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의 영국 왕립해군 군함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잠수함 | 재래식 | <colbgcolor=#fefefe,#191919> 암피온급R, 익스플로러급R, 포어포이즈급R, 오베론급R, 업홀더급R | ||
SSN | 드레드노트초대R, 밸리언트급R, 처칠급R, 스위프트셔급R, 트라팔가급, 아스튜트급, { SSN-AUKUS} | ||||
SSBN | 레졸루션급R, 뱅가드급, { 드레드노트급} | ||||
고속정 | 게이급R, 다크급R, 브레이브급R, 아일랜드급R, 시미터급R, 아처급 | ||||
원양초계함 | 캐슬급R, 캐슬급(원양초계함)R, 리버급 | ||||
호위함 | 대잠 호위함 |
12형 휘트비급R,
14형 블랙우드급R,
15형M/R, 16형M/R, 21형 아마존급R |
|||
방공 호위함 | 41형 레오파드급R, 61형 솔즈베리급R | ||||
다목적 호위함 |
12M형 로스시급R,
12I형 리앤더급R,
81형 트라이벌급R, 22형 브로드소드급R, 23형 듀크급, { 26형 시티급}, { 31형 인스퍼레이션급}, { 32형 호위함} |
||||
구축함 |
배틀급R,
데어링급R,
|
||||
순양함 |
밸파스트, 셰필드R,
|
||||
전함 | 뱅가드R | ||||
상륙함 | LPH | 오션급R | |||
LPD | 피어리스급R, 베이급RFA, 알비온급 | ||||
LSL | 라운드 테이블급RFA | ||||
경항공모함 | 센토어급R, 인빈시블급R | ||||
항공모함 |
빅토리어스M/R,
오데이셔스급M/R,
|
||||
소해함 | 벤처러급R, 윌튼급R, 리버급R, 헌트급, 샌다운급 | ||||
무인함 | UUV | 시캣, { 세투스 XLUUV} | |||
군수지원함RFA |
리프급초대~4대RFA/R, 타이드급초대RFA/R,
로버급초대RFA/R, 포트 로자리급RFA, 포트 빅토리아급RFA, 웨이브급RFA, 타이드급2대RFA, {FSS}RFA |
||||
항공훈련함/병원선RFA | 아거스RFA | ||||
※ 윗첨자R: 퇴역 함선 ※ 윗첨자M: 개조/개장 함선 ※ 윗첨자T: 기존 함을 연습함으로 전용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 윗첨자RFA: 왕립 보조전대(Royal Fleet Auxiliary) 소속 함선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영국군의 운용장비 | 해상병기 |
}}} }}}}}} |
1. 개요
리버급은 영국 해군의 연안 경비함[1]으로, Batch I과 Batch II로 나뉜다.2. 제원
리버급 원양초계함 River-class Offshore Patrol Vessel |
|||
구분분 | Batch I | Batch II | |
표준배수량 | 1,700톤 | 2,000톤 | |
전장 | 79.5m | 90.5m | |
전폭 | 13.5m | 13.5m | |
흘수선 | 3.8m | ||
동력 | 기관 | Ruston 12R270 디젤엔진 × 2 | MAN 16V28/33D 디젤엔진 × 2 |
추진 | 프로펠러 2축 | ||
최대속력 | 20노트 | 25노트 | |
무장 | 오리콘 20mm 기관포 1문 |
부시마스터 30mm 기관포 1문 M134 미니건 1문 |
|
범용 기관총 2문 |
2.1. 상세
영국 해군은 Batch I 4척을 아일랜드급 7척과 캐슬급 2척을 대체하기 위해 건조되었다. 주요 담당 임무는 어선 보호 및 국경 근처 해안 순찰이다.수량은 크게 줄었으나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연료, 인력을 비롯한 많은 자원 절감에 성공했다.
Batch II 5척은 해외에 영구적으로 주둔하기 위한 함선으로, 듀크급 호위함의 일부 역할을 대체한다. 주요 담당 임무는 고난이도의 보호 및 구호 작전이다.
BAE 시스템스의 공유 인프라 운영 체제를 최초로 탑재한 영국 군함이다.[2]
3. 수출
3.1. 브라질
자세한 내용은 아마조네스급 원양초계함 문서 참고하십시오.3척의 건조를 BAE 시스템스가 맡았다. 원래 트리니다드 토바고 수출용이었으나 2010년 9월에 주문이 취소되었다. 2011년 12월, 브라질이 구매에 관심을 보였고 결국 도입하였다.
3.2. 태국
건조는 태국이 했지만 BAE 시스템스가 설계와 기술을 지원했다. 크라비급으로 명명되어 2척이 건조되었다.태국 해군의 리버급 초계함에는 RGM-84 하푼 대함 미사일이 4발 장착된다.
