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12 06:52:34

삼국지/지명/기주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삼국지/지명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기주
,
,
,
,
,

삼국지 | 三國志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  ,,,,
<colbgcolor=#980000> 삼국 조조 실존 인물 · 가공 인물 · 조위정통론
유비 실존 인물 · 가공 인물 · 촉한정통론
손권 실존 인물 · 가공 인물
관련 정보 인물 · 연표 · 지명 · 관직 · 이름 표기 · 삼국지연의/수혜자 · 삼국지연의/피해자 · 삼국지연의/미등장인물
관련 작품 소설 · 만화 · · 영화 · 애니메이션 · 드라마 · 라디오 드라마 · 게임 }}}}}}}}}

후한 13주
사례
司隸
연주
兗州
예주
豫州
기주
冀州
유주
幽州
병주
幷州
옹주
雍州
양주
涼州
익주
益州
청주
靑州
서주
徐州
형주
荊州
양주
揚州
교주
交州

파일:260년기주지도.jpg
1. 개요2. 안평군(安平郡)3. 박릉군(博陵郡)
3.1. 고양국(高陽國)
4. 거록군(鉅鹿郡)5. 조국(趙國)6. 상산군(常山郡)7. 중산국(中山國)8. 하간군(河間郡)
8.1. 장무군(章武郡)
9. 발해군(勃海郡)10. 청하군(淸河郡)11. 평원군(平原郡)12. 낙릉국(樂陵國)13. 같이보기

1. 개요

기원전 107년에 처음 자사를 설치할 때, 이 방면을 맡는 자사의 감찰 구역이 원래 하수(河水) 이북의 하내(河內) 지방을 가리키던 지방 이름인 기주(冀州)와 겹치는 부분이 있어 기주자사부가 되었다. 대체로 현재의 허베이성 남부 일대에 해당한다. 158년에는 박릉군이 설치되었다. 군웅할거 시기에 기주목 한복 공손찬 원소의 공격으로 몰락한 다음에는 공손찬 원소가 패권을 놓고 대립하다가, 원소가 공손찬을 물리치고 주요 거점으로 삼았다. 원소 일가가 패망한 이후에는 조조의 본거지가 되었다.

213년에 구주를 회복한다는 명분으로 유주·병주자사가 폐지되어 기주목으로 통합되었다. 당시 기주목은 조조였으므로, 조조가 하북 전역을 직접 장악하고자 이런 조치를 한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다만 원래의 기주 지방은 대부분 위공(魏公)의 식읍으로 설정되어 명목상 위국(魏國)으로 분리되었고, 조조가 병주와 유주의 전역을 장악하고 있던 것도 아니었기에, 통합된 기주의 실질적인 크기는 비합리적인 규모로 거대하진 않았다.

2. 안평군(安平郡)

원래 거록군 지역으로 전한 때 봉국이 설치되면서 분할되었는데, 184년에 안평왕 유속(劉續)이 황건적에 포로로 잡혔던 일로 봉국을 철폐하는 의논이 있던 중 대역죄를 저질러 주살 당하면서 안평군이 되었다.
지명 [-152]광천국(廣川國)→[-50]광천군(廣川郡)→[-37]신도국(信都國)→[-23]신도군(信都郡)→[-5]신도국→[9?]신도군→[72]낙성군(樂城郡)→[122]안평국(安平國)→[184]안평군→[265]안평국
소속 [한]기주자사부→[213]기주 위국(魏國)→[220]기주→[서진]기주
치소 신도현
분합 [158]박릉군: 안평현·남심택현·요양현
전입 [221]거록군 광종현
설치 [삼국]조강현
전출 [서진]부성현→발해군
폐지 [서진]조강현
출신 관진현: 견초
봉작 조조: 위공(213~216)→왕(216~220)
사마부: 안평왕(265~)
유리: 안평왕(230~263)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전한 신도국(17현 65,556호 304,384구): 신도현, 역현, 부류현, 피양현, 남궁현, 하박현, 무읍현, 관진현, 고제현, 광천현, 낙향국, 평제국, 도현, 서량국, 창성국, 동창국, 수현
신도국신박군(新博郡), 신도현→신박정현(博亭縣), 역현→역녕현(歷寧縣), 피양현→낙신현(樂信縣), 하박현→윤박현(閏博縣), 무읍현→순환현(順桓縣), 관진현→삭정정현(朔定亭縣), 낙향국→낙구현(樂丘縣), 도현→환분현(桓分縣), 동창국→전창현(田昌縣), 수현→수치현(修治縣)
후한 안평국(13성 91,440호 655,118구): 신도현, 부성현, 남궁현, 부류현, 하박현, 무읍현, 관진현, 당양현, 무수현, 요양현, 안평현, 남심택현, 경현
서진 안평국(8현 21,000호): 신도현, 하박현, 무읍현, 무수현, 관진현, 부류현, 광종현, 경현, 남궁현, 당양현[2] }}}}}}}}}

