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9f51 {{{#!wiki style="padding: 5px 0 0; margin:-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582d2d, #663334, #663334, #582d2d)"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20세기 ] {{{#!wiki style="margin:-5px -1px -5px; word-break:normal" {{{#555,#aaa |
<rowcolor=#cd9f51> 1901 | 1902 | 1903 | 1904 |
쉴리 프뤼돔 | 테오도르 몸젠 | 비에른스티에르네 비외른손 | 프레데리크 미스트랄 | |
<rowcolor=#cd9f51> 1904 | 1905 | 1906 | 1907 | |
호세 에체가라이 | 헨리크 시엔키에비치 | 조수에 카르두치 | 러디어드 키플링 | |
<rowcolor=#cd9f51> 1908 | 1909 | 1910 | 1911 | |
루돌프 오이켄 | 셀마 라겔뢰프 | 파울 폰 하이제 | 모리스 마테를링크 | |
<rowcolor=#cd9f51> 1912 | 1913 | 1915 | 1916 | |
게르하르트 하웁트만 | 라빈드라나트 타고르 | 로맹 롤랑 | 베르네르 폰 헤이덴스탐 | |
<rowcolor=#cd9f51> 1917 | 1919 | 1920 | ||
카를 기엘레루프 | 헨리크 폰토피단 | 카를 슈피텔러 | 크누트 함순 | |
<rowcolor=#cd9f51> 1921 | 1922 | 1923 | 1924 | |
아나톨 프랑스 | 하신토 베나벤테 |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 | 브와디스와프 레이몬트 | |
<rowcolor=#cd9f51> 1925 | 1926 | 1927 | 1928 | |
조지 버나드 쇼 | 그라치아 델레다 | 앙리 베르그송 | 시그리드 운세트 | |
<rowcolor=#cd9f51> 1929 | 1930 | 1931 | 1932 | |
토마스 만 | 싱클레어 루이스 | 에릭 악셀 카를펠트 | 존 골즈워디 | |
<rowcolor=#cd9f51> 1933 | 1934 | 1936 | 1937 | |
X | ||||
이반 부닌 | 루이지 피란델로 | 유진 오닐 | 로제 마르탱 뒤 가르 | |
<rowcolor=#cd9f51> 1938 | 1939 | 1944 | 1945 | |
펄 벅 | 프란스 에밀 실란패 | 요하네스 빌헬름 옌센 | 가브리엘라 미스트랄 | |
<rowcolor=#cd9f51> 1946 | 1947 | 1948 | 1949 | |
헤르만 헤세 | 앙드레 지드 | 토머스 스턴스 엘리엇 | 윌리엄 포크너 | |
<rowcolor=#cd9f51> 1950 | 1951 | 1952 | 1953 | |
버트런드 러셀 | 페르 라게르크비스트 | 프랑수아 모리아크 | 윈스턴 처칠 | |
<rowcolor=#cd9f51> 1954 | 1955 | 1956 | 1957 | |
어니스트 헤밍웨이 | 할도르 락스네스 | 후안 라몬 히메네스 | 알베르 카뮈 | |
<rowcolor=#cd9f51> 1958 | 1959 | 1960 | 1961 | |
보리스 파스테르나크 | 살바토레 콰시모토 | 생존 페르스 | 이보 안드리치 | |
<rowcolor=#cd9f51> 1962 | 1963 | 1964 | 1965 | |
존 스타인벡 | 요르기우스 세페리스 |
|
미하일 숄로호프 | |
<rowcolor=#cd9f51> 1966 | 1967 | 1968 | ||
슈무엘 요세프 아그논 | 넬리 작스 | 미겔 앙헬 아스투리아스 | 가와바타 야스나리 | |
<rowcolor=#cd9f51> 1969 | 1970 | 1971 | 1972 | |