3.3. 바레인
Batch I 중 P257 HMS 클라이드는 퇴역 후 RBNS[3] 알 주바라[4]로 재명명돼 바레인에 보내졌다. 커진 데크 덕분에 AW101 멀린 헬기를 운용할 수 있다.4. 동형함 목록
영국 왕립해군 | ||||||||
함번 | 함명 | 진수일 | 취역일 | 퇴역일 | 상태 | |||
Batch-1 | ||||||||
P281 | HMS 타인 (Tyne) | 2002년 7월 1일 | 2003년 7월 4일 | - | 현역 | |||
P282 | HMS 세번 (Severn) | 2002년 12월 4일 | 2003년 7월 31일 | - [5] | 현역 | |||
P283 | HMS 머지 (Mersey) | 2003년 6월 14일 | 2003년 11월 28일 | - | 현역 | |||
P257 | HMS 클라이드 (Clyde) | 2006년 6월 14일 | 2007년 1월 30일 | 2019년 12월 20일 | 바레인 해군에 매각 | |||
Batch-2 | ||||||||
P222 | HMS 포스 (Forth) | 2016년 8월 20일 | 2018년 4월 13일 | - | 현역 | |||
P223 | HMS 메드웨이 (Medway) | 2017년 8월 23일 | 2019년 9월 19일 | - | 현역 | |||
P224 | HMS 트렌트 (trent) | 2018년 3월 20일 | 2020년 8월 3일 | - | 현역 | |||
P233 | HMS 타마르 (Tamar) | 2018년 10월 10일 | 2020년 12월 17일 | - | 현역 | |||
P234 | HMS 스페이 (Spey) | 2019년 6월 19일 | 2021년 6월 18일 | - | 현역 | |||
바레인 왕립해군 | ||||||||
함번 | 함명 | 진수일 | 취역일 | 퇴역일 | 상태 | |||
P257 | 알 주바라 (Al-Zubara) | - | 2020년 8월 7일 | - | 현역 | |||
태국 왕립해군 | ||||||||
함번 | 함명 | 진수일 | 취역일 | 퇴역일 | 상태 | |||
551 | 크라비 (Krabi) | 2011년 12월 3일 | 2013년 8월 26일 | - | 현역 | |||
552 | 프라추압 키리 칸 (Prachuap Khiri Khan) | 2019년 8월 2일 | 2019년 9월 27일 | - | 현역 |
5. 대중매체
모던 워쉽에서 1티어 초계함으로 등장한다.
6. 둘러보기
현대 태국 해군 함정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타이 왕립 해군 (1945~현재) กองทัพเรือ | Royal Thai Navy |
||
'''[[잠수함| 잠수함 ]]'''
|
''' SSK '''
|
{ 마차누급(2대)} | 마차누급R(초대/1937) | |
강상 경비정 (PBR) | R.51급 | R.41급 | R.31급 | R.21급 | R.3130급 | R.121급 | Mk.II급 | ||
구잠정 (PC) | PC-461급R | ||
어뢰정 (PT) | 촌보리급R | 클롱야이급R | ||
'''[[초계정| 초계정 ]]'''
|
PB | T.997급 | T.994급 | T.991급 | M58급 | M36급 | M21급 | 후아 힌급 | 촌부리급 | 사타힙급 | BMB-230급R | FPB-45급R | 사라싱급R | |
원양초계함(OPV) | 크라비급 | 파타니급 | ||
<colbgcolor=#2D2A4A> '''[[초계함| 초계함 ]]'''
|
<colbgcolor=#2D2A4A> ''' 슬루프 '''
|
메클롱급R | 차오 프라야급R(초대/1922) | |
''' PCE '''
|
캄론신급 | 따삐급 | 방빠꽁급R | ||
''' PCG '''
|
라따나꼬신급(2대/1986) | ||
해방함 | 톤부리급R | 라따나꼬신급R(초대/1929) | ||
'''[[호위함| 호위함 ]]'''
|
PF | 타친급R(2대/1951) | |
FF | 차오 프라야급(2대/1995) | 풋타엿파쭐라록급R | ||
''' FFG '''
|
푸미폰 아둔야뎃급 | 나레수안급 | ||
'''[[구축함| 구축함 ]]'''
|
DD | 프라 루앙급R | |
경항공모함 | 차크리 나루에벳 | ||
'''[[소해함| 소해함 ]]'''
|
''' MCS '''
|
탈랑급 | |
''' MSC '''
|
MSC-294급R | YMS-1급R | ||
''' MHC '''
|
랏 야급 | 방 라짠급(2대/1987) | 포쌈톤급R | 방 라짠급R(초대/19938) | ||
'''[[상륙함| 상륙함 ]]'''
|
'''[[상륙수송선거함| LPD ]]'''
|
창급(2대/2023) | 앙통급(3대/2012) | |
'''[[전차상륙함| LST ]]'''
|
시창급(2대/1987) | 앙통급R(2대/1947) | ||
'''[[중형상륙함| LSM ]]'''
|
LSM-1급R | ||
'''[[상륙정| 상륙정 ]]'''
|
''' LCU '''
|
마녹급 | 통까에오급 | |
''' LCT '''
|
LCT Mk.6R | ||
''' LSSL '''
|
LCS(L)(3)-1급R | ||
''' LCI '''
|
LCI-351급R | ||
''' 지원함 '''
|
''' 수송함 (AP) '''
|
끌렛까에오급R | 출라급R(초대/1941) | 시창급R(초대/1938) | 앙통급R(초대/1918) | 창급R(초대/1902) | |
