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6 21:19:35

나주시/교통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나주시
파일:나주시 CI.svg 나주시 교통체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color=#fff> 철도 <colcolor=#fff> 일반철도 호남고속선 나주역
호남선 노안역 · 나주역KTX SRT · 다시역 · 고막원역
경전선 남평역 · (가칭) 혁신도시역KTX
도로 고속도로 파일:Expressway_kor_12.svg 무안광주고속도로 나주IC 문평IC · 파일:Expressway_kor_255.svg 강진광주고속도로 남나주IC 나주SA 동나주IC
국도 1번 · 13번 · 23번
지방도 49번 · 55번 · 801번 · 818번 · 820번 · 821번 · 831번
버스 시내 · 농어촌버스 나주시 시내버스 나주콜버스
광주 좌석02 · 대촌170 · 진곡196
영암 110 · 111 · 112 · 113 · 114 · 116
함평 100동강 · 500명하
화순 218 · 318-1
시외 · 고속버스 터미널 나주버스터미널 · 영산포공용터미널 · 다시공영버스터미널 · 동창터미널 · 빛가람시외버스정류소 · 동강정류소
시외·고속버스 노선
취소선 : 여객취급중지 / 이탤릭체 : 미개통 }}}}}}}}}
전라남도의 교통

1. 철도
1.1. 일반철도 및 고속철도1.2. 광역철도
2. 도로3. 버스
3.1. 시내버스3.2. 고속버스 및 시외버스3.3. 택시
4. 항공5. 어항

1. 철도

전라남도 소재 시 중에서 유일한 철도 초강세 지역[1]이자 전국적으로 보아도 손꼽히는 철도 강세 지역에 속한다.

1.1. 일반철도 및 고속철도

호남선이 나주시를 관통한다. 전통적 양대 도심인 구 나주읍과 영산포읍의 중간 지역이자 나주시청 소재지인 송월동에 나주역이 있으며 혁신도시 덕에 정차 횟수도 꽤나 많아 이용이 편리하다. KTX는 일 15왕복[2], SRT는 일 9왕복 정차한다. 무궁화호는 양방향으로 일 6회[3] 정차하고, ITX-새마을은 일 2회[4], ITX-마음도 일 2회[5] 정차한다.

다시면 소재지에 호남선 다시역이 있으며, 무궁화호가 하루에 상행 3회, 하행 4회 정차한다.[6] 이외의 호남선 역으로는 노안면에 노안역, 다시면에 고막원역이 있지만 모두 여객 취급이 중지되었다. 영산포역은 호남선 복선전철화 및 이설 과정에서 나주역과 통합되어 폐역되었다.

남평읍에는 경전선 남평역이 있으나 2011년에 한 번 여객 취급이 중지되었다. 이후 2013년 9월 27일부터 남도해양열차 정차역으로 선정되면서 여객업무를 잠시 재개했었다가 2014년 6월 1일 S-train 운행구간 변경으로 다시 여객 취급이 중지되었고, 2023년 현재는 여객열차가 정차하지 않는다. 여객열차 정차 당시에도 서부경전선 구간이라 매우 느린데다가 남평읍 시가지와 많이 떨어진 산골짜기에 있기 때문에 남평 지역 주민조차 잘 이용하지 않았다.[7]

2014년 8월 경 전라남도지사는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 활성화를 위해 호남고속철도 광주송정역 - 목포역 구간이 나주역을 통과하는 방향으로 국토부에 건의하겠다고 하였다. 이후 호남고속철도 광주송정역 - 목포역 구간의 노선이 광주송정역 - 고막원역까지 호남선을 공용하기로 결정되어 나주역을 거치게 되면서 철도 강세 경향이 더욱 심화될 듯하다.

차후 경전선 개량 시 호남고속철도 광주송정역과의 분기역을 나주시 죽림동 구 나주역 근처에 위치시켜서 혁신도시를 거쳐 부산광역시 부전역으로 보낸다는 계획이 있다. 해당 노선까지 완공되면 나주시 광주광역시를 제치고 광주 전남의 철도 중심지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관련 떡밥은 경전선 문서의 해당 문단 참조.

