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09 11:20:21

부산 버스 1011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tablebordercolor=#f58220><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부산광역시
}}}
[[틀:부산광역시의 급행버스|
급행
]] [[틀:부산광역시의 좌석버스|
좌석
]] [[틀:부산광역시의 일반버스|
일반
]] [[틀:부산광역시의 마을버스|
마을
]] [[틀:부산광역시의 심야버스|
심야
]] [[틀:기장군버스|
기장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000 1001 1002 1003 1004[A]
1005[B][C] 1006[A][C] 1008[A] 1009[B] 1009-1[A]
1011[A][C] 1012[B] 2000[C][D]
[A/B] 환승 대기시간 60분/90분 적용
[C] 입석금지
[D] 준공영제 제외 및 환승할인 불가
}}}}}}}}} ||
파일:busan1011-HD.png
파일:1011_HD.png
부일여객 차량 해동여객 차량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4. 특징
4.1. 근황4.2. 논란4.3. 연간 일평균 승차량4.4. 노선4.5. 시간표
5. 연계 철도역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급행버스 1011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부산 1011 노선도.png
기점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청강리(청강리공영차고지) 종점 부산광역시 강서구 송정동(경제자유구역청)
종점
첫차 05:00 기점
첫차 06:45
막차 21:00 막차 22:45
평일배차 출퇴근 15분 / 평시 30분 주말배차 30분
운수사명 부일여객, 해동여객 인가대수 12대[1]
노선 청강리공영차고지 - 내리초등학교 - 동해선송정역 - 송정해수욕장입구 - 송정터널 - 장산역 - 해운대구청어귀삼거리 - 해운대도시철도역 - 운촌 - 동백역 - 부산문화여고 - 올림픽교차로 - 올림픽교차로 환승센터[주의] - 광안대교 - 남부면허시험장/ LG메트로시티[3] - 동명대학교후문 - 용당동 - 부산항대교 - HJ중공업/봉학초등학교 - 해동병원 - 영선2동행정복지센터 - 남항대교[단독] - (← 암남동주민센터 ←) - 송도입구 -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 부산천연가스발전소/감천사거리 - YK스틸 - 장림 - 을숙도대교[단독] - 명지신도시[6] - 신호대교 - 르노자동차남문 - 르노자동차정문 - 부산지방중소벤처기업청 - 경제자유구역청

2. 개요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97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위에 기재된 정류소에만 정차한다.[7]

3. 역사

4. 특징

4.1. 근황

4.2. 논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부산 버스 1011/논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3. 연간 일평균 승차량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6년 1913.43
2017년 2924.43 △ 1011.00
2018년 2922.57 ▽ 1.86
2019년 2977.57 △ 55.00

4.4. 노선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급행버스 1011번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가락대로
가락대로 ▲ 경제자유구역청
녹산산단178로
가락대로
부산지방중소벤처기업청 ▼ ▲ 경제자유구역청
녹산산업대로
삼성자동차정문 ▼ ▲ 부산지방중소벤처기업청
르노삼성대로
장림 ▼ ▲ 명지신도시
을숙도대로
감천사거리 ▼ ▲ YK스틸
감천로
▲ 송도입구
충무대로
영선2동주민센터 ▼
영선대로
한진중공업 ▼ ▲ 영선2동주민센터
태종로
▲ 한진중공업
해양로
북항로
용당동 ▼
신선로
▲ 남부면허시험장
수영강변대로 APEC로
올림픽교차로 환승센터 ▼
APEC로
올림픽교차로 ▼ ▲ 올림픽교차로 환승센터
해운대로
▲ 장산역
좌동순환로
좌동로
송정해수욕장입구 ▼
해운대로
내리초등학교 ▼ ▲ 동해선송정역
기장대로
}}}}}}}}} ||

4.5. 시간표

평일 시간표

파일:1011번 평일 시간표.jpg

주말 및 공휴일 시간표

파일:1011번 주말 시간표.jpg

2022년 버전 (2022.07.01.시행)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명지신도시 경유 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급행 1005 <colbgcolor=#dddddd,#212121> 1009 1011[a] 2000[a]
좌석 58-1
일반 3 55-1 55-2 58
58-2 61 122 124
128-1 520 171 161
마을 강서 9-2 강서 14 강서 17 강서 20
강서 21
김해 914
음영표기: 국제신도시 경유 노선
[a]르노삼성대로로 운행하는 노선
}}}}}}}}} ||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장림 다대포 경유 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시내
마을
장림 착발
}}}}}}}}} ||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올림픽교차로 환승센터 경유 버스 노선
139회차

파일:전용도로표지.png 부산광역시 자동차전용도로 경유노선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005 1006 1008 1011 2000
}}}}}} ||

