에 위(魏)나라를 멸망시키고 설치한 군으로, 원래 위나라의 동쪽 지역이었기에 동군이 되었다.지명 | [-225]동군→[277]복양국(濮陽國) | ||
소속 | 진(秦)→[한]연주자사부→[서진]연주 | ||
치소 | 복양현 | ||
전입 | [200?]이호군? 견성현·늠구현 | ||
전출 | [195?]범현→이호군?, [213]동무양현·발간현·낙평현·양평국·돈구현→기주 위군, [220]동아현·임읍현→제북군, [221]위국→사례교위부 양평군, [222]박평현·요성현→기주 평원국, [229]곡성현→제북군 | ||
폐지 | [서진]연현 | ||
출신 |
늠구현:
왕관 발간현: 반장 위국: 악진 |
||
봉작 | 사마윤: 복양왕(277~)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진 | 동군: 복양현, 정도현, 동아현, 늠구현, 조현, 동무양현, 백마현, 성양현, 연현, 산조현, 요성현, 치평현, 양평현, 견성현, 돈구현, 도관현, 성무현, 장원현, 완구현, 평구현, 제음현(濟陰縣·연혁 미상), 도림현(桃林縣·연혁 미상), 승현(乘縣·연혁 미상), 구독현(句讀縣·연혁 미상), 청지현(淸氏縣·연혁 미상), 허현(虛縣·연혁 미상), 관현(觀縣·연혁 미상), 범양현? 이외 미상 | |
전한 | 동군(22현 401,297호 659,028구): 복양현, 관현, 요성현, 돈구현, 발간현, 범현, 치평현, 동무양현, 박평현, 여현, 청현, 동아현, 이호현, 임읍현, 이묘현, 수창현, 수양현, 낙창현, 양평현, 백마현, 남연현, 늠구현 | ||
신 | 동군→치정군(治亭郡), 복양현→치정현(治亭縣), 관현→관치현(觀治縣), 돈구현→순구현(順丘縣), 발간현→집순현(戢楯縣), 범현→건목현(建睦縣), 치평현→공숭현(功崇縣), 동무양현→무창현(武昌縣), 박평현→가목현(加睦縣), 여현→여치현(黎治縣), 청현→청치현(淸治縣), 이호현→서호현(瑞狐縣), 임읍현→곡성정현(穀城亭縣) | ||
후한 | 동군(15성 136,088호 603,393구): 복양현, 연현, 백마현, 돈구현, 동아현, 동무양현, 범현, 임읍현, 박평현, 요성현, 발간현, 낙평국, 양평국, 위국, 곡성현 | ||
서진 | 복양국(4현 21,000호): 복양현, 늠구현, 백마현, 견성현 | }}}}}}}}} |
- 늠구현(廩丘縣): 연주자사 치소(204?~)
- 소속: [진]동군→[전한]연주자사부 동군→[후한]제음군→[195?]이호군?→[200?]동군→[서진]연주 복양국
- 위치: 《35.63647, 115.72617》 산둥성 허쩌시 쥐안청현 펑황진 쉬가이촌(山东省菏泽市鄄城县凤凰镇徐垓村)
- 봉작
- 조흡: 늠구현공(265~)
- 복양현(濮陽縣): 동군 치소
- 소속: [진]동군→[한]연주자사부 동군→[서진]연주 복양국
- 위치: 《35.70515, 115.01371》 허난성 푸양시 푸양현 청관진(河南省濮阳市濮阳县城关镇)
- 봉작
- 조곤: 복양왕(226~232)
- 조○: 복양현공(265~?)
- 초구(楚丘): 《35.54122, 114.84091》
- 제구(帝丘): 《35.66505, 115.09470》
- 연현(燕縣): 서진 폐지
- 지명: '동군 연현'이 약칭되어 '동연현(東燕縣)'으로 기록된 경우가 있다. [전한]남연현(南燕縣)
- 소속: [진]동군→[한]연주자사부 동군→[서진]폐지
- 위치: 《35.24676, 114.35148》 허난성 신샹시 옌진현 차오싱좡촌 왕러우진(河南省新乡市延津县王楼镇)
- 극진(棘津): 《35.40989, 114.27412》
- 문석진(文石津): 《35.42712, 114.32722》
- 백마현(白馬縣)
- 지명: 조읍(曹邑·漕邑)→[진]백마현
- 소속: [진]동군→[한]연주자사부 동군→[서진]연주 복양국
- 위치: 《35.53510, 114.70915》 허난성 안양시 화현 리우구진 바이마창촌(河南省安阳市滑县留固镇白马墙村)
- 봉작
- 조표: 백마왕(226~232)
- 백마진(白馬津): 《35.58931, 114.53693》
-
백마파(白馬坡): 《35.58392, 114.56606》
관우가 이곳에서 동군태수 유연을 포위하고 있던 안량을 습격하여 포위를 풀었다. - 견성현(鄄城縣): 연주목 치소(195~204?)