그와 별개로 1990년대 전라남도가 나주-완도간 철도를 지으려고 한 적은 있었지만 경제성이 없어서인지 광주 - 완도 간 고속도로 공사로 대체되었다.[8]

1.2. 광역철도

광주 도시철도 1호선 상무역에서 대촌동, 남평읍, 혁신도시를 거쳐 나주역을 잇는 광주-나주 광역철도도 계획되고 있다.

2. 도로

2.1. 고속도로

무안광주고속도로( 나주 나들목, 문평 나들목)가 있지만 시내에서 가깝지는 않고 북쪽을 긁고 지나가서 접근성이 썩 좋지가 않다. 특히 광주광역시 이북 지역을 왕래하는 경우에 나주 나들목을 이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으며, 호남고속도로 - 남장성 분기점 - 광주외곽순환고속도로 - 남광산 나들목 - 49번 지방도로 접근하는 것이 훨씬 빠르다.[9]

2026년 개통 예정인 강진광주고속도로 동나주 나들목, 남나주 나들목이 생기면 광주광역시[10] 전라남도, 경상남도 남해안 및 부산울산권 지역에서 접근성이 좋아질 전망이다.[11] 한편 위에서 언급한 광주외곽순환고속도로 나주-화순 구간도 계획 중이다.

2.2. 국도

주요 도로로는 1번 국도, 13번 국도, 23번 국도가 통과한다. 국도는 대부분 왕복 4차로인데, 세부 상황은 다음과 같다.

2.3. 국가지원지방도

이 외에도 49번 지방도를 통해 광주광역시 광산구 하남지구, 상무지구, 수완지구 장성 나들목을 거쳐 호남고속도로로 연결되어 있으며, 남광산 나들목을 거쳐 광주외곽순환고속도로로도 연결되어 있다. 이 도로는 나주 시내가 아니라 광주전남혁신도시를 연결해 주는 도로이다. 55번 지방도 58번 지방도를 통해 화순군 방면을 통과하도록 되어 있으나 아직 노선지정 및 확장이 되어있지 않다.

2.4. 지방도

3. 버스

3.1. 시내버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나주시 시내버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023년 나주 시내버스 개편 이후로 광주와 나주를 잇는 광역버스, 나주 시내 간선 역할을 하는 시내버스, 읍면 지선버스 역할을 하는 마을버스의 3단계 체계와 남평, 혁신도시와 원도심을 빠르게 잇는 급행버스까지 총 4종류의 버스로 세분화되었다.

시내버스 회사로는 나주교통이 있다.[13]

광역버스는 구 광신고속 노선인 160번 161번 영산포(석기내)- 나주-광주시내(문흥동 종점)[160]/ 혁신도시[161]- 광주송정역- 광주공항 축선을 기본으로 하며, 구 나주교통 노선의 공통 구간을 빼서 신설한 999번대 노선[16] 영산포- 나주[999]/ 혁신도시[997&998]- 남평- 광주시내 1번 국도 축선을 기본으로 한다. 원도심과는 다르게 혁신도시를 지나는 161번, 997번, 998번 광역버스는 하나같이 배차간격이 40~60분 수준으로 매우 넓다.

시내버스는 전반적으로 시내(나주 및 영산포)에 집중되어 있으며, 동부 일부는 빛가람동 남평읍이 중심이 되어 운행한다.

마을버스는 주로 각 읍면 중심지에서 자연마을 깊숙히 이어주는 역할을 한다. 모든 시간대에 비슷한 번호대의 시내버스와 시간표가 연계되어 있다.

