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6 22:17:50

부일여객

우진서비스에서 넘어옴
파일:기장군 CI.svg 부산광역시 기장군의 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fea00><colcolor=#000> 시내버스 대진여객 부산여객 부일여객 세익여객
세진여객[c] 일광여객 해동여객
마을버스 기장교통 삼강버스[a] 용진교통[a] 차성교통
[a]: 주사무소가 기장군 외에 소재
[b]: 주사무소만 기장군에 소재
[c]: 기장군에 영업소를 둔 회사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회사
}}}}}}}}} ||
부일여객자동차 주식회사
釜日旅客自動車 株式會社
BUIL PASSENGER CO., LTD.
업종명 운수업
설립일 1980년 4월 1일
대표 이상전
주사무소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기장대로 313 (청강리)
전화번호 051-703-5501
면허대수 시내: 정규 75대, 예비 4대
자본금 3억원 (2023.12)
매출액 225억 2,739만 861원 (2023)
영업이익 -2억 4,993만 903원 (2023)
순이익 4,440만 5,409원 (2023)
자산총액 100억 7,173만 6,821 원 (2023.12)
주주 용화여객자동차: 50.00%
학성여객자동차: 50.00%
임직원 163명 (2023.12)

1. 소개2. 역사&특징3. 차량 운용4. 차고지
4.1. 과거에 사용했던 차고지
5. 면허 체계6. 차량운용대수7. 운행 노선8. 폐선·철수한 노선9. 현재 보유차량10. 과거 보유차량11. 관련 문서

[clearfix]

1. 소개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청강리에 있는 버스 회사. 창업주는 서석인.

동부산공영차고지에 본사가 위치하고 있다. 한때 해당 지역의 전직 국회의원이자 민선 6기 부산광역시장을 지낸 5선 서병수 국민의힘 의원의 집안이 이 회사를 소유하고 있었으나, 2023년 6월경 회사를 미광운수에 매각하고 경영에서 손을 뗐다.

이전에 사용했던 차고지는 해운대구 해운대로 893 ( 좌동) 일대였고 동부산공영차고지 개장 후 모든 노선이 이전했다.

2. 역사&특징

부일여객의 모태는 1970년대 후반에 일광여객에서 분리된 경동여객에서 시작한다. 그리고 당시 부산여객에서 분리된 부일여객이라는 업체가 따로 있었는데 1991년에 경동여객이 부일여객을 인수하면서 우진서비스로 사명을 변경하고 본사도 부일여객 본사가 있던 해운대로 옮긴다. 이후 1999년에 우진서비스는 과거 인수한 회사인 부일여객의 사명을 사용하게 된다.[1]

이러한 특징 때문에 보통은 부일여객이 주체가 되어 경동여객을 인수한 것으로 알기 쉬우나 회사 연혁 기록에는 경동여객이 주체가 되어 부일여객의 면허를 양수한 것으로 되어 있다.

2008년에 131번 노선과 차량들을 모종의 사유[2]로 화신여객에 매각하고 차고지 부지는 임대를 내주어 음식점과 세차장이 생겨 지금에 이르고 있다. # 한때 전.부산시장이자 현. 국회의원이면서 해운대구청장 출신인 서병수가 우진서비스의 사장으로 역임하였고 현재는 그의 친동생이 경영하고 있다.[3]

청강리차고지 이전으로 인한 노선개편으로 5번이 폐선되면서 신설노선 1010번 공동배차에 참여하여 정관으로 입성하게 되었고 잉여차량분에 대해 인가대수 조정으로 182번, 188번 공동배차에 참여하게 되며 1001번 또한 해동여객의 참여로 공동배차 노선이 상당히 많아졌다가, 2015년 11월 28일 개편으로 1011번을 운행하게 되어 정관에서 전면 철수하면서 세진과의 공동배차를 전면 철수했다.

한때 시범운행용으로 받았던 BC211M 클린디젤 하이브리드를 보유하고 있었으나, 이후 광주 동화운수에 매각했다. 이 차량에는 이튼의 자동변속기가 달려 있다.

