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7-09 21:10:32

미해군 vs 중국 해군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미군 vs 중국군
국가 vs 국가 해군력 비교
한국 해군 vs 북한 해군 한국 해군 vs 해상자위대 한국 해군 vs 중국 해군
러시아 해군 vs 해상자위대 중국 해군 vs 해상자위대 미해군 vs 중국 해군
중국 해군 vs 인도 해군 러시아 해군 vs 중국 해군 미해군 vs 러시아 해군

미합중국 해군 VS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파일:미합중국 해군기.svg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해군기.svg

1. 개요2. 인도-태평양 지역 전력 비교3. 전체 전력 비교4. 미래 예측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미 해군 중국 해군의 전력을 비교하는 문서이며 전체 전력은 미해군이 압도적 우세를 점하고 있다. 핵심 전투 전력의 배수량 단순 합계만 따져도 3배 차이가 나고, 항공모함이나 공격원잠 등에서는 거의 10배 수준까지도 격차가 벌어진다.

다만, 미중 간의 무력 분쟁 상황을 상정함에 있어서 북대서양, 지중해, 중동 등 전세계에 함대를 배치해야 하는 미해군의 상황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즉, 유사시 미해군이 중국과의 분쟁 해역에 신속하게 모든 전력을 투사하는 일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런 특수성을 반영하기 위해 상황을 좀 더 단순화하여 현재 인도-태평양 지역에 배치되어 있는 전력 간의 비교를 우선으로 하였으며,[1] 건조 중인 수량까지 표기한 전체 전력 비교는 그 다음 문단 참조.

2. 인도-태평양 지역 전력 비교

핵심 전투 전력 요약
국가 항공모함[2] 공격용 잠수함 수상 전투함 총계
공격원잠[3] 재래식 포함 총계 준이지스 이상 3,000톤 이상 총계
미국 7 척
620,000 톤
27 척
223,600 톤
27 척
223,600 톤
51 척
482,810 톤
66 척
529,310 톤
101 척
1,372,910 톤
중국 2 척
130,900 톤
6+ 척
42,000+ 톤
52+ 척
177,380+ 톤
39 척
333,500 톤
90 척
570,514 톤
144+ 척
878,794 톤

2.1. 수상 전투함

미중 양국의 1,000톤 이상 수상 전투함 비교
만재배수량 미국 중국
함급 만재배수량 VLS /
경사발사대
수량 함급 만재배수량 VLS /
경사발사대
수량
10,000톤급 이상 줌왈트급 15,900 톤 80 / 0 2 척 055형(난창급) 13,000 톤 112[C] / 0 8 척
타이콘데로가급 9,700 톤 122 / 8 7 척
알레이 버크급
(Flight IIA, III)
9,600+ 톤 96 / 0 28 척
5,000톤 이상 알레이 버크급
(Flight I, II)[5]
8,400+ 톤 90 / 8 14 척 052D형(쿤밍급) 8,000? 톤 64[C] / 0 25 척
052C형(란저우급) 7,000 톤 48 / 8 6 척
준이지스 이상 구분선
051C형(선양급)[7] 7,300 톤 6(x8) / 8 2 척
052B형(광저우급) 7,000 톤 0 / 16 2 척
항저우급 8,000+ 톤 32[8] / 8[S] 4 척
051B형(선전급) 6,600 톤 32 / 16[S] 1 척
루후급 5,000 톤 0 / 16 2 척
3,000톤 이상 인디펜던스급 3,100 톤 0 / 8? 15 척 054A형(장카이II급) 4,053 톤 32 / 8 40 척
054형(장카이I급) 3,900 톤 0 / 8 2 척
3,000톤 이상 구분선
1,000톤 이상 장웨이II급 2,393 톤 0 / 8 8 척
056A형(장다오급) 1,440 톤 0 / 4 50 척

2.2. 잠수함

미중 양국의 잠수함 비교
만재배수량 미국 중국
함급 수상 배수량 VLS 수량 함급 수상 배수량 VLS 수량
SSBN 오하이오급 16,775 톤 SLBM 24 8 척 094형(진급) 8,000 톤 SLBM 12 6 척
SSGN 오하이오급 16,775 톤 154 2 척
SSN 씨울프급 7,460 톤 3 척 093형(상급) 5,300 톤 ? 6+ 척
버지니아급
(Block I ~ IV)
6,950 톤 12 7 척
LA급 6,255 톤 12 15 척
SSK 원급 2,300 톤 18+ 척
킬로급 개량형 2,350 톤 10 척
송급 1,700 톤 13 척
명급 1,580 톤 5 척