- 지명: [진]견성현(甄城縣)
- 소속: [진]동군→[한]연주자사부 제음군→[195?]이호군?→[200?]동군→[서진]연주 복양국
- 위치: 《35.67287, 115.50356》 산둥성 허쩌시 쥐안청현 주청진(山东省菏泽市鄄城县旧城镇)
- 봉작:
-
여현(黎縣): 후한 폐지 -
이묘현(利苗縣): 후한 폐지 -
낙창현(樂昌縣): 후한 폐지 -
조현(曹縣): [진]동군→전한 폐지(제음군 정도현에 합병)
3. 진류국(陳留國)
지명 | [전한]진류군(陳留郡)→[189]진류국→[189]진류군→[222]진류국→[224]진류군→[232]진류국 | ||
소속 | [한]연주자사부→[서진]연주 | ||
치소 | 진류현→[서진]소황현 진류 | ||
폐지 | [213?]동혼현, [서진]진류현·평구현·이오현·고성현·어현·부구현 | ||
출신 |
위지현:
완우 평구현: 모개 이오현: 전위 어현: 채옹· 채염, 고유· 고정· 고간 등 고씨 일가 현 미상: 노수, 노초, 공주, 오광· 오반 |
||
봉작 |
유협: 진류왕(189) 조준(曹峻): 진류왕(222~224·232~265) 조환: 진류왕(265~)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전한 | 진류군(17현 296,284호 1,559,050구): 진류현, 소황현, 성안현, 영릉현, 옹구현, 산조현, 동혼현, 양읍현, 외황현, 봉구현, 장라국, 위지현, 언현, 장원현, 평구현, 제양현, 준의현 | |
신 | 영릉현→강선현(康善縣), 동혼현→동명현(東明縣), 양읍현→양평현(襄平縣), 장라국→혜택현(惠澤縣), 언현→순통현(順通縣), 장원현→장고현(長固縣), 제양현→제전현(濟前縣) | ||
후한 | 진류군(17성 177,529호 869,433구): 진류현, 준의현, 위지현, 옹구현, 양읍현, 외황현, 소황현, 동혼현, 제양현, 평구현, 봉구현, 산조현, 장원국, 이오현, 고성현, 어현, 부구현 | ||
서진 | 진류국(10현 30,000호): 소황현, 준의현, 봉구현, 산조현, 제양현, 장원현, 옹구현, 위지현, 양읍현, 외황현 | }}}}}}}}} |
- 진류현(陳留縣): 진류국 치소→서진 폐지(소황현에 합병)
-
준의현(浚儀縣)
원래 전국시대 위(魏)나라의 수도였던 대량(大梁)으로, 남북조시대를 거치면서 남부에 있던 개봉현과 통합되어 '개봉(開封)'이 되었는데, 훗날 후당을 제외한 오대와 북송이 수도로 삼았다. 참고로 카이펑시 문서에도 나오지만, 전국칠웅 중 한 나라의 수도씩이나 했는데도 불구하고 이 시대에는 그저 현이었을 뿐 주요 거점이 아니었던 것은, 진시황의 통일전쟁 당시 위나라의 악에 받친 저항으로 인해 대량 함락 후 진나라의 보복으로 초토화되었던 것의 여파가 여전했기 때문이었다. - 지명: [진]대량현(大梁縣)→[전한]준의현
- 소속: [진]탕군→[한]연주자사부 진류군→[서진]연주 진류국
- 위치: 《34.78548, 114.34333》 허난성 카이펑시(河南省开封市)
- 봉작
- 위지현(尉氏縣)
- 소속: [진]영천군→[한]연주자사부 진류군→[서진]연주 진류국
- 위치: 《34.41345, 114.18077》 허난성 카이펑시 웨이스현(河南省开封市尉氏县)
- 능수향(陵樹鄕)·능수정(陵樹亭): 《34.52847, 114.24792》
- 옹구현(雍丘縣)
- 소속: [진]탕군→[한]연주자사부 진류군→[서진]연주 진류국
- 위치: 《34.55351, 114.77448》 허난성 카이펑시 치현(河南省开封市杞县)
- 봉작
- 조식: 옹구왕(223~227·228~229)
- 양읍현(襄邑縣)
- 소속: [진]탕군→[한]연주자사부 진류군→[서진]연주 진류국
- 위치: 《34.43763, 115.06841》 허난성 상추시 쑤이현(河南省商丘市睢县)
- 봉작
- 조준(曹峻): 양읍후(217~)→공(221~222)→왕(224~232)
- 승광성(承匡城): 《34.40163, 114.92863》
- 외황현(外黃縣)
- 지명: 곡극리(曲棘里)
- 소속: [진]탕군→[한]연주자사부 진류군→[서진]연주 진류국
- 위치: 《34.75629, 114.96721》 허난성 상추시 민취안현 런허진 네이황시촌(河南省商丘市民权县人和镇内黄西村)
- 봉작
-
복양흥: 외황후(258~264) - 소황현(小黃縣)
- 소속: [한]연주자사부 진류군→[서진]연주 진류국
- 위치: 《34.78681, 114.47829》 허난성 카이펑시 샹푸구 두량향 즈타이촌(河南省开封市祥符区杜良乡治台村)
- 창원(倉垣): 《34.85626, 114.41801》
- 제양현(濟陽縣)
- 평구현(平丘縣): 서진 폐지
- 소속: [진]동군→[한]연주자사부 진류군→[서진]폐지
- 위치: 《35.04429, 114.60729》 허난성 신샹시 펑추현 유팡향(河南省新乡市封丘县油坊乡)
- 광인(匡人)·광정(匡亭): 《35.16128, 114.57438》
- 봉구현(封丘縣)
- 산조현(酸棗縣)
- 소속: [진]동군→[한]연주자사부 진류군→[서진]연주 진류국
- 위치: 《35.13857, 114.06642》 허난성 신샹시 위안양현 양아향 옌둥촌(河南省新乡市原阳县阳阿乡延东村)
-
연진(延津): 《35.39717, 114.20540》
문추가 이곳에서 조조를 추격하다가 복병에 걸려 전사했다. 『삼국지연의』에서는 관우에게 죽은 것으로 나온다. -