여담으로 여자 승무원들이 많기로 유명한 업체가 바로 이 업체이다. 1992년에는 이와 관련해 뉴스까지 나왔을 정도. 다만 영업소가 있던 시절 영업소에는 여자 승무원을 전혀 배치하지 않았다.[4] 또한 2010년 4월 26일 개편 이후로는 38번에도 여자 승무원을 배치하지 않는다.[5]

또한 동부산공영차고지를 본사로 하는 회사[6]중에서 유일하게 영업소가 없고 청강리 사태 시즌1, 시즌2때 기존에 있던 노선[7]들이 칼질당한 노선이 없는 유일한 회사다. 어떻게 보면 청강리 이전 이후 피해를 그나마 적게 받은 회사일지도? 물론 폐선된 5번은 예외. 청강리사태 시즌2때 윤모씨 때문에 칼질당할 뻔 했지만 전면 취소되었다

청강리공영차고지를 LED에서는 청강리로 표기한다.[8]

동부산공영차고지 회사들 중 유일하게 곧바로 청강사거리를 경유하는 노선이 없다.[9] 182번은 오른쪽으로 갔다가 청강사거리로 간다.

부산에서 녹색 구구도색이 가장 먼저 없어진 회사이다. 2000년 신도색 도입 후 얼마 지나지 않아 무냉방차량을 제외하고는 모두 재도색을 했기 때문. 그래서 2004년도 되기 전에 구구도색이 모두 사라졌다.

2024년 10월 청강리 본사 회사 중 마지막으로 전기버스를 도입했다. 차종은 일렉시티다.

유일하게 단독배차하는 노선들이 기장읍내를 경유하지 않는다.[10]

2023년 6월에 서현수 대표에서 이상전 대표[11]로 대표이사가 인수인계되었으며, 이상전 대표는 저수요 노선인 해운대8번, 해운대9번을 각각 6월, 7월부로 운행중단하였다.

2023년 8월 1일 마을버스 노선과 차량들을 태성여객에 양도하며 마을버스 사업을 모두 철수했다. #1 그리고 태성여객은 정상운행 중인 해운대3-2번과 해운대7번을 각각 센텀여객과 삼강버스에 양도하였다. #

3. 차량 운용

과거에는 현대차와 자일대우버스를 혼용했다. 특히 청강리공영차고지 이전 후 디젤 차량의 비중이 높았는데 2012년 청강리 입주에 따라 대부분 조기 대차시켰다. 이로 인해 부일여객은 2012년식을 상당히 많이 보유하고 있다. 특히 부산 최초의 2015년형 FX와 유니버스를 뽑은 곳으로도 유명하다. 하지만 대체로 현대차가 더 많은 편이며 2016년 이후로 자일대우버스는 더 이상 뽑지 않으며 2022년에 출고지연으로 스마트 110HG 2대를 뽑은 것을 제외하면 현대차만 뽑는다. 또한 2017년 이후부터 고상버스만 출고하다가 2023년에 저상버스 의무화 정책으로 6년 만에 저상버스를 출고했다. 특이하게도 새로 출고되는 저상차량에는 보통 저상차들하고 다르게 앞에 긴번호판을 사용했지만, 후술할 일렉시티는 보통 차량들처럼 짧은 번호판을 사용했다.

부산은 1993년부터 좌석버스를 전중문형으로만 출고하는데 2005년에 전문형 BS106을 출고하기도 했다. 이 회사가 출고했던 전문형 BS106은 특이하게 전문형에 행선판박스가 달린 모델이었다.[12]

이 회사의 특징으로 모든 10스터드 현대버스는 휠캡을 달고 나온다.[13] 그러나 일반버스에 휠캡을 달고 다니는 게 어색했는지 일반버스만 휠캡을 뗀 차량도 많아졌다. 좌석버스는 멀쩡히 휠캡을 달고 다닌다.

2022년 3월 스마트 110HG를 출고했다. 부산에서 에디슨모터스 고상형 출고는 성원여객 시민여객에 이어 3번째이며 에디슨 스마트 110HG라는 네이밍으로는 최초다.[14] 그러나 평가가 좋지 않았는지 해당 차량을 제외하고는 다시 현대차만 출고하고 있다.[15]

2024년 10월 현대 일렉시티를 도입하면서 첫 전기버스를 도입했다. 충전은 해동여객 송정영업소에서 한다.

4. 차고지

영업소 소재지 보유 노선 CNG충전소 전기충전소 비고
본사( 동부산공영차고지)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기장대로 313 (청강리) 38번, 40번, 182번, 185번, 1001번, 1011번 시종착, 2029번 주박지 O X[16]