사뮈엘 베케트 |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 파블로 네루다 | 하인리히 뵐 | |
<rowcolor=#cd9f51> 1973 | 1974 | 1975 | ||
패트릭 화이트 | 에위빈드 욘손 | 하뤼 마르틴손 | 에우제니오 몬탈레 | |
<rowcolor=#cd9f51> 1976 | 1977 | 1978 | 1979 | |
솔 벨로 | 비센테 알레익산드레 | 아이작 바셰비스 싱어 | 오디세우스 엘리티스 | |
<rowcolor=#cd9f51> 1980 | 1981 | 1982 | 1983 | |
체스와프 미워시 | 엘리아스 카네티 |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 윌리엄 골딩 | |
<rowcolor=#cd9f51> 1984 | 1985 | 1986 | 1987 | |
야로슬라프 사이페르트 | 클로드 시몽 | 월레 소잉카 | 조지프 브로드스키 | |
<rowcolor=#cd9f51> 1988 | 1989 | 1990 | 1991 | |
나기브 마푸즈 | 카밀로 호세 셀라 | 옥타비오 파스 | 나딘 고디머 | |
<rowcolor=#cd9f51> 1992 | 1993 | 1994 | 1995 | |
데릭 월컷 | 토니 모리슨 | 오에 겐자부로 | 셰이머스 히니 | |
<rowcolor=#cd9f51> 1996 | 1997 | 1998 | 1999 | |
비스와바 심보르스카 | 다리오 포 | 주제 사라마구 | 귄터 그라스 | |
<rowcolor=#cd9f51> 2000 | ||||
가오싱젠 | ||||
}}}}}}}}}
- [ 21세기 ]
- ##
||<tablebgcolor=#663334><rowcolor=#cd9f51> 2001 || 2002 || 2003 || 2004 ||
}}}}}} ||
물리학 | 화학 | 생리학·의학 | 평화 | 경제학 |
Knut Pedersen Hamsun | |
[[노벨문학상|{{{#white 1920년 노벨문학상 수상자}}}]] | |
본명 |
Knut Pedersen Hamsun (크누트 페데르센 함순) |
출생 | 1859년 8월 4일 |
스웨덴-노르웨이 연합 왕국 구드브란스달 | |
사망 | 1952년 2월 19일 (향년 92세) |
노르웨이 그림스타드 | |
국적 | 노르웨이 |
배우자 |
베르기오트 괴페르트 (1898년 결혼, 1906년 이혼) 마리 함순 (1909년 결혼) |
자녀 | 빅토리아[1], 토레, 아를리트, 엘리노어, 세실리아 |
직업 | 작가, 시인, 극작가, 사회평론가 |
서명 |
[clearfix]
1. 개요
노르웨이의 작가. 토마스 만, 어니스트 헤밍웨이 등 당대의 대문호들에게 칭송을 받았지만 말년에 아돌프 히틀러를 예찬한 끝에 모든 명예를 잃고 가난 속에 생을 마감했다.2. 생애
1859년 노르웨이의 구드브란스달에서 태어났으며 본명은 크누트 페테르센이다. 1862년에 가족 모두 노르웨이 북부 하마뢰위에 있는 함순으로 이사했는데 훗날 이 이름을 필명으로 사용한다. 가난 때문에 9살의 나이로 삼촌 집으로 가서 일을 도왔는데 삼촌이 파킨슨병을 앓고 있었기 때문에 어린아이의 몸으로 음식뿐 아니라 집안일을 도맡아 해야 했고 조금이라도 게으름을 피웠다가는 삼촌에게 매질을 당하기 일쑤였다. 이렇게 5년을 보낸 후 청소년기에는 상점 점원, 제화공, 잡상인 등의 직업을 전전했다. 1876년부터 글을 쓰기 시작했다.26세 되던 해 형편이 나아질까 싶어 미국으로 건너가 체류했으나 임시직 노동자만 전전한 끝에 1885년 미국 생활을 접고 노르웨이로 귀국했고 이때부터 크누트 함순이란 필명을 쓰기 시작했다. 1년 뒤 다시 미국으로 건너갔으나 이번에도 정착에 실패하고 덴마크의 코펜하겐으로 거처를 옮겼다. 1890년『 굶주림』이 높은 평가를 받으면서 노르웨이 뿐 아니라 유럽 전체에 이름을 알렸다.