고시정(故市亭): 《35.13010, 114.25831》
허난성
신샹시 옌진현 썽구향 둥스구촌(河南省新乡市延津县僧固乡东史固村) 오소유지
『수경주』에 따르면 관도대전 당시 조조가 서황을 보내 원소의 군량 운반 수레를 공격한 '고시(故市)'는 오소택(烏巢澤) 북쪽에 위치한 '고시정'이다. -
오소(烏巢): 《35.05470, 114.27800》
허난성
신샹시 펑추현 (河南省新乡市封丘县)
조조가 허유를 통해 원소군의 순우경이 수송대 호위를 위해 오소택 인근에 주둔해 있다는 정보를 얻어 순우경을 습격해 격파한 곳이다. - 장원현(長垣縣)
- 지명: [후한]장원국(長垣國)
- 소속: [진]동군→[한]연주자사부 진류군→[서진]연주 진류국
- 위치: 《35.22366, 114.74191》 허난성 신샹시 창위안현 만춘진 천창촌(河南省新乡市长垣县满村镇陈墙村)
- 봉작
- 위진: 장원후(240?~264)
- 포성(蒲城): 《35.19760, 114.69200》
- 제성(祭城): 《35.25388, 114.87740》
-
이오현(已吾縣): 100년 설치→서진 폐지
사서에는 '기오현(己吾縣)'으로 표기되어 있는데, 현재까지 이어지는 지명을 보면 '已'자가 올바른 듯. - 고성현(考城縣): 서진 폐지
- 지명: [진]곡현(穀縣)→[전한]치현(甾縣·菑縣)→[후한]고성현
- 소속: [진]탕군→[전한]예주자사부 양국→[후한]연주자사부 진류군→[서진]폐지
- 위치: 《34.68143, 115.19366》 허난성 상추시 민취안현 루저우가도 쑤이저우바촌(河南省商丘市民权县绿洲街道睢州坝村)
- 어현(圉縣): 서진 폐지
- 부구현(扶溝縣): 서진 폐지
- 소속: [전한]연주자사부 회양국→[후한]진류군→[서진]폐지
- 위치: 《34.18840, 114.56854》 허난성 저우커우시 푸거우현 추이차오진 구청촌(河南省周口市扶沟县崔桥镇古城村)
-
동혼현(東昏縣): 213년 무렵 폐지 -
성안현(成安縣): 후한 폐지 -
장라국(長羅國): 후한 폐지
4. 제음군(濟陰郡)
전한 때인 기원전 144년에 양국(梁國)을 분할해 제음국(濟陰國)을 설치했다. 90년에 제음군을 분할해 성양국(城陽國)이 설치된 적이 있으나, 94년에 성양왕이 단절되어 다시 제음군에 합병되었다. 제음태수를 맡은 사람으로 하후돈과 정욱이 유명하다.지명 | [-144]제음국→[-143]제음군→[72]제음국→[84]제음군→[124]제음국→[125]제음군→[212]제음국→[220]제음군→[222]제음국→[224]제음군 | ||
소속 | [한]연주자사부→[서진]연주 | ||
치소 |
정도현 이호군: 이호현 |
||
분합 | [195?]이호군→[200?]제음군에 합병: 이호현·견성현·늠구현 및 동군 범현 | ||
전출 | [200?]이호군? 견성현·늠구현→동군 및 이호군? 범현→동평국 | ||
출신 | 정도현: 동소 | ||
봉작 |
유희: 제음왕(212~220) 조거: 제음왕(222~224)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전한 | 제음군(9현 290,025호 1,386,278구): 정도현, 원구현, 여도현, 가밀현, 성양현, 견성현, 구양현, 투현, 승지현 | |
신 | 정도현→제평현(濟平縣), 원구현→제양정현(濟陽亭縣), 여도현→기도현(祈都縣), 견성현→견량현(鄄良縣), 투현→만세현(萬歲縣) | ||
후한 | 제음군(11성 133,715호 657,554구): 정도현, 원구현, 성양현, 승지국, 구양현, 견성현, 이호현, 늠구현, 선보국, 성무현, 기지현 | ||
서진 | 제음군(9현 7,600호): 정도현, 승지현, 구양현, 이호현, 원구현, 기지현, 성무현, 선보현, 성양현 | }}}}}}}}} |
- 정도현(定陶縣): 제음군 치소
- 원구현(寃句縣)
- 지명: [진]완구현(宛胊縣)→[전한]원구현, '원구현(苑句縣)'으로 오기(誤記)된 사례가 있다.
- 소속: [진]동군→[한]연주자사부 제음군→[서진]연주 제음군
- 위치: 《35.05329, 115.23864》 산둥성 허쩌시 둥밍현 다툰진 펑좡촌(山东省菏泽市东明县彭庄村大屯镇)
-
성양현(成陽縣)
'성양현(城陽縣)'으로 오기된 사례가 있다. - 소속: [진]동군→[한]연주자사부 제음군→[서진]연주 제음군
- 위치: 《35.40651, 115.66827》 산둥성 허쩌시 무단구 후지진(山东省菏泽市牡丹区胡集镇)
- 영대(靈臺): 《35.39685, 115.66008》
- 승지현(乘氏縣)
- 지명: [97]승지국(乘氏國)→[163]승지현
- 소속: [한]연주자사부 제음군→[서진]연주 제음군
- 위치: 《35.22851, 115.92913》 산둥성 허쩌시 쥐예현 둥관툰진 즈툰촌(山东省菏泽市巨野县董官屯镇支屯村)
- 봉작
- 조무: 승지공(222~227)
- 구양현(句陽縣)
- 소속: [한]연주자사부 제음군→[서진]연주 제음군
- 봉작
- 조민(曹敏): 구양왕(226~232)
- 위치: 《35.37070, 115.44274》 산둥성 허쩌시 무단구 샤오리우진 하오탕촌(山东省菏泽市牡丹区小留镇郝堂村)
- 양리정(陽里亭)·수정(垂亭): 《35.53161, 115.60029》
- 선보현(單父縣)
- 지명: [97]선보국(單父國)→[159]선보현
- 소속: [진]탕군→[전한]연주자사부 산양군→[후한]제음군→[서진]연주 제음군
- 위치: 《34.79461, 116.08375》 산둥성 허쩌시 산현(山东省菏泽市单县)
