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4 21:31:03

다이쇼 시대

다이쇼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제123대 천황에 대한 내용은 다이쇼 덴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오사카시의 행정구역에 대한 내용은 다이쇼구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아이돌 미 소년 멤버에 대한 내용은 이와사키 타이쇼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나무위키+유도.png  
대정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제주도에 존재했던 행정구역에 대한 내용은 대정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F001F, #BD0029 20%, #BD0029 80%, #AF001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FFEFA7,#5A004A>
[[아스카 시대|
아스카
시대]]
다이카(大化) 하쿠치(白雉) - 슈초(朱鳥) - 다이호(大宝) 게이운(慶雲) 와도(和銅)
와도(和銅) 레이키(霊亀) 요로(養老) 진키(神亀) 덴표(天平) 덴표칸포(天平感宝) 덴표쇼호(天平勝宝) 덴표호지(天平宝字) 덴표진고(天平神護) 진고케이운(神護景雲) 호키(宝亀) 덴오(天応) 엔랴쿠(延暦)
[[헤이안 시대|
헤이안
시대]]
엔랴쿠(延暦) 다이도(大同) 고닌(弘仁) 덴초(天長) 조와(承和) 가쇼(嘉祥) 닌주(仁寿) 사이코(斉衡) 덴난(天安) 조간(貞観) 간교(元慶) 닌나(仁和) 간표(寛平) 쇼타이(昌泰) 엔기(延喜) 엔초(延長) 조헤이(承平) 덴교(天慶) 덴랴쿠(天暦) 덴토쿠(天徳) 오와(応和) 고호(康保) 안나(安和) 덴로쿠(天禄) 덴엔(天延) 조겐(貞元) 덴겐(天元) 에이간(永観) 간나(寛和) 에이엔(永延) 에이소(永祚) 쇼랴쿠(正暦) 조토쿠(長徳) 조호(長保) 간코(寛弘) 조와(長和) 간닌(寛仁) 지안(治安) 만주(万寿) 조겐(長元) 조랴쿠(長暦) 조큐(長久) 간토쿠(寛徳) 에이쇼(永承) 덴기(天喜) 고헤이(康平) 지랴쿠(治暦) 엔큐(延久) 조호(承保) 조랴쿠(承暦) 에이호(永保) 오토쿠(応徳) 간지(寛治) 가호(嘉保) 에이초(永長) 조토쿠(承徳) 고와(康和) 조지(長治) 가쇼(嘉承) 덴닌(天仁) 덴에이(天永) 에이큐(永久) 겐에이(元永) 호안(保安) 덴지(天治) 다이지(大治) 덴쇼(天承) 조쇼(長承) 호엔(保延) 에이지(永治) 고지(康治) 덴요(天養) 규안(久安) 닌페이(仁平) 규주(久寿) 호겐(保元) 헤이지(平治) 에이랴쿠(永暦) 오호(応保) 조칸(長寛) 에이만(永万) 닌난(仁安) 가오(嘉応) 조안(承安) 안겐(安元) 지쇼(治承) 요와(養和) 주에이(寿永) 겐랴쿠(元暦)
[[가마쿠라 시대|
가마쿠라
시대]]
겐랴쿠(元暦) 분지(文治) 겐큐(建久) 쇼지(正治) 겐닌(建仁) 겐큐(元久) 겐에이(建永) 조겐(承元) 겐랴쿠(建暦) 겐포(建保) 조큐(承久) 조오(貞応) 겐닌(元仁) 가로쿠(嘉禄) 안테이(安貞) 간키(寛喜) 조에이(貞永) 덴푸쿠(天福) 분랴쿠(文暦) 가테이(嘉禎) 랴쿠닌(暦仁) 엔오(延応) 닌지(仁治) 간겐(寛元) 호지(宝治) 겐초(建長) 고겐(康元) 쇼카(正嘉) 쇼겐(正元) 분오(文応) 고초(弘長) 분에이(文永) 겐지(建治) 고안(弘安) 쇼오(正応) 에이닌(永仁) 쇼안(正安) 겐겐(乾元) 가겐(嘉元) 도쿠지(徳治) 엔쿄(延慶) 오초(応長) 쇼와(正和) 분포(文保) 겐오(元応) 겐코(元亨) 쇼추(正中) 가랴쿠(嘉暦) 겐토쿠(元徳)
남조
겐코(元弘)
북조
겐토쿠(元徳) 쇼쿄(正慶)
겐코(元弘) 쇼쿄(正慶)
겐코(元弘) 겐무(建武)
[[무로마치 시대|
무로마치
시대]]
남조
엔겐(延元) 고코쿠(興国) 쇼헤이(正平) 겐토쿠(建徳) 분추(文中) 덴주(天授) 고와(弘和) 겐추(元中)
북조
겐무(建武) 랴쿠오(暦応) 고에이(康永) 조와(貞和) 간노(観応) 분나(文和) 엔분(延文) 고안(康安) 조지(貞治) 오안(応安) 에이와(永和) 고랴쿠(康暦) 에이토쿠(永徳) 시토쿠(至徳) 가케이(嘉慶) 고오(康応) 메이토쿠(明徳)
메이토쿠(明徳) 오에이(応永) 쇼초(正長) 에이쿄(永享) 가키쓰(嘉吉) 분안(文安) 호토쿠(宝徳) 교토쿠(享徳) 고쇼(康正) 조로쿠(長禄) 간쇼(寛正) 분쇼(文正) 오닌(応仁)
[[센고쿠 시대|
센고쿠
시대]]
오닌(応仁) 분메이(文明) 조쿄(長享) 엔토쿠(延徳) 메이오(明応) 분키(文亀) 에이쇼(永正) 다이에이(大永) 교로쿠(享禄) 덴분(天文) 고지(弘治) 에이로쿠(永禄) 겐키(元亀)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겐키(元亀) 덴쇼(天正) 분로쿠(文禄) 게이초(慶長)
게이초(慶長) 겐나(元和) 간에이(寛永) 쇼호(正保) 게이안(慶安) 조오(承応) 메이레키(明暦) 만지(万治) 간분(寛文) 엔호(延宝) 덴나(天和) 조쿄(貞享) 겐로쿠(元禄) 호에이(宝永) 쇼토쿠(正徳) 교호(享保) 겐분(元文) 간포(寛保) 엔쿄(延享) 간엔(寛延) 호레키(宝暦) 메이와(明和) 안에이(安永) 덴메이(天明) 간세이(寛政) 교와(享和) 분카(文化) 분세이(文政) 덴포(天保) 고카(弘化) 가에이(嘉永) 안세이(安政) 만엔(万延) 분큐(文久) 겐지(元治) 게이오(慶応)
일세일원제
메이지(明治) 다이쇼(大正) 쇼와(昭和) 헤이세이(平成) 레이와(令和)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시대
{{{#!wiki style="" }}}

