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2-06-10 06:27:20

더미:adjhbfvaldsjnkasdn;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상병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코끼리를 다루는 병과에 대한 내용은 전투 코끼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대한민국 국방부 심벌.svg
대한민국 국군 군사 계급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1.75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43573e,#161D15> 장교 장성급 장교
{{{#!folding [ 원수 ]
{{{#!wiki style="margin: -16px -10px" 파일:준장 계급장.svg
준장
파일:소장 계급장.svg
소장
파일:중장 계급장.svg
중장
파일:대장 계급장.svg
대장
}}}
영관급 장교
{{{#!wiki style="margin: -16px -10px"\ 파일:소령 계급장.svg
소령
파일:중령 계급장.svg
중령
파일:대령 계급장.svg
대령
}}}
위관급 장교
{{{#!wiki style="margin: -16px -10px"\ 파일:소위 계급장.svg
소위
파일:중위 계급장.svg
중위
파일:대위 계급장.svg
대위
}}}
준사관 파일:준위 계급장.svg
준위
부사관 파일:하사 계급장.svg
하사
파일:중사 계급장.svg
중사
파일:상사 계급장.svg
상사
파일:원사 계급장.svg
원사
파일:국군 이병 계급장.svg
이등병
파일:국군 일병 계급장.svg
일등병
파일:국군 상병 계급장.svg
상등병
파일:국군 병장 계급장.svg
병장
양성 | 훈련병 · 부사관후보생 · 준사관후보생 · 사관후보생 · 사관생도
진급 | 진급예정 · 임기제 진급 · 진급 상한선 · 보직해임
서열 | 국군 의전서열
기타 | 용사 · 수병 · 해병
※ 둘러보기: 군사계급 · 경찰계급 · 소방계급 · 교정계급 · 철도경찰계급 · 출입국관리계급
}}}}}}}}} ||
대한민국 국군 상등병 계급장
<colbgcolor=#ffffff,#191919> 파일:국군 상병 계급장.svg
모장, 정장 및 약장


[clearfix]

1. 개요



군대 계급의 세 번째 단계로, 흔히 줄여서 '상병'이라고 한다. 한국군 미군에서 가장 숫자가 많은 계급이다.

2. 대한민국 국군

1948년 건군 이후 1957년까지 하사로 통칭되던 병 최고 계급이 정규군인신분령 및 병진급령 개정에 따라 병장 및 상등병으로 변경되었다.

통칭은 상병. 이병, 일병의 정식 명칭인 이등병, 일등병과는 달리, 정식 명칭인 '상등병'은 일반적으로 잘 쓰이지 않는다. 실제로 상병의 정식 명칭이 상등병인지 모르는 사람들(현역병들 포함)도 꽤 있다.[1]

농담으로 '상신' 혹은 '상병신', '( 집에 갈) 상만 하는 신'이라고도 한다. 드물게는 상디다스라고 부르는 부대도 있다.

2013년부터 상병 건강검진 제도를 실시하고 있다.[2] 검사날과 훈련날이 겹치면 얄짤없이 훈련으로 가야 하겠지만 상식적으로 생각이 있는 부대라면 훈련 기간에 상검을 잡을 리가 있나... 휴가는 알아서 조정하자. 물론 빼먹어도 다음달에 받으면 그만이다. 어차피 파견 등의 이유로 밀리는 일도 허다해서, 이름은 상검인데 병장 때 받으러 가는 상황도 종종 발생한다(...). 추가로 부대별로 휴대폰 불출 정도가 다르기에 혹여 휴대폰을 못받고 왔다면 상대적 박탈감을 느낄수도 있다.

2.1. 진급

군 입대 후 별다른 문제( 진급누락이나 영창 등) 없이 8~9개월 지나면 진급한다. 대한민국 해군 공군[3]은 전원 자동, 대한민국 육군대개 형식적인 진급 시험을 치르고 합격한 자에 한해 진급한다. 공군 비행단의 경우 상병캠프를 운영하는 곳들이 있어, 이 캠프 마지막 날 진급시험을 치르기도 한다. 몇몇 부대에서는 특급전사를 달성하는 경우 조기진급을 시행하며 일병 4개월차까지 특급 전사를 달성할 경우 상병은 2개월, 병장은 1개월 조기 진급하여 최대 3개월 정도 병장을 일찍 진급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있다.

단, 카투사의 경우 미군에서 실시하는 체력 시험[4] 혹은 일정 점수 이상의 사격 기록을 가지고 있지 않으면 상병으로의 진급이 누락된다.[5]

2021년 기준 대한민국 국군 계급별 복무 기간은 이병(2~3개월)- 일병(6개월)- 상병(6개월)- 병장(나머지[6])이다.

과거에는 계급별로 정원이 존재했기에, 병장 티오가 없으면 진급하지 못하고 군 생활을 36개월 만기를 채워도 상병으로 전역 하는 경우도 있었다.[7] 최근 국방부는 이렇게 30개월 이상 복무한 상병 전역자를 대상으로 1계급 진급을 실시하였다.