2.3. 항공모함, 강습상륙함, 상륙함

미중 양국의 항공모함, 강습상륙함, 상륙함 비교
분류 미국 중국
함급 배수량 수용능력 수량 함급 배수량 수용능력 수량
항공모함 니미츠급 106,000톤 고정익 55기
헬기 11기
5 척 산둥 70,000 톤 고정익 24기
헬기 10기
1 척
랴오닝 60,900 톤 고정익 16기
헬기 10기
1 척
LHA 아메리카급
(Flight 0)
45,000 톤 F-35B 13기[11]
헬기 3기
2 척
LHD 와스프급 41,000 톤 항공기 25기
LCAC 3척
장갑차량 20대
3 척 075형 40,000 톤 헬기 30기
LCAC 2척
장갑차량 20대[12]
3 척
LPD 샌 안토니오급 25,000 톤 MV-22B 5기
LCAC 2척
장갑차량 15대
7 척 071형 25,000 톤 헬기 6기
LCAC 4척
장갑차량 6대[13]
8 척
LSD 하퍼스 페리급 16,000 톤 LCAC 2척
장갑차량 15대
2 척
위드비 아일랜드급 16,000 톤 LCAC 4척 4 척
LST 072계열 4,800 톤 전차 10대[14] 29 척
073계열 2,000 톤 장갑차량 6대 11 척
074계열 800 톤 전차 2대 20+ 척

3. 전체 전력 비교

핵심 전투 전력 요약
국가 항공모함 공격용 잠수함 수상 전투함 총계
공격원잠 재래식 포함 총계 준이지스 이상 3,000톤 이상 총계
미국 13 척
1,251,000 톤
53 척
441,700 톤
53 척
441,700 톤
90 척
838,520 톤
113 척
913,020 톤
179 척
2,605,720 톤
중국 2 척
130,900 톤
6+ 척
42,000+ 톤
52+ 척
177,380+ 톤
39 척
333,500 톤
90 척
570,514 톤
144+ 척
878,794 톤

3.1. 수상 전투함

미중 양국의 1,000톤 이상 수상 전투함 비교 (취역 + 건조중)
만재배수량 미국 중국
함급 만재배수량 VLS /
경사발사대
수량 함급 만재배수량 VLS /
경사발사대
수량
10,000톤급 이상 줌왈트급 15,900 톤 80 / 0 2(+1) 척 055형(난창급) 13,000 톤 112 / 0 8(+2) 척
타이콘데로가급 9,700 톤 122 / 8 13 척
알레이 버크급
(Flight IIA, III)
9,600+ 톤 96 / 0 45(+6) 척
5,000톤 이상 알레이 버크급
(Flight I, II)
8,400+ 톤 90 / 8 28 척 052D형(쿤밍급) 8,000? 톤 64 / 0 25(+7) 척
컨스텔레이션급 7,291 톤 32 / 16 0(+1) 척 052C형(란저우급) 7,000 톤 48 / 8 6 척
054B형 6,000 톤 32[15] / 8 0(+2) 척
준이지스 이상 구분선
051C형(선양급) 7,300 톤 6(x8) / 8 2 척
052B형(광저우급) 7,000 톤 0 / 16 2 척
항저우급 8,000+ 톤 32 / 8 4 척
051B형(선전급) 6,600 톤 32 / 16 1 척
루후급 5,000 톤 0 / 16 2 척
3,000톤 이상 인디펜던스급 3,100 톤 0 / 8? 15(+2) 척 054A형(장카이II급) 4,053 톤 32 / 8 40 척
프리덤급 3,500 톤 0 / 0 8(+3) 척 054형(장카이I급) 3,900 톤 0 / 8 2 척
3,000톤 이상 구분선
1,000톤 이상 장웨이II급 2,393 톤 0 / 8 8 척
056A형(장다오급) 1,440 톤 0 / 4 50 척

