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01 16:39:19

러시아 해군 vs 해상자위대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러시아군 vs 자위대
국가 vs 국가 해군력 비교
한국 해군 vs 북한 해군 한국 해군 vs 해상자위대 한국 해군 vs 중국 해군
러시아 해군 vs 해상자위대 중국 해군 vs 해상자위대 미해군 vs 중국 해군
중국 해군 vs 인도 해군 러시아 해군 vs 중국 해군 미해군 vs 러시아 해군

러시아 해군 VS 해상자위대
파일:러시아 해군기.svg 파일:해상자위대기.svg

파일:F1tNTmj.jpg

1. 개요2. 러시아의 태평양 함대3. 러시아 해군의 현대화4. 관련 문서

1. 개요


러시아 해군 전체가 해상자위대보다 떨어지는 전력을 보유하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러시아 해군은 국토가 워낙 넓다보니 러시아 태평양 함대를 제외하면 지구 반대편에 있는 나머지 전력을 단기간에 집중하기 힘든 반면, 해자대는 일본 근해에 전력(4개 호위대군과 지방대)의 집중이 비교적 쉽기 때문에 당장 가용 가능한 수상함 전력에서는 해자대가 우위를 점한다고 볼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실제로 양국 간의 분쟁이 발발했을 때의 상황이 어떠할까를 생각해보면 이런식의 단순 비교는 적절치 않다. 특히, 해자대가 상대해야 할 전력의 대부분이 수상 전투함이 아니라는 점이 문제다. 단순하게 러시아 해군 내에서만 보더라도 수상함은 보조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잠수함 전력의 비중이 크다. 러시아군 자체가 미 해군 항모 전단과 정면 대결을 할 수 없다는 걸 소련 시절부터 일찌 감치 인식하고 잠수함과 항공과 지상 발사 대함미사일 등에 집중적으로 투자했기 때문인데 전부 기술적으로나 수적으로나 손색이 없는 수준이다. 현대 해전에서 이러한 무기 체계들이 얼마나 중요한지는 굳이 말이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물론 해상자위대 역시 항공 및 지대함미사일 포대의 지원을 받을 수 있다. 다만 러시아 태평양 함대의 주력이 수상함이 아닌 데다 발사 플랫폼이나 사거리등의 측면에서 러시아군이 우위를 점하고 있어 그 한계가 명확하다.

해상 초계기나 조기 경보기 등의 감시정찰 자산이 많다는 점은 해상자위대의 강점 중 하나다.

2. 러시아의 태평양 함대

러시아: 태평양 함대의 수상함
번호 종류 이름 취역연도/기타
011 순양함 바랴그[1] 슬라바급 1983년
543 구축함 마숄 샤포쉬니코프 우달로이급 I 1985년
564 구축함 어드미랄 트리부트 우달로이급 I 1985년
572 구축함 어드미랄 븨노그라도프 우달로이급 I 1988년
548 구축함 어드미랄 판첼레예프 우달로이급 I 1991년
715 구축함 비스트리 소브레멘니급 1989년
초계함 소베르쉔니 스테레구시급 2038.1 2013년 배치
초계함 그롬키 스테레구시급 2038.1 2015년 배치
태평양 함대의 잠수함
번호 종류 이름 취역연도/기타
K-550 SSBN 알렉산더르 네브스키 보레이급 955A III 2013
K-551 SSBN 블라디미르 모노마흐 보레이급 955A III 2014
K-433 SSBN Ryazan 델타급III 1982
K-150 SSGN 톰스크 오스카급 II 1991
K-456 SSGN 빌류친스크/Tver 오스카급 II 1991
K-442 SSGN Chelyabinsk 오스카급 II 1990
K-132 SSGN Irkutsk 오스카급 II 1988
K-186 SSGN 옴스크 오스카급 II 1993
K-331 SSN 마가단 아쿨라급 I(Akula I) 1990
K-419 SSN 쿠즈바스 아쿨라급 I(Akula I) 1992
K-391 SSN Bratsk 아쿨라급 I(Akula I) 1987
K-295 SSN 사마라 아쿨라급 II(Akula II) 1995
B-394 SSK Nurlat 킬로급 1988
B-464 SSK 우스티캄차츠크 킬로급 1990
B-494 SSK 우스키볼셰레스크 킬로급 1990
B-187 SSK 캄싸몰스크 나 달리녜 킬로급 1991
B-190 SSK 크라스노카멘스크 킬로급 1993
B-345 SSK 모고차 킬로급 1994

3. 러시아 해군의 현대화

러시아 해군은 2000년대 중반 이후 급격히 늘어난 국방비로 야심찬 건함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스텔스 설계와 현대적인 무장체계를 탑재한 초계함 스테레구시급을 시작으로 뒤이어 어드미럴 고르쉬코프급 호위함의 건조를 추진하고 있으며, 대형 구축함인 리데르급건조가 예정되어 있다.
파일:GkHzxij.jpg
어드미럴 고르쉬코프급 호위함 Admiral Flota Sovetskogo Soyuza Gorshkov
파일:Ag5wWSf.jpg
스트레거쉬급 초계함 Soobrazitelnyy

2016년 현재까지 건조 개시 혹은 진수가 확인된 어드미럴 고르쉬코프급 네 척 모두와 스테레구시급 여덟 척 중 네 척을 포함해 이러한 신형 함정들 대다수는 북양함대에 배치되었거나 배치될 예정이다. 어드미럴 그리고로비치급 6척은 모두 흑해 함대에 배치됐거나 그럴 예정이며 태평양함대에는 스테레구시급 초계함 4척이 예정되어 있다.

4. 관련 문서



[1] 바이킹이란 뜻으로 러일전쟁 제물포해전 당시 압도적인 열세에서 분전했으나 침몰한 순양함 이름을 승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