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의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군함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잠수함 | 재래식 | <colbgcolor=#fefefe,#191919> 031형R, 033형R, 035형 밍급, 039형 쑹급, 킬로급, 039A/041형 위앤급, 032형 칭급 | ||
하이브리드 | {041형 주급} | ||||
SSN | 091형 한급, 093형 상급 | ||||
SSGN | { 095형}, {097형} | ||||
SSBN | 092형 샤급, 094형 진급, { 096형 탕급} | ||||
고속정 | 062형 상하이I/II급, 062I형 상하이 III급R, 037형 하이난급, 037I형 하이칭급 | ||||
어뢰정 | 123형R, 02형R, 025형R | ||||
미사일 고속정 | 021형R, 024형R, C14급, 037IG형 후신급, 037II형 후지안급, 022형 후베이급 | ||||
초계함 | 056(A)형 쟝다오급 | ||||
호위함 |
053K형 장동급R,
053(
H ·
H1 ·
H2 ·
H1Q ·
H1G
)형 지앙후(
I ·
II ·
IIIR ·
IVT ·
V
)급, 053H2G형 장웨이 I급, 053H3형 장웨이 II급, 054(A)형 장카이 (I · II)급, { 054B형} |
||||
구축함 | 구축함 |
6607형R,
051형 루다급R,
항저우급,
052형 루후급,
051B형 루하이급, 052B형 루양 I급 |
|||
방공구축함 | 051C형 루저우급, 052C형 루양 II급, 052D형 루양 III급, 055형 런하이급 | ||||
상륙정 | 067형 윈난급S, 069형 위친급S, 724형 징사 II급 LCAC, 726형 위이급 LCAC, 728형 | ||||
상륙함 | LHA | 075형 위션급, { 076형} | |||
LPD | 071형 위쟈오급 | ||||
LST | 072형 위칸급, 072(II · III · A)형 윈칭(I · II · III)급 | ||||
LSM | 074형 위하이급, 073(II · IIY)형 위다오급, 073III형 위덩급, 073A형 윈슈급, 079형 위량급 | ||||
기뢰소해함 | 010형R, 081형 워치급, 082형 워사오급, 082II형 워장급 | ||||
군수지원함 | 903(A)형 푸치급, 904(A · B)형 따윤급, 905형 푸칭급R, 908형 칭하이후, 901형 | ||||
항공모함 | 001형 랴오닝, 002형 산둥, { 003형 푸젠} | ||||
※ 윗첨자R: 퇴역 함선 ※ 윗첨자T: 기존 함을 연습함으로 전용 ※ 윗첨자S: 비축 함선 ※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중국군의 운용장비 | 해상병기 |
}}} }}}}}} |
1. 개요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의 상륙함. NATO 코드명은 위쟈오급[1]이다.2000년대 들어서 대만과 관계 개선이 되는 중에도 중국은 공식적으로 대만 수복을 무력을 통한 방침을 포기하지 않고 유지하고 있기에 이를 위해 상당한 수의 상륙함을 건조해왔다. 4,000톤급의 072-3형 LST 상륙함을 2003년부터 2005년까지 9척을, 2,000톤급의 073-3형 LSM 상륙함을 2004년에 10척을 건조하는 등 상륙함의 대량 건조를 진행하던 중국은 2005년부터 기존의 상륙함의 건조를 중단하고 신형 상륙함 건조에 착수하였는데 이게 바로 071형 상륙함이다. 설계는 중국 국영회사인 중국조선공업주식회사(China Shipbuilding Industry Corp(CSIC)에서 진행하였고 건조는 후동 중화조선소에서 2006년 6월부터 건조되었다. 2006년 12월이 1번함인 곤륜산함이 진수되어 2007년 11월 30일에 취역하였고 2번함은 2010년 11월에 진수했다.
