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06 01:15:45

보바리 부인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obel_Prize.png 노벨 연구소 선정 최고의 책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normal"
2002년, 노르웨이 노벨연구소는 전 세계 54개국의 유명 작가들을 대상으로 세계 문학사에서 가장 훌륭하고 가장 중심적인 작품이라고 생각하는 책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1위는 50%의 이상의 표를 얻은 돈키호테이며 나머지 순위는 밝히지 않았다. 가장 많은 책을 올린 작가는 표도르 도스토옙스키(4권)이며, 프란츠 카프카, 윌리엄 셰익스피어, 레프 톨스토이는 각각 3개의 책을 올렸다.
1984
조지 오웰
인형의 집
헨리크 입센
감정 교육
귀스타브 플로베르
압살롬, 압살롬!
윌리엄 포크너
허클베리 핀의 모험
마크 트웨인
아이네이스
베르길리우스
안나 카레니나
레프 톨스토이
빌러비드
토니 모리슨
베를린 알렉산더 광장
알프레드 되블린
눈먼 자들의 도시
주제 사라마구
불안의 책
페르난두 페소아
욥기
작가 미상
카라마조프 가의 형제들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부덴브로크가의 사람들
토마스 만
캔터베리 이야기
제프리 초서

프란츠 카프카
우리 동네 아이들
나기브 마푸즈
픽션들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시선집
자코모 레오파르디
단편집
프란츠 카프카
단편집
에드거 앨런 포
제노의 의식
이탈로 스베보
죄와 벌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죽은 혼
니콜라이 고골
이반 일리치의 죽음
레프 톨스토이
데카메론
조반니 보카치오
오지에서의 곤경
주앙 기마라에스 로사
광인일기
루쉰
신곡
단테 알리기에리
수상록
미셸 드 몽테뉴
동화집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
파우스트
요한 볼프강 폰 괴테
가르강튀아와 팡타그뤼엘
프랑수아 라블레
길가메시 서사시
작가 미상
금색 공책
도리스 레싱
위대한 유산
찰스 디킨스
걸리버 여행기
조너선 스위프트
집시가집
페데리코 가르시아 로르카
햄릿
윌리엄 셰익스피어
이야기
엘자 모란테
굶주림
크누트 함순
백치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일리아스
호메로스
해방된 민중
할도르 락스네스
보이지 않는 인간
랠프 엘리슨
운명론자 자크와 그 주인
드니 디드로
밤의 끝으로의 여행
루이페르디낭 셀린
리어왕
윌리엄 셰익스피어
풀잎
월트 휘트먼
트리스트럼 샌디의 삶과 의견
로렌스 스턴
롤리타
블라디미르 나보코프
콜레라 시대의 사랑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보바리 부인
귀스타브 플로베르
마의 산
토마스 만
마하바라타
브야사
특성 없는 남자
로베르트 무질
마스나위
잘랄 웃 딘 루미
메데이아
에우리피데스
하드리아누스 황제의 회상록
마르그리트 유르스나르
변신 이야기
오비디우스
미들마치
조지 엘리엇
한밤의 아이들
살만 루시디
모비 딕
허먼 멜빌
댈러웨이 부인
버지니아 울프
냘의 사가
작가 미상
노스트로모
조지프 콘래드
오디세이아
호메로스
오이디푸스 왕
소포클레스
고리오 영감
오노레 드 발자크
노인과 바다
어니스트 헤밍웨이
백년의 고독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과수원
세이크 무스하리프 웃-딘 사디
오셀로
윌리엄 셰익스피어
뻬드로 빠라모
후안 룰포
내 이름은 삐삐 롱스타킹
아스트리드 린드그렌
시선집
파울 첼란
악령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오만과 편견
제인 오스틴
라마야나
발미키
샤쿤탈라
칼리다사
적과 흑
스탕달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마르셀 프루스트
북으로의 이주 시절
타옙 살리흐
단편집
안톤 체호프
아들과 연인
D. H. 로렌스
음향과 분노
윌리엄 포크너
산소리
가와바타 야스나리
이방인
알베르 카뮈
겐지모노가타리
무라사키 시키부
모든 것이 산산이 부서지다
치누아 아체베
천일야화
작가 미상
양철북
귄터 그라스
등대로
버지니아 울프
소송
프란츠 카프카
몰로이
말론 죽다
이름 붙일 수 없는 자
(3부작)
사뮈엘 베케트
율리시스
제임스 조이스
전쟁과 평화
레프 톨스토이
폭풍의 언덕
에밀리 브론테
그리스인 조르바
니코스 카잔차키스
출처1 출처2
}}}}}}}}} ||