2.2. 계급장

가로 작대기 3개. 일반적으로 줄무늬의 경우 3선이 가장 선호된다는 걸 감안[8], 옛날에는 국군 군악대 의장대의 경우 행사복에 군악병 및 의장병 최선임자만 병장 계급장을 달고 나머지는 계급 관계없이 상병 계급장만 달아 통일시켜 보기 좋게 만들기도 했다. 요즘은 행사복에도 자기 계급을 그대로 달게 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비슷한 이유로, 군사경찰 병들이 타 병들에게 무시당하지 말라고 실 계급 관계없이 병장 계급장을 달고 다니게 한 경우도 있었는데, 지금은 이들도 대부분 자기 계급장을 그대로 단다.

2.3. 월급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병(군인) 문서
2.1.5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4. 자대에서의 영향력

병장과 함께 병들의 권력층을 구성하는 계급으로, 일병 때와 달리 다는 순간 작대기 하나 더 생겼을 뿐인데 급격한 권력과 대우의 상승이 이루어지므로 훈련병~일병들이 하루빨리 달기를 학수고대하는 계급이다.[9] 상병이 되는 순간, 지금까지 복무한 시간보다 전역일이 더 가깝게 느껴지고, 부대 내 실세가 될 수 있다는 느낌도 있어서 일병 진급과는 비교도 안되는 좋은 기분을 얻을 수 있다. 하지만 현실은 군생활 절반도 안한 짬찌[10]

진급 1개월째는 물계급이라고 해서 물일병, 물상병, 물병장 등으로 부르며 이전의 계급과 대우가 크게 다르지 않지만 상병 2개월째부터는 일병 때와 확실히 대우가 달라진 것이 느껴진다.

일병은 사실 1개월이나 2개월이나 시간이 가도 변하는 느낌이 없지만[11] 상병은 1개월, 2개월, 3개월 지나갈수록 대우와 느낌이 확연히 달라진다. 분대장 또한 상병 때부터 달기 시작하는 경우가 많으며 무엇보다 시간이 빨리 간다!

진급 4개월째부터는 일명 꺾인 상병(상꺽)이라 불리우며 실질적인 최고 권력자의 자리에 오르게 된다. 군 복무 기간이 단축되기 이전 상병이 8개월이던 시절에는 진급 5개월째부터 꺾인 상병으로 취급했다. 일부 부대에서는 상병 5P라고도 부른다. 지금은 복무 기간이 줄어서 4개월부터가 일반적으로 꺾인 상병. 계급 병장보다 아래지만 경칭만 붙일 뿐이지[12] 거의 병장과 맞먹고 노는 중대 내의 실세 수준까지 도달한다[13] 다만 지나치게 나대다가는 잠들어 있는 병장의 야성을 깨울 수 있으니 주의. 그러나 짬이 꼬였다면 꺾인 상병이고 뭐고 아무것도 없다. 군번 한 번 제대로 꼬이면 물병장을 떼도 막내 취급 받곤 한다.[14]

오늘날과 과거 군대에서의 위치와 대우가 크게 차이 나는 계급이기도 하다. 상병만 달면 어느 정도 갈굼에서 해방되는 오늘날의 군대와 달리 가혹 행위가 판을 치던 과거 군대에서는 권력만큼이나 책임도 무거웠던 계급이었다. 특히 영내 구타 및 가혹 행위에 있어서 상병 왕고 군번이 당하는 구타 가혹 행위가 가장 극심했다. 당시에는 복무 기간이 2년 이상으로 복무 기간이 1년 6개월~9개월 정도인 지금에 비하면 훨씬 길었고 상병과 병장 간에도 짬 차이가 많이 났기 때문으로, 병장조차 꺾인 병장이 있던 시절이라 상병들의 권력이 상대적으로 약할 수밖에 없었다. 때문에 매일 밤 점호 끝나고가 두렵던 계급이었다.[15] 일이병들이 당하는 갈굼과 비교해도 상병이 받는 갈굼의 강도가 더욱 셌다. 일이병은 아직 주특기에 미숙하다는 핑계도 있지, 상병 이상은 그런 거 없다. 이른바 군 생활의 하이라이트.

상병 마지막 호봉[16]은 보통 상병왕고(상말)로 불리며, 해당 부대 병들 간의 실권을 장악한다. 특히 분대장인 경우 더 엄격해지는 경우가 많다. 때문에 이때 들어오는 신병들은 이들이 전역할 날만 기다리는 경우도 있다. 물론 개인 차이는 있어서 널널한 사람은 상말이 되어도 후임들한테 히스테리 안 부리고 자유롭게 내버려둔다.

일병 때보다 잡일을 하는 것은 확연히 줄어들며, 일의 전체적인 관리 감독이나 지시를 내리는 경우가 더 많다. 단, 운전병 같이 미숙련자들로 인한 사고 위험성 때문에 낮은 계급에게 주요 업무를 맡기는 것이 기피되는 병과의 경우, 잡일은 줄어드나 오히려 주요 업무가 늘어나 사실상 일을 가장 많이 하게 되는 시기이다.