- 봉작
- 조우: 선보왕(224~232)
- 성무현(成武縣)
- 소속: [진]동군→[전한]연주자사부 산양군→[후한]제음군→[서진]연주 제음군
- 위치: 《34.96223, 115.87518》 산둥성 허쩌시 청우현(山东省菏泽市成武县)
- 봉작
- 유표: 성무후(192~209)
- 조범(曹範): 성무후(223~)→공(229~235)
- 초구정(楚丘亭): 《34.80109, 115.70586》
- 북고성(北郜城): 《34.92375, 115.92811》
- 기지현(己氏縣)
-
지명: [전한]이지현(已氏縣)→[후한]기지현
'이지(已氏)'가 올바른 표기 같은데, 후한 이후의 문헌에서는 모두 '己氏'로 표기되기에 이에 따른다. - 소속: [전한]예주자사부 양국→[후한]연주자사부 제음군→[서진]연주 제음군
- 위치: 《34.70460, 115.70169》 산둥성 허쩌시 차오현 안차이러우진 가오지촌(山东省菏泽市曹县安蔡楼镇高集村)
- 봉작
- 조종(曹琮): 기지공(223~227·229~246)
-
여도현(呂都縣): 후한 폐지 -
가밀현(葭密縣): 후한 폐지 -
투현(秺縣): 후한 폐지
4.1. 이호군(離狐郡)
관도대전 직전 시점에
이전은 이호태수(離狐太守) 직책을 맡고 있었는데, 이 직책은 다른 인물이 역임한 적이 없고, 213년에
구주를 재편한 조치에서도 이호군은 언급되어 있지 않았다. 이전은 사촌인
이정이 죽자 그의 가병들을 물려받은 뒤에 이호태수가 되었는데, 이정은
설란을 격파한 뒤에 사망한 것이 확인되므로, 이전이 이호태수가 된 시점은 195년 이전일 수가 없다. 또한, 이호태수 재임 중에 관도대전이 일어났고 그때의 공으로 비장군으로 승진해 안민(安民)에 주둔하게 되었으므로, 200년 무렵에 이호태수 직책에서 전임된 것으로 보인다.그런데 태수는 황제 직속의 고위직으로 독자적인 징병권과 지휘권을 가졌으며, 비장군은 다른 장군의 보좌 격으로 그 장군이 맡긴 병력을 지휘하는 직책이므로, 태수가 공을 인정받아 비장군으로 전임되는 것은 결코 자연스러운 일이 아니다. 이 점은 이호태수라는 관직이 정상적인 관직이 아니었음을 보여주는 단서라 여겨진다. 또한 군의 이름은 제음군 이호현에서 따온 것으로 보이는데, 당시 제음군 이호현은 원소 세력과 대치하는 최전방 지역이었던 점도 눈여겨볼 대목이다. 아마도 제음군 이호현 주변에서 휘하의 가병들을 주둔시키면서 현지 주민들을 대상으로 인력이나 물자를 동원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고자 임시로 태수 직책을 마련했고, 이전이 관도대전 중에 실제로 전공을 세우자 정식으로 관병을 통솔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했던 것이 이 일의 실상이라 판단된다.
이호군은 제음군 이호현에 치소를 두어 설치된 군이었다 할 수 있겠으나, 그 외에 다른 현들이 소속되어 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다만 이호현 주변에 위치한 제음군 늠구현과 견성현이 삼국시대에는 동군 소속이 되었고, 동군 범현이 삼국시대에는 동평국 소속이 된 점이 눈에 띄는데, 아마도 이 3현이 이호군에 소속되었다가 이호군이 폐지되면서 소속이 변경된 것이 아닌가 추측된다. 특히 범현은 이전이 관도대전 이후 주둔한 안민이 소속된 현이다.
- 이호현(離狐縣): 이호군 치소
5. 산양군(山陽郡)
265년에 고평공 진건의 식읍이 되어 고평군(高平郡)으로 개명했는데, 275년에 개국공신으로 격상되어 고평국(高平國)으로 개편되었다. 하내군 산양현과 이름이 같기에 위나라 때 산양공의 식읍이 되어 산양국이 되었던 것으로 오해하는 경우가 있으나, 산양공은 하내군 산양현이 식읍으로 설정된 것이고, 실제로 수여받은 탕목읍도 산양현 인근의 탁록성으로 현재까지 유적으로 남아있다.지명 | [-145]산양국(山陽國)→[-136]산양군→[-91]창읍국(昌邑國)→[-74]산양군→[41]산양국→[58]산양군→[212]산양국→[220]산양군→[265]고평군(高平郡)→[275]고평국(高平國) | ||
소속 | [한]연주자사부→[서진]연주 | ||
치소 | 창읍현 | ||
폐지 | [삼국]방동현, [서진]동민현·하구현 | ||
출신 |
창읍현:
만총,
양무 거야현: 이전 고평현: 유표 일족, 왕찬, 이적 |
||
봉작 |
유의(劉懿): 산양왕(212~220) 진건: 고평군공(265~)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전한 | 산양군(23현 172,847호 801,288구): 창읍현, 남평양현, 성무현, 호릉현, 동민현, 방여현, 탁현, 거야현, 단보현, 박현, 도관현, 성도국, 황국, 원척국, 고성국, 중향국, 평락국, 정국, 하구현, 치향국, 율향국, 곡향국, 서양국 | |
신 | 산양군→거야군(巨野郡), 남평양현→민평현(黽平縣), 성무현→성안현(成安縣), 호릉현→호륙현(湖陸縣), 탁현→고평현(高平縣), 단보현→이보현(利父縣), 성도국→성곡현(城穀縣), 원척국→척정현(戚亭縣), 고성국→고성현(告成縣), 율향국→족정현(足亭縣) | ||
후한 | 산양군(10성 109,898호 606,091구): 창읍현, 동민현, 거야현, 고평국, 호륙현, 남평양국, 방여현, 하구현, 금향현, 방동현 | ||