급행버스는 남평에서 혁신도시, 금천을 거쳐 나주로 가는 급행01번과 나주~영산포간 차량 이동 시에 운행하는 급행03번이 있다.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중에서는 광주 버스 좌석02(빛가람동), 광주 버스 진곡196(동신대학교, 노안면), 광주 버스 대촌170(남평, 도래마을) 노선이 나주시 관내로 들어오며, 영암군 소속 영암교통, 낭주교통 농어촌버스 노선( 110, 111, 112, 113, 114, 116번)도 나주터미널 영산포터미널에 들어온다. 이외에는 화순군 농어촌버스 218번 318-1번 중장터/행산 노선이 다도면 방산리, 도동리를 거쳐가고, 함평군 농어촌버스 100번(함평-사거리-동강) 노선은 나주시 동강면 소재지에서 회차한다.

자세한 내용은 나주시 시내버스 항목 참조.

3.2. 고속버스 및 시외버스

화순군, 담양군 등과 비교하면 훨씬 낫지만, 옆동네의 대도시인 광주광역시에 호남지역 버스교통 끝판왕인 유스퀘어가 있어서 노선망부터 매우 빈약하며, 호남선, 호남고속선 철도 때문에 시외버스는 거의 없는 수준이다.

나주시를 지나는 고속버스 노선은 서울 - 나주 - 영산포 고속버스 노선 폐선 이후 전혀 없다.[19]

시외버스는 구 나주읍 지역의 나주버스터미널, 영산포의 영산포공용터미널, 다시면의 다시공영버스터미널 및 혁신도시 빛가람시외버스정류소 출발/경유 노선이 있다. 2022년 이전에는 서울 센트럴시티 노선이 나주터미널 영산포터미널에서만 출발했지만, 2022년 4월 빛가람시외버스정류소 경유로 바뀌고 나서는 시내의 두 터미널에는 서울행 버스가 없다.[20] 부산사상 방면 시외버스(일 5회)는 아직 나주터미널을 경유하지만, 해당 노선은 빛가람시외버스정류소도 경유한다. 반면 영산포는 장거리 시외버스가 완벽하게 멸종했다.

자세히 살펴보면 철도와 직접적으로 경쟁하는 수도권 방향은 서울 - 장흥 시외버스 노선이 겨우 일 3회 혁신도시를 지나는 게 전부이며,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청주시, 천안시를 비롯한 충청권 노선은 아예 없다. 그나마 2022년 나주 - 광주 - 부산사상 시외버스 중 일부 편[21]이 나주로 연장되고 2024년 나주 - 광주 - 내서 - 마산 - 창원 - 김해 노선이 연장되면서 부울경 방향은 일 1회에 나주역~ 부전역 5시간 51분이라는 입이 벌어지는 소요시간을 자랑하는 경전선 철도보다 시외버스 노선이 확실한 우위를 차지하게 되었다.[22]

나주혁신도시 시외버스 정류장의 경우 2015년 서울남부터미널행 시외버스 노선이 1일 1회 운행을 시작하는 등 그럭저럭 명맥을 이어갔으나,[23] 2020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여파로 대부분 노선이 감회되거나 폐지되면서 한때 광주 완도행 버스만 남으면서 파리만 날렸다. 그러다 2022년 서울 가는 시외버스 노선 나주버스터미널 영산포공용터미널 대신 빛가람시외버스정류소를 경유하게 되었고, 부산사상 방면 시외버스 노선 일부가 광주에서 나주혁신도시를 거쳐 나주까지 연장운행하면서 이용객이 크게 늘어났다.

이렇듯 철도망이 매우 빈약한 경상도 방향을 빼면 버스가 철도에 밀리다 못해 깔려서 가루가 된 수준인 가장 큰 이유는 나주시를 지나는 고속도로가 무안광주고속도로 하나인 데다가 나들목의 위치도 시내 북쪽으로 너무 멀리 떨어져 있고 호남고속도로와 바로 연결되지도 않아서 함평군 무안군 방면을 제외하면 도로교통의 경쟁력이 매우 떨어진다는 것이다. 목포시마저도 국도와 지방도를 타는 것이 훨씬 낫고, 목포시 서쪽이 목적지라면 나주역에서 목포역으로 가는 기차를 이용하는 것이 훨씬 더 빠르다. 그나마 광주외곽순환고속도로 개통 후에는 여전히 시 경계를 넘어야 하기는 하지만 광주광역시의 막히는 시내도로를 경유하지 않아도 고속도로로 들어갈 수 있게 되어 접근성이 조금 나아져서 서울로 향하는 시외버스의 소요시간이 다소 줄어들었다.