행보관이 일등병들을 좋아한다고 하면 중대장이나 소대장은 상등병들과 친하게 지내는 경우가 많다. 이뻐하는 것이 아니라 친하게 지낸다.

아무리 하는 일이 줄었다고 해도 몸에 일병 때의 경험과 노하우가 축적되어 있기 때문에 일등병 둘이 덤벼서 낑낑대는 일을 혼자서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보통은 귀찮아서 뒤에서 관망하는 경우가 많다. 물론 급하게 처리해야 할 때엔 손수 나서서 후닥 끝내 버리기도 한다. '이등병은 적 1명을 상대할 수 있고, 일등병은 적 2명을 상대할 수 있고, 상등병은 적 3명을 상대할 수 있고, 병장은 4명이 모여야 적 1명을 상대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라는 말은 괜히 나온 것이 아니다. 다만 이것도 역시 개인 차이. 아무리 상등병까지 되어도 한 번 어벙한 사람은 상말이 되어도 어벙하고 병장이 되어도 어벙하다. 이럴 경우에는 밑의 상병 호봉 후임자가 알아서 일을 주도해야 한다.

허나 상등병과 병장은 엄연한 차이가 있다. 상등병 시기에는 이등병과 일등병 시기에 체득한 경험을 통해 군 생활( 전투, 작업, 내무생활)이 숙련단계에 이르고, 병장의 포지션인 관리 및 책임을 맡을 단계이다. 그 관리 및 책임의 무거움에 대해 가르쳐 줄 사람은 상등병의 선임인 병장밖에 없다. 따라서 병장은 상병이 제대로 자신의 지시사항을 이행하고 부대원들을 잘 관리하는지 감시하는 역할을 하며, 그걸 제대로 못할 시에는 그 상병은 병장으로부터 갈굼을 받을 수 있는지라 군생활에 대한 스트레스가 오히려 쌓이기도 하는 계급이기도 하다.

분대장인 경우 초병보다는 100배 나은 당직부사관을 맡는다. 규정상 야간 근무를 선 병사에게는 그에 상응하는 취침 시간을 주므로 사실상 그 다음 날 모든 일과를 빠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하루빨리 당직병으로 빠지기 위해 중대행정병에게 먹을 것을 주는 상등병도 있다. 단 육군훈련소 기준 조교와 당직부사관은 병장이 되어야 맡는다. 자대 내에 인원에 따라 다르지만 병장이 3명 정도 되는 경우에는 상등병이 되어도 당직부사관을 맡지 못한다고.

동기들끼리는 서로 터치하지 않기 때문에 동기들 간의 사이가 다소 소원해질 수도 있는 시기. 다만 군대에선 뭘 해도 졸린다. 공부를 해도 졸리고 텔레비전을 봐도 졸리고 나가서 족구를 해도 졸린다. 이것을 이겨내면 괴수 취급 받을 수 있다. 물론 좋은 (그리고 무서운) 의미로...

진급 시험을 FM으로 보게 하는 부대에서 시험을 통과 안 해서 전역 전날 병장을 다는 말년 상병도 있다. 자동 진급인 해공군에서는 일어날 수 없는 일.

군 생활의 워프요, 모든 예비역이나 전역자들에게 물어보면 일이병 생활보다 상병 시절이 가장 빨리 갔다고 얘기한다. 특히 내무 부조리가 있던 시절엔 호봉이 쌓일 때마다 하나씩 제한되는 것들이 풀리는 낙으로 살았다고 한다.[17] 이른바 짬 먹는 재미. 일이병의 미숙한 생활을 지나 상병 중간쯤에 작업을 나가게 되면 보통 짱박혀 있는 병장을 뒤로 하고 모두 작업 지시를 총괄하기도 한다.

상병 중간부터 병장 초반까지 작업을 잘하고 효율적으로 후임들을 배치하고 노하우를 전수해 주고 또한 결과가 좋다면 간부에게 인정받아 마음씨 좋은 간부에게 포상휴가 추천이나 직접 받을 수 있는 기회가 있다. 부대마다 다르지만 중대장이나 행보관에게 신임을 얻고 따로 불러서 휴가증을 받을 수 있다.

현역병 중 육군3사관학교에 지원하여 장교가 되려는 경우 대개 상병 즈음에 지원하도록 조치하는 게 불문율이다.[18] 상담을 하려고 할 때 3사 출신 장교를 만나면 그렇게 될 가능성이 매우 크며, 대개 상병 달 때 추천서가 나오도록 조치되는 편이다. 동기들보다 1호봉을 더 받아서 자대에서 끗발을 세울 수 있기 때문이다.