''' 급유함 (AOR) '''
|
시밀란급 | ||
''' 해저 조사선 (AGOR) '''
|
파루하사보디급 | 짠급 | 쏙급 | ||
지원정 |
YO (급유 바지) 마뜨라급 | 쁘릇급 | 출라급(2대/1980) | YOG-5급 | 쁘롱급 |YTM/YTL (예인정) 빤이급 | 린급 | 사메산급 | 끌룽 바단급
|
||
훈련함 | 마꿋 라차쿠만 | 삔 끌라오급 | ||
※ 윗첨자R: 퇴역 함정 ※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정 |
|||
}}}}}}}}} |
현대의 바레인 왕립해군 군함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colbgcolor=#c81025> 고속정 | 알 파테흐급, 알 리파급, 알 자림급, 마크 V, 와스프-11/20/30, 알 구라이리야급 | |||
초계함 | 알 마나마급, 알 주바라 | ||||
호위함 | 사바급 | ||||
※ 윗첨자R : 퇴역 함선 ※ {중괄호} : 도입 예정 함선 ※ *: 테스트용으로만 사용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바레인군의 운용장비 | 해상병기 | }}}}}}}}} |
⚓️ 해상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제1차 세계대전 |
미국 |
독일 제국 |
영국 |
||||||
일본 제국 |
이탈리아 왕국 |
프랑스 |
||||||||
제2차 세계대전 |
미국 |
일본 제국 |
영국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0px-War_Ensign_of_Germany_1938-1945.svg.png
나치 독일 |
||||||
소련 |
프랑스 |
폴란드 |
||||||||
스웨덴 |
핀란드 |
중화민국 |
만주국 |
|||||||
캐나다 |
호주 |
노르웨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제1세계 | ||||||
제2세계 |
소련 |
동독 |
폴란드 |
|||||||
제3세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colbgcolor=#685050>북미 |
미국 |
캐나다 |
멕시코 |
- | ||||
''' 중미/카리브 '''
|
쿠바 |
|||||||||
남미 |
브라질 |
칠레 |
페루 |
|||||||
에콰도르 |
콜롬비아 |
|||||||||
서유럽 |
영국 |
프랑스 |
네덜란드 |
벨기에 |
||||||
중부유럽 |
독일 |
폴란드 |
||||||||
남유럽 |
이탈리아 |
스페인 |
포르투갈 |
그리스 |
||||||
루마니아 |
불가리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함선|
크로아티아 ]]
|
튀르키예 |
|||||||
북유럽 |
스웨덴 |
노르웨이 |
덴마크 |
핀란드 |
||||||
라트비아 |
||||||||||
동유럽 |
러시아 |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함선|
우크라이나 ]]
|
||||||||
동아시아 |
대한민국 |
일본 |
중국 |
대만 |
||||||
북한 |
||||||||||
''' 동남아시아 '''
|
베트남 |
태국 |
||||||||
필리핀 |
싱가포르 |
브루나이 |
미얀마 |
|||||||
남아시아 |
인도 |
파키스탄 |
스리랑카 |
|||||||
서아시아 |
이스라엘 |
이란 |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함선|
사우디아라비아 ]]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함선|
{{{#!wiki style="margin: -0px -9px"]] |
||||||
바레인 |
카타르 |
|||||||||
''' 오세아니아 '''
|
호주 |
|||||||||
아프리카 |
이집트 |
알제리 |
모로코 |
|||||||
남아공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해상병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미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
러시아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
영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
프랑스 전함 | 항공모함 |
독일 전함 | 잠수함 |
}}}}}}}}}}}} |
[1]
한국어로는 같은 초계함이지만 도입 국가별로 영문 표기가 다르다.
[2]
이 고성능의 운영 체제는 복잡한 군함의 레이더, 센서, 사격 통제 시스템을 원활하게 관리해 예비 부품 수량과 유지비를 줄일 수 있다.
[3]
Royal Bahrain Naval Ship
[4]
Al-Zubara,
동명의 방공 초계함이
카타르 해군에서 운용 중이다.
[5]
2017년 10월 27일 퇴역후 2021년 8월 28일 재취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