3. 박릉군(博陵郡)

158년에 환제가 자신의 선친인 효목황과 효숭황(孝崇皇)의 무덤을 관리할 목적으로 박릉현과 함께 설치했다. 213년에 조국이 조조의 식읍이 되자 원래의 조왕 유규를 박릉왕으로 개봉(改封)하여 박릉국으로 개편되었는데, 220년에 조비가 선양을 받으면서 박릉국이 폐지되어 환원되었다.
지명 [158]박릉군→[213]박릉국(博陵國)→[220]박릉군
소속 [158]기주자사부→[서진]기주
치소 박릉현→[265]안평현
고양국: 박륙현
분합 [265]고양국: 박륙현·고양현·여오현 및 유주 범양국 북신성현
전입 [158]안평국 안평현·남심택현·요양현 및 하간군 고양현 및 중산국 안국현·여오현
설치 [158]박릉현
출신 현 미상: 최주평
봉작 유규(劉珪): 박릉왕(213~220)
사마규(司馬珪): 고양왕(265~)
왕준: 박릉군공(277~)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서진 고양국(4현 7,000호): 박륙현, 고양현, 북신성현, 여오현
박릉군(4현 10,000호): 안평현, 요양현, 남심택현, 안국현 }}}}}}}}}

3.1. 고양국(高陽國)

265년에 고양왕 사마규(司馬珪)가 책봉되면서, 박릉군 박륙현·고양현·여오현 및 유주 범양국 북신성현을 식읍으로 삼아 고양국이 설치되었다.

4. 거록군(鉅鹿郡)

진(秦)나라가 설치한 군으로, 후한 말에 발생한 황건적의 난 진원지이다.
지명 [진]거록군→[72]거록국(鉅鹿國)→[79]거록군→[275]거록국→[281]거록군
[2]광종국(廣宗國)→[10?]거록군에 합병, [90]광종국→[90]거록군에 합병
소속 진(秦)→[한]기주자사부→[213]기주 위국(魏國)→[220]기주→[서진]기주
치소 [진]거록현→[후한]영도현
전출 [213]임현·남화현·광평현·척장현·곡주현·열인현·광년현→위군, [221]광종현→안평군, [서진]교현·하곡양현·평향현→조국
폐지 [서진]양지현·남련현
출신 현 미상: 전풍, 이부, 장천, 시묘, 양훈
봉작 조조: 위공(213~216)→왕(216~220)
배수: 거록군공(265~281)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거록군: 거록현, 양지현, 송자현, 임현, 하곡양현, 하박현, 무읍현, 남궁현, 신도현, 성양현(成襄縣·연혁 미상), 평양현(平襄縣·연혁 미상) 이외 미상
전한 거록군(20현 155,951호 827,177구): 거록현, 남련현, 광아현, 상지국, 영도현, 송자현, 양지현, 임평현, 하곡양현, 세현, 교현, 신시국, 당양현, 안정국, 경무현, 역향국, 낙신국, 무도국, 백향국, 안향국
광종국: 경현, 광종현[3]
남련현→부평현(富平縣), 상지국→영창현(寧昌縣), 송자현→선자현(宜子縣), 양지현→공륙현(功陸縣), 교현→진취현(秦聚縣), 신시국→시락현(市樂縣), 역향국→역취현(歷聚縣)
후한 거록군(15성 109,517호 602,096구): 영도현, 거록현, 양지현, 교현, 하곡양현, 임현, 남화현, 광평현, 척장현, 광종현, 곡주현, 열인현, 광년현, 평향현, 남련현
서진 거록국(2현 10,040호): 영도현, 거록현 }}}}}}}}}