4.1. 과거에 사용했던 차고지

5. 면허 체계

6. 차량운용대수

7. 운행 노선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38 청강리공영차고지 송정해수욕장입구 - 부흥고. 해운대백병원 - 동해선신해운대역 - 장산역 - 해운대역 - 민락교 - 광안리해수욕장 - 대동골 - 황령터널 - 범내골역 - 금성중고교 - 수정삼거리 - 수정아파트 중앙공원.민주공원 20~25
40 청강리공영차고지 송정해수욕장입구 - 부흥고. 해운대백병원 - 해운대고등학교 - 해운대관광고등학교 - 센텀시티역. BEXCO - 수영교차로. 수영역 - 경성대학교 - 부산진시장 - 부산역 - 국제시장 - 동아대부민캠퍼스 구덕운동장 8~10
182[공동배차1] 청강리공영차고지 (내리 → 송정해수욕장입구 → 좌동재래시장 → 장산역 송정해수욕장입구 → 내리 →) - 기장읍사무소 - 기장시장 - 동해선일광역 - 동해선좌천역 - 원자력의학원 - 달산초등학교 - 정관읍행정복지센터. 기장소방서 - 평전마을 모전초등학교 25~30
185 청강리공영차고지 내리 - 국립부산과학관 - 오시리아관광단지 - 송정해수욕장 - 부흥고. 해운대백병원 장산역 25~30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1001 청강리공영차고지 용궁사.국립수산과학원 - 송정해수욕장입구 - 장산역 - 해운대역 - 센텀시티역. BEXCO - 수영교차로. 수영역 - 경성대학교 - 부산진역 - 부산역 - 부산터널 - 서대시장. 동대신역 - 사하구청. 당리역 - 동아대학교 을숙도초등학교 7
1011[공동배차2] 청강리공영차고지 송정해수욕장입구 - 장산역 - 해운대역 - 올림픽교차로 환승센터 - 광안대교 - 용당동 - 부산항대교 - 해동병원 - 남항대교 -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 감천사거리 - 장림 - 을숙도대교 - 명지오션시티 - 르노코리아 경제자유구역청 30
2029[공동배차3] 해운대백병원 장산역 - 해운대온천사거리 - 해운대해수욕장 - 한화리조트해운대 - 벡스코 - 수영역 - 남천역 - 황령터널 - 서면역 - 주례역 김해국제공항 60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182
심야
[공동배차1]
청강리공영차고지 (내리 → 송정해수욕장입구 → 좌동재래시장 → 장산역 송정해수욕장입구 → 내리 →) - 기장읍사무소 - 기장시장 - 동해선일광역 - 동해선좌천역 - 원자력의학원 - 달산초등학교 - 정관읍행정복지센터. 기장소방서 - 평전마을 모전초등학교 1일 1회
1001
심야
청강리공영차고지 용궁사.국립수산과학원 - 오시리아관광단지 - 송정해수욕장입구 - 대동상가 - 장산역 - 해운대역 - 센텀시티역. BEXCO - 수영교차로. 수영역 - 경성대학교 - 문현교차로 - 부산진역 - 부산역 - 부산터널 - 서대시장. 동대신역 - 괴정시장. 괴정역 - 사하구청. 당리역 - 동아대학교 을숙도초등학교 20