나주시를 경유하는 시외버스 노선은 모두 금호고속에서 운행한다.

3.3. 택시

* 택시요금은 미터기에 의한 요금으로 나주시 전역에서 사용하며 미터기에 의하지 않은 요금은 수수할 수 없다.
* 기본운임
* 2km까지 : 4,300원
* 거리/시간운임
* 거리운임적용 : 2㎞ 초과 주행 시 주행속도에 관계없이 주행거리에 따라 거리운임 적용 (130m당 140원)
* 시간운임적용 : 15㎞/h 이하 주행 시 소요시간에 따라 운임 적용 (30초당 140원)
* 할증요금의 적용
* 심야 할증 : 심야 00:00 ~ 04:00 사이에 운행한 요금에 20% 할증 적용
* 시계외 할증 : 나주시 외의 지역 운행시 요금에 35% 할증 적용
* 심야 할증과 시계외 할증 중복 적용시 40% 적용
* 호출료 : 1,000원
* 미터기는 택시 승차 지점에서 사용한다.
* 사업구역 밖으로 운행하는 경우 귀로시에는 할증을 적용하지 아니한 미터기요금으로 수수한다.
* 택시요금은 미터기 요금에서 100원 미만은 절사하고 수수하되 미터기에 의하지 않는 요금은 수수할 수 없다.
여느 농어촌 지역이 으레 그렇듯 나주시 역시 버스터미널( 나주버스터미널, 영산포공용터미널)과 기차역( 나주역 등) 근처에는 택시가 줄을 서서 승객을 기다리고 있으나, 터미널과 기차역을 제외하면 택시를 잡아 타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콜택시가 활성화되어 있다. 콜택시를 호출할 경우 호출료 1,000원이 추가로 부과된다.[24] 휴대폰 앱으로 택시를 부를 때에는 카카오 T는 손쉽게 이용이 가능하나 우티는 사용하는 택시가 별로 없어 불편하며 티머니onda는 서비스 지역이 아니다.

2023년 11월 10일 자정부터 기본요금이 2km까지 3,300원에서 4,300원으로 오르고, 거리 및 시간운임 역시 134m 혹은 15km/h 이하 시 32초당 140원에서 130m 혹은 15km/h 이하 시 30초당 140원으로 올랐다. 이외 사항은 이전과 동일하다.

혁신도시에서 택시를 이용하는 것은 원도심에서 이용하는 것보다 불편하다는 의견이 많다.[25] 자가용 보유 가구가 많아 택시 수요가 상대적으로 적기에 택시 기사들이 고의로 혁신도시 진입을 기피하고 있으며, 택시 차고지도 없어 혁신도시를 기반으로 운행하는 택시 회사도 없다는 것이 주 이유. 관련 기사