3.2. 잠수함

미중 양국의 잠수함 비교 (취역 + 건조중)
만재배수량 미국 중국
함급 수상 배수량 VLS 수량 함급 수상 배수량 VLS 수량
SSBN 컬럼비아급 18,000 톤 SLBM 16 0(+1) 척 094형(진급) 8,000 톤 SLBM 12 6 척
오하이오급 16,775 톤 SLBM 24 14 척
SSGN 버지니아급
(Block V)
8,??? 톤 42[16] 0(+3) 척
오하이오급 16,775 톤 154 4 척
SSN 씨울프급 7,460 톤 3 척 095형(수급) 6,??? 톤 ? ? 척[17]
버지니아급
(Block I ~ IV)
6,950 톤 12 22(+8) 척 093형(상급) 5,300 톤 ? 6+ 척
LA급 6,255 톤 12 24 척 091형(한급) 4,500 톤 0 척[18]
SSK 원급 2,300 톤 18+ 척
킬로급 개량형 2,350 톤 10 척
송급 1,700 톤 13 척
명급 1,580 톤 5 척

3.3. 항공모함, 강습상륙함, 상륙함

미중 양국의 항공모함, 강습상륙함, 상륙함 비교 (취역 + 건조중)
분류 미국 중국
함급 배수량 수용능력 수량 함급 배수량 수용능력 수량
항공모함 제럴드 포드급 101,000톤 고정익 64기
헬기 11기
1(+2) 척 003형 85,000 톤 ? 0(+1) 척
니미츠급 106,000톤 고정익 55기
헬기 11기
10 척 산둥 70,000 톤 고정익 24기
헬기 10기
1 척
랴오닝 60,900 톤 고정익 16기
헬기 10기
1 척
LHA 아메리카급
(Flight 0)
45,000 톤 F-35B 13기
헬기 3기
2 척
LHD 아메리카급
(Flight I)
45,000 톤 항공기 30기
LCAC 2척
장갑차량 ?대
0(+1) 척 076형 50,000 톤 항공기 ?기
LCAC ?척
장갑차량 ?대
0(+1) 척
와스프급 41,000 톤 항공기 25기
LCAC 3척
장갑차량 20대
7 척 075형 40,000 톤 헬기 30기
LCAC 2척
장갑차량 20대
3(+1) 척
LPD 샌 안토니오급 25,000 톤 MV-22B 5기
LCAC 2척
장갑차량 15대
12(+2) 척 071형 25,000 톤 헬기 6기
LCAC 4척
장갑차량 6대
8(+2) 척
LSD 하퍼스 페리급 16,000 톤 LCAC 2척
장갑차량 15대
4 척
위드비 아일랜드급 16,000 톤 LCAC 4척 6 척
LST 072계열 4,800 톤 전차 10대 29 척
073계열 2,000 톤 장갑차량 6대 11 척
074계열 800 톤 전차 2대 20+ 척

4. 미래 예측

4.1.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2021년 1월 미 의회조사국(CSR)은 이러한 중국의 ‘해군 굴기’에 주목하여 중국 해군 현대화 보고서 : 미 해군에 대한 함의란 제목의 보고서를 작성했다. 본 문서의 내용은 보고서의 내용에 기초하고 있다. 보고서 전문

파일:20210528_120027.png

1. 항공모함

중국 해군은 쿠즈네초프급 항모를 개조한 001급 항공모함과 002급 항공모함을 건조한데 이어 앵글드 덱과 사출기를 탑재한 만재배수량 8만톤의 003급 항공모함을 건조 중에 있다. 미 의회조사국은 중국 해군이 004급에 들어서면 사실상 니미츠급 항공모함에 준하는 수준의 만재배수량 10만톤급 항공모함을 갖추게 될 것으로 보고 있다. 2040년까지 총 6척의 항공모함을 취역시킬 것이다.

