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6 12:42:06

타이완성

대만 성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문서는 중화민국의 타이완성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중화인민공화국에서 명목상 주장하는 타이완성에 대한 내용은 타이완성(중화인민공화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F8D800>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000;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성할시
파일:신주시 휘장.svg
신주시
파일:자이시 휘장.svg
자이시
파일:지룽시 휘장.svg
지룽시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25%> 파일:난터우현 휘장.svg
난터우현
||<width=25%> 파일:먀오리현 휘장.svg
먀오리현
||<width=25%> 파일:신주현 휘장.svg
신주현
||<width=25%> 파일:윈린현 휘장.svg
윈린현
||
파일:이란현 휘장.svg
이란현
파일:자이현 휘장.svg
자이현
파일:장화현 휘장.svg
장화현
파일:타이둥현 휘장.svg
타이둥현
파일:펑후현 휘장.svg
펑후현
파일:핑둥현 휘장.svg
핑둥현
파일:화롄현 휘장.svg
화롄현
}}}}}}}}} ||
타이완성[1]
臺灣省 | Taiwan province
파일:타이완성 정부기.svg 파일:타이완성 휘장.svg
정부기 휘장
<colcolor=#000> 구 성정부청사 소재지 <colbgcolor=#ffffff,#191919> 난터우현 난터우시 중싱신춘(중흥신촌)
면적 25,110.0037㎢
하위 행정구역 3시 11현
인구 6,954,598명[2]
인구밀도 280명/㎢
시간대 UTC+8
한국과 시차 1시간
성장 없음[폐지]
자의회 없음[폐지]
ISO 3166-2 없음
타이완 성 정부 공식 웹사이트
타이완 성 자의회(諮議會) 공식 웹사이트[5]

1. 개요2. 역사
2.1. 전근대2.2. 3당 훈정 시기2.3. 민주화2.4. 타이완성 정부 간소화2.5. 성 정부 해산
3. 인구4. 역대 주석5. 하위행정구역
5.1. 없어진 행정구역
6. 여담

[clearfi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99px-Taiwan_Province_in_Taiwan.svg.png 파일:attachment/taiwanseng.jpg
현재 명목상 타이완성 영역(빨간색) 중싱신춘(중흥신촌)에 있는 옛 타이완 성 정부 청사

1. 개요

타이완성 푸젠성과 함께 중화민국[8]의 실질 통치 지역에 있는 두 개의 성(省) 중 하나이다.

중화민국 6대 직할시[9]를 제외한 타이완섬의 대다수 지역과, 타이완 섬이 아닌 펑후 제도, 타이둥현 소속인 뤼다오향과 란위향 등을 관할한다.

본래 타이완성은 타이완 섬 전역과 인근 도서를 관할 구역으로 했다. 그러나 1967년에 실질수도 타이베이를 타이완성에서 독립시켜 직할시로 삼고 1979년에 가오슝도 직할시로 삼았다.[10] 2010년에는 행정구역을 개편하여 타이베이현을 신베이 직할시로, 구 타이난시와 구 타이난현을 타이난 직할시로, 구 타이중시와 구 타이중현을 타이중 직할시로 독립시키고 구 가오슝현을 가오슝 직할시에 편입시켰으며, 2014년에는 구 타오위안현을 타오위안 직할시로 삼아 타이완성에서 독립시켰다. 이렇게 인구 많은 주요 도시들이 타이완성에서 떨어져나가, 현재 타이완성의 인구는 중화민국 실질 영토 전체의 약 30% 수준이며, 지리적 기준으로 보는 타이완(펑후 제도 포함) 인구의 30% 미만이다.

2018년 7월 1일을 기해 타이완성 정부가 완전히 해산되어 소속된 사람은 아무도 없는 이름만 남겨진 조직이 되었다.

성 정부 소재지는 난터우현 난터우시에 있는 신도시인 중싱신춘(中興新村)에 있었다. 성 정부 청사는 현재 중앙정부의 각종 사무소로 활용되고 있는데 본관에는 국가발전위원회 중싱사무소, 중싱신춘 활성화 전문 사무실, 위생복리부 중부사무소 등이 입주해 있다. 그리고 청사 건물에 부착된 타이완성 정부 간판도 여전히 유지하고 있다.

