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06 19:40:33

브라이언 매존

브라이언 매존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074ca1>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 삼성 라이온즈
역대 외국인 선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베이커 파일:미국 국기.svg
파라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스미스 파일:미국 국기.svg
스미스 (2) 파일:미국 국기.svg
가르시아 (3) 파일:미국 국기.svg
프랑코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마르티네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토레스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갈베스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리베라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바에르가 (3) 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
루크 (2) 파일:미국 국기.svg
엘비라 (3) 파일:멕시코 국기.svg
패트릭 파일:미국 국기.svg
브리또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엘비라 (2) 파일:멕시코 국기.svg
라이언 (3) 파일:미국 국기.svg
브리또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호지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오리어리 (2) 파일:미국 국기.svg
로페즈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바르가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해크먼 (2) 파일:미국 국기.svg
하리칼라 (3) 파일:미국 국기.svg
브라운 파일:미국 국기.svg
하리칼라 파일:미국 국기.svg
브라운 파일:미국 국기.svg
윌슨 (2) 파일:미국 국기.svg
매존 (3) 파일:미국 국기.svg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오버뮬러 (2) 파일:미국 국기.svg
크루즈 (2) 파일:미국 국기.svg
(3) (2) 파일:미국 국기.svg
에니스 (3) 파일:미국 국기.svg
에르난데스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나이트 (3) 파일:미국 국기.svg
크루세타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나이트 (2) 파일:미국 국기.svg
레딩 (3) 파일:미국 국기.svg
크루세타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가코 (2) 파일:미국 국기.svg
매티스 (3) 파일:미국 국기.svg
카도쿠라 (2) 파일:일본 국기.svg
저마노 (3) 파일:미국 국기.svg
탈보트 파일:미국 국기.svg
고든 파일:미국 국기.svg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밴덴헐크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로드리게스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카리대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밴덴헐크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마틴 파일:미국 국기.svg
나바로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피가로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클로이드 파일:미국 국기.svg
나바로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웹스터 (2) 파일:미국 국기.svg
플란데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벨레스터 (2) 파일:미국 국기.svg
레온 (3) 파일:멕시코 국기.svg
발디리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레나도 파일:미국 국기.svg
페트릭 파일:미국 국기.svg
러프 파일:미국 국기.svg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러프 파일:미국 국기.svg
아델만 파일:미국 국기.svg
보니야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헤일리 (2) 파일:미국 국기.svg
윌리엄슨 (3) 파일:미국 국기.svg
맥과이어 (2) 파일:미국 국기.svg
라이블리 (3) 파일:미국 국기.svg
러프 파일:미국 국기.svg
라이블리 파일:미국 국기.svg
뷰캐넌 파일:미국 국기.svg
살라디노 (2) 파일:미국 국기.svg
팔카 (3) 파일:미국 국기.svg
뷰캐넌 파일:미국 국기.svg
라이블리 (2) 파일:미국 국기.svg
몽고메리 (3) 파일:미국 국기.svg
피렐라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수아레즈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뷰캐넌 파일:미국 국기.svg
피렐라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수아레즈 (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와이드너 (3) 파일:미국 국기.svg
뷰캐넌 파일:미국 국기.svg
피렐라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코너 파일:미국 국기.svg
레예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맥키넌 (2) 파일:미국 국기.svg
카데나스 (3) (2) 파일:미국 국기.svg
디아즈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레예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디아즈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후라도 파일:파나마 국기.svg
(1) 시즌 전 방출
(2) 시즌 중 이적/방출
(3) 대체 영입
* 등록명을 우선적으로 기재했다.
}}}}}}}}}

브라이언 매존의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44번
윌슨
(2007~2007.5.11.)
<colbgcolor=#228b22><colcolor=#fff> 매존
(2007.5.19.~2007)
김상수
(2008~2009)
}}} ||
}}} ||
파일:/image/003/2007/08/28/NISI20070828_0005054485_web.jpg
브라이언 매존
Brian Mazone
본명 브라이언 키스 매존
Brian Keith Mazone
출생 1976년 7월 26일 ([age(1976-07-26)]세)
미국 캘리포니아 주 미션비에호
국적
[[미국|]][[틀:국기|]][[틀:국기|]]
학력 샌디에이고 대학교
신체 188cm, 99kg
포지션 투수
투타 좌투좌타
프로 입단 1998년 아마추어 자유계약 ( ATL)
소속팀[1] 삼성 라이온즈 (2007)

1. 개요2. 선수 경력3. 여담4. 연도별 주요 성적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삼성 라이온즈 소속의 외국인 선수.