대한민국 해군에서 상병은 함정 근무자와 육상 근무자에 따라 그 위치와 위신이 달라진다. 함정 근무자일 경우, 앵카자는 조타 같이 특별한 직별이거나 진짜 배가 좋아서 남아 있는 소수이므로 대부분 일병 6호봉만 되도 실세가 될 수 있다.[19] 상병 1호봉이면 육상근무자로 2차 발령이 나거나 앵카를 박거나 둘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데 앵카를 박을 경우 그 배의 왕고 투고 라인을 형성하게 된다. 때문에 함정에서 상병을 달면 군생활 반도 안 했는데도 생활하기가 꽤 편해진다.[20] 육상근무자일 경우 상병 1호봉이면 최고 막내다. 알다시피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면 배 생활 6개월 이후면 2차 발령이 나게 되는데 이때가 일병 6호봉~상병 1호봉이다. 육상은 전역 대기자들이 많아서 편하다는 말도 있지만 그것도 역시 케바케.[21] 결국 막내라는 건 변함 없기 때문에 다시 일병 때처럼 온갖 귀찮은 잡일을 도맡아 하게 된다. 육군에서 상병 4호봉이면 높은 계급이지만 해군 육상에서 상병 4호봉이면 여전히 막내라인 혹은 막내는 탈출했을 시기.

2.5. 오해

은근히 삼(3)등병으로 알고 있는 경우가 적지 않다. 퀴즈 프로그램 1 대 100에서 1라운드 문제로 일등병, 이등병, 상등병 중 가장 낮은 계급을 묻는 문제가 나왔는데, 10명을 넘는 탈락자가 나왔고, 대부분이 1등-2등-3등으로 생각하여 상등병을 골라서 탈락했다고 밝혔다. 중년 남성도 한 명 있었는데 그분은 군 면제를 받아서 잘 모른다고 해명했다.[22] 이런 사람들은 이(2)등병이 일(1)등병보다 더 높은 계급인 것으로 잘못 알고 있는 경우도 많다. 축약어인 이병(이등병), 일병(일등병)을 많이 써서 그런 편.

3. 타국의 상등병

3.1. 미군

미군 상등병 계급장
육군 해군
Specialist Corporal Petty Officer Third Class[23]
계급장 철장
파일:external/f2771158cdfd88cd00fa8c1a651cc578cb6944ab1e934ab41b5438ca1629afd0.png 파일:external/908ff717270b6585d984ded2b7a60c42a74e19c414eb8f2a2da877ba93b97f1c.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PO3_NOGC.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PO3_collar.png
해병대 공군 우주군 해안경비대
Corporal Senior Airman Specialist 4 Petty Officer Third Class[24]
계급장 철장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MC-E4.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E4_USAF_SAM.svg.png 파일:미 우주군 상급상병.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CG_PO3.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CG-PO3.png

NATO 코드로는 OR-4. 미군 페이그레이드로는 E-4에 해당한다. 무등병 계급이 존재하므로 상병은 아래로부터 4번째 계급이다. 일반적인 경우 막 상병으로 진급한 군인의 최소 복무 기간은 육/해군 2년, 공군 3년, 해병 1년 10개월. 미국 육군은 같은 등급의 계급이 스페셜리스트(Specialist)와 코포럴(Corporal)로 나뉜다. 일반적으로는 거의 다 코포럴(Corporal) 및 시니어 에어맨(Senior Airman)이 된다. 여기까지는 자동 진급. 다음 계급인 E-5 즉, 서전트(Sergeant)로 진급하기 위해서는 자기 능력을 입증해야만 한다.

한국군 병장은 공식적으론 미군의 E-5에 해당된다.

코포럴은 ' 부사관(NCO)'이다. 하지만 호봉도 스페셜리스트와 별 차이가 없고, 혜택은 그저 살짝 나은 수준인데 권한은 한정적인 그저 준부사관 신분이니 대부분 떠맡기를 기피하는 계급이다. 그냥 스페셜리스트에서 병장(Sergent)으로 진급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하지만 지휘 경험을 쌓아 빠른 진급/ 원사를 달겠다는 꿈이 있는 병사들은 자청해서 하는 경우도 있다. 코포럴은 스페셜리트 중에서 BLC 수료, PROMOTABLE STATUS를 가졌을 시 CPL로 전환시켜준다. 이 상태에서 진급 점수만 맞추면 그 다음달에 즉시 SGT로 진급시켜 준다. 카투사 상병들은 미군 계급 Corporal로 적용된다. 물론 카투사 장병으로서의 상병이 Corporal로 적용된다고 해도 실질적인 관계는 크게 없다. 미군과 국군 사병의 계급이 딱 맞아 떨어지는 것이 없어서 그런 것인데, Corporal의 직책을 굳이 국군에 가장 비슷하게 설명을 하자면 분대장 견장을 차고 있는 병장 정도로 해석될 수 있다. 똑같이 분대 지휘권을 가지고 있는 부사관급(NCO) 병이고, 복무년수와 업무도 가장 비슷한 계급 매칭이며, 실제로 다음 계급인 Sergeant의 경우 병장이라 번역하지만 실질적으로는 대응하는 계급이 없다고 보면 된다.[25]

같은 계급인 코포럴(Corporal)이 부사관인 것에 비해 스페셜리스트는 '병사'로 분류된다. 하지만 코포럴이라 해도 혜택은 별로 없으면서 부사관으로서의 책임만 늘어나므로, 딱히 지휘 경험을 쌓아 빠른 진급/ 원사를 달겠다는 꿈이 없는 대다수의 미 육군 상병들은 이 계급장을 달고 있다. 스페셜리스트 계급장은 위가 둥근 역삼각형 안에 미 육군 문양이 들어가 있는 형태이다.