{{{#!wiki style=""
}}}
{{{#!wiki style="" }}}
가마쿠라 시대 {{{#!wiki style="" }}}
무로마치 시대 {{{#!wiki style=""
}}}
{{{#!wiki style="" }}}
}}}}}}}}}

일본의 연호
메이지 천황 다이쇼 천황 쇼와 천황
← [ruby(明治, ruby=めいじ)]
메이지
[ruby(大正, ruby=たいしょう)]
다이쇼
[ruby(昭和, ruby=しょうわ)]
쇼와
파일:1000031927.png
새로운 연호 다이쇼 개원 소식을 보도하는 1912년 7월 31일자 도쿄니치니치 신문[1]
<colbgcolor=#bd0029><colcolor=#dca600> 원년 서력 1912년
국가
[[일본 제국|]][[틀:국기|]][[틀:국기|]]
천황 다이쇼 천황
공포 1912년 7월 30일
폐지 1926년(다이쇼 15년) 12월 25일
( 다이쇼 천황 붕어, 쇼와 천황 즉위 및 쇼와 연호 공포)
사용 기간 14년 4개월 26일
내각총리대신
[ 펼치기 · 접기 ]
사이온지 긴모치 (1912)
가쓰라 다로 (1912~1913)
야마모토 곤노효에 (1913~1914, 1923~1924)
오쿠마 시게노부 (1914~1916)
데라우치 마사타케 (1916~1918)
하라 다카시 (1918~1921)
다카하시 고레키요 (1921~1922)
가토 도모사부로 (1922~1923)
기요우라 게이고 (1924)
가토 다카아키 (1924~1926)
와카쓰키 레이지로 (1926)

1. 개요2. 다이쇼 데모크라시3. 다이쇼 로망4. 출생
4.1. 창작물
5. 사건6. 다이쇼 시대를 다룬 창작물
6.1. 일본 작품6.2. 한국 작품

[clearfix]

1. 개요

다이쇼([ruby(大正, ruby=たいしょう)])는 다이쇼 천황이 재위했던 시기에 사용한 일본 연호이자 시대 구분이다. 서력으로 1912년~ 1926년에 해당한다.