2. 제원
071형 상륙함 071型船坞登陆舰 |
||||
만재배수량 | 25,000톤 | |||
길이 | 210m | |||
폭 | 28m | |||
흘수선 | 7m | |||
동력 | 방식 | CODAD | ||
추진 | 프로펠러 2축 | |||
출력 | 41,600마력 | |||
최고속도 | 25노트 | |||
항속거리 | 18노트 순항시 6,000해리 | |||
승조원 | 운용병력 120명 및 상륙해병 최대 800명 | |||
레이더 | 대공 | 363S형 레이더 (TSR - 3004 SEA - TIGER) | ||
사격통제 |
345형 대공 미사일 통제 레이더 TR47C 함포관제 레이더 |
|||
항법 | RM-1290 레이더 | |||
대응 장비 | 디코이 | 726-4형 디코이 발사기 4기 | ||
무장 | 함포 | AK-176 76mm 함포 1문 | ||
대공 | HQ-7 8연장 발사대 1기 | |||
CIWS | AK-630 × 3 | |||
탑재 항공기 | Z-8 2~4대 |
3. 특징
중국 최초의 LPD형 상륙함인 071형 상륙함은 미국의 샌 안토니오급과 유사한 외형을 가지고 있으나 배수량 면에서는 좀 더 작다. 샌 안토니오급에 비해 길이는 약간 길지만 폭이 좁다. 샌 안토니오급과 비슷한 시기에 등장했지만 정작 기술 도입선은 후안 카를로스 1세급을 건조한 스페인의 나반티아 조선소로 1995년 중국 해군의 상하이 연구소에게 도움을 주었다고 한다. 071형은 중국이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급의 상륙함들을 지휘하기 위함 상륙함대의 기함으로 건조 되었으며 현대 상륙작전이 초 수평선 작전을 수행하기 위하여 공기 부양 상륙정의 운영을 전제로 건조되었다. 또한 동시기 등장한 장카이급과 같은 적극적 스텔스 설계가 적용되어 생존성을 향상 시켰다.
071형은 중국 상륙함정 중 최초로 헬기 격납고와 고유의 수송 헬기를 탑재한 함정으로 최대 4대의 헬기를 탑재 할 수 있다.
도입단가는 샌 안토니오급의 1/3 수준이라고 하며 선체는 상선의 구조[2]를 기반으로 하여 가격과 건조 기간에서 이득을 보았다고 한다.
4. 수출
제작사인 중국조선공업주식회사는 말레이시아 해군에 위자오급의 마이너 버전을 제시한 적이 있다.2019년 9월 태국에서 071E형의 수입에 대한 계약을 맺었다. 가격은 약 미화 2억 달러로서 20억 달러로 알려진 샌 안토니오급의 약 10%이다. # 태국 해군의 071E형은 기존 071형 대비 격납고를 감소시키고 항공 갑판을 연장해서 항공 갑판에 동시에 3대 중-대형 헬기 이착륙이 가능하다.
2021년 12월 태국 해군을 위한 071E형 상륙함이 진수되었다. #
5. 동형함 목록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 ||||||||
함번 | 함명 | 조선소 | 진수일 | 취역일 | 소속 | 상태 | ||
1차 배치 | ||||||||
1 | 998 | 쿤룬산 (昆仑山) | 후동 중화 조선소 | 2006년 12월 21일 | 2007년 11월 30일 | 남부전구해군 | 현역 | |
2 | 999 | 정강산 (井冈山) | 후동 중화 조선소 | 2010년 11월 18일 | 2012년 1월 취역 | 남부전구해군 | 현역 | |
3 | 989 | 창바이산 (长白山) | 후동 중화 조선소 | 2011년 9월 26일 | 2012년 9월 23일 | 남부전구해군 | 현역 | |
2차 배치 | ||||||||
4 | 988 | 이멍산 (沂蒙山) | 후동 중화 조선소 | 2015년 1월 22일 | 2016년 2월 1일 | 동부전구해군 | 현역 | |
5 | 980 | 용호산 (龙虎山) | 후동 중화 조선소 | 2017년 6월 15일 | 2018년 9월 12일 | 동부전구해군 | 현역 | |
6 | 987 | 우즈산 (五指山) | 후동 중화 조선소 | 2018년 1월 20일 | 2019년 1월 12일 | 남부전구해군 | 현역 | |
7 | 986 | 쓰밍산 (四明山) | 후동 중화 조선소 | 2018년 12월 28일 | 2020년 | 동부전구해군 | 현역 | |