위의 성 정부 청사 사진만 보면 산골에 작은 청사 하나만 있는 것 같지만 본청 주변으로도 비슷한 규모의 건물이 몇 동 더 있으며, 여기에도 경제부 중부사무소 등이 입주해 있다. 중싱신춘 또한 위의 이미지와 달리 저밀도로 잘 계획된 신도시다. 성 정부 청사는 행정구역 상 난터우시에 위치하나 난터우 시가지와는 하천으로 분리되어 있고, 차오툰진 중심부와 더 가깝다. 청사 정문에서 5분만 걸어가면 바로 차오툰진이다.

1956년까지는 타이베이가 타이완성의 성도였다.[11]

2. 역사

2.1. 전근대

타이완 섬 청나라의 지배를 받기 시작한 이래 타이완 섬은 푸젠성 관할이었으나, 청불전쟁 일본 제국 류큐 왕국 병합으로 갑작스레 타이완 섬이 국방 요충지가 되자 청나라 중앙정부에서는 타이완 섬의 인프라를 정비하기 위해 1885년에 타이완 섬을 복건성에서 독립시켜 복건대만성(福建臺灣省, 푸젠타이완성[12])을 설치하고 통치 중심도 타이난에서 타이베이로 옮겼다. 이것이 오늘날 타이완성의 시초이다. 1895년 시모노세키 조약으로 인해 타이완 섬이 일제 식민지로 넘어가면서 복건대만성도 폐지되었다.

2.2. 3당 훈정 시기

중화민국 중일전쟁 승리로 타이완 섬을 넘겨받았다. 이에 중화민국은 타이완 섬을 통치할 행정구역으로 타이완성을 1945년에 다시 설치하였다. 그러나 중화민국 국민정부의 대만 전문가였던 천이의 주장에 따라 타이완성은 일반적인 성정부가 설치되지 않았으며, 그 대신 타이완에서 입법, 사법, 행정의 전권을 가진[13] 타이완성행정장관공서(臺灣省行政長官公署)를 설치하였고 성도를 타이베이에 두었다. 타이완성행정장관공서의 수장인 행정장관에는 천이가 임명되었으며, 그는 더불어 타이완성경비총사령으로 임명되어 타이완의 국부군을 지휘할 군권도 쥐었다.

그러나 타이완에서 무소불위의 권력을 지닌 천이는 정작 타이완 통치에는 무능함을 드러냈고, 타이완의 민심을 전혀 읽지 못하여 1947년에 2.28 사건이라는 초대형 사고를 치고 만다. 2.28 사건이 유혈진압으로 종료된 후 천이는 행정장관에서 해임되었고, 국민정부는 타이완성행정장관공서 자체를 폐지하고는 타이완성에 일반적인 성정부를 설치하고 웨이다오밍을 초대 주석으로 임명하였다.

중화민국 헌법이 시행되어 1947년과 1948년에 국민대회 선거와 입법위원 선거가 실시되면서 타이완성에서도 선거가 실시되어, 총 19명의 국민대회 대표와 8명의 입법위원이 타이완성에서 선출되었다.

이 때 타이완성은 명목상으로도, 실질적으로도 중화민국의 한 행정구역에 지나지 않았다. 그러나 국민정부가 대륙에서 중국공산당에 패배하고 타이베이로 정부를 옮긴 후 1950년대부터는 중화민국 정부가 다스리는 영토의 대부분이 타이완성의 관할구역과 그대로 일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원래는 성정부가 해야 하는 지방의 정무가 사실상 중앙정부의 일과 같게 되면서 심각한 비효율이 발생하게 되었다. 하지만 대륙을 찾아야 하는 중화민국은 타이완성을 그대로 유지했고, 중앙정부는 대륙 수복에 전념하고 대만의 내정 중 상당부분을 '지방정부'의 사무로서 타이완성에 담당하게 했다.[14] 그래서 장제스 장징궈 시절 타이완성 주석은 중화민국 고위직으로 올라가는 1급 라인이었다.