이후 『신비』,『목신 판』 등을 발표했고 1898년 연애소설 『빅토리아』를 출간해 작가로서 명성을 얻었다. 1911년 농장을 구입해 농사를 짓기 시작하면서 『시대의 아이들』 ,『세겔포스 마을』 ,『땅의 혜택』등 목가적인 작품을 주로 썼다. 그 중 대표작으로 꼽히는 『땅의 혜택』은 문명의 공허함 안에서 인간성을 되찾고 위대한 자연과 하나가 되어 순수하게 살아가고자 하는 작가의 궁극적인 지향점이 잘 드러난 작품으로, 그가 1920년 노벨문학상을 받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2.1. 나치 관련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그는 친 나치 인사가 되었다. 1940년 4월 9일 히틀러가 노르웨이를 침략하자 그는 전단지에 영국의 노골적인 침략 위협에서 우리를 지켜주기 위해 독일이 왔다고 썼을 뿐만 아니라 동년 9월 28일에는 노르웨이 동포들을 향해 다음과 같이 발언했다.무기를 버리고 집으로 돌아가라! 독일인들은 우리 모두를 위해 싸우고 있고, 이제 영국의 폭정을 완전히 박살 낼 것이다!
당연히 노르웨이 국민들과 문학계는 그의 망언에 분개했으나 함순은 아랑곳하지 않고 히틀러에 대한 존경심을 표했고 심지어 히틀러가 자살한 직후 그는 아직 독일군 통제 아래 있던 라디오 방송에 나와 히틀러를 추도했다.
전쟁이 끝난 후 반역 혐의로 체포되어 정신병원에 강제 수용되었다. 1947년 벌금형을 선고받아 재산의 대부분을 벌금으로 낸 후 집으로 돌아왔고 1949년『풀이 무성한 오솔길에서』를 출간했다.
1952년 92세로 사망했다.
3. 작품
3.1. 소설
3.1.1. 장편소설
- 비외르게르 (Bjørger, 1878)
- 굶주림 (Sult, 1890)
- 신비 (Mysterier, 1892)
- 편집자 륑게 (Redaktør Lynge, 1893)
- 얕은 흙 (Ny Jord, 1893)
- 판 (Pan, 1894)
- 빅토리아 (Victoria, 1898)
- 몽상가들 (Sværmere, 1904)
- 땅의 혜택 (Markens Grøde, 1917)
- 우물가의 여인들 (Konerne ved Vandposten, 1920)
- 마지막 장 (Siste Kapitel, 1923)
- 고리가 닫히다 (Ringen sluttet, 1936)
- 풀이 무성한 오솔길에서 (Paa gjengrodde Stier, 1949)
3.1.1.1. 연작
- 가을의 별 아래서 (Under Høststjærnen, 1906)
- 어떤 방랑자가 소리 나지 않는 현악기를 연주하다 (En Vandrer spiller med Sordin, 1909)
- 마지막 기쁨 (Den sidste Glæde, 1912)
- 베노니 (Benoni, 1908)
- 로사 (Rosa, 1908)
- 시대의 아이들 (Børn av Tiden, 1913)
- 세겔포스 마을 (Segelfoss, 1915)
- 방랑자들 (Landstrykere, 1927)
- 아우구스트 (August, 1930)
- 길은 계속 앞장서서 간다 (Men Livet leve, 1933)
3.1.2. 단편소설
- 수수께끼의 남자 (Den Gaadefulde, 1877)
- 낮잠 (Siesta, 1897) [A]
- 크라츠코그 (Kratskog, 1903) [A]
- 섬에 대하여 (Stridende Liv: Skildringer fra Vesten og Østen, 1905) [A]
3.2. 시집
- 재회 (Et Gjensyn, 1878)
- 야생의 합창 (Det vilde Kor, 1904)
3.3. 희곡
- 왕국의 문에서 (Ved Rigets Port, 1895)
- 인생 게임(Livets Spil, 1896)
- 일몰 (Aftenrøde, 1898)
- 수도사 벤트 (Munken Vendt, 1902)
- 타마라 여왕 (Dronning Tamara, 1903)
- 생명의 지배력 (Livet i Vold, 1910)
3.4. 기타
- 현대 미국의 문화생활 (Fra det moderne Amerikas Aandsliv, 1889) [5]
- 이상한 나라에서 (I Æventyrland: Oplevet og drømt i Kaukasien, 1903) [6]
- 위험에 처한 언어 (Sproget i Fare, 1917)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