5. 조국(趙國)

원래 진(秦)나라의 한단군(邯鄲郡)이었는데, 전한 때 조왕의 식읍이 되면서 조국으로 개편되었다.
지명 [진]한단군(邯鄲郡)→[-206]조국→[23]조군(趙郡)→[29]조국→[213]조군→[232]조국→[265]조군→[277]조국
소속 진(秦)→[한]기주자사부→[213]기주 위국(魏國)→[220]기주→[서진]기주
치소 [진]한단현→[213]방자현
전입 [213]상산군 원지현·고읍현·방자현·평극현, [277?]거록군 교현·하곡양현·평향현
전출 [213]한단현·역양현·양국현→위군
봉작 유규(劉珪)[4]: 조왕(~213)
조조: 위공(213~216)→왕(216~220)
조간: 조왕(232~265)
사마륜: 조왕(277~)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한단군: 한단현, 무안현, 호현, 역양현, 신도현, 업현, 광평현, 음안현, 위현, 무시현, 백인현 이외 미상
전한 조국(4현 84,202호 649,952구): 한단현, 역양현, 백인현, 양국현
조국환정군(桓亭郡), 백인현→수인현(壽仁縣)
후한 조국(5성 32,719호 188,381구): 한단현, 역양현, 양국현, 백인현, 중구현
서진 조국(9현 42,000호): 방자현, 원지현, 평극현, 고읍현, 중구현, 백인현, 평향현, 하곡양현, 교현 }}}}}}}}}

6. 상산군(常山郡)

원래 진(秦)나라의 항산군(恆山郡)이었으나, 전한 때 문제의 이름을 피휘하면서 상산군이 되었다. 기원전 114년 무렵에 상산군을 분할해 진정국(眞定國)을 설치했는데, 왕망이 기원후 10년에 진정국을 폐지하여 상산군에 합병시켰다. 신나라 말에 봉국을 빼앗겼던 옛 진정왕이 할거하여 봉국을 회복했지만, 후한 때인 37년 다시 상산군으로 합병되었다. 후한 때 상산왕이 책봉되면서 상산국(常山國)이 되었는데, 184년 황건적의 난 동안에 상산왕 유고(劉暠)가 도주하여 왕위가 사실상 단절되었음에도 206년까지 봉국을 폐하는 조치가 이뤄지지 못했다.
지명 [진]항산군(恆山郡)→[-180]상산군→[72]상산국→[206]상산군→[265]상산국
[-114]진정국→[10]상산군에 합병, [23]진정국→[37]상산군에 합병
소속 진(秦)→[한]기주자사부→[213]기주 위국(魏國)→[220]기주→[서진]기주
치소 [진]동원현→[전한]원지현→[213]진정현
진정국: [전한]진정현
전입 [213]중산국 상곡양현
설치 [196]석읍현
전출 [213]원지현·고읍현·방자현·평극현→조군, [216]상애현→낙평군
폐지 [삼국]난성현
출신 진정현: 조운, 장연
봉작 조조: 위공(213~216)→왕(216~220)
사마형: 상산왕(265~)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항산군: 동원현, 석읍현, 노노현, 상곡양현, 원지현, 방자현, 고형현, 안국현, 신처현, 봉기현, 구문현, 평대현, 정형현, 남행당현, 망도현, 당현, 북평현, 곡역현, 낙음현(樂陰縣·연혁 미상), 의안현(宜安縣·연혁 미상), 수릉현(壽陵縣·연혁 미상), 영수현(寧壽縣·연혁 미상) 이외 미상
전한 상산군(18현 141,741호 677,956구): 원지현, 석읍현, 상중국, 영수현, 포오현, 상곡양현, 구문현, 정형현, 방자현, 중구현, 봉사국, 관현, 평극현, 호현, 낙양국, 평대국, 도향국, 남행당현
진정국(4현 37,126호 178,616구): 진정현, 고성현, 비류현, 면만현
상산국정관군(井關郡), 원지현→정관정현(井關亭縣), 상곡양현→상산정현(常山亭縣), 구문현→구문현(久門縣), 방자현→다자현(多子縣), 중구현→직취현(直聚縣), 호현→화성정현(禾成亭縣), 낙양국→창묘현(暢苗縣), 평대국→순대현(順臺縣), 도향국→분향현(分鄕縣), 남행당현→연억현(延億縣)
진정현→사치현(思治縣), 고성현→고실현(稾實縣), 면만현→면연현(綿延縣)
후한 상산국(13성 97,500호 631,184구): 원지현, 고읍현, 도향국, 남행당현, 방자현, 평극현, 난성현, 구문현, 영수현, 포오현, 정형현, 진정현, 상애현
서진 상산군(8현 24,000호): 진정현, 석읍현, 정형현, 상곡양현, 포오현, 남행당현, 영수현, 구문현 }}}}}}}}}