파일:1949_Taiwan.png
(1949년 국부천대 당시의 타이완성 행정구역도)[15]

타이완성을 처음 설치했을 당시 하위 행정구역은 대만일치시기 대만총독부가 정한 행정구역을 그에 상응하는 본토 행정구역 체계에 대입시켜 변환하는 방식으로 구획 변경 없이 체계만 중국 본토식으로 바꾸었기 때문에, 대만일치시기 행정구역에 기반한 9시 8현으로 구성되어 있었다.[16][17] 이후 국부천대 직전 1949년에 양밍산관리국이 타이베이현에서 분리되었고, 1950년에 대규모 행정구역 개편을 통해 8개 현을 분할하여 16개로 증설하고 9개 성할시 중 4개를 현할시로 전환해 5시 16현 1관리국으로 개편되었다. 이후 1967년과 1979년에 타이베이시[18] 가오슝시가 각각 직할시로 승격되어 타이완성에서 분리되었고, 1982년에는 현할시로 전환되었던 신주시 자이시가 성할시로 재승격되었다.

타이완성 정부청사의 경우, 타이완 섬을 반환받을 당시에는 일본 통치기의 대만총독부 청사(현 총통부 청사)를 사용하려는 계획이 있었으나, 미군의 폭격으로 심한 손상을 입어 수리가 필요했기 때문에 사용하지 못하고 기존의 타이베이 시청사를 타이완성 정부청사로 사용했다. 대만총독부 청사의 수리는 1948년에 완료되었으나, 국부천대로 인해 총통부와 행정원이 입주하면서 타이베이 시청사 건물을 계속 사용하다가 1956년에 난터우현에 신청사가 준공되면서, 기존 타이완성 정부청사에는 행정원이 입주하고 타이완성 정부는 난터우현의 신청사로 이전하였다.

2.3. 민주화

1994년까지 타이완 성장은 중앙정부에서 임명하는 관선제였으나 1994년에 헌법을 수정함으로써 최초의 직선제 지방선거가 치러졌다. 중국국민당은 총통이자 당 주석인 리덩후이가 민주화를 추진하면서 타이완성의 지방자치를 실현하고자 헌법 수정을 추진했고, 민주진보당은 타이완 성장에 대한 선거가 실현돼서 자당의 인물이 당선되면 타이완성이 중화민국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특성으로 인해 국민당이 장악한 중앙정부의 권위를 무너뜨릴 수 있을 것이라 보아[19] 헌법 수정에 동의했다.

그렇게 하여 타이완성의 성장[20]을 민선으로 전환하였다. 이때 민진당에서는 이란현 현장을 역임한 천딩난이 출마했고, 국민당에서는 리덩후이 총통의 측근이었던 쑹추위가 출마했다. 선거에서는 최초이자 마지막 민선 타이완 성장으로 중국국민당 쑹추위가 뽑혔다. 민진당의 의도는 결국 이뤄지지 못했다.

2.4. 타이완성 정부 간소화

공식적으로는 '타이완성 정부의 기능, 업무 및 조직 조정(臺灣省政府功能業務與組織調整)'이라고 하며, 현지에서는 통상적으로 '성 기능 동결(凍省)', '타이완성 허급화(臺灣省虛級化)'라고 한다.

1994년 지방선거에서 최초로 타이완 성장을 선출하게 되면서 문제가 발생한다. 위 지도에서 보다시피 타이완성은 사실상 중화민국 그 자체나 다름이 없다보니[21] 실질적으로 2중 정부나 다름이 없었으며, 무엇보다도 중화민국 정부( 행정원)와 타이완성 정부가 중첩되는 사무를 가지고 의견이 달라 충돌할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차라리 수도인 타이베이라든가 가오슝 등의 다른 대도시라면 정부와 갈등을 빚더라도 어느 정도 서로 타협을 보는게 일반적이지만, 타이완성 정부는 중앙정부와 맞먹는 수준이라서 문제가 된 것이다. 나중에라도 총통과 타이완 성장이 서로 당적이 다르면 그 혼란이 엄청날 것으로 예상되었다.