1. 개요2. 줄거리3. 등장인물4. 영화화

[clearfix]

1. 개요

원제는 Madame Bovary.

프랑스의 작가 귀스타브 플로베르가 1857년에 발표한 소설. 프랑스 낭만주의 소설의 계보를 사실주의적인 비극으로 탈바꿈한 작품으로 평가되는 고전이다. 뛰어난 묘사력이 돋보이는 작품으로 두 인물의 입장 변화를 눈동자에 담아내는 장면과 당시 기준으로 상당히 노골적인 성애 묘사는 큰 논란이 되기도 했다.[1] 특히 마차에서의 정사 장면은 이 작품의 또 다른 하이라이트.

소설의 큰 줄거리는 당시 신문에 실린 실제 사건(유부녀가 불륜 중 파산으로 자살)인데, 작가는 후기에서 보바리 부인(엠마)은 나라는 유명한 선언을 남겼다. 자신이 불륜을 저지르거나 파산을 했다는 뜻이 아니다.

철학자 쥘 드 코티에는 이 작품에서 모티브를 얻어 현실에 대한 불만으로 과대망상에 빠지다 못해 현실과 혼동하는 상태를 뜻하는 보바리즘(Bovarysme)이란 단어를 만들었다.

2. 줄거리

의사가 된 샤를 보바리는 어머니의 뜻대로 돈 많은 미망인과 결혼하지만 성격과 나이 등 여러가지로 맞지 않아 이내 환멸을 느낀다. 그러다 자신의 환자 루올 노인의 딸 엠마의 외모에 이끌린 그는 아내가 죽은 후 그녀와 결혼한다. 하지만 엠마는 낭만적인 연애에 대한 환상을 품은 사람이었고 연애 때와는 달리 샤를의 둔감한 면에 질려 결혼 생활에서 큰 행복을 느끼지 못한다.

그러던 어느 날 후작의 무도회에 다녀온 이후 엠마는 점점 사교계 생활에 위안을 얻어 빠져들기만 할 뿐 그 외의 모든 것에는 권태를 느껴 시골 의사의 아내가 아니라 소설 속 여주인공이 되려는 환상에 점점 빠져든다.

결국 엠마는 다른 남자들과 불륜을 저지르고, 그 과정에서 많은 빚을 져 재산 압류를 통보받는다. 이에 엠마는 비소를 먹고 자살하고, 엠마의 죽음 이후 모든 것을 알게 된 샤를은 엠마에 대한 울분과 그리움 속에 화병으로 죽는다. 부모를 잃은 딸 베르트는 친척집을 전전하다 끝내는 방직공장으로 보내진다.[2]

3. 등장인물

4. 영화화

10여 차례 영화화됐다.

1933년 첫 영화 <Madame Bovary>가 나왔다. 장 르누아르가 연출한 프랑스 영화다.

1949년 MGM에서 제작하고 빈신트 머넬리가 연출한 미국 영화 <마담 보바리(Madame Bovary)>에선 제니퍼 존스가 엠마 보바리 역을 맡았다. MGM에서 라나 터너를 위해 기획한 작품이었으나 터너가 임신하면서 존스에게 역이 돌아갔다. 이 외에 밴 헤플린이 샤를 보바리, 루이 주르당이 로돌프 블랑제, 제임스 메이슨 귀스타브 플로베르 역으로 출연했다.