8 | 985 | 치롄산 (祁连山) | 후동 중화 조선소 | 2019년 6월 6일 | 2020년 | 남부전구해군 | 현역 | |
3차 배치 | ||||||||
9 | 990 | 후동 중화 조선소 | 2022년 중 (예정) | 2023년 중 (예정) | 동부전구해군 | 건조 중 | ||
10 | 995 | 후동 중화 조선소 | 2022년 중 (예정) | 2023년 중 (예정) | 동부전구해군 | 건조 중 | ||
태국 왕립해군 | ||||||||
함번 | 함명 | 조선소 | 진수일 | 취역일 | 소속 | 상태 | ||
1 | 792 | HTMLS 창 (Chang) | 후동 중화 조선소 | 2021년 12월 23일 | 2023년 4월 18일 | 현역 |
6. 미디어에서
- 2018년 중국 영화 홍해행동에서 중국 해군 육전대의 지휘함으로 나온다.
7. 모형화
- 다른 PLAN 함선들과 마찬가지로 트럼페터에서 1/350 스케일과 1/700 스케일로 모형화했다. 1/350 스케일은 2013년, 1/700 스케일은 2020년 출시되었으며 둘 다 1번함인 쿤룬산함을 재현하고 있다. 1/350 스케일의 경우 223위안이라는 가격에 큼지막한 크기와 여러 장의 에칭, 전차상륙정 여러 대와 헬기를 포함한 좋은 구성을 자랑한다. 두 스케일 모두 자국 함선이라 그런지 신경써서 만든 느낌이다. 전용 에칭 세트 역시 여러 곳에서 출시된 상태이다.
8. 둘러보기
현대 태국 해군 함정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타이 왕립 해군 (1945~현재) กองทัพเรือ | Royal Thai Navy |
||
'''[[잠수함| 잠수함 ]]'''
|
''' SSK '''
|
{ 마차누급(2대)} | 마차누급R(초대/1937) | |
강상 경비정 (PBR) | R.51급 | R.41급 | R.31급 | R.21급 | R.3130급 | R.121급 | Mk.II급 | ||
구잠정 (PC) | PC-461급R | ||
어뢰정 (PT) | 촌보리급R | 클롱야이급R | ||
'''[[초계정| 초계정 ]]'''
|
PB | T.997급 | T.994급 | T.991급 | M58급 | M36급 | M21급 | 후아 힌급 | 촌부리급 | 사타힙급 | BMB-230급R | FPB-45급R | 사라싱급R | |
원양초계함(OPV) | 크라비급 | 파타니급 | ||
<colbgcolor=#2D2A4A> '''[[초계함| 초계함 ]]'''
|
<colbgcolor=#2D2A4A> ''' 슬루프 '''
|
메클롱급R | 차오 프라야급R(초대/1922) | |
''' PCE '''
|
캄론신급 | 따삐급 | 방빠꽁급R | ||
''' PCG '''
|
라따나꼬신급(2대/1986) | ||
해방함 | 톤부리급R | 라따나꼬신급R(초대/1929) | ||
'''[[호위함| 호위함 ]]'''
|
PF | 타친급R(2대/1951) | |
FF | 차오 프라야급(2대/1995) | 풋타엿파쭐라록급R | ||
''' FFG '''
|
푸미폰 아둔야뎃급 | 나레수안급 | ||
'''[[구축함| 구축함 ]]'''
|
DD | 프라 루앙급R | |
경항공모함 | 차크리 나루에벳 | ||
'''[[소해함| 소해함 ]]'''
|
''' MCS '''
|
탈랑급 | |
''' MSC '''
|
MSC-294급R | YMS-1급R | ||
''' MHC '''
|
랏 야급 | 방 라짠급(2대/1987) | 포쌈톤급R | 방 라짠급R(초대/19938) | ||
'''[[상륙함| 상륙함 ]]'''
|
'''[[상륙수송선거함| LPD ]]'''
|
창급(2대/2023) | 앙통급(3대/2012) | |
'''[[전차상륙함| LST ]]'''
|
시창급(2대/1987) | 앙통급R(2대/1947) | ||
'''[[중형상륙함| LSM ]]'''
|
LSM-1급R | ||
'''[[상륙정| 상륙정 ]]'''
|
''' LCU '''
|
마녹급 | 통까에오급 | |
''' LCT '''
|
LCT Mk.6R | ||
''' LSSL '''
|
LCS(L)(3)-1급R | ||
''' LCI '''
|
LCI-351급R | ||
''' 지원함 '''
|