연호 '大正'는 <주역(周易)> 단전(彖傳) 임괘(臨卦)에 나오는 대형이정 천지도야(亨以, 天之道也 바른 것으로 크게 형통하니 하늘의 도라)라는 구절과 <주역(周易)> 단전(彖傳) 대축괘(대축卦)에 나오는 강상이상현 능지건 대정야(剛上而尙賢 能止健大正也 굳셈이 위에 있어 현명한 이를 숭상하여 능히 강건함을 그치게 함이 크게 바르다.)라는 구절에서 유래하였다. 이외 후보로 덴코 (天興), 코카 (興化), 에이안 (永安), 겐토쿠 (乾徳), 쇼토쿠 (昭徳)도 있었으나 모두 탈락했다.

전각 문자 한 글자 공간에 넣으면 가 된다.

다이쇼 연호의 원년 1912년은 중화민국- 대만 민국기년이나 북한 주체년호와 같다. 즉, 세 연호의 해는 숫자가 같으면 같은 해를 말한다.

한국에서는 일제강점기였고 3.1 운동과 3대 총독 사이토 마코토의 문화통치를 거쳤던 시대이기도 하다. 특히 친일 성향 친목회로 알려진 대정친목회는 다이쇼의 연호에서 따 온 것이며 대정친목회의 회장이 바로 을사조약을 반대하였다가 변절한 탁지대신 민영기였다.

다이쇼 연호는 3차 후보 추천 때 등장했고 이후 1순위로 선정되었다.[2]

다이쇼 연호는 1331, 1652, 1658, 1684년 등 총 4번 후보에서 탈락한 뒤 선정되었다.

이 연호를 쓰던 시절의 천장절(천황탄일)은 10월 31일이었다. 원래는 8월 31일이었으나 그 날이 한여름이라는 이유로 2달 뒤로 늦췄다. 현재는 두 날 모두 공휴일이 아니다.

2. 다이쇼 데모크라시

1910년대부터 1920년대 사이에 일어난 민주주의, 자유주의적 사조, 운동들을 일컫는 명칭으로, 자세한 내용은 다이쇼 데모크라시 문서로.

3. 다이쇼 로망

일본에서 다이쇼 천황 치세기를 이상적(理想的)으로 바라보고 표현하는 풍조. 자세한 내용은 다이쇼 로망 문서로.

4. 출생

4.1. 창작물

5. 사건

일본 국내외에서 있던 사건 모두 포함한다. 연도 표기는 다이쇼 연호와 서기 병기. 이중에서 몇몇에 해당하는 사건은 아래와 같이 표기.
연도 대조표
다이쇼(大正) 진무기원 육십갑자 서력기원 비 고
당해 7월 30일부터
원년
2572년 임자(壬子) 1912년 요시히토 즉위, 다이쇼 연호 개원 ( 7월 30일)
2년 2573년 계축(癸丑) 1913년 카메이도 경찰관 전살 사건 ( 4월 4일)
3년 2574년 갑인(甲寅)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 발발[전] ( 7월 28일)
4년 2575년 을묘(乙卯) 1915년 도쿄 야나기시마 자전거상 일가족 살인 사건 ( 3월 30일)
요시다 암굴왕 사건 ( 8월 13일)
산케베츠 불곰 사건 ( 12월 9일~ 12월 14일)
5년 2576년 병진(丙辰) 1916년
6년 2577년 정사(丁巳) 1917년 시타야 SM 사건 ( 2월~ 3월)
러시아 내전 발발 ( 11월 7일)
7년 2578년 무오(戊午) 1918년 일본의 시베리아 개입[전]
쌀 소동 ( 7월 22일)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 11월 11일)
8년 2579년 기미(己未) 1919년 3.1 운동[조] ( 3월 1일)
제암리 학살사건[조] ( 4월 15일)
9년 2580년 경신(庚申) 1920년 니콜라옙스크 사건[조] ( 2월)
연해주 4월 참변[조]( 4월 4일~ 4월 5일)
봉오동 전투[조]( 6월 4일~ 6월 7일)
청산리 전투[조] ( 10월 21일~ 10월 26일)
백백교 참살 사건[조]
10년 2581년 신유(辛酉) 1921년 이판능의 대량학살 사건[조] ( 6월 2일)
주문학 살인사건[조] ( 8월 31일)
11년 2582년 임술(壬戌) 1922년
12년 2583년 계해(癸亥) 1923년 러시아 내전 종전[전] ( 6월 16일)
이시카리누마타 호로신 불곰 사건 ( 8월 21일~ 8월 24일)
관동 대지진 관동 대학살[조] ( 9월 1일)
13년 2584년 갑자(甲子) 1924년 진남포 소아 참살 사건[조] ( 2월 5일)
시베리아 주둔 일본군 철수[전] (~ 다이쇼 14년)
14년 2585년 을축(乙丑) 1925년 치안유지법 시행 ( 5월 12일)
을축년 대홍수[조] ( 7월 11일~ 9월)
15년
당해 12월 25일까지. 이후 쇼와 원년
2586년 병인(丙寅) 1926년 전주 소학생 유괴 살인사건[조] ( 2월 10일)
6.10 만세 운동[조] ( 6월 10일)
고무신 살인사건[조] ( 8월 13일)
오니쿠마 사건 ( 8월 20일~ 9월 30일)
료에이마루 조난 사건 ( 12월)[32]
요시히토 승하, 장남 히로히토 즉위. 쇼와 연호 개원 ( 12월 25일)