민주진보당은 타이완성의 입지에 따른 혼란에 더해 타이완성의 존재가 숙원인 대만 독립, 즉 ‘중화민국’을 ’대만 공화국’으로 바꾸려는 계획에 걸림돌이 되리라는 생각을 갖고 있었다. 그렇기에 타이완성을 없애거나 그 존재를 형식화하는 데 긍정적인 태도를 나타냈다. 타이완성의 자치 기능이 유지될 경우 국민들 사이에 타이완이 ‘나라’가 아닌 ’일개 지방‘이라는 인식이 은연 중에 계속 이어질 가능성이 있었다.

그래서 1997년 여름 양당이 전격적으로 합의하여 헌법을 개정(정확히는 증보수정조문을 추가)하면서 쑹추위 성장의 임기가 만료되는 1998년 12월 21일부터 성 정부의 기능을 간소화해 명목상으로만 성 정부를 남겼다. 그에 따라 타이완성은 중화민국 정부(행정원) 산하 기관이 되어, 민선 성장과 민선 성의회 의원은 다시 없어졌다. 대신 성장은 성 주석으로 바뀌어 다시 행정원에서 임명하는 직위로 바뀌었다. 그리고 성 의회[22]도 없어지고 행정원이 선출하는 타이완성 자의회(諮議會)[23], 즉 일종의 자문 기구로 개편되었다.

그 뒤로 성에서 하는 일은 대부분이 중화민국 정부로 넘어가고 타이완성에서 실질적으로 하는 일은 없다. 그러다 보니 현지인들 중 성이 폐지된 것으로 잘못 아는 사람들도 생각보다 많다. 위에 있는 지도를 딱 보여주고 빨간 부분이 무엇을 의미하느냐고 물었을 때 정답 맞힐 수 있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다. 사실 타이완성의 개편에 대해서 중화민국에서는 많은 논의가 있었다. 타이완성(및 푸젠성)을 아예 폐지하는 방안, 또는 서너 개의 성으로 쪼개는 방안 등도 있었는데, 결국 결과는 성의 권한을 거의 없애 형식에 가깝게 하는 현재와 같은 방식이 채택된 것이다.

이후 2010년대부터 직할시를 추가 지정하여 주요 대도시를 아예 타이완성의 영역에서 분리하였다. 이러한 직할시 추가 지정으로 인구와 경제력에서 타이완성이 관할하는 규모보다 직할시의 규모가 훨씬 커지게 된다. 타이난, 가오슝, 타이중처럼 구심점이 되는 대도시가 존재하는 현만 직할시에 편입시킨 게 아니라 하나의 도시라고 보기 어려운 신베이, 타오위안까지 직할시로 승격시켜 타이완성으로부터 분리시킨 것은 중화민국에서 타이완성이 차지하는 비중을 낮추기 위함이기도 하다. 위의 논의에서 성을 폐지시키거나 명시적으로 분할하는 안은 분단국가인 중화민국의 정통성이나 타이완 독립운동 문제 등으로 인해 실현시키기 어려우니, 인구가 많은 현 하나를 통째로 직할시로 승격시키는 방식을 써서 형식은 직할시의 신설이지만 실제로는 성의 분할과 같은 효과를 내는 것이다.

지방 도시의 고등학교는 사립을 제외하면 거의 국립인데, 이게 바로 성 정부 간소화 때문이다. 공립학교(성립 또는 직할시립) 중 직할시립학교는 그 지위를 계속 유지하였지만 성립학교는 이 때 국립학교로 전환되었기 때문이다.[24] 그래서 신베이시의 경우는 타이완성 타이베이현 시절 성립 학교였다가 국립 학교로 전환된 뒤 이제 다시 직할시립학교로 전환된 사례들도 있다(타이베이와 가오슝은 간소화 전 직할시가 됐지만, 나머지 직할시들은 간소화 후이므로). 이제 아마 예전에 타이완성 타오위안현이었던 타오위안시도 비슷한 일을 겪게 될 것이다.