서진 | 고평국(7현 3,800호): 창읍현, 거야현, 방여현, 금향현, 호륙현, 고평현, 남평양현 | }}}}}}}}} |
- 창읍현(昌邑縣): 연주자사(~195) 및 산양군 치소
- 소속: [진]탕군→[한]연주자사부 산양군→[서진]연주 고평국
- 위치: 《35.14277, 116.12354》 산둥성 허쩌시 쥐예현 다셰지진 첸창이촌(山东省菏泽市巨野县大谢集镇前昌邑村)
- 봉작
- 만총: 창읍후(226?~)
- 갑보정(甲父亭): 《34.93130, 116.20104》
- 동민현(東緡縣): 서진 폐지
- 거야현(鉅野縣)
- 고평현(高平縣)
- 지명: [전한]탁현(橐縣)→[후한]고평국(高平國)
- 소속: [한]연주자사부 산양군→[서진]연주 고평국
- 위치: 《35.15031, 116.71867》 산둥성 지닝시 웨이산현 량청진(山东省济宁市微山县两城镇)
- 봉작
- 시정(邿亭)·모향성(茅鄕城): 《35.15640, 116.64733》
- 호륙현(湖陸縣)
-
지명: [전한]호릉현(湖陵縣)→[후한]호륙현
'육호현(陸湖縣)'으로 오기된 경우가 있다. 참고로 왕망이 바꾼 수많은 지명 중에 유일하게(...) 살아남은 지명이다. 사실 호릉현으로 환원되었고, 나중에 장제가 개명한 이름이 같은 경우이긴 하지만. - 소속: [한]연주자사부 산양군→[서진]연주 고평국
- 위치: 《34.94290, 116.83036》 산둥성 지닝시 웨이산현 장러우진 후싱촌(山东省济宁市微山县张楼镇湖兴村)
- 남평양현(南平陽縣)
- 지명: [후한]남평양국(南平陽國)
- 소속: [한]연주자사부 산양군→[서진]연주 고평국
- 위치: 《35.40276, 116.96727》 산둥성 지닝시 쩌우청시(山东省济宁市邹城市)
- 칠정(漆亭)·칠향(漆鄕): 《35.41865, 117.01075》
- 방여현(方與縣)
- 지명: [진]방여현(方輿縣)
- 소속: [진]설군→[한]연주자사부 산양군→[서진]연주 고평국
- 위치: 《35.08306, 116.61735》 산둥성 지닝시 위타이현 장황진 샤오위촌(山东省济宁市鱼台县张黄镇小于村)
- 무당정(武唐亭): 《35.04130, 116.55450》
- 하구현(瑕丘縣): 서진 폐지
- 금향현(金鄕縣): 24년 설치
- 소속: [24]연주자사부 산양군→[후한]산양군→[서진]연주 고평국
- 위치: 《35.24677, 116.33284》 산둥성 지닝시 자샹현 마둥진 아청푸촌(山东省济宁市嘉祥县满硐镇阿城铺村)
-
방동현(防東縣): 삼국시대 중 폐지 - 지명: [전한]서양국(西陽國)→[후한]방동현
- 소속: [한]연주자사부 산양군→[삼국]폐지
- 위치: 《34.96954, 116.12553》 산둥성 허쩌시 청우현 바이푸투진(山东省菏泽市成武县白浮图镇)
-
도관현(都關縣): 후한 폐지 -
성도국(城都國): 후한 폐지 -
황국(黃國): 후한 폐지 -
원척국(爰戚國): 후한 폐지 - 지명: [진]원척현(爰戚縣)
- 소속: [진]탕군→[전한]연주자사부 산양군→[후한]폐지
- 위치: 《35.31748, 116.26230》 산둥성 지닝시 자샹현 중산진 후치산촌(山东省济宁市嘉祥县仲山镇胡契山村)
-
고성국(郜成國): 후한 폐지(성무현에 합병) - 지명: [후한]고성(郜城)
-
중향국(中鄕國): 후한 폐지 -
평락국(平樂國): 후한 폐지 -
정국(鄭國): 후한 폐지 -
치향국(甾鄕國): 후한 폐지 -
율향국(栗鄕國): 후한 폐지 -
곡향국(曲鄕國): 후한 폐지 -
서방현(西邡縣): 연혁 미상 -
소속: [-97]연주자사부 창읍국(昌邑國)→[-74]?
전한 말 서양국(西陽國)과 동일한 곳으로 보는 의견이 있다. -
동방현(東邡縣): 연혁 미상 - 소속: [-97]연주자사부 창읍국(昌邑國)→[-74]?
-
방현(邡縣): 연혁 미상 - 소속: [-97]연주자사부 창읍국(昌邑國)→[-74]?
6. 동평국(東平國)
지명 | [-145]제동국(濟東國)→[-119]대하군(大河郡)→[-52]동평국→[23]동평군(東平郡)→[41]동평국→[220]동평군→[223]수장국(壽張國)→[224]동평군→[232]동평국 | ||
소속 | [한]연주자사부→[서진]연주 | ||
치소 | 무염현→[223]수장현 | ||
전입 | [200?]이호군? 범현, [224]제북국 강현 | ||
폐지 | [삼국]장현, [서진]영양현 | ||
출신 |
수장현:
장막·
장초 일족 영양현: 유정 현 미상: 여광· 여상 형제 |
||
봉작 |
유개(劉凱): 동평왕(~220) 조휘(曹徽): 수장왕(223~224)→동평왕(232~265) 사마무(司馬楙): 동평왕(265~)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전한 | 동평국(7현 131,753호 607,976구): 무염현, 임성현, 동평륙현, 부성현, 장현, 항보현, 번현 | |
신 | 동평국→유염군(有鹽郡), 무염현→유염정현(有鹽亭縣), 임성현→연취정현(延就亭縣), 부성현→성부현(成富縣), 항보현→순보현(順父縣) | ||
후한 | 동평국(7성 79,012호 448,270구): 무염현, 동평륙현, 부성현, 장현, 수장현, 수창현, 영양현 | ||
서진 | 동평국(7현 6,400호): 수창현, 수장현, 범현, 무염현, 부성현, 동평륙현, 강평현 | }}}}}}}}} |
- 수장현(壽張縣): 동평국 치소
- 지명: [진]장현(張縣)→[전한]수양현(壽良縣)→[후한]수장현