Corporal과 Sergeant는 미군 분대의 아래 제대 단위인 사격조의 사격조장 직책을 맡으며, 준하사로 보는 것이 적합하다.

참고로 미 육군 장병 중 이 계급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제일 많다. 스페셜리스트까지는 근속 진급이 가능한 계급[26]이기 때문에 문맹의 진급 한계선이라고 하기도 한다[27]. 또한 단기복무(3-4년 정도)를 하고 전역하는 사람들이 대체로 달고 나오는 계급이기도 하다. 따지자면 국군의 병장과 가장 비슷한 포지션.

여담으로 미 육군의 경우 대졸자 출신 신병은 상병으로 입대한다. 이는 대졸자는 원래 장교 입대 자원으로 취급된 것에서 유래. 일종의 특혜인 셈. 미군은 양성 과정 중인 사관후보생들을 상병으로 취급한다. 대졸자는 장교로 입대하든 사병으로 입대하든 군 생활을 상병으로 시작하는 것이다. 한편 전문대 졸업자 및 4년제 대학 2년 이상 수료자(48학점 이상)는 일병으로 입대시켜 준다.

역사적으로 보면 미 육군 스페셜리스트 계급은 오히려 상병과 동급이었던 적이 있다. 2차 세계 대전 이전의 계급 체계가 그러했는데, 미국이 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뒤 육군은 의무병, 통역병 같은 스페셜(?)한 특기병들에 한해 병장~중사를 Technician 5th~3rd Grade로 매겨서 계급체계를 운용한 바 있다. 라이언 일병 구하기의 어윈 웨이드, 티모시 E. 업햄이나 밴드 오브 브라더스 유진 로, 퓨리(영화)의 보이드 스완 같은 인물들이 생뚱맞은 4급병, 5급병[28] (T/4, T/5) 같은 해괴한 계급을 달고 있는것은 그런 연유에서 비롯된다. 이 계급은 특히 육군 항공대의 규모가 커지면서 많아졌고, 육군 항공대의 미 공군으로의 독립이 완료되자 이 계급 체계도 현재의 계급 체계로 바뀌면서 폐지된다. 단, 계급체계의 재편에서 이러한 특기병 계급 체계의 흔적인 스페셜리스트가 격상되며 오늘날 상병 계급의 이원화가 이어졌다. 오늘날에는 2차대전 이후 미국 전체가 총력전으로 뛰어든 바는 없기 때문에 스페셜리스트 계급은 그대로 이원화 계급으로 남아있는데 그 과정에서 동급인 Corporal과 구분을 하기 위해 Corporal을 부사관급으로 대우하면서 스페셜리스트와 코포럴의 개별적인 특성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한편으로는 이 계급부터 특수부대를 지원할 자격이 생긴다. 민간에서 따로 특전부사관을 모집하는 국군과 달리 이쪽은 전원이 이등병부터 차례차례 올라오면서 짬밥이 웬만큼 쌓이고 근무 평점도 최고 수준인 이들만 특수부대에 지원할 자격이 있다. 민간에서 지원할 수 있는 장교의 경우도 사전에 일정한 프로그램을 이수하거나 기초군사훈련을 다른 이들보다 높은 성적으로 수료할 것을 요구한다. 다만 타군 전역자가 재입대를 원하는 경우는 군경력을 일정 부분 인정해 주는 편.

3.2. 중국 인민해방군

중국 인민해방군 상등병 계급장
육군 해군 공군 무장경찰
견장 영장 견장 영장 견장 영장 견장 영장
파일:중국육군상등병 견장.png 파일:중국육군상등병 영장.png 파일:중국해군상등병 견장.png 파일:중국해군상등병 영장.png 파일:중국공군상등병 견장.png 파일:중국공군상등병 영장.png 파일:중국무경상등병 견장.png 파일:중국무경상등병 영장.png

중국은 병 계급이 상등병과 열병의 2개 계급만 존재하며, 상등병은 상등병 ~ 병장, 열병은 이등병 ~ 일등병에 대응하는 계급으로 본다.

3.3. 영국군

영국군 상병 계급장
육군 해군 해병대 공군
Corporal Leading Rate/Leading Rating Corporal Corporal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Army_OR-4.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Royal_Navy_OR-4.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Royal_Marines_OR-4.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RAF_OR-4.svg.png

영국 육군, 해군, 공군, 해병대의 경우 부사관이다.

3.4. 호주군

호주군 상등병 계급장
육군 해군 공군
Corporal Leading Seaman Corporal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Australian_Army_OR-5.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Royal_Australian_Navy_OR-5.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Australia_RAAF_OR-5.svg.png

호주 육군, 해군, 공군, 해병대의 경우 부사관이다.

3.5. 뉴질랜드군

뉴질랜드군 상등병 계급장
육군 해군 공군
Corporal Leading Hand Corporal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NZ_Army_OR-4.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RNZN_OR-4.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RNZAF_OR-4.svg.png

뉴질랜드 육군, 해군, 공군, 해병대의 경우 부사관이다.