2. CG/DDG

PLAN은 6척의 052C급과 25척의 052D급, 8척의 055급을 2020년대 초까지 보유할 것으로 보여지며, 최소 12척의 055급과 차기 대형 함정을 등장시킬 예정이다. 또 하나 주목할 것은 이 함정들이 전부 4면 위상배열레이더를 갖춘 준 이지스급 방공함이라는 것이다. 미 해군정보국(ONI)는 중국 해군이 2040년까지 80척의 4면 위상배열 레이더 장착 구축함/순양함을 보유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3. FFG/PCC

중국 해군 호위함 세력은 054A급을 주력으로 하고 있다. 회전식 2면 PESA 레이더와 VLS, NIFC-CA ADSAM From the Sea 수준의 능력을 가진 중국산 CEC 시스템을 장착한 표준적인 성능의 이 호위함정은 현재까지 30척이 건조되었으며, 추가적으로 최소 20척 이상 건조할 것으로 예측되었지만, 2022년 12월 40번함을 끝으로 054A 프로그램은 종료되었다. 차세대 호위함은 052급은 크기를 5000톤급으로 증가시킨 054B급이 될 예정이다.

초계함급의 경우 현재까지 056급 72척을 취역시켰다. 전반적인 성능은 인천급 호위함의 1000톤급 버전. 현재 초기형 22척은 조기 퇴역하고 중국 해경에 인도되었다.

미 의회조사국은 2040년까지 PLAN이 프리깃과 코르벳을 함쳐 140척의 함정을 보유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4. 상륙 함정

중국 해군은 기존까지 LST 위주의 상륙정을 보유하고 있었으나, 양안 관계의 악화와 미중 패권 경쟁의 심화로 상륙 세력의 현대화를 진행 중이다.

중국 해군은 LPD 형으론 미 의회조사국 피셜 짭 샌 안토니오급(…)인 071급 8척을 이미 진수했다. 미 의회조사국은 중국 해군이 2040년까지 14척의 LPD를 보유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파일:20210528_123839.png

LHD 형 상륙함정으론 075급을 건조 중이고, 076급을 계획 중이다. 075형은 캐터펄트, 어래스팅 와이어가 없기에 수직 이착륙기가 아닌 고정익기는 운용할 수 없다. 미 해군은 076급의 경우 앵글드 덱을 갖춘 경항공모함으로 운용될 가능성도 검토 중에 있다.[19] LHD 형의 경우 2040년까지 6척이 건조될 것이다.

4.2. 미합중국 해군

미 해군은 CSR의 중국 해군 현대화 보고서를 토대로 중국 해군을 억제할 수 있는 충분한 수준의 해군력 건설을 목표로 하고 있다. 미 의회 예산조사국(CBO)는 2019년 미 해군의 FY2020 건함 플랜을 분석한 보고서인 ‘’An Analysis of the Navy’s FY 2020 Shipbuilding Plan’’을 발간하였다. 본 문서 역시 이 보고서의 내용에 기초하고 있다. https://assets.documentcloud.org/documents/6464276/CBO-Analysis-of-the-Navy-s-2020-Shipbuilding.pdf


1. 항공모함

파일:20210528_120937.png

미 해군은 중국 해군의 A2/AD 전략에 마주하여 미래 전장에서 항공모함의 생존성에 대한 재고에 들어가고 있다. 하지만 FY 2020 건함 플랜에선 11척의 슈퍼캐리어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와있다. 현재까지 예정된 제럴드 R. 포드급 항공모함의 건조 수량은 총 7척.

2022년 결국 경항모 계획은 폐기되고 현재의 11척에서 1척을 추가한 슈퍼캐리어 12척 플랜을 고수할 것으로 보인다.

2. Large Surface Combatant (대형 수상 전투함)

파일:20210528_120959.png

타이콘데로가급 순양함,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 줌왈트급 구축함으로 대표되는 미 해군의 LSC 세력은 분산된 치명성 (Distributed Lethality), 다영역작전 (MDO)의 핵심 전력으로 미 해군의 척추라인을 담당할 주 전력이며 알레이버크급 플라이트 3, DDG-Next 와 같이 신규 건조되는 모든 함정은 신형 AESA 이지스 레이더인 AN/SPY-6(V) AMDR을 장착할 것이다. [20]

2022년 현재 미 해군은 알레이 버크급 FIIA의 성능이 충분하지 않다고 여기고 있으며, 때문에 AMDR 개수를 받는 후기형 15척을 제외한 FIIA 함정을 조기 퇴역시키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 경우 DDG Next (FLSC)의 건조 수량이 소폭 늘어나지만, LSC 세력의 총량은 기존의 104척 플랜에서 약 60여 척으로 대폭 감소하게 된다. 이 때문인지 FY22년부터 진행될 2년에 이지스함 5척 건함 플랜 역시 10여척의 수량이 칼질을 당할 수도 있다.