7. 중산국(中山國)

지명 [-154]중산국→[23]중산군(中山郡)→[26]중산국→[37]중산군→[41]중산국→[44]중산군→[54]중산국→[174]중산군→[232]중산국
소속 [한]기주자사부→[213]기주 위국(魏國)→[220]기주→[서진]기주
치소 노노현
설치 [삼국]영구현(재설치)
전출 [158]안국현·여오현→박릉군, [213]상곡양현→상산군, [서진]광창현→유주 대군
폐지 [서진]무극현·영구현
봉작 조조: 위공(213~216)→왕(216~220)
조곤: 중산왕(232~265)
사마목: 중산왕(265~277)
사마탐: 중산왕(277~)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전한 중산국(14현 160,873호 668,080구): 노노현, 북평현, 북신성현, 당현, 심택현, 고형현, 안국현, 곡역현, 망도현, 신시현, 신처현, 무극현, 육성현, 안험현
중산국상산군(常山郡), 북평현→선화현(善和縣), 북신성현→삭평현(朔平縣), 당현→화친현(和親縣), 심택현→익화현(翼和縣), 고형현→북형현(北陘縣), 안국현→흥목현(興睦縣), 곡역현→순평현(順平縣), 망도현→순조현(順調縣), 안험현→영험현(寧險縣)
후한 중산국(13성 97,412호 658,195구): 노노현, 북평현, 무극현, 신시현, 망도현, 당현, 안국현, 안희현, 한창현, 여오국, 상곡양현, 포음현, 광창현
서진 중산국(8현 32,000호): 노노현, 위창현, 신시현, 안희현, 포음현, 망도현, 당현, 북평현 }}}}}}}}}

8. 하간군(河間郡)

원래 진(秦)나라 때 설치된 군인데, 후한 초기에 신도군에 합병되었다가 90년에 하간왕이 책봉되면서 다시 분할되었다.
지명 [진]하간군→[전한]하간국→[23]하간군→[31]하간국, [90]하간국→[220]하간군→[265]하간국
소속 진(秦)→[전한]기주자사부→[37]신도군에 합병, [90]기주자사부→[서진]기주
치소 낙성현
장무군: 동평서현
분합 [214?]장무군→[253]하간군에 합병→[265]장무군→[277]장무국(章武國): 동평서현·문안현·속주현 및 발해군 장무현
전출 [158]고양현→박릉군
폐지 [서진]궁고현
출신 막현: 장합
봉작 유해(劉陔): 하간왕(~220)
사마홍: 하간왕(265~)
사마위: 장무왕(277~)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하간군: 낙성현, 장무현, 고양현, 남피현, 안평현, 문안현, 막현, 중읍현, 아무현, 무원현, 평서현, 요양현 이외 미상
전한 하간국(4현 45,043호 187,662구): 낙성현, 후정현, 무수현, 궁고현
하간국삭정군(朔定郡), 낙성현→육신현(陸信縣), 무수현→환수현(桓隧縣), 궁고현→낙성현(樂成縣)
후한 하간국(11성 93,754호 634,421구): 낙성현, 궁고현, 역현, 무원현, 중수현, 막현, 고양현, 문안현, 속주현, 성평현, 동평서현
서진 하간국(6현 27,000호): 낙성현, 무원현, 막현, 역성현, 중수현, 성평현
장무국(4현 13,000호): 동평서현, 문안현, 장무현, 속주현 }}}}}}}}}

8.1. 장무군(章武郡)

214년 무렵에 하간군 동평서현·문안현·속주현과 발해군 장무현을 분할해 설치했다. 253년에 폐지되어 환원되었는데, 서진 때인 265년에 다시 설치되었다.