파일:부경대학교 엠블럼.svg 국립부경대학교 경유 버스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 대연캠퍼스
교문 앞 10 20 22 24
27 39 131 155
남구2 남구10
경성대부경대역 1001 1003
40 41 42 51
83 83-1 108 남구1
LG메트로시티, 남부면허시험장 1006 1011
용당캠퍼스
교내 진입 남구10
교문 앞 10 68 134 138
138-1 155 583
동명대학교후문 1006 1011
}}}}}}}}} ||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해운대해수욕장 경유 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00bfff><colcolor=#fff> 해운대해수욕장
해운대도시철도역
해운대시장
해운대구청
급행
일반
마을
}}}}}}}}} ||


[1] 운수사별로 각각 6대씩 운행 [주의] 경제자유구역청 뱡향은 가로변 정류장에 정차한다 [3] 양 정류장 모두 다른 노선들은 정차하지 않고 이 노선과 1006번만 정차하는 급행버스 전용 정류장이다. [단독] 이 노선의 단독 구간이다. [단독] [6] 명지오션시티 인근에 위치해 있으며 2000번 노선이 정차하는 정류장에 공동으로 정차한다. [7] 송정터널, 광안대교, 부산항대교, 남항대교, 을숙도대교, 신호대교 제외 [8] 과거에는 1010번 세진여객과 공동배차 운행하다가 부일여객 차량이 1011번으로 이동하면서 정관에서 철수했고 대신 부일여객 차량의 빈 자리는 구 1007번의 차량이 들어오면서 현재 세진여객 단독으로 1010번을 운행하게 됐다. 그리고 107번 입석버스로 전환되면서 현재에 이르고 있다. [9] 태영버스는 이미 1005번의 개통으로 221번 1004번에서 차량을 최대로 끌어다 써서 불가능하다. [10] 당시 노선 운행 문의를 받은 한 버스업체 관계자는 "왕복 운행거리가 90km라 사고 위험도 더 커지고 기사들 편의에도 좋을 것이 없는 노선으로 판단했다"며 "당시 업계 반응이 대부분 비슷했다"고 말했다. [11] 다만 시민들의 반응은 첫차 시간 문제로 인해 서부산 업체에서도 운행해야 된다는 반응이 명지신도시 주민들을 중심으로 일부 있었다. 다만 서부산 업체에서 개통할 경우 해운대 쪽 첫차 시간이 문제가 되어 녹산공단 출퇴근 수요 확보에 문제가 되었을 가능성이 높았다. 지금도 증차할 경우 녹산 첫차 시각을 앞당길 겸 해서 서부산 업체에서 공동배차할 것을 제안하는 사람들이 더러 있다. [12] 센텀시티 조성 이전에 올림픽공원 정류장이 있던 자리로 당시에는 수영에서 해운대, 재송동 방향으로 가는 모든 노선이 정차했다. [13] 2018년 2월 3일부터는 1006번도 정차한다. [14] 광안대교를 건너면서 해수욕장 앞으로 지나간다. 그래서 바다 방향에서 해수욕장을 조망할 수 있다. [15] 사하구 구간에서 다대포쪽으로 빠지지 않고 쭉 직진하여 을숙도대교로 직행한다. [16] 하이패스가 있으면 면제 처리가 안 된다. [17] 대부분 중소기업들이며 해당 기업들은 구인난의 가장 큰 원인 중 하나가 교통편 부재라고 주장했다. 심지어 일부 중소기업의 처우가 대기업 못지 않을 정도로 좋음에도 몇몇 직원들이 교통편 문제 등을 들어 그만두는 일이 있다고 한다. [18] 2021년 2월 27일 부터 추가로 정차하고 있다. [19] 청강리행은 LG메트로시티에서 하차하여 최대 600m 이동해야 하고 녹산행은 200m 정도 차이가 난다. 둘 다 도로교통공단 인근에 있는 후문으로 들어가야 한다. [20] 155번으로 연계가 된다. [21] 1011번의 대부분 구간이 컨테이너 배후도로 구간이다. [22] 송정역, 장산역, 해운대역, 동백역, 벡스코역. [23] '장림' 정류장 하차 후 약 10분 정도 걸으면 1호선 장림역과 연계되지만 직접 연계가 아니기 때문에 제외. [24] 이유는 다름이 아니라 동서고가로 황령터널의 정체 때문이다. 도로 상황이 괜찮다면 시외버스가 훨씬 빠르지만 상습정체구간에서 정체시 환승저항이 심하다는 걸 감안해도 소요시간 면에서 별 차이가 없어지기 때문이다. [25] 신.1005번과 신.1006번의 경우에는 1기 노선과 2기 노선이 완전히 달라서 번호 재활용이 가능했다. [26] 6번을 예로 들면 영도대교와 남포동을 지나는 굴곡이 있다. [27] 부산시에서도 이 노선은 직장인 및 학생들의 수요가 많다고 한 시민의 민원글에서 공식 인증했다. [28] 보통 르노코리아자동차나 경제자유구역청에서 다시 회사 셔틀버스로 갈아타서 회사로 들어간다. 