2022년 7월 미 해군이 발표한 373척의 Force Design 2045에 따르면, 알레이버크급과 DDG(X)를 포함하여 96척의 LSC 세력을 건설할 계획이라고 한다. 하지만 현재 미 해군과 해병대, 국방부가 미래 미국의 수상 함대 규모에 대해 전혀 의견이 일치하지 않은 상태로 [21] 의회에게 비판받고 있다.

파일:Screenshot-2022-11-10-at-6.10.30-PM.png

2022년 11월 CBO가 예상한 해군의 건조 플랜에서 어떤 대안을 선택하던 LSC 세력은 80~83척 선이 유지된다는 결론이 나왔다. 미 해군 참모총장 역시 소수의 고성능 LSC와 다수의 SSC 세력을 선호한다고 발언한 것을 볼 때 다수의 적당한 성능을 가진 대형수상함보단 줌왈트급 수준의 살인적인 척당 건조가를 감수하더라도 중국 해군을 확실히 누를 수 있는 고성능의 함정을 갖추는 것이 낫다고 판단한 듯.

3. Small Surface Combatant (소형 수상 전투함)

미 해군의 SSC 세력은 MDO 개념에서 만만치 않게 중요한 위치에 자리잡고 있지만, 연안전투함(LCS) 사업의 대실패로 수많은 예산과 시간을 소비하였다. 미 해군은 LCS 사업으로 미 의회와 언론에게 십자포화를 당했으며(…), 중국 해군 연안 함대의 현대화로 당장 쓸 만한 연안 함정을 대규모로 보유해야 하는 상황에 놓여있다. 때문에 미 해군은 FFG(X) 사업을 최대한 보수적으로 진행하였으며, 이미 많은 국가에서 신뢰성을 검증한 FREMM을 기반으로 한 신규 SSC인 컨스텔레이션급 호위함을 매년 2척씩 총 20~29척을 건조할 예정이다.

파일:4464750_IDS_EASR_Graphic_0.jpg

일단 급한 불을 끈 후, Future Small Surface Combatant 사업을 통해 매년 2척씩 신규 프리깃을 총 29~38척을 건조하여, 컨스텔레이션급과 합해 SPY-6 레이더를 갖춘 배수량 6000톤의 염가형 이지스 프리깃을 총 58척 보유할 예정이다. [22]

4. 공격 원자력 잠수함

파일:20210528_120949.png

주로 디젤 잠수함을 보유하며 양적 팽창보단 질적 향상을 꾀하는 중국 해군과 달리, 미 해군은 공격 원잠 세력의 팽창을 목표로 하고 있다. 노후화된 LA급을 퇴역시키기 위해 VPM을 장착한 후기 버지니아급 원잠과 버지니아급보다 더 빠르고, 더 조용하고, 더 많은 어뢰를 탑재한 21세기 시울프급인 만재배수량 1만톤의 SSN(X)를 214조원을 투입해 33척을 건조할 생각이다.

미 해군의 공격 원잠 세력은 현재의 40척 후반에서 66척으로 증대될 것이며, 매년 2척을 건조하는 잠수함 건함 플랜이 이를 뒷받침할 것이다.

다만 현재 미 해군은 살인적인 건조 비용에 발목이 잡혀 SSN(X), DDG(X), 차기 함재기 사업인 F/A-XX 사업을 동시에 진행할 수 없는 상황에 놓여있다. 하지만 미해군은 중국 해군과 기술/양적 초격차를 가진 유일한 분야가 공격 원잠 뿐이라는 위기감에 빠져있기 때문에 척당 56~72억 달러로 추산되는 정신나간 건조가의 SSN(X)도 어떻게든 끌고 갈 생각으로 보인다.

