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의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군함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잠수함 | 재래식 | <colbgcolor=#fefefe,#191919> 031형R, 033형R, 035형 밍급, 039형 쑹급, 킬로급, 039A/041형 위앤급, 032형 칭급 | ||
하이브리드 | {041형 주급} | ||||
SSN | 091형 한급, 093형 상급 | ||||
SSGN | { 095형}, {097형} | ||||
SSBN | 092형 샤급, 094형 진급, { 096형 탕급} | ||||
고속정 | 062형 상하이I/II급, 062I형 상하이 III급R, 037형 하이난급, 037I형 하이칭급 | ||||
어뢰정 | 123형R, 02형R, 025형R | ||||
미사일 고속정 | 021형R, 024형R, C14급, 037IG형 후신급, 037II형 후지안급, 022형 후베이급 | ||||
초계함 | 056(A)형 쟝다오급 | ||||
호위함 |
053K형 장동급R,
053(
H ·
H1 ·
H2 ·
H1Q ·
H1G
)형 지앙후(
I ·
II ·
IIIR ·
IVT ·
V
)급, 053H2G형 장웨이 I급, 053H3형 장웨이 II급, 054(A)형 장카이 (I · II)급, { 054B형} |
||||
구축함 | 구축함 |
6607형R,
051형 루다급R,
항저우급,
052형 루후급,
051B형 루하이급, 052B형 루양 I급 |
|||
방공구축함 | 051C형 루저우급, 052C형 루양 II급, 052D형 루양 III급, 055형 런하이급 | ||||
상륙정 | 067형 윈난급S, 069형 위친급S, 724형 징사 II급 LCAC, 726형 위이급 LCAC, 728형 | ||||
상륙함 | LHA | 075형 위션급, { 076형} | |||
LPD | 071형 위쟈오급 | ||||
LST | 072형 위칸급, 072(II · III · A)형 윈칭(I · II · III)급 | ||||
LSM | 074형 위하이급, 073(II · IIY)형 위다오급, 073III형 위덩급, 073A형 윈슈급, 079형 위량급 | ||||
기뢰소해함 | 010형R, 081형 워치급, 082형 워사오급, 082II형 워장급 | ||||
군수지원함 | 903(A)형 푸치급, 904(A · B)형 따윤급, 905형 푸칭급R, 908형 칭하이후, 901형 | ||||
항공모함 | 001형 랴오닝, 002형 산둥, { 003형 푸젠} | ||||
※ 윗첨자R: 퇴역 함선 ※ 윗첨자T: 기존 함을 연습함으로 전용 ※ 윗첨자S: 비축 함선 ※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중국군의 운용장비 | 해상병기 |
}}} }}}}}} |
현재는 개장을 통해 외관이 많이 바뀌었다. 참고
1. 개요
항저우급은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의 구축함으로 총 4척이 배치되었다.2. 제원[1]
표준배수량 | 6,600t | |
만재배수량 | 8,480t | |
전장 | 156m | |
전폭 | 17.3m | |
흘수 | 6.5m | |
승조원 | 350명 | |
최고 속력 | 32.7kn (약 60.6km/h) | |
항속 거리 | 18kn (약 33km/h)에서 7,260km 정도 | |
출력 | 100,000HP | |
기관 | 증기 터빈 | 2기 |
보일러 | 4기 | |
터보 발전기 | 2기 | |
디젤 발전기 | 2기 | |
무장 | 주포 | AK-130 130mm 2연장 함포 2문 |
부포 | GSh-6-30 6연장 30mm 기관포 2문 | |
CIWS | 카쉬탄 2문 | |
대함 | YJ-12 전용 4연장 발사대 2문 | |
대공 | HQ-16 전용 VLS 32셀 | |
대잠 | 대공 미사일 미탑재 시 CY-1 탑재 | |
헬기 | Ka-27 계열 1기 |
3. 상세