3.6. 캐나다군

캐나다군 상등병 계급장
언어 육군 해군 공군
영어 Corporal Leading Seaman Corporal
프랑스어 Caporal Matelot de première classe Caporal
계급장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Canadian_Army_OR-4.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Canadian_RCN_OR-4.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Canadian_RCAF_OR-4.svg.png

캐나다 육군, 해군, 공군의 경우 부사관이다.

3.7. 프랑스군

프랑스군 상등병 계급장
육군 해군 공군 헌병군
Caporal Brigadier Quartier-maître de 2ème classe Caporal Gendarme Adjoint Brigadier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Army-FRA-OR-03.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French_Navy-Rama_NG-M2.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French_Air_Force-caporal.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Gav_bri.svg.png

3.7.1. 프랑스 외인부대

5년 기본 복무 기간 동안 별다른 사고없이 묵묵히 명령에만 따르며 활약하면 일병까지 자동 진급되는 육군 외인부대에선 상병부턴 진급에 필요한 조건이 있다. 군생활을 최소 3년 이상 한 일병인 지원자에 한하여 상병 진급에 필요한 교육을 받아야 하는데, 상층부에서 문제시되면 교육 기회조차 주지 않는다. 만약 교육을 수료하지 못했다면 진급이 불가능하다.

3.8. 독일군

독일군 상병 계급장
육군 해군
병사장
Stabsgefreiter
상급병사장
Oberstabsgefreiter
수병장
Stabsgefreiter
정복 정복 동코트 동정복 하정복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HD_H_15_Stabsgefreiter_HFla_L.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HD_H_16_Oberstabsgefreiter_Fm_L.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MDS_15_Stabsgefreiter_60_L.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MDJA_15_Stabsgefreiter_20_Lo.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MDHWA_15_Stabsgefreiter_40_Lo.svg.png
전투복 전투복 전투복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041-Stabsgefreiter.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051-Oberstabsgefreiter.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MA_OG5_15_Stabsgefreiter_L.svg.png
해군 공군
상급수병장
Oberstabsgefreiter
공군병장
Stabsgefreiter
상급공군병장
Oberstabsgefreiter
동코트 동정복 하정복 정복 정복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MDS_16_Oberstabsgefreiter_70_L.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MDJA_16_Oberstabsgefreiter_10_Lo.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MDHWA_16_Oberstabsgefreiter_50_Lo.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LD_B_15_Stabsgefreiter_L.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LD_B_16_Oberstabsgefreiter_L.svg.png
전투복 전투복 전투복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MA_OG5_16_Oberstabsgefreiter_L.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LA_OS5_15_Stabsgefreiter_L.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LA_OS5_16_Oberstabsgefreiter_L.svg.png

3.9. 싱가포르군

싱가포르군 上等兵(상등병) 계급장
준하사(准下士)
Lance Corporal (LCP)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Army-SGP-OR-3.svg.png

3.10. 대만군

대만군 上等兵(상등병) 계급장
육군 해군 해군육전대 공군
상등병(上等兵)
Private Specialist (PSPC)
상등병(上等兵)
Seaman Specialist (SSPC)
상등병(上等兵)
Lance Corporal (LCpl)
상등병(上等兵)
Senior Airman (SrA)
파일:Taiwan-army-OR-3.svg.png 파일:109px-Taiwan-Navy-OR-3_svg.png 파일:Taiwan-Marine-OR-3(1).svg.png 파일:140px-Taiwan-airforce-OR-3.svg.png

대한민국 국군과 동일하게 상등병(上等兵)이라고 한다. 대만군은 병장계급이 없기 때문에 병의 최종계급이 상등병이다.

3.11. 자위대

자위대 사장(士長)(상등병) 계급장
육상자위대 해상자위대 항공자위대
육사장(陸士長)
Leading Private (LPT)
해사장(海士長)
Leading Seaman (LS)
공사장(空士長)
Airman 1st Class (A1C)
정복 근무복 동계정복 하계정복 근무복 정복 근무복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JGSDF_Leading_Private_insignia_%28a%29.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JGSDF_Leading_Private_insignia_%28b%29.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JMSDF_Leading_Seaman_insignia_%28a%29.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JMSDF_Leading_Seaman_insignia_%28c%29.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JMSDF_Leading_Seaman_insignia_%28b%29.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JASDF_Airman_1st_Class_insignia_%28a%29.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JASDF_Airman_1st_Class_insignia_%28b%29.svg.png
작업복 작업복 작업복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JGSDF_Leading_Private_insignia_%28miniature%29.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JMSDF_Leading_Seaman_insignia_%28miniature%29.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JASDF_Airman_1st_Class_insignia_%28miniature%29.svg.png