6. 다이쇼 시대를 다룬 창작물

6.1. 일본 작품

다이쇼 로망 문서도 참고.

6.2. 한국 작품

당연하게도 독립 운동을 다룬 창작물의 비중이 높다.
[1] 마이니치 신문의 전신이다. [2] 1차로 건덕(乾徳), 영안(永安)이 추천되었으나 각하되었고, 2차로 소덕(昭徳), 천흥(天興)이 추천되었지만 역시 각하되었다. 이후 메이지 천황의 병세가 위급해지자 추밀원 측에서도 위급한 상황을 인식하고 다시 회의를 통해 3차로 대정(大正), 흥화(興化)를 제출하는 사이 메이지 천황이 붕어하자 최종적으로 후보에 대정(大正)을 제1안, 천흥(天興)을 제2안, 흥화(興化)를 제3안으로 선정 후 마침내 대정으로 확정한다. [3] 공식 프로필 상으로는 쇼와 5년생이지만, 실제로는 다이쇼 15년 런던 출신이다. [4] 우에키 히토시는 쇼와 히토케타로 분류되기도 하는데, 해당 문서로. [5] 주요 캐릭터들이 다이쇼 원년(1912년)~2년(1913년) 출생. 단, 이시가키 타마키와 오가사와라 아키코는 제외(7월 30일 이전 출생이라 시간상으로는 메이지에 해당). [6] 1990년 기준 65세면 1925년생으로 다이쇼 14년생. [7] 작품 배경이 다이쇼 20년이라 정말로 가상인물일 수밖에 없다. [8] 작중 인물들 전부 다이쇼 시대 이전에 태어났으나, 배경은 다이쇼 중기이고, 원작 결말은 관동대지진이 일어난 직후이다. [9] 원작 기준으로, 애니메이션을 기준으로 할 경우 둘 다 쇼와 태생이다. [외] 일본 국외에서 있었던 사건 중 일본과 연관된 사건 [조] 일본 국외에서 있었던 사건 중 일제강점기 조선에서 발생하거나 관련있는 사건 [전] 일본 제국의 전쟁과 관련된 사건 [전] [전] [조] [조] [조] [조] [조] [조] [조] [조] [조] [전] [조] [조] [전] [조] [조] [조] [조] [32] 슬프게도 이 조난 사건에 휘말린 선원들은 당시 연호가 다이쇼에서 쇼와로 바뀐 줄도 모르고 유서에 '다이쇼 16년'이라고 적었다. [33] 이야기 극초반(정확히는 프롤로그)의 경우에는 메이지 시대 말기(1910년)이며 그로부터 2~3년이 지난 이후부터 마지막화 직전까지 해당 시대를 다룬다. 마지막화에서는 약 100여년 후 레이와 시대로 시간대가 옮겨진다. 또한 과거 인물들의 회상이나 과거를 다룰 때는 헤이안 시대( 키부츠지 무잔), 센고쿠 시대( 타마요, 츠기쿠니 요리이치, 코쿠시보), 에도 시대( 도우마, 아카자, 한텐구, 다키, 규타로)처럼 다른 시간대를 오가기도 한다. [34] 다이쇼 25년을 배경으로 한다. [35] 정확히는 나노카가 사는 현대 레이와에서 다이쇼로 시간이동을 하는 것. [36] 정확히는 5화 한정. [37] 단 '로젠 메이든 제로'라는 신연재버전 기준. 이게 진정한 의미의 다이쇼 로망(다이쇼 시대의 미화) 이라기 보다는 다이쇼 데모크라시라는 주장이 더 타당하다고 생각된다. 로젠 메이든 제로 문서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47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47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