''' 수송함 (AP) '''
|
끌렛까에오급R | 출라급R(초대/1941) | 시창급R(초대/1938) | 앙통급R(초대/1918) | 창급R(초대/1902) | |
''' 급유함 (AOR) '''
|
시밀란급 | ||
''' 해저 조사선 (AGOR) '''
|
파루하사보디급 | 짠급 | 쏙급 | ||
지원정 |
YO (급유 바지) 마뜨라급 | 쁘릇급 | 출라급(2대/1980) | YOG-5급 | 쁘롱급 |YTM/YTL (예인정) 빤이급 | 린급 | 사메산급 | 끌룽 바단급
|
||
훈련함 | 마꿋 라차쿠만 | 삔 끌라오급 | ||
※ 윗첨자R: 퇴역 함정 ※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정 |
|||
}}}}}}}}} |
⚓️ 해상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제1차 세계대전 |
미국 |
독일 제국 |
영국 |
||||||
일본 제국 |
이탈리아 왕국 |
프랑스 |
||||||||
제2차 세계대전 |
미국 |
일본 제국 |
영국 |
나치 독일 |
||||||
소련 |
프랑스 |
폴란드 |
||||||||
스웨덴 |
핀란드 |
중화민국 |
만주국 |
|||||||
캐나다 |
호주 |
노르웨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제1세계 | ||||||
제2세계 |
소련 |
동독 |
폴란드 |
|||||||
제3세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colbgcolor=#685050>북미 |
미국 |
캐나다 |
멕시코 |
- | ||||
''' 중미/카리브 '''
|
쿠바 |
|||||||||
남미 |
브라질 |
칠레 |
페루 |
|||||||
에콰도르 |
콜롬비아 |
|||||||||
서유럽 |
영국 |
프랑스 |
네덜란드 |
벨기에 |
||||||
중부유럽 |
독일 |
폴란드 |
||||||||
남유럽 |
이탈리아 |
스페인 |
포르투갈 |
그리스 |
||||||
루마니아 |
불가리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함선|
크로아티아 ]]
|
튀르키예 |
|||||||
북유럽 |
스웨덴 |
노르웨이 |
덴마크 |
핀란드 |
||||||
라트비아 |
||||||||||
동유럽 |
러시아 |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함선|
우크라이나 ]]
|
||||||||
동아시아 |
대한민국 |
일본 |
중국 |
대만 |
||||||
북한 |
||||||||||
''' 동남아시아 '''
|
베트남 |
태국 |
||||||||
필리핀 |
싱가포르 |
브루나이 |
미얀마 |
|||||||
남아시아 |
인도 |
파키스탄 |
스리랑카 |
|||||||
서아시아 |
이스라엘 |
이란 |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함선|
사우디아라비아 ]]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함선|
{{{#!wiki style="margin: -0px -9px"]] |
||||||
바레인 |
카타르 |
|||||||||
''' 오세아니아 '''
|
호주 |
|||||||||
아프리카 |
이집트 |
알제리 |
모로코 |
|||||||
남아공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해상병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미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
러시아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
영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
프랑스 전함 | 항공모함 |
독일 전함 | 잠수함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