8. 폐선·철수한 노선

9. 현재 보유차량

9.1. 현대자동차

9.2. 자일대우버스

9.3. KGM커머셜

10. 과거 보유차량

10.1. 자일대우버스

10.2. 현대자동차

10.3. 기아

11. 관련 문서


[1] 2000년 1월 1일 다시 업체로 재개. [2] 부산공항여객 1001번 인가분을 인수하기 위한 목적과 당시 대표이사의 형인 서병수의 해운대·기장지역 국회의원 출마 자금이 필요한 목적으로 급매물로 내놨다고 한다. [3] 동생이 둘 있으며 한명의 동생은 경찰쪽에 있었으나 경찰을 떠나 정치권에 들어갔다. 이 회사의 지분구조를 보면 정치인인 서병수와 서범수는 회사 지분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정치인이 아닌 형제들인 서하수(부일석유 대표)와 서현수(부일여객 대표)가 각각 20%, 80%의 지분을 가지고 있다. 의외로 현 대표이사의 누나는 지분이 없다. [4] 반대로 부산여객은 본사, 영업소에 모두 여자 승무원을 배치했다. [5] 변경된 노선의 특성상 급경사와 급구배, 급커브 구간을 여자 승무원들이 감당을 못할거라 판단해 업체 측에서는 여자 승무원들을 모두 본사 내 다른 노선으로 전환배치시켰다. 1011번 또한 얼핏 보면 1001번에 비해 선형이 단순하고 운행 거리는 길어도 크게 밀리지 않는 길이라서 여자 승무원을 배치해도 될 법 하지만 해운대방향 부산항대교의 나선형 진입로 때문에 배치하지 않거나 조건부로 배치한다. [6] 부산여객, 세익여객, 일광여객, 해동여객 [7] 38번, 40번, 1001번. [8] 1001번은 청강리>동아대, 40번은 청강리>구덕운동장, 38번은 청강리>중앙공원민주공원. 간혹 40번은 청강리(공영차고지)>구덕운동장으로 송출하기도 한다. [9] 일광여객 36번, 세익여객 183번, 해동여객 181번, 부산여객 180번이 청강리공영차고지 입구에서 왼쪽으로 바로 틀어 청강사거리로 간다. [10] 같은 차고지를 쓰는 회사들은 모두 기장읍내를 경유하는 노선들이 한 개 이상 있다. [11] 택시회사 미광운수, 명진산업, 명진운수, 동아택시, 한양교통의 사업주 이다. [12] 전문형 BS106 차량들은 2011년에 전부 FX116으로 조기대차되었다. 그래서 조금 더 연식이 오래된 부산여객의 전문형 차량이 더 늦게까지 운행했다. [13] 개선형도 가리지 않고 출고를 한다. [14] 성원여객과 시민여객은 스마트 11HG 시절에 출고했다. [15] 이후 에디슨모터스 법정관리 사태로 인해 시민여객도 현대차, 성원여객도 우진산전을 도입했다. 스마트110HG 취소분 5대는 전주 제일여객이 출고했다. [16] 차고지가 좁아 충전소 설치를 못한 탓에 40번에 투입된 전기버스들은 해동여객 송정 영업소에서 충전하고 있다. [17] 2009년에 들어서야 공영차고지 조성을 위해 연구용역하고 주민공청회까지 거쳤지만 좌동 주민들의 반발과 해운대백병원의 반발로 결국 무산되었다. [18] 그러나 셀프세차장 부지는 부일여객 소유라고 한다. [19] 구.131-1번 폐선후 131번을 운행하다가 모종의 사유로 화신여객으로 넘어갔다. 5-1번을 삼성여객에 매각하면서 역시 차량 및 면허를 넘겼다. 그리고 태진여객으로도 면허가 넘어갔다. 96년 당시 사명은 우진서비스였기 때문에 가나다순에 따르면 42xx대의 면허를 부여받아야 하지만 면허부여 당시( 1996년) 해운대는 신시가지로 개발이 유력하던 상황이라 증차로 인한 면허대수 100대 이상이 유력시되면서 57xx, 58xx의 면허를 대신 부여받았다. 참고로 58xx의 면허는 쓰이고 있으나, 이렇게 했음에도 불구하고 단 한번도 면허대수가 100대를 넘긴 적이 없다.(...) 애초에 부산 시내버스는 일반과 좌석버스의 면허를 분리하기 때문에 어지간해선 면허 번호가 모자랄 일이 거의 없다. 당장 이 부일여객만 해도 전체 차량 중 거의 절반이 좌석버스이다. [20] 3898호도 있었으나 1011번 엘레강스 신차로 교체하면서 없어지는 바람에 3860호만 남았다. [21] 2830호대도 있었으나 일반면허로 전환되어 사라졌다. 2002년에 2002번 일부 차량을 삼신교통 해동여객으로 매각하면서 두 회사에도 부일여객 면허가 있었으나, 현재는 삼신교통과 해동여객 모두 부일여객 출신 면허가 말소되었다. [공동배차1] 부산여객 공동배차 [공동배차2] 해동여객 공동배차 [공동배차3] 부산여객, 태영버스 공동배차 [공동배차1] [26] 2012년 5월 30일에 청강리 공영차고지 입주로 폐선되었다. [27] 2008년 12월에 철수해서 180번 공동배차에 참여했다. [28] 2007년 5월 15일에 시민여객에서 부일여객으로 운수사가 변경되었다가 2008년 2월에 모종의 사유로 화신여객으로 매각.이관시켰다. [29] 2007년 5월 15일에 폐선되었다. [30] 1990년도에 철수했다. [31] 2012년 5월 30일에 철수해서 188번 공동배차에 참여했다. [32] 2015년 11월 28일에 185번 신설로 철수했다. [33] 2008년 12월에 철수해서 1005번 2대는 다시 1001번에 넣고, 대신 1001번에 다녔던 오래된 현대차 2대를 부산여객으로 이관시켰다. [34] 2015년 11월 28일에 1011번 신설로 철수했다. [35] 센텀여객에 양도하였다. [36] 삼강버스에 양도되었다 [37] 특급좌석 초기 도입분으로 2002년에 2002번이 노포동터미널로 가게 되면서 삼신교통 해동여객에 차량과 노선을 넘긴다. [38] 서울 진화운수 중고차로 무려 ZF 자동변속기가 달린 차량이었으나, 수동으로 개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