항저우급(Project 956) 구축함은 1989년 천안문 사태로 서방측에서의 기술수입이 금지당하자, 러시아와 접촉해 도입한 소브레멘니급 구축함의 중국형 모델이다. 중국은 1980년대부터 해군력의 재정비와 현대화를 추구하며 대양해군으로 나가려 노력하고 있었으나 여전히 90년대까지도 고성능함의 건조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이에 중국은 러시아와 접촉하여 소브레멘니급의 도입을 시도하게 된다. 러시아는 소련의 붕괴 후 건조 중이던 함선의 건조가 모두 중단되어 방치되고 있었는데 소브레멘니급의 18함과 19번함도 이에 해당하였다. 중국은 1996년 6월 러시아와 협상을 통해 18함과 19함의 건조비용을 러시아 대신 지불하여 건조후 중국이 인수하기로 협의하였는데 계약가는 8억 달러였다. 또한 이 계약에서 기술지원과 같은 부수적인 협상이 있었을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추측하고 있는데 이후 자국에서 건조한 052B형 구축함의 무장과 시스템이 항저우급의 그것과 동일하다는 점에서 추측이 맞다고 보고 있다. 중국은 킬로급의 도입 당시 승무원의 교육을 소흘히 하여 초기 운영에 어려움을 겪은것을 교훈 삼아 1999년 즈다노후 조선소가 있는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승무원들을 파견하여 충분한 교육을 받게 하였으며 중국으로 항해시에 러시아 승무원들을 동승시키고 이후 초기 운영에 참가하게 함으로 빠른 전력화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1번함은 1999년 12월에 2번함은 2001년1월에 인도 받았다.21세기 초반에 다시 개량형 Project 956EM 2척을 계약하여는데 이함은 이전 2척과 달리 신조함으로 러시아의 기술 지원과 장비 판매에 대한 보상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고 평가 받고 있다. 3번함은 2004년 4월에 취역하였고 4번함은 2005년 12월 28일에 취역하였다. 추가분 2척의 가격은 14억 달러로 새로 건조하고 개량에 대한 비용으로 인해 이전 두척보다 비용이 높다.
본 구축함은 당시 중국 해군의 수상전투함 중 일부 함정만이 HQ-7 대공미사일을 보유하여 함대 방공능력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도입한 함이기도 하다. 중국의 항저우급의 도입과 광저우급의 건조는 대만에 충격을 주어 키드급을 도입하게 하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초기함 Project-956의 무장은 3M80 모스키토 초음속 대함미사일 4연장 2기, 130mm AK-130 함포 2문, 30mm AK-630m CIWS 4문, 533mm 어뢰발사관 5연장 2기, RBU-1000 대잠 로켓 6연장 2기를 탑재한다. 후기함 Project 956EM 무장은 SA-N-7 대신 SA-N-11, AK-630M 대신 CADS-N-1 카쉬탄 2기로 대체하고, AK-130 함포는 후방 함포를 제거하여 1문만 탑재한다. 후방 함포를 제거한 대신 너무 좁다는 평을 받았던 비행갑판을 확장하여 헬기 운용능력을 확대하였다.
지금은 기존 러시아제 센서와 대공 미사일 발사대가 아닌 현대전에 걸맞은 신형 중국제 센서와 VLS로 교체 사업 중에 있다고 한다. 대함 미사일도 중국제 YJ-12로 교체된다.
2022년 3월 중순 경 기준 현재 1번함 항저우, 2번함 푸저우 및 나머지 2척 중 1척까지 개수가 완료된 것으로 보인다. 기사
4. 동형함 목록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 ||||||
함번 | 함명 | 기공일 | 진수일 | 취역일 | 소속 | 상태 |
136 | 항저우 (杭州) | 1988년 11월 4일 | 1994년 5월 27일 | 1999년 12월 25일 | 동부전구해군 | 현역 |
137 | 푸저우 (福州) | 1989년 4월 22일 | 1999년 4월 16일 | 2000년 11월 20일 | 동부전구해군 | 현역 |
138 | 타이저우 (泰州) | 2002년 7월 3일 | 2004년 4월 27일 | 2005년 12월 28일 | 동부전구해군 | 현역 |
139 | 닝보 (宁波) | 2002년 11월 15일 | 2004년 7월 23일 | 2006년 9월 27일 | 동부전구해군 | 현역 |
5. 관련 항목
6. 대중매체에서
모던 워쉽에서 3티어 구축함으로 등장한다.
7. 관련 문서
[1]
초도함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