법원 조직은 아직도 성 단위에 따라 조직돼 있다. 그래서 고등법원도 타이완 고등법원, 푸젠 고등법원으로 나눈다. 타이완 고등법원의 관할구역은 타이완성과 직할시들이다. 중화민국 정부가 타이완 고등법원을 설치한 1945년(정확히는 일제의 대만총독부 대만고등법원을 개칭한 것)에는 직할시들이 전부 타이완성의 일부였으므로 이 역시 타이완성 단위에 따라 고등법원이 설치된 것이다. 타이완 고등법원 산하에는 분원이 네 개 있어서( 타이중, 타이난, 가오슝, 화롄 분원 - 위치한 시·현의 이름을 따서 분원의 이름을 붙임) 본원(타이베이에 위치)까지 총 다섯 관할구역이 있다. 다만 2011년부터 향후 네 분원을 별도의 대등한 고등법원으로 승격시키는 방안을 추진 중인 것으로 보인다. # 이 방안대로 되면 '타이완 고등법원 타이중 분원'은 그냥 '타이중 고등법원'으로 바뀌는 식(다른 분원도 마찬가지). 그러면 분원이 떨어져 나간 타이완 고등법원은 본원이 위치한 지역명을 따서 타이베이 고등법원으로 개칭될 것으로 보인다.[25] 참고로 푸젠 고등법원의 명목상 관할구역은 푸젠성 전체지만 실제로는 진먼현 전체와 롄장현 일부(마쭈)만 관할하고 있다. 또한 본원을 두지 않고 진먼 분원만 운영하고 있다.[26]

타이완성 주석(민선 시절에는 성장)은 중앙정부의 무임소장관(별다른 담당 중앙 부처가 없이 재임하는 특임장관 또는 정무장관) 중 한 명이 겸직했다. 타이완성 주석은 평소에는 중화민국 중앙정부가 있는 타이베이에서 일하고 타이완성 주석 자격으로 할 일이 있을 때만 난터우 중싱신촌에 있는 타이완성 정부에 가서 일을 처리한다. 마잉주 정권 시절 가장 오래 재임하였던 성 주석은 국민당의 린정쩌(林政則)[27]이며, 신주 출신이고 신주시장이었다가 임기 만료로 퇴임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았던 2010년 2월에 임명되었다. 임명제라 임기는 따로 없다. 재임 기간이 6년을 넘어가면서 역대 타이완 성장·주석 중 두 번째로 장기간 재임하였다. 타이완성은 미국 주 대부분과 자매 결연을 맺고 있는데, 그는 자매주 방문 명목으로 재임 중 미국에 자주 다녔고, 그래서 (없어진 것이나 마찬가지인) 성의 주석이 예산을 낭비한다고 뉴스에서 때린 적이 있다. 본인은 이런 방법을 통해서라도 외교관계가 없는 미국과 교류가 필요하다고 항변하는 듯하다. 차이잉원 정권에서는 스쥔지(施俊吉) 민진당 중앙위원과 우쩌청(吳澤成) 공공공정위원회(公共工程委員會)[28] 위원장이 차례로 타이완성 주석을 겸임했다.

타이완성 간소화는 시각에 따라서는 대만 독립으로도 이어질 수 있는 조치이기 때문에 중화인민공화국 정부가 하나의 중국 원칙을 훼손하는 행위라고 격하게 비난했다.

한편 타이완성 허급화에 대만 국민들 모두가 찬성했던 것은 아니었다. 반대했던 사람들도 적지 않았는데 그 중 하나가 당시 타이완 성장 쑹추위였다. 그는 리덩후이 총통의 타이완성 허급화를 자신의 정치적 기반을 흔드려는 행위로 해석했다. 타이완 성장이었을 때 쑹추위의 시정에 대한 만족도가 90%를 넘었기 때문이다. 표면상 리덩후이 쑹추위는 관계가 돈독했지만 물밑에서는 대만 독립 정체성 문제[29]로 갈등을 빚고 있었으며, 쑹추위는 타이완성 허급화에 반발하여 타이완 성장직을 사퇴하려고도 했다. 이러한 대립이 쌓이면서 리덩후이는 2000년 총통 선거 때 쑹추위 대신 롄잔을 밀어주고, 쑹추위는 국민당을 탈당해 독자 출마했다.

2.5. 성 정부 해산

성의 존재를 눈엣가시로 여기는 민주진보당 차이잉원 정부는 취임 이후부터 타이완 성 정부 예산을 대폭 깎이고 있었다. 거기에 그나마 있던 미국과의 간접외교기능도 이 시기즘 해서 대만의 외교당국이 미국과 직접교류가 가능해지면서 타이완성은 그야말로 잉여조직이 되어가고 있었다.