- 소속: [진]설군?→[전한]연주자사부 동군→[후한]동평국→[서진]연주 동평국
- 위치: 《35.88143, 116.27509》 산둥성 타이안시 둥핑현 신후진 장커우촌(山东省泰安市东平县新湖镇蒋口村)
- 봉작
- 조휘(曹徽): 수장왕(224~232)
- 무염현(無鹽縣)
- 소속: [진]설군→[한]연주자사부 동평국→[서진]연주 동평국
- 위치: 《35.90730, 116.49642》 산둥성 타이안시 둥핑현 둥핑가도 우옌촌(山东省泰安市东平县东平街道无盐村)
- 후향(郈鄕): 《35.87697, 116.51065》
- 동평륙현(東平陸縣)
- 부성현(富成縣)
- 지명: [전한]부성현(富城縣)→[후한]부성현(富成縣)
- 소속: [한]연주자사부 동평국→[서진]연주 동평국
- 위치: 《36.06364, 116.61142》 산둥성 타이안시 페이청시 왕좡진(山东省泰安市肥城市王庄镇)
- 수창현(須昌縣)
- 소속: [진]설군→[전한]연주자사부 동군→[후한]동평국→[서진]연주 동평국
- 위치: 《35.95607, 116.28256》 산둥성 타이안시 둥핑현 라오후진(山东省泰安市东平县老湖镇)
- 양곡성(陽穀城): 《36.04280, 116.23731》
- 영양현(寧陽縣·甯陽縣): 서진 폐지
- 지명: [전한]영양국(寧陽國)
- 소속: [진]설군→[전한]연주자사부 태산군→[후한]동평국→[서진]폐지
- 위치: 《35.71483, 116.79305》 산둥성 타이안시 닝양현 쓰뎬진(山东省泰安市宁阳县泗店镇)
- 범현(范縣)
- 지명: [진]범양현(范陽縣)→[전한]범현
- 소속: [진]동군?→[한]연주자사부 동군→[195?]이호군?→[200?]동평국→[서진]연주 동평국
- 위치: 《35.84589, 116.05293》 산둥성 지닝시 량산현 양잉진 저우러우촌(山东省济宁市梁山县杨营镇周楼村)
- 안민(安民): 《35.86158, 116.13040》
- 진정(秦亭): 《35.87448, 115.67587》
- 강현(剛縣)
- 지명: [서진]강평현(剛平縣)
- 소속: [진]설군→[전한]연주자사부 태산군→[후한]제북국→[224]동평국→[서진]연주 동평국
- 위치: 《35.87228, 116.85638》 산둥성 타이안시 닝양현 강청진(山东省泰安市宁阳县堽城镇)
-
장현(鄣縣): 삼국시대 중 폐지
7. 임성군(任城郡)
원래 후한 때인 84년에 동평왕의 아들이 임성왕에 책봉되면서, 동평국을 분할해 설치한 봉국이었다.지명 | [84]임성국(任城國)→[151]임성군→[161]임성국→[220]임성군→[222]임성국→[223]임성군→[232]임성국→[246]임성군→[277]임성국 | ||
소속 | [84]연주자사부→[서진]연주 | ||
치소 | 임성현 | ||
봉작 |
유타(劉佗): 임성왕(~220) 조창: 임성왕(222~223) 조해: 임성왕(232~246) 사마릉: 임성왕(277~)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후한 | 임성국(3성 36,442호 194,156구): 임성현, 항보현, 번현 | |
서진 | 임성국(3현 1,700호): 임성현, 항보현, 번현 | }}}}}}}}} |
- 임성현(任城縣): 임성군 치소
- 소속: [진]설군→[전한]연주자사부 동평국→[후한]임성국→[서진]연주 임성국
- 위치: 《35.23642, 116.69500》 산둥성 지닝시 웨이산현 루차오진 중첸촌(山东省济宁市微山县鲁桥镇仲浅村)
- 봉작
- 조해: 임성왕(224~232)
- 항보현(亢父縣)
- 소속: [진]설군→[전한]연주자사부 동평국→[후한]임성국→[서진]연주 임성국
- 위치: 《35.20763, 116.53927》 산둥성 지닝시 런청구 위툰진 장관툰촌(山东省济宁市任城区喻屯镇张官屯村)
- 봉작
- 강유(江蕤): 항보남(264~)
- 하루성(瑕婁城): 《35.26834, 116.57475》
- 번현(樊縣)
8. 제북국(濟北國)
진(秦)나라가 설치한 제북군은 항우가 제북왕을 분봉하면서 제북국이 되었다가 기원전 87년에 제북왕이 철봉(撤封)되어 폐지되었는데, 이에 따라 전한 이전 제북국의 영역이 어떠했는지 정확히 알 수 없게 되었다. 현재 파악된 진나라 때의 현 분포로 볼 때, 원래의 제북군은 대체로 발해군·평원군 일대에 해당한다. 후한 때인 90년에 제북왕이 책봉되면서 다시 설치되었는데, 제북국이 제남국의 남쪽에 있는(...) 기묘한 형세가 되었다. 후한 말에 제북왕이 단절되었음에도 206년까지 봉국을 폐하는 조치가 이뤄지지 못했다. 참고로 군웅할거 시기에 포신이 이곳의 상(相)을 역임했다.지명 | [진]제북군(濟北郡)→[-206]제북국, [90]제북국→[206]제북군→[212]제북국→[220]제북군→[232]제북국→[265]제북군→[275]제북국 | ||
소속 | 진(秦)→[-107]연주자사부→[-87]폐지, [90]연주자사부→[서진]연주 | ||
치소 | 노현 | ||
전입 | [220]동군 동아현·임읍현, [229]동군 곡성현 | ||
전출 | [222]치평현→기주 평원국, [224]강현→수장국 | ||
폐지 | [서진]비성현 | ||
출신 | 동아현: 정욱 | ||
봉작 |
유막(劉邈): 제북왕(212~220) 조지: 제북왕(232~265) 순욱: 제북군후(265~)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진 | 제북군: 노현, 낙릉현, 시현, 부양현, 천동현, 격현, 누음현, 평원현, 고성현, 고약현(高櫟縣·연혁 미상) 이외 미상 | |