9. 발해군(勃海郡)

'渤海郡'으로 표기되기도 하는데 발해만에 인접해 있어 명명된 것으로, 전한 때 설치되었다. 원소가 이곳의 태수로 부임하면서 세력을 키워나갔기에, 매체에서는 발해 또는 남피가 원소의 근거지로 등장하는 편이다.
지명 [전한]발해군→[146]발해국(渤海國)→[165]발해군→[167]발해국→[172]발해군→[189]발해국→[189]발해군
소속 [전한]유주자사부→[후한]기주자사부→[서진]기주
치소 [전한]부양현→[후한]남피현
전입 [222?]감릉군 광천현, [253]장무군 장무현
설치 [서진]부성현·동안릉현
전출 [213]양신현→낙릉군, [214?]장무현→장무군, [265]장무현→장무군, [서진]광천현→청하국
봉작 유협: 발해왕(189)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전한 발해군(26현 256,377호 905,119구): 부양현, 양신현, 동광현, 부성현, 천동현, 중합현, 남피현, 정국, 장무현, 중읍현, 고성현, 고락현, 삼호국, 성평현, 유국, 임락국, 동평서현, 중평현, 안차현, 조시국, 문안현, 경성국, 속주현, 건성현, 장향국, 포령국, 동향국[5]
발해군영하군(迎河郡), 부양현→부성현(浮城縣), 동광현→오성현(吾城縣), 남피현→영하정현(迎河亭縣), 장무현→환장현(桓章縣), 중읍현→험음현(檢陰縣), 고락현→위향현(爲鄕縣), 성평현→택정현(澤亭縣), 임락국→낙정현(樂亭縣), 조시국→거녕현(居寧縣)
후한 발해군(8성 132,389호 1,106,500구): 남피현, 고성국, 중합국, 부양국, 동광현, 장무현, 양신현, 수현
서진 발해군(동평서현, 문안현, 장무현, 속주현): 남피현, 동광현, 부양현, 요안현, 고성현, 중합현, 동안릉현, 수현, 광천, 부성현 }}}}}}}}}

10. 청하군(淸河郡)

원래 청하군이었으며, 후한 때인 107년에 청하군을 분할해 광천국(廣川國)을 설치했으나 이듬해 광천왕이 단절되어 환원되었다. 148년에 청하왕이 감릉왕으로 개봉(開封)되어 감릉국(甘陵國)이 되었으며, 189년에 감릉왕 유충(劉忠)의 후사가 없어 단절되었음에도 감릉국이 폐지되지 않았으나 206년에 조치가 이뤄져 감릉군(甘陵郡)이 되었다. 222년에 청하왕이 책봉되면서 청하국(淸河國)으로 개편되었다.
지명 [진]청하군→[82]청하국→[148]감릉국→[206]감릉군→[222]청하국→[223]청하군→[277]청하국
소속 진(秦)→[한]기주자사부→[213]기주 위국(魏國)→[220]기주→[서진]기주
치소 [진]청양현→[148]감릉현
전입 [서진]발해군 광천현
출신 동무성현: 최염· 최림
유현: 주령
봉작 조조: 위공(213~216)→왕(216~220)
조공(曹貢): 청하왕(222~223)
사마하: 청하왕(277~)
유영: 감릉왕(230~263)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청하군: 청양현, 동양현, 동무성현, 조현, 관진현 이외 미상
전한 청하군(14현 201,774호 875,422구): 청양현, 동무성현, 역막현, 영현, 조현, 유현, 패구현, 신성현, 사제현, 동양국, 신향국, 요현, 조강현, 부양현
청하국평하군(平河郡), 영현→파현(播縣), 조현→조치현(厝治縣), 유현→선륙현(善陸縣), 동양국→서릉현(胥陵縣), 부양현→낙세현(樂歲縣)
후한 청하국(7성 123,964호 760,418구): 감릉현, 패구현, 동무성현, 유현, 영현, 역막현, 광천현
서진 청하국(6현 22,000호): 청하현, 동무성현, 역막현, 패구현, 영현, 유현 }}}}}}}}}

11. 평원군(平原郡)