이에 2018년 7월 1일에 이미 허울뿐이었던 타이완 성 정부와 자의회를 이름만 남겨 놓고 사실상 해산했다. 2018년 6월 28일에 입법원에서 성 정부의 허울뿐인 기능마저 중앙정부와 입법원으로 이관하는 법안이 통과되었기 때문이다.[30] 이후 성 주석도 임명되지 않고, 타이완성에서 근무하던 행정인력 역시 타 부처로 분산배치하면서 이제는 홈페이지마저 폐쇄되는 등 완전히 이름뿐인 조직이 되었다. 이후 푸젠성 정부도 2019년 1월 1일을 기해 해산했다.

물론 이에 대해 중국국민당은 격렬한 반발을 내보였다. 당연히 중화인민공화국에서도 2019년 1월 " 핵무기 맞고 싶냐"며 격렬하게 항의했다. 중국이 핵드립을 친 덕분에 2018년 지방선거 참패 이후 그로기 상태였던 차이잉원 총통의 지지율을 올려주는 자폭이 되고 말았다. 차이잉원 지지율이 10%를 찍었는데, 옆동네 빨간 나라에서 타이완 성 복구하라며 핵드립을 친 덕분에 2019년 3월부로 차이잉원 지지율이 36%까지 급등했다.

3. 인구

파일:타이완성 휘장.svg 타이완성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3,348,096명
1980년 14,481,624명
1990년 16,145,036명
2000년 18,108,816명
2010년 18,881,589명
2015년 7,160,459명
2020년 6,785,114명
2023년 10월 6,951,608명
그래프 최대 값은 2000만 명

4. 역대 주석

타이완성 역대 정부주석 문서 참조.

5. 하위행정구역

파일:Taiwan province-map.png
[31]