후한 |
제북국(5성 45,689호 235,897구): 노현, 사구현, |
||
서진 | 제북국(5현 3,500호): 노현, 임읍현, 동아현, 곡성현, 사구현 | }}}}}}}}} |
- 노현(盧縣): 제북국 치소
- 소속: [진]제북군→[전한]연주자사부 태산군→[후한]제북국→[서진]연주 제북국
- 위치: 《36.41312, 116.63419》 산둥성 지난시 창칭구 샤오리가도 자오좡촌(山东省济南市长清区孝里街道赵庄村)
- 평음성(平陰城): 《36.37309, 116.62606》
- 석교(石窌): 《36.45129, 116.83026》
-
항우총(項羽冢): 《36.11979, 116.24396》
항우의 머리를 묻은 곳이다. 현재는 패왕묘(霸王墓)라고 불린다. - 사구현(蛇丘縣)
- 지명: 주향성(鑄鄕城), [전한]사구현(虵丘縣)
- 소속: [전한]연주자사부 태산군→[후한]제북국→[서진]연주 제북국
- 위치: 《36.07212, 116.92899》 산둥성 타이안시 다이웨구 샤장진 구셴뎬촌(山东省泰安市岱岳区夏张镇故县店村)
- 수향(遂鄕): 《36.06911, 116.77113》
- 하관정(下灌亭)·하환정(下讙亭): 《35.89522, 116.75177》
- 동아현(東阿縣)
- 소속: [진]동군→[한]연주자사부 동군→[220]제북국→[서진]연주 제북국
- 위치: 《36.16054, 116.0467》 산둥성 랴오청시 양구현 어청진(山东省聊城市阳谷县阿城镇)
- 봉작
- 조식: 동아왕(229~232)
- 청정(淸亭): 《36.22045, 116.21178》
- 창정진(倉亭津)·창정(蒼亭): 《36.20375, 115.82395》
- 임읍현(臨邑縣)
- 곡성현(穀城縣): 25년 설치
- 소속: [25]연주자사부 동군→[후한]동군→[229]제북국→[서진]연주 제북국
- 위치: 《36.16695, 116.25224》 산둥성 지난시 핑인현 둥어진 난먼와이촌(山东省济南市平阴县东阿镇南门外村)
- 노자성(盧子城)·주수정(周首亭): 《36.28815, 116.34509》
- 오하취(鄔下聚)·전하취(巂下聚): 《36.15604, 116.26380》
- 비성현(肥成縣): 서진 폐지
- 소속: [전한]연주자사부 태산군→[후한]제북국→[서진]폐지
- 위치: 《36.18966, 116.76697》 산둥성 타이안시 페이청시(山东省泰安市肥城市)
-
성현(成縣)?: 《35.84921, 117.19174》
『속한서』 군국지에는 제북국 소속 현으로 '성현'을 표기하고 태산군 '비성현'은 누락되어 있다. 이에 『중국역사지도집』은 후한 때에 비성현이 폐지되고 제북국에 성현이 새로 설치된 것으로 보아, 닝양현(宁阳县)에서 발견된 후한 시대의 성터(《35.84921, 117.19174》)를 '성현'으로 비정하고, 삼국시대편에는 다시 비성현을 표기하고 성현을 삭제했다. 그러나 이 위치는 후한 때 태산군 영역으로, 만일 닝양현의 성터가 제북국 소속의 성터라면 엄연히 월경지가 되며, 실제로 지도에서도 사실상 월경지로 표시되었다. 이는 잘못된 비정이라 판단되고, 『속한서』가 제북국 비성현을 제북국 성현으로 오기(誤記)한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9. 태산군(泰山郡)
진(秦)나라 때에도 태산군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지만, 한나라의 태산군은 한무제가 봉선(封禪)을 기획하자 당시 제북왕이 태산 주변의 현들을 황제에게 바치면서 형성되었다. 198년 무렵에 조조가 태산군 5현을 분할해 미축을 영군태수(嬴郡太守)로 임명하려 했으나 미축이 응하지 않아 무산되었다.소속 | 진(秦)→제국(濟國), [-122]태산군→[한]연주자사부→[서진]연주 | ||
치소 | [진]박성현, [-122]봉고현 | ||
분립 |
|
||
전출 | [198?]개현→동안군, [서진]비현·화현→서주 낭야국 | ||
출신 |
거평현:
우금 화현: 장패 동평양현: 포신, 고당륭 현 미상: 왕광, 손강· 손관 형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진 | 태산군[3]: 박성현, 동평릉현, 반양현, 양추현, 어릉현, 평양현, 역성현, 영현, 태산현(泰山縣·연혁 미상) 이외 미상 | |
전한 | 태산군(24현 172,086호 726,604구): 봉고현, 박현, 치현, 노현, 비성현, 사구현, 강현, 시현, 개현, 양보현, 동평양현, 남무양현, 내무현, 거평현, 영현, 모현, 몽음현, 화현, 영양국, 승구현, 부양현, 도산국, 도향국, 식현 | ||
신 | 강현→유현(柔縣), 남무양현→환선현(桓宣縣), 몽음현→몽은현(蒙恩縣), 화현→익음현(翼陰縣), 영양국→영순현(寧順縣), 도산국→포로현(裒魯縣), 도향국→장정현(鄣亭縣) | ||
후한 | 태산군(12성 8,929호 437,317구[4]): 봉고현, 박현, 양보국, 거평국, 영현, 산치국, 내무현, 개현, 남무양국, 남성현, 비국, 모현 | ||
서진 | 태산군(11현 9,300호): 봉고현, 박현, 영현, 남성현, 양보현, 산치현, 신태현, 남무양현, 내무현, 모현, 거평현 | }}}}}}}}} |