출퇴근 이용객에 대한 전략은 성공하여 특히 의외로 부산신항만 근로자들이 이 노선을 꽤 이용하고 있다. 신항 근로자들의 경우 르노코리아자동차나 중소기업청에서 하차한 뒤 1009번으로 환승을 해도 되지만 배차간격이 좋지 않기때문에 운이 좋아야 환승이 가능하다. 그래서 보통 히치하이킹 혹은 카풀로 신항으로 들어가고 있는 형국이다. 이 때문에 부산신항, 가덕도 선창으로 연장하라는 민원이 일부 발생했으나 1011번의 부산신항 연장은 운행거리 때문에 씹혔다. 기점을 해동여객 송정차고지로 단축하고 대신 부산신항으로 연장하면 안되나?? 사실 이 노선 때문에 1005번이 망한 거라 봐도 된다. 같은 시기에 1011번과 비슷한 이유로 (지사, 미음산단에 노동력 공급) 조정된 1005번은 동서고가로를 이용했는데 사실상 전 구간이 상습정체구간이라 지사, 미음산단으로 가더라도 1011번을 이용한 뒤 회사 통근버스나 부산 버스 55로 갈아타는 게 시간상으로는 더 이득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서부산발 동부산 왕복 수요는 아직까지 통학 수요가 주를 차지한다. [29] 주로 HJ중공업에서 승차하여 한코스 뒤인 동명대후문 정류장에서 하차하는 수요. 말이 한코스이지 부산항대교를 건너야 하며, 기존 경로인 부산역을 거쳐갔으면 수십 개의 정류소를 거쳤을 코스이다. 대부분 동명대학교, 부경대학교 용당캠퍼스로 가는 수요이지만, 155번로 환승해서 경성대학교, 부경대학교 대연캠퍼스로 가는 환승 수요도 존재한다. [30] 남항대교, 감천항배후도로를 이용해서 빨리 간다는 입소문이 났기 때문이며 영선대로 상에 있는 영선2동주민센터 정류장은 영선대로에서 서구, 사하구, 강서구 등 서부산으로 갈 수 있는 유일한 정류장이라는 점도 더했다. 여기에 58-1번이 하단역으로 단축되자 일종의 대체노선으로 작용한 탓도 있고. [31] 평일기준 3,200여명 [32] 자세한 정보를 보고 싶으면 일단 이 사이트에 들어간 뒤 설정찍고 보면 된다. 요일별 승객수를 더한 후 7을 나누면 1일 평균 총 승객수가 나오며, 요일별 승객수를 더한 후 1주일 간의 운행대수(1011번 84대, 1000번 90대)를 나누면 1일 대당 승객수가 나온다.(평일과 주말의 인가대수가 다른 노선이 많으니, 반드시 주말 인가대수까지 확인해야 한다.) 이렇게 계산하면 하루 평균 이용객은 2,924명이며, 1주일 간의 운행대수로 나누면 1일 대당 243명 정도가 이용한다고 보면 된다. 그러나 2017년에 인지도가 높아져서 이용객들이 늘어나고, 4월에 10대에서 12대로 증차했기 때문에 실제 1일 대당 이용객은 약간 높을 것이다. [33] 이용객 수가 1,000여명 정도밖에 안 되는 1009번의 운송수입금이 20만원 중반대에 위치하고 있으며 1011번과 비슷한 이용객 수를 가진 1000번의 운송수입금은 40만원 초반대에 자리잡고 있었으나(그러나 1호선 다대포 연장으로 2018년도 기준으로는 34만 원대까지 급감했다.) 2018년 들어 1011번을 약간 이기는 수준으로 감소했다. 형제노선인 1001번도 사정은 비슷하다. 승객 수가 1만명을 넘지만 운송수입금은 40만원 후반 ~ 50만원 초반대에 머물고 있어 이용객 수가 약간 적은 1003번에 밀린다. 심지어 1002번에도 밀리고 있다. [34] 특정 운수 회사에 운수권을 주었다는 논란이 있었는데, 이 때 나온 말이 황금노선이다. 본 노선은 입석이 금지되어 사실상 나올 수 있는 최대 수요가 한정되어 있음에도 황금노선 취급을 받음을 생각하자. 혹자는 1011번의 입석이 허용됐으면 1001번은 괴정동 ~ 경성대 ~ 수영교차로 수요로 연명하며 환승대기시간 60분을 요구할 정도로 배차간격이 늘어나면서 몰락했을 거라고 보는 시각이 있다. [35] 증차 없이 해운대 신시가지로의 연장 결과 이렇게 된 것이었으며, 개통 초기에는 해안순환도로 운행 버스 중 가장 느렸다. [36] 11인승 이상 승합차들은 법률에 의해 110 km/h로 최고속도가 제한되는 속도제한장치를 달도록 규정되어있다. 이를 두고 기본 리밋이라 한 것. [37] 암남동과 남부민동 주민들이 원했던 것은 고신대병원과 암남동주민센터에 정차하고 송도입구 정류장을 폐쇄하는 것이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