2. 선수 경력

매존은 1998년 애틀란타 브레이브스 산하 마이너리그 팀에 입단했지만 1년만에 방출되었다. 이후 여러 팀에 입단 테스트를 받지만 번번히 고배만 마시면서 결국 독립리그 팀에 입단했다. 그러다가 2002년에 이닝과 탈삼진 부문 리그 1위를 하면서 이듬해 밀워키 브루어스에 입단했다. 하지만 밀워키 산하 상위싱글A 팀에서 무승 7패 9.31의 처참한 성적을 기록하면서 또 방출되었다. 2004년 다시 독립리그로 돌아와 리그 평균자책점 부문 1위를 하면서 같은 해 8월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산하 더블A 팀에 입단했다. 2005년에는 도핑테스트에 적발되어 15일 출장정지 처분을 받기도 했다. 2006년에는 필라델피아 필리스 산하 마이너리그 팀으로 옮겼는데, 2.03의 평균자책점으로 리그 1위를 달성했고 MiLB에서는 매존을 트리플A 투수들 중 가장 눈부신 투수로 선정했다. 같은 해 9월 초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선발 투수로 등판할 기회가 왔으나 경기가 우천 취소되면서 매존의 승격도 물건너 갔다.

그러던 2007년 5월 중순 삼성 라이온즈 크리스 윌슨을 퇴출하고 대신 매존을 영입했다. 비록 메이저리그 경험은 전혀 없었지만 상술했듯 운이 없어 메이저리거가 되지 못했지 실력이 부족한 선수는 아니라는 평가를 받았다.

한국에 온 매존은 첫 선발 등판에서 SK 와이번스를 상대로 8이닝 1실점의 호투를 펼치면서 숨겨진 진주였다고 평가되기도 했지만 이후로는 부진하면서 선동열 감독은 매존에 대해 '예상이 안 되는 선수'라고 평가했다. 기복이 심해 잘 던지는 날에는 6이닝에서 7이닝까지 문제 없이 막지만 안 좋은 날에는 5이닝도 채우기 전에 강판되기가 일쑤였다. 결국 매존은 정규시즌 7승 11패 4.18의 평균자책점으로 좋은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다. 결정적으로 한화 이글스와의 준플레이오프 3차전에서 선발로 등판했으나 1이닝도 못 채우고 강판, 팀은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하게 되었고, 결국 시즌 후 삼성은 매존과 재계약을 포기했다.

미국으로 돌아간 매존은 다시 필라델피아 산하 트리플A팀에 입단해 2008년 인터내셔널 리그 올스타에 선정되었다. 같은 해 두산 베어스 게리 레스의 대체 선수로 매존을 영입하는 걸 고려했고 실제로 협상이 추진되었지만 최종적으로 결렬되며 영입에 이르지는 못했고, 저스틴 레이어를 영입하며 KBO 복귀는 물건너가게 되었다.

이후 매존은 2009년에는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산하 트리플A로 팀을 옮겼다가 같은 해 6월 말 트레이드로 다시 필라델피아 산하 트리플A로 복귀했고, 2010년을 끝으로 은퇴했다.

3. 여담

매존은 이따금 야구팬들 사이에서 회자되곤 하는데, 다름 아닌 봉중근의 별명 중 하나인 봉미미의 창시자기 때문이다. 흔히 봉중근에 대해 알고 있냐는 질문에 "그런 미미한 선수까지 알지는 못한다."고 대답한 게 그 유래로 알려져 있다.[2]

정확하게는 매존의 첫 등판[3] 상대가 LG 트윈스였는데, 경기 후 인터뷰에서 기자가 LG의 선발투수였던 봉중근에 대해 아냐는 질문에, "전혀 알지 못했다. 미국에서 뛰는 미미한 모든 선수들에 대해서까지 알 수는 없다. 오늘 처음 미국에서 활동했었다는 얘기를 들었다."고 대답한 게 와전된 것. 봉중근에게 더욱 굴욕적인 건 저 말을 한 후 매존은 최희섭과 마이너리거였던 이승학에 대해서는 잘 알고 있다고 대답했다. 사실 이승학은 필라델피아 산하 마이너리그 팀에서 활동해 매존과는 팀 동료였다. 봉중근과도 1998년 함께 애틀랜타 산하 마이너리그 팀에 소속되었지만 서로 모르는 것으로 보아 같은 팀은 아니었던 것으로 보인다.[4]

다만 봉중근은 메이저를 짧게나마 밟았다면[5] 매존은 메이저를 아예 밟지도 못해서 정작 본인이 더 미미한 커리어를 보냈다.

은퇴 이후 미국 의료기기 업체 영업직으로 근무하고 있다.[6]

4. 연도별 주요 성적

역대 기록[7]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ERA 피안타 피홈런 볼넷 사구 탈삼진 WHIP
2007 삼성 24 125 7 11 0 0 4.18 130 10 45 4 76 1.40
KBO 통산
(1시즌)
24 125 7 11 0 0 4.18 130 10 45 4 76 1.40

5. 관련 문서


[1] 메이저리그 활동 기록이 없다. [2] 이 때문에 허미미는 졸지에 허중근이라는 별명이 붙었다. [3] 참고로 매존은 제이미 브라운에 이어 두 번째 투수로 등판했다. [4] 같은 팀에 있었지만 그냥 기억을 못하는 것일 수도 있다. [5] 짧았다곤 해도 등록기간을 넘겼기 때문에 연금 수령도 가능하다. [6] 브라이언 매존의 LinkedIn [7] KBO에서의 성적만 기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