사장(士長)이라고 하는데 보통 기초군사훈련 3개월에 이병 6개월, 일병 1년을 거쳐 1년 9개월 만에 진급한다. 그 때문에 자위대는 일병과 상병의 기본급이 같다. 자위관후보생 일반조후보생의 경우가 다른데 일반조후보생은 하사로 진급을 보장받은 채로 입대하고[29] 자위관후보생은 기본적으로 2/3년[30]의 1임기로 계약한다. 그 후엔 육해공 모두 2년씩 추가로 임기 연장을 하는데 하사로 진급하면 장기복무 보장이고 진급 못 하면 상병으로 계속 파리목숨을 이어야 한다. 자위대 내에서 최대 5임기까지 본 케이스가 있다고 하니 상병으로 최대 9년을 뭉개는 사람도 있는 것이다. 자위관후보생의 경우 10% 정도가 하사로 합격한다.[31]

한국군의 병장과 달리 1년차로는 위세가 대단하진 못 하다. 하사로 진급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심한 경우 8~9년차 상병까지 있기 때문이다. 보통 3~5년차 상병의 위세가 제일 세다고 한다. 3~5년차 상병이면 대충 초임 하사랑 짬이 비슷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에는 영내반장이나 내무반장을 맡은 하사들에게 꿀리지 않는다.

3.12. 북한군

파일:조선인민군 휘장.svg
조선인민군 군사 계급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E40001,#191919> 수관 차수 | 인민군 원수 | 공화국 원수 | 대원수
군관 <colbgcolor=#ff4040,#1E271B> 장령 소장 | 중장 | 상장 | 대장
좌관 소좌 | 중좌 | 상좌 | 대좌
위관 소위 | 중위 | 상위 | 대위
사관 하사 | 중사 | 상사 | 특무상사
전사 하급병사 | 초급병사 | 중급병사 | 상급병사
둘러보기

무기체계 | 군계급 | 군단 | 사단 | 미사일 | 핵·WMD | 상위 둘러보기 틀로 이동하기
}}}}}}}}} ||
조선인민군 중급병사(상등병) 계급장
육군 해군 항공 및 반항공군 사회안전성 인민내무군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Corporal_rank_insignia_%28North_Korea%29.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Seaman_rank_insignia_%28North_Korea%29.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Senior_Aircraftman_rank_insignia_%28North_Korea%29.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Lance_Corporal_rank_insignia_%28North_Korean_police%29.png

4. 출신 인물

4.1. 실존 인물

4.2. 가상 인물

개그 캐릭터나 내무부조리의 화신으로 나오는 경우가 많은 병장과 달리 나름 권력 실세에 일도 곧잘 하는 역할로 나오는 경우가 많다.
* D.P- 구교환