- 봉고현(奉高縣): 태산군 치소
- 박현(博縣)
- 지명: [진]박성현(博城縣)→[-206?]박양현(博陽縣)→[전한]박현
- 소속: [진]태산군→[한]연주자사부 태산군→[서진]연주 태산군
- 위치: 《36.10761, 117.19949》 산둥성 타이안시 타이산구 추지아뎬진 주셴촌(山东省泰安市泰山区邱家店镇旧县村)
-
태산(泰山): 《36.25583, 117.10555》
대산(岱山)·대종(岱宗)·동악(東岳) 등 다양한 명칭이 있다. - 양보현(梁父縣)
- 지명: [후한]양보국(梁甫國)
- 소속: [한]연주자사부 태산군→[서진]연주 태산군
- 위치: 《35.88888, 117.66343》 산둥성 타이안시 신타이시 신원가도 중허자이촌(山东省泰安市新泰市新汶街道中合寨村)
- 도구취(菟裘聚): 《35.88125, 117.35618》
- 거평현(鉅平縣)
- 지명: [후한]거평국(鉅平國)
- 소속: [한]연주자사부 태산군→[서진]연주 태산군
- 위치: 《35.95569, 117.09668》 산둥성 타이안시 다이웨구 다원커우진(山东省泰安市岱岳区大汶口镇)
- 봉작
- 양호: 거평자(264~)→후(265~)
- 양관(陽關)·양관정(陽關亭): 《35.99196, 117.21090》
- 산치현(山茌縣)
- 지명: [전한]치현(茬縣·茌縣)→[후한]산치국(山茌國)
- 소속: [한]연주자사부 태산군→[서진]연주 태산군
- 위치: 《36.45535, 116.89212》 산둥성 지난시 창칭구 장샤진(山东省济南市长清区张夏镇)
- 비현(費縣)
- 지명: [후한]비국(費國)
- 소속: [진]낭야군→[전한]서주자사부 동해군→[후한]연주자사부 태산군→[서진]서주 낭야국
- 위치: 《35.35534, 117.93291》 산둥성 린이시 페이현 상예진 구청촌(山东省临沂市费县上冶镇古城村)
- 방(枋)·방정(祊亭)·밀여정(密如亭): 《35.28845, 118.18570》
- 화현(華縣): 후한 폐지→158년 재설치
- 소속: [전한]연주자사부 태산군→[후한]폐지, [삼국]태산군→[서진]서주 낭야국
- 위치: 《35.32058, 118.18964》 산둥성 린이시 란산구 팡청진 구청리촌(山东省临沂市兰山区方城镇古城里村)
- 남무양현(南武陽縣)
- 지명: [후한]남무양국(南武陽國)
- 소속: [한]연주자사부 태산군→[서진]연주 태산군
- 위치: 《35.50589, 117.62941》 산둥성 린이시 핑이현(山东省临沂市平邑县)
- 전유성(顓臾城): 《35.50761, 117.69054》
- 영현(嬴縣)
- 소속: [진]태산군→[한]연주자사부 태산군→[서진]연주 태산군
- 위치: 《36.32673, 117.57146》 산둥성 지난시 라이우구 양리진 청쯔셴촌(山东省济南市莱芜区羊里镇城子县村)
- 내무현(萊蕪縣)
- 남성현(南城縣)
- 지명: 남무성(南武城), [전한]남성국(南成國)
- 소속: [전한]서주자사부 동해군→[후한]연주자사부 태산군→[서진]연주 태산군
- 위치: 《35.17702, 117.64849》 산둥성 린이시 핑이현 웨이좡향 샤투차오촌(山东省临沂市平邑县魏庄乡下土桥村)
- 모현(牟縣)
- 동평양현(東平陽縣): 후한 폐지→152년 이전 재설치
- 지명: [진]평양현(平陽縣)→[전한]동평양현→[서진]신태현(新泰縣)
- 소속: [진]태산군→[전한]연주자사부 태산군→[후한]폐지, [152?]태산군→[서진]연주 태산군
- 위치: 《35.90966, 117.75588》 산둥성 타이안시 신타이시(山东省泰安市新泰市)
-
시현(柴縣): 후한 폐지 -
승구현(乘丘縣): 후한 폐지 -
부양현(富陽縣): 후한 폐지 -
도산국(桃山國): 후한 폐지 -
도향국(桃鄕國): 후한 폐지 -
식현(式縣): 후한 폐지
9.1. 영군(嬴郡)
조조가 표문을 올려 태산군의 5현을 나눠 영군을 설치하고
미축을 그 태수로 임명했고, 동생
미방도 팽성국의 상(相)으로 임명했으나, 둘 다 관직을 거절하고 유비를 따랐다는 기록이 있다. 논공행상의 성격이 강한 점으로 미뤄볼 때 여포가 패망한 직후인 198년 무렵의 일이라 추측된다. 그 이름으로 볼 때, 아마도 영현에 치소를 두는 군이었던 것으로 보이고 영현이 태산군의 동북부에 위치한 점을 감안하면, 자연히 영군의 5현은 영현·내무현·남성현·모현·평양현이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다만 이 조치가 조조가 당시 유비의 핵심 측근이던 미축 형제들을 포섭하여 유비가 독립하지 못하게 막으려던 의도로 보이고, 미축 또한 실제로 부임하지 않았으므로, 영군 분할이 실제 실현되었다고 보긴 어렵다.10. 같이보기
[1]
195년에 조조가 연주목에 정식으로 취임하면서 당시 조조의 거점인 견성현이 치소가 되었는데, 위나라 때는 늠구현으로 옮겨졌다. 아마도 조조가 204년에 기주목에 취임하면서 치소가 변경된 것이 아닌가 추정된다.
[2]
『속한서』 군국지가 비성현(肥成縣)을 성현(成縣)으로 오기한 것으로 보인다.
[3]
진나라 때 태산군이 아니라 박양군(博陽郡)이 있었다고 보는 의견도 있다. 이 경우에는 수현(首縣)인 박현(박성현) 또한 당시 이름은 박양현(博陽縣)이었다고 주장한다.
[4]
인구(口) 수치에 비해 세대(戶)가 너무 적다. 80,929호의 오기라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