5.1. 없어진 행정구역

6. 여담



[1] 한자독음 대만성 [2] 2023년 8월 기준 [폐지] 2018년 7월 1일 성 정부·자치회 폐지 [폐지] [5] 폐쇄된 것으로 보인다. [6] 원칙적으로는 대만성(臺灣省)으로 써야 하지만 전통적으로 한자 문화권에서 대(臺)를 빨리 쓸 때 발음이 같은(한국어에서는 완전히 같진 않고 비슷한) 대(台)로 쓰는 경우가 많아 관습적으로 대만성(台灣省)도 통용된다. 참고로 중국 대륙의 간화자나 일본의 신자체는 아예 공식적으로 대(臺)를 폐지하고 대(台)에 병합해 버렸다. 그리고 같은 정체자 사용 지역이라도 홍콩 역시 간화자나 신자체와 마찬가지로 臺를 폐지하고 台로 병합했다( 마카오도 여기에 따름). 다만 한국어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음이 같지 않기 때문에 정식 문서에서 한자를 쓸 때는 원래대로 臺로 쓰는 경우가 절대 다수이다. 다만 비공식 표기에서 약자를 쓸 경우에는 역시 臺 대신 台를 쓸 수는 있다. [7] 대만성(臺灣省), 대만성(台灣省) 모두 한국 한자음으로 읽을 때는 '대만성'으로 읽어야 한다. 대(台)의 원래 한국 한자음은 '태'(별 이름에 사용)와 '이'('기쁘다'라는 뜻. 이 때는 이(怡)와 통자(通字))만 있지만 대(臺)를 대신하는 글자로 썼을 때는 당연히 대(臺)의 음을 따라 '대'라고 읽어야 한다. [8] 이 문서는 대만 중화민국을 최대한 구분하여 정부로서는 '중화민국', 그 외에는 대만을 사용한다. [9] 타이베이, 가오슝, 신베이, 타이난, 타이중, 타오위안 [10] 이 때 둥사 군도 지역을 하이난 특별행정구에서 가오슝 관할로 옮겼다. 이곳의 영유권을 주장하는 중화인민공화국은 이곳을 여전히 광둥성 관할로 두고 있다. 하이난 특별행정구가 중화인민공화국 치하에서 광둥성으로 흡수되었기 때문. 하이난성이 나중에 광둥성에서 분리되지만 이 지역은 그대로 광둥성 소속이다. [11] 1950년대에 중화민국은 일부 중앙정부 기관과 타이완성 정부 기관을 타이완 섬 중부 지방으로 옮기려고 하였고, 타이중현 우펑향(현 타이중시 우펑구)와 난터우현 난터우시가 그 대상이 되었다. 따라서 난터우에는 중싱신춘, 우펑에는 광푸신춘(光復新村)이란 신도시를 각각 건설하였다. 그래서 광푸신춘과 중싱신춘에 이러한 기관들이 분산되어 있다. 당시 타이완성 정부는 중싱신춘에, 의회는 광푸신춘에 자리잡았다. [12] 그렇지만 그 당시에도 대만성(臺灣省)이라고 쓰는 게 일반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13] 타이완성 행정장관공서는 일반 성정부와 달리 법률에 따른 직권 내에서 자체적으로 명령을 발포할 수 있었고, 본토 법률의 적용 여부까지도 결정할 수 있는 권한이 있었다. [14] 예를 들면 타이완 철로관리국의 경우 공식적으로는 타이완성 산하의 부서였고, 또한 중앙은행 중화민국중앙은행 역시 화폐 제조 등에 대해서는 천수이볜 정권이 될 때까지 신 대만 달러 화폐를 중화민국중앙은행 이름이 아닌 ' 타이완은행' 이름으로 전담했다. [15] 신주시와 자이시, 그리고 현재는 현할시로 전환된 핑둥시의 범위가 현재와 크게 다르게 그려져 있는데, 이것은 잘못 그린 것이 아니라 이들 지역이 성할시였던 1945년부터 1950년 사이에 이들 지역의 인구를 늘리기 위해 주변 지역들을 편입시켰다가, 현할시 전환 이후 이때 편입된 지역들이 편입 이전 상태로 환원되었기 때문이다. [16] 현에서 일부 지역만 분리되어 시로 승격되는 도농분리제 역시 중국 본토에서도 이미 도입해 시행하던 제도였기 때문에 별다른 수정 없이 그대로 수용되었다. [17] 1947년 국민대회 선거 당시 타이완성의 선거구는 이 행정구역을 기반으로 짜여졌다. 그 때문에 9개 성할시와 8개 현에서 1명씩 선출하되, 인구가 많았던 타이중현과 타이난현은 2명을 선출해(유권자는 후보 1명에게만 투표하되 득표율 2위까지 당선되는 방식이었다) 총 인원이 19명이 되었다. 이 19명의 국민대회 대표의 임기도 1947년의 선거 당시 본토에서 선출된 인원들의 임기와 구분 없이 무기한 연장되었기 때문에, 이 행정구역에 기반한 선거구에서 선출된 대표들은 후술한 1950년의 행정구역 개편 이후에도 오랫동안 재임하였다. 