개봉 당시 불륜 소재가 헤이즈 코드와 부딪혀 이를 우회하는 형태의 액자식 구성의 서사 흐름을 고안했다. 1850년대 파리 법정에서 작가 귀스타브 플로베르가 자신의 책 보바리 부인이 금서로 지정되는 걸 막으려 하면서 소설 내용을 설명한다. 소설 전체의 묘사가 끝난 뒤 금서 지정 시도가 철회된다.

1992년 클로드 샤브롤이 연출한 프랑스 영화 <마담 보바리(Madame Bovary)>에선 이자벨 위페르가 엠마 보바리 역을 맡았다.

2014년 독일- 벨기에- 미국 합작 영화 <마담 보바리(Madame Bovary)>에선 미아 바시코프스카가 엠마 보바리 역을 맡았다.

이 외에 소설을 모티브로 삼아 재구성한 작품들도 있다.

1970년에 데이비드 린이 연출한 영국 영화 <라이언의 딸(Ryan's Daughter)>은 1916년 부활절 봉기 실패와 영국의 잔인한 후처리로 인해 아일랜드인들 사이에서 독립 의지가 달아오른 1917년이 배경이다. 결혼한 지 몇 달 안 된 아일랜드 시골 여성이 엠마 보바리에 해당하는 주인공으로, 인근 기지 지휘관으로 온 영국군 소령과 불륜을 벌이다 걸려 주민들의 공분을 산다.

1993년에 마노엘 드 올리베이라가 부분 각색해 만든 프랑스- 포르투갈- 스위스 합작 영화 <아브라함의 계곡(Vale Abraão)>도 있다.


[1] 본 책의 첫 머리글은 출판 금지 소송에서 자신을 변호한 세나르에게 바치는 감사의 글이다. [2] 이 시대 공장들의 환경을 생각해 보면, 이 아이의 앞날은 어둡다고 볼 수 있다. [3] 작품 초반부터 아버지가 노인으로 묘사되는 걸로 봐선 꽤 늦둥이로 추측된다. [4] 낭만파답게 한밤중에 횃불을 켜고 하는 결혼식을 꿈꾸지만 물론 공상에 그치고, 떠들썩한 시골식 결혼식이 되었다. [5] 노골적인 성적 묘사 같은 건 없고, 엠마의 눈을 통해 햇빛에 빛나는 나뭇잎 등 풍경 묘사로 관계가 있었음이 암시적으로 그려진다. [6] 그전에도 뢰뢰가 사치품을 팔아보려 드나들긴 했지만 엠마는 딱 잘라 거절해 자신의 현명함에 스스로 만족할 만큼 정신줄은 잡고 있었다. [7] 기요맹이 돈을 빌려주는 대가로 성관계를 요구하는데, 어느 정도 예상하고 찾아가긴 했으나 막상 보니 그 꼴이 혐오스러워 박차고 나와 버린다. [8] 예쁘고, 젊고, 사랑스럽고, 멋도 부릴 줄 알기 때문. [9] 정확히는 엠마의 죽음 이후 서랍을 뒤져본 결과 그녀가 줄곧 다른 남자들을 만나왔다는 걸 알게 되자 그 쇼크로 사망한다. [10] 그의 사후 하나 남은 딸마저도 불우한 인생을 살게 된다. [11] 전 부인과의 결혼 생활에 환멸을 느끼고 엠마에게 호감을 가지긴 했지만 엠마와 달리 선을 넘진 않았다. 물론 전 부인도 나이차가 상당히 있는 데다(샤를은 20대 무렵이었지만 그녀는 40~50대로 추측되는 시기에 샤를과 재혼했다) 굉장히 까탈스럽고 성마른 성품의 미망인이라 샤를이 뭘 할 때마다 사사건건 간섭하면서 정나미가 떨어지게 만들긴 했다. 게다가 질투심도 엄청나 샤를에게 진료받는 여성 환자들을 모두 경계했을 정도. 애초부터 샤를이 원해서 결혼한 것도 아닌 어머니가 돈을 노리고 한 결혼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