[1] 상등병 만큼은 아니지만 일등병도 보통은 잘 쓰이지 않는다. 충실하게 '등'자를 붙여서 부르는건 이등병 뿐이다. [2] 이름만 있을 뿐이지 가서 제대로 검사 받는 건 딱히 없다. 대략 국민건강보험에서 시행하는 일반건강검진과 구강 검진 수준 정도 생각하면 좋을 듯. [3] 부바부지만 보통 그 전에 슬쩍 계급장을 갈아끼우고 온다. [4] Army Combat Fitness Test. 통칭 PT Test 혹은 ACFT라고 불린다. [5] 이는 병장으로 진급할 때 또한 마찬가지. [6] 육군 및 해병 4, 해군 6, 공군 7개월 [7] 노무현 전 대통령이 이런 케이스. 비단 노무현뿐만 아니라 베트남 전쟁 기간에 국내에서 복무하던 현역병 출신들은 이런 일이 비일비재했다. 전쟁으로 인해 병장 진급자 티오가 꽉 차는 바람에 노무현 전 대통령을 비롯한 이 당시 국내 복무자들은 상병만기전역이라는 특이한 이름의 경력이 생긴 것이다. [8] 해군 세일러복 칼라와 소매 장식줄도 대부분의 국가가 3선을 쓰며, 국군의 각군 사관학교 사관생도 예복의 수장도 3선이다. [9] 지금은 아니지만, 과거 이등병 시절이 6개월이던 시절에 일병 진급도 나름 기대하던 진급이긴 했다. 물론, 그저 이등병을 벗어났다! 는 느낌이긴 하지만. [10] 월초 군번의 경우, 상병 진급시 40퍼센트 후반정도이며 월말 군번은 이제 겨우 40퍼센트 중반에 접어든 시점이다. [11] 후임이 많아지긴 하므로 간접적으로는 대우가 변하는 것을 느낄 수도 있다. 다만 그에 비례해 관리해야 할 후임이 많아지고 후임의 잘못 때문에 대신 갈굼먹는 경우도 많으므로 양날의 검. [12] 심지어 병장의 허락하에 서로 말 놓고 노는 경우도 있고 본인이 병장한테 슬슬 그런 기미를 표출할 때도 있다 하지만 대부분은 전자가 더 많은 편. [13] 병장에게는 여전히 후임이지만 상꺽까지 오면 짬 대우를 해 주기 때문에 실세 못지 않은 수준까지 갈 수 있다. [14] 부대 분위기가 좋지 않거나 꼬인 군번이라면 꺾일 때까지 부조리에서 좀 자유로운 일병 취급 받기도 한다. 군복무가 육군 기준으로 2년 이내로 단축된 뒤 아직 이등병의 기간을 줄이는 조정이 이루어지기 전에는 심하게는 병장을 겨우 2개월 남짓밖에 안 다는 경우도 흔했기 때문에(1년 9개월 기준 계급당 6-6-7-3개월. 월초 입대자면 병장은 실질적으로 겨우 2개월밖에 안 했다!) 병장은 군복무에 이상하게 끝까지 집착하면서 나대는 경우가 아닌 이상 다는 순간 자타공인으로 곧 집에 갈 계급이란 느낌이라 최소 1년은 복무해 웬만한 건 아는 상병이 사실상 병사 중 최고 실무계급이었고 따라서 일반적으로는 어지간한 폐급이 아닌 이상 상병부터는 대우가 그럭저럭 달라지는 게 보통이었다. 아무리 군번이 꼬여서 상병이 되도록 분대 말단이거나 해도 2년도 안 되는 군생활 중 1년 넘게 막내생활(...)을 언제 올지도 모르는 후임을 기다리면서 하는 건 인간적으로 좀 심하다고 봐서 아예 새로운 후임이 올 때까지 분대규칙을 바꾸는 경우도 많았다. 이러던 시절에 상병 때까지 아주 말단 취급을 받았다면 정말 부대 혹은 사람을 잘못 만나서 굉장히 꼬인 케이스. [15] 영화 용서받지 못한 자에서 이 모습이 잘 드러난다. 작중 등장하는 심대석이 상병이라는 이유만으로 툭하면 유태정에게 구타와 갈굼을 당한다. [16] 공식적으론 병에게는 호봉이 없다. 여기서 말하는 호봉은 해당 계급을 단 지 몇 개월이 지났다는 것을 나타내는 관례상의 표현일 뿐이다. [17] 지금도 몇몇 부대는 호봉제가 남아있어서 이런거 풀리는 재미로 살기도 한다. [18] 간부사관은 아예 상병부터 지원할 수 있다. [19] 신병 받으려고 강제로 앵카를 푸는 경우도 있으므로 함정에선 꽤 이른 타이밍에 실세가 된다. [20] 물론 함정 자체가 일이 굉장히 빡세므로 그리 편하다고 생각하지 않을 사람이 더 많을 것이다. 그래봤자 국기수, 식사 당번, 작업원을 막내에게 맡기는 정도. 그마저도 병영 생활 개선의 영향으로, 혹은 진짜 수병이 적은 배일 경우 왕고도 나와서 식판을 닦고 있으니... [21] 군대가 편하고 안 편하고는 전부 사람 따라 다르기 때문에 순전히 운빨이다. 막말로 1년 전까진 분위기 좋던 부대가 1년 뒤에 왕고 라인이 바뀌면서 분위기가 급변하는 일이 꽤 흔하다. 물론 일의 강도는 함정보다야 훨씬 낫다. [22] 애초에 병역의 의무와는 아무 관계도 없는 여성이나 군복무 경험이 없는 군미필자, 병역면제자들은 모르는 게 당연한 거다. 그리고 사실 이 시츄에이션도 별로 이상할 게 없는 게, 저 중년 남성 또래분들이 군대 갔다왔을 즈음이면 비교적 징집 기준이 관대할 때여서 지금 같으면 얄짤없이 현역으로 끌려갔을 인력이 보충역, 제2국민역 이하(면제) 판정을 많이 받았었다. 즉 너무 현역판정률이 높아진 데다 정보를 얻기 수월해진 지금 기준으로 보다 보니 의아하게 느껴질 수 있는 것. [23] 부를 땐 그냥 Petty Officer [24] 부를 땐 그냥 Petty Officer [25] 보통 1:1 계급 매칭으로 미군 E-5가 병장으로 인식되지만 실제로는 병장과 하사 그 어딘가에 있다고 봐야 적절하다. [26] 일병 진급 후 1년 뒤에 스페셜리스트로 근속 진급. 입대 후 총 2년. [27] 문맹은 입대 시험을 통과하지 못하므로 입대가 불가하다. 베트남전 이전이라면 달랐을지 모르겠지만. 뭣보다 미군 입대를 위해선 최소한 고졸 학력이 필요하다. [28] 숫자가 낮을수록 높은 계급 [29] 사실 꼭 그렇진 않다. 실제론 30-40%가 전역을 권유받고 나간다. [30] 육자대는 1임기가 2년이고 해자대 공자대는 1임기가 3년이다. [31] 2ch의 잉여는 이를 두고 천왕과 섹스하는 정도(天王とセックスするぐらい)라고 표현하기도 했다. 오프라인에서는 덴오에 관해 말하는 게 가급적 금기시되어 있는 것과 달리 온라인에서는 자유롭게 대놓고 놀림감으로 삼는다. [32] 동기로는 유재석이 있다. [33] 의경이므로 상경이다. [34] 당시 국군 병 계급 체계는 이등병-일등병-하사였고 부사관 계급은 하사 다음인 이등중사부터였다. [35] 주로 강상병으로 불리며 관등성명으로 이를 증명, 영화 중반까지 이름으로 많이 불렸고 전역패에도 이름과 전역 당시 계급이 언급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