1948년의 입법위원 선거는 타이완성 전체가 단일 선거구로 편성되었기 때문에 해당사항이 없었다. [18] 이때 양밍산관리국을 타이베이시에 편입했다가 폐지하고 2개 구로 분할했다. [19] 이를 대만에서는 옐친 효과(葉爾辛效應, Yeltsin Effect)라 한다. 당시 소련 대통령이었던 고르바초프를 밀어내고 실권을 잡은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이라는 지방 행정구역의 대통령 보리스 옐친에서 따온 말이다. [20] 타이완성의 수장을 이때만 '성장'이라 했다. 그 앞뒤로는 모두 '주석'이라 했다. [21] 더군다나 이 시기에 직할시는 타이베이시와 가오슝시뿐이고 그 가오슝시도 가오슝현과 통합하기 전이며, 타이중, 타이난, 신베이, 타오위안 등의 직할시 승격이 이루어지기 전이니 중화민국 내에서 타이완성의 비중이 지금보다 훨씬 컸다. [22] 의회는 정부 소재지인 난터우가 아니라 타이중현 우펑향(현 타이중시 우펑구)에 있었다. 하지만 난터우시 자체가 타이중과 그리 멀리 떨어진 건 아니다. 타이완성 의회의 후신인 타이완성 자의회(諮議會) 역시 그대로 타이중에 있었는데, 타이중이 직할시가 돼서 타이완성에서 분리된 후에도 다른 곳으로 이전하지는 않았다. [23] 영어로는 Taiwan Provincial Consultative Council. [24] 중학교는 설립 주체를 현급 행정구역, 고등학교는 성급 행정구역으로 한다는 것이 정착되었는데, 이 덕에 지방 고등학교들이 국립 학교가 되어버렸다. [25] 지방법원의 정식 명칭은 앞에 관할구역의 고등법원명을 붙이게 되어 있다. 분원 산하라도 본원명으로 붙인다. 따라서 타이베이 스린구에는 '타이완 스린 지방법원'이 있다. 만약 타이완 고등법원의 본원과 분원들이 각각 독자적인 고등법원으로 쪼개진다면 이 역시 '타이베이 스린 지방법원'이 될 것이다. 원래 중화민국의 법원 조직에서 고등법원은 성급 행정구역당 하나씩 두게 되어 있다(국부천대 이후에는 사문화되기는 했다). 다만 분원들이 승격할 경우 어느 정도 맞아지게 된다. 현재 분원 중 '타이완성'에 위치하는 분원은 화롄 분원 하나뿐이기 때문이다. 다만 물론 화롄 분원이 타이완성 전체를 관할하지는 못한다. [26] 이 진먼 분원은 과거에 명목상의 분원 소재지를 따라 샤먼 분원이라고 불렀다. 하지만 중화민국이 샤먼을 지배하지 못한 지 오래되었기 때문에 1990년에 진먼 분원으로 변경됐다. [27] 2017년 국민당 주석 선거에서 우둔이가 당시 현직인 훙슈주를 이기고 당선된 후 훙슈주는 임기를 채우지 않고 사임하였다. 훙슈주 사임 이후 우둔이의 취임일까지 이 사람이 주석 권한대행을 맡았다. [28] 국토교통부와 비슷한 역할을 한다. [29] 중화민국 총통 리덩후이 타이완 독립운동에 유화적이었고 양국론을 설파하는 등 대만 정체성이 강했고, 타이완 성장 쑹추위는 반대로 ‘ 중화‘ 정체성을 강조하며 자신이 중국인이라 생각할 정도로 중국 대륙에서 정체성을 찾는 인물이었다. 쑹추위가 대만인 정체성을 강조하기 시작한 것은 친민당 창당 이후로 대만성 주석( 1994년 ~ 1998년 연초)를 하던 시점에는 쑹추위는 중국인이라는 정체성을 가지고 있었다. [30] 완전히 없애지는 못 했다. 성은 헌법기관이라 성의 존폐는 개헌을 통해서만 결정할 수 있기 때문. [31] 위의 지도는 대만의 정체자가 아닌 대륙의 간체자로 나와 있다. [32] 이는 중국 본토발 가짜 SNS 스팸계정을 구별해 낼 수 있는 꿀팁이기도 하다. 본인이 대만 출신이라면서 Taiwan Province라고 언급한다면 99.99%로 중화인민공화국의 가짜 스팸 계정이다. [33] 실제 중화인민공화국이 이웃나라들과의 국경 협상 등의 결과로 자국 영토에서 제외시킨 지역들이 중화민국의 명목상 영토에는 계속 포함시키고 있는 경우가 여럿 있다. 거기에다가 세계적으로 독립국으로 인정 받는 몽골이나 러시아에 소속된 속국인 투바 공화국 등이 2012년까지는 중화민국에 의해 중화민국 몽골 지방의 일부라고 간주됐었다. 2012년에 헌법 해석을 변경하여 몽골을 독립국으로 승인했지만, 중화민국은 그 이후 자국의 명목상 영토의 변화에 대하여 공식적인 입장을 나타낸 적이 없고, 아직도 중화민국 정통론자들이 제시하는 자국 영토에 이들 지역을 계속 집어 넣기도 한다. 중화민국 해군육전대(대만 해병대)의 휘장과 깃발에도 아직 2012년 이전의 명목상의 강역을 그려 놓고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