전한 때 설치된 군으로, 원래 청주자사부 소속이었다. 213년에 위공 조조의 식읍이 되어 위국(魏國)에 소속되면서 기주로 편입되었으며, 같은 해 군을 분할해 낙릉군이 설치되었다.
지명 [전한]평원군→[106]평원국(平原國)→[206]평원군→[222]평원국→[204]평원군→[265]평원국
소속 [한]청주자사부→[213]기주 위국(魏國)→[220]기주→[서진]기주
치소 평원현
분합 [213]낙릉군: 염차현·낙릉현
전입 [222]연주 동군 박평현·요성현 및 제북군 치평현
전출 [246?]축아현·누음현→제남국
출신 고당현: 화흠
봉작 조조: 위공(213~216)→왕(216~220)
조예: 평원왕(222~224)
사마간: 평원왕(265~)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전한 평원군(19현 154,387호 664,543구): 평원현, 격현, 고당현, 중구현, 평창국, 우국, 반현, 낙릉현, 축아현, 원현, 아양현, 누음현, 역현, 부평국, 안덕현, 합양국, 누허국, 용액국, 안국
평원군하평군(河平郡), 격현→하평정현(河平亭縣), 우국→우정현(羽貞縣), 반현→분명현(分明縣), 낙릉현→미양현(美陽縣), 축아현→안성현(安成縣), 원현→동순정현(東順亭縣), 누음현→익성현(翼成縣), 역현→장향현(張鄕縣), 부평국→낙안정현(樂安亭縣), 합양국→의향현(宜鄕縣), 용액국→청향현(淸鄕縣)
후한 평원군(9성 155,588호 1,002,658구): 평원현, 고당현, 반현, 격국, 축아현, 낙릉현, 누음현, 안덕국, 염차현, 서평창현[6]
서진 평원국(9현 31,000호): 평원현, 고당현, 치평현, 박평현, 요성현, 안덕현, 서평창현, 반현, 격현 }}}}}}}}}
유비 공손찬의 부하였던 시절에, 이곳의 평원현에서 현령을 맡다가 평원상으로 승진했는데, 정황상 공손찬이 자의적으로 임명한 것으로 보인다. 이 시점에는 평원국이 청주 소속이었기에, 공손찬이 임명한 청주자사 전해가 서주의 도겸을 구원하러 파견되었을 때 유비가 함께 종군한 것이다. 이 시점의 평원왕이 누구인지는 확인되지 않는데, 황건적이 활동하던 시기에 평원국도 그 영향권에 들었었고, 당시에 봉국을 버리고 도주한 황족들이 있었으며, 206년에 왕이 공석인 봉국들을 일괄적으로 폐지할 때 평원국도 그 대상이었던 점을 보면, 아마도 유비가 평원상을 역임하던 시절에는 이미 평원왕이 공석이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12. 낙릉국(樂陵國)

213년에 평원군 염차현·낙릉현과 발해군 양신현을 분할해 설치했다.
지명 [213]낙릉군→[244]낙릉국→[265]낙릉군→[275]낙릉국
소속 [213]기주→[서진]기주
치소 염차현
전입 [213]평원군 염차현·낙릉현 및 발해군 양신현
설치 [213?]신락현
봉작 조무: 낙릉왕(244~265)
석포: 낙릉군공(265~)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서진 낙릉국(5현 33,000호): 염차현, 양신현, 누옥현, 신락현, 낙릉현 }}}}}}}}}

13. 같이보기

파일:실제 지도 후한 13주.png

[1] 기주목 한복이 부임하면서 치소를 위군 업현으로 옮겼었는데, 조비가 선양을 받은 뒤에 위군이 사례교위부 소속으로 변경되면서 기주목의 치소도 옮겨진 것으로 추정된다. [2] 『진서』 지리지에는 남궁현과 당양현이 누락되어 있다. [3] 『한서』 지리지에는 광종현·경현이 누락되어 있는데, 기원후 2년에 거록군에서 분할된 광종국이 누락되면서 발생한 문제로 판단된다. [4] 211년에 아버지 유사(劉赦)의 작위를 계승함. [5] 『한서』 지리지에는 누락되어 있으나, 공신표에 기원전 14년부터 기원후 5년까지의 봉국으로 기재되어 있다. [6] 『속한서』 군국지에는 누락되어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
, 2.4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