5. 상륙 함정

파일:20210528_121014.png

미 해병대는 중국 해상육전대의 위협에 맞서 경량화, 모듈화를 추진하고 있다. 거추장스럽고 무거운 기존 체계를 벗어 던지고, 장거리 미사일과 긴 항속거리 및 빠른 속력을 갖춘 헬기 부대를 통해 중국군에게 그들이 사용하는 A2/AD를 그대로 돌려줄 생각이다. 때문에 2차대전 식 대규모 상륙전을 상정하며 상륙 함정의 양적 팽창을 꾀하는 중국 해군과 달리 미 해군의 상륙 함정 세력은 큰 변화가 있진 않다. LHD/LHA 세력이 소폭 축소되고 LPD 위주로 재편되는 것이 눈 여겨볼 요소 정도.

인포그래픽 외에도 18척의 Light amphibious warship (LAW)를 확보하여 미 해병 연안작전연대(MLR)들을 지원할 것이다.

6. 무인 함정

미 해군은 Battle Force 2045 계획으로 355척의 유인 함대 플랜에 200척 이상의 무인 함정을 추가하여 총 500척의 함대 계획을 구상 중이다. 아직 어떤 무인 함정이 추가될진 밝혀지지 않았다.[23]


파일:20210528_120916.png

2049년까지 미 해군 수상함대 총량을 나타낸 인포그래픽.

파일:20210528_121045.png

2049년까지 미 해군 건함 플랜.

5. 관련 문서


[1] 미해군 배치 현황은 #1 #2 [2] 경항모 포함 [3] SSGN 포함 [C] Concentric Canister Launch System 채용하여 {YJ-21 대함 탄도 미사일}, YJ-18 종말단계 초음속 대함 미사일 및 다양한 대공/대잠/대지상 무장 운용 가능 [5] 후기형과 무장, 센서, 전투체계 등에서 큰 차이가 없기 때문에 사실상 10,000톤급이라고 볼 수도 있지만 헬기 격납고가 없는 점을 고려하여 실제 배수량대로 분류함 [C] [7] 종말유도까지 담당하는 다기능 레이더가 1면 회전식으로 동시 360도 대응이 불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해 준이지스로 분류하지 않음, 다만 기본적인 스펙은 괜찮은 편이기 때문에 상황만 맞으면 유효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으며 실제 중국군도 방공구축함으로 분류하고 있음 [8] H/AKJ-16 VLS 32셀 설치하는 개장(refit) 진행중, 현재 2척 완료 [S] YJ-12 초음속 대함 미사일 운용 [S] [11] 미 해병대 항공 전력 보고서(2017) [12] 와스프급에 준하는 것으로 추정 [13] 영상 51초에 확인되는 웰덕 전방 공간 [14] Military Balance 2021 [15] 054A형과 달리 대형 미사일까지 운용 가능한 Concentric Canister Launch System 탑재한 것으로 추정됨 [16] 2 X VPT(Virginia Payload Tube; 최대 7셀 실제 운용 사례) + VPM(Virginia Payload Module; 4 X VPT로 구성) [17] 이미 위성사진에 새로 건조 중인 SSN이 포착된 바 있으나 093형의 개량형인지 새로운 함급인지 불확실한 상황임 [18] 운용 0척, 비축 3척 [19] 군사 전문가들이 3가지 형태를 예측했는데 그 중 잘못 설계된 혼종 형태는 현실성이 없고 앵글로 덱이 있는 형태와 앵글로 덱이 없는 형태 중 하나로 건조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그러나 앵글로 덱이 없는 형태는 함재기 컨트롤이 힘들어지기에 앵글로 덱이 있는 형태가 가장 유력하다. [20] DDG-Next의 경우 또 다른 SPY 신형 레이더를 장착할 수도 있다. [21] 당장 이 문서의 LSC 규모 예측만 봐도 104척, 60척, 96척으로 수치가 널뛰기하는 상황이다. 이 수치들이 전부 의회 예산조사국, 미 합참 등의 신뢰도 높은 소스를 기반으로 하고 있음에도 말이다. [22] FSSC의 경우 DDG-Next와 마찬가지로 신규 SPY 레이더를 장착할 수도 있다. [23] 다만 줌왈트급과 함께 작전할 대형 무인함 10척이 예정되어있다. 이들은 VLS를 탑재하는데 형상은 아직 나오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