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2024년 11월 17일을 전후로 모라토리엄(채무 불이행)에 대한 루머가 인터넷에 퍼져 롯데케미칼을 비롯한 롯데그룹 전반에 걸친 유동성 위기설.2. 원문
제목 : 받/롯데 제2의 대우그룹으로 공중분해 위기
12월초 모라토리움 선언?
차입금 39조원 (재계 4위). 그룹 전체 24년 예상 당기순이익 1조 (재계 17위)
롯데쇼핑 차입금 제외한 롯데홀딩스,지주 및 롯데케미컬, 호텔롯데 29조 9천억으로 그룹 전체 유동성위기 촉발. 한샘,일진머티리얼즈,미니스톱,중고나라 인수 실패 및 실적 추락, 백화점 오프라인 특유의 롯데의 한계성 극복 실패 (이커미스 롯데온 수조원대 적자), 롯데건설 미분양으로 계열사간 은행권 연대보증이 치명타. 그룹 소유 부동산 매각해도 빚 정리 쉽지 않을듯, 유통계열사 중심으로 전체 직원 50%이상 감원 예상함.
금융당국은 작년부터 롯데로 인한 금융시장의 파장을 예의주시하고 있음
12월초 모라토리움 선언?
차입금 39조원 (재계 4위). 그룹 전체 24년 예상 당기순이익 1조 (재계 17위)
롯데쇼핑 차입금 제외한 롯데홀딩스,지주 및 롯데케미컬, 호텔롯데 29조 9천억으로 그룹 전체 유동성위기 촉발. 한샘,일진머티리얼즈,미니스톱,중고나라 인수 실패 및 실적 추락, 백화점 오프라인 특유의 롯데의 한계성 극복 실패 (이커미스 롯데온 수조원대 적자), 롯데건설 미분양으로 계열사간 은행권 연대보증이 치명타. 그룹 소유 부동산 매각해도 빚 정리 쉽지 않을듯, 유통계열사 중심으로 전체 직원 50%이상 감원 예상함.
금융당국은 작년부터 롯데로 인한 금융시장의 파장을 예의주시하고 있음
3. 상세
|
4. 원인
- 롯데의 무리한 인수합병으로 인한 차입금을 가장 유력한 이유 중 하나로 들 수 있다.
- 재무 상태가 불건전한 계열사가 여럿 있다. 특히 국내 화학 산업이 부진해짐에 따라 롯데케미칼은 2022년, 2023년에 합산 1조 원이 넘는 영업 손실을 냈으며 롯데하이마트, 롯데쇼핑 등은 온라인 이커머스 시장이 크게 활성화됨에 따라 매출이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다.
- 과거 롯데케미칼은 연간 영업이익이 무려 1조원에 달할 정도로 롯데그룹 내에서 최고 알짜 회사였다. 그러나 중국과 중동에서 석유화학공장을 엄청나게 지어대고 원가를 대폭 낮출 수 있는 COTC공법을 활용하게 되면서, 에틸렌 생산 손익분기점 기준 한국보다 무려 3분의 1 수준으로 낮출 수 있게 되었다. # 거기에 석유제품의 최고 수요처였던 중국의 경기침체로 인해 더 이상 매출을 기대하기 어려워지면서, 롯데케미칼 뿐만 아니라 한국의 석유화학 전반에 큰 위기감이 조성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중에서 롯데케미칼이 주요 캐시카우였던 롯데그룹 입장에서는 말 그대로 치명타가 되었다.
- 롯데쇼핑의 경우 오프라인에서는 신세계와 현대백화점에 밀리는 상황이고 온라인에서는 쿠팡에게 치이고 있으며, 그나마 해외 고객인 중국인들도 사드사태를 겪으면서 비중이 크게 축소되었다. #
- 이로 인해 대부분의 계열사의 부채가 매년 증가하고 있는데, 2019년과 2023년의 부채를 비교해보면 롯데지주는 7조 원 대였던 부채가 13조 원 까지 늘어났고 롯데케미칼은 5조 원 대에서 13조 원 대까지 크게 증가했다.
- 대부분의 사업들이 전형적인 내수기반의 사업들이며, 새롭게 현금을 창출해줄 신사업이 없다. 대표적인 것이 e커머스인데, 롯데그룹의 e커머스 사업인 롯데ON은 업계에서 존재감이 없고 적자이다.
5. 경과
- 11월 21일, 롯데케미칼은 2조 450억원 규모의 무보증 회사채에 대해 사채관리계약 조항 내 재무 특약을 미준수[2]해 기한이익상실(EOD)원인 사유가 발생했고, 사채권자들과 협의하여 특약 사항을 조정할 예정이라고 발표하였다. #
- 11월 22일, 롯데렌탈과 롯데캐피탈의 매각 가능성이 높으며, 롯데칠성음료와 롯데웰푸드 또한 매각 할 만한 매물이 될 것으로 알려졌다. # 또한 롯데쇼핑은 롯데백화점 부산 센텀시티점의 매각 자문사를 선정하였다고 밝혔다. #
- 11월 26일, 롯데케미칼은 이번 주 중으로 사채권자 집회 소집을 알릴 예정이다. #
5.1. 관련사 주가
- 위기설 전부터 롯데 계열사들의 주가 상태는 매우 심각한 상태에 속했는데, 롯데의 상장사 중 2020년대 들어 그 어떤 주식도 2010년대 또는 상장 초기의 신고가를 다시 갱신한 것이 없다.
- 시장에선 지난 2024년 11월 18일을 전후해 롯데케미칼의 모라토리엄(채무 불이행) 루머가 인터넷 등에서 찌라시 형태로 돌면서 한때 주가가 하락하는 등 약 일주일 새 두자릿수 대까지 빠지기도 했다. 롯데케미칼은 2024년 11월 21일 일부 공모 회사채 사채관리계약 조항 내 재무 특약을 미준수해 기한이익상실(EOD) 원인 사유가 발생했고, 사채권자들과 협의를 통해 해당 특약 사항을 조정할 예정이라고 발표한 바 있다. 하지만 금융당국 조사결과 심각한 수준은 아니라며 롯데측에서는 충분히 롯데케미칼 유동성에 문제가 없다는 메시지임을 밝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