4. 항공

나주시계 안쪽은 아니지만 차로 1시간 이내 거리에서 광주공항(국내선) 및 무안국제공항(국내선 및 국제선)을 이용할 수 있다.[26] 광주공항의 경우 160번, 161번, 좌석02번을 타고 공항역에 내려서 5~10분 정도만 걸으면 된다. 그러나 무안국제공항의 경우에는 자가용이 없다면 160번이나 161번, 좌석02번, 진곡196번을 이용해 광주송정역으로 가서 무안국제공항 금호고속 시외버스를 시간 맞춰 이용해야 한다. 추후 호남고속선 광주송정역 ~ 목포역 구간이 무안국제공항 경유로 결정됨에 따라 나주역에서 KTX SRT를 이용해 무안국제공항으로 이동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2022년 11월 21일부터 시외버스 나주·광주-부산사상 노선이 일 4회 나주버스터미널 착발 및 빛가람시외버스정류소 경유로 개통하였는데, 도착지인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 사상역 바로 옆이기 때문에 사상역에서 부산김해경전철을 타고 3정거장만 가면 김해국제공항까지 손쉽게 도착할 수 있다. 김해국제공항 무안국제공항보다 국제선 노선이 월등히 많기 때문에 나주시에서의 국제선 이용이 한층 편리해졌다. 버스편이 나주에서는 아침 8시부터, 서부산에서는 오후 4시까지 있기 때문에 오후 3시 이후 출발편 및 오후 2시 이전 도착편이라면 넉넉하게 비행기를 탈 수 있다.

2020년~ 2021년에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여파로 국내 항공사들이 국내선 요금을 대폭 인하하고 기존에 취항 중이던 아시아나항공 외에도 진에어, 제주항공 등에서 잇따라 광주~ 김포 노선에 취항하면서 혁신도시로 인해 수도권 방향 교통 수요가 많은 나주시 특성상 공항 이용객도 많이 늘어났으며, 공항으로 가는 1160번 버스의 수요도 덩달아 증가했다. 그러나 2022년 이후 코로나 상황이 차츰 진정되면서 항공 수요와 운임이 다시 증가함에 따라 김포행 승객이 줄어 제주항공 진에어 김포 노선을 단항했고, 나주에서 광주공항을 이용하는 승객도 줄어들었다. 현재는 아시아나항공만이 일 2회 김포행 항공편을 운항중이다. 물론 제주특별자치도로 가는 경우에는 아직까지 광주공항으로 가는 수요가 무안국제공항으로 가는 수요보다 월등히 많다.

이 외에 금천면 및 남평읍 인근에 광주공항 비상활주로가 자리하고 있다.

5. 어항

내륙임에도 유일하게 등대가 있는 곳으로 영산포구가 있다. 2016년, 영산강 황포돛배 유람선이 운항하고 있으나 2017년 승촌보 개방 때문에 2022년에 결국 유람선은 매각되었다.

포구 : 영산포구
나루터 : 구진포나루터, 풍호나루터, 죽포나루터, 석관정나루터, 영산나루터

[1] 광주/ 전남에서는 나주를 제외하면 장성군 정도만 철도가 초강세고, 나머지 지역은 철도역의 위치 문제나 철도 노선의 우회, 고속철도 노선의 부재로 인해 고속버스 시외버스가 철도와 비슷하게 경쟁하거나( 여수시, 순천시, 목포시 등) 아예 시외교통의 주를 이룬다( 광주광역시, 광양시, 화순군 및 철도가 없는 다수 지자체). 장성은 나주보다 한 술 더 떠서 철도가 버스를 압살하는 수준이다. 전북특별자치도에서는 익산시, 정읍시, 김제시, 남원시 등에서 철도가 버스에 비해 우위를 점하고 있어 전라남도보다는 철도 우위 지역이 많다. [2] 서대전 경유 1왕복 포함 및 4000번대 임시열차 제외 [3] 상행은 용산행 #1402, #1404, 부전행 #1952, 익산행 #1470, 광주행 #1982, #1474 열차가 정차하며, 하행은 목포행 #1981, #1401, #1951, #1473, #1469, #1403 열차가 정차한다. [4] 상행은 용산행 #1062와 #1064, 하행은 목포행 #1061과 #1063 열차가 정차한다. [5] 상행은 용산행 #1162와 #1164, 하행은 목포행 #1161과 #1163 열차가 정차한다. [6] 상행은 부전행 #1952, 용산행 #1404, 광주행 #1982 열차가 정차하며, 하행은 목포행 #1981, #1951, #1473, #1469 열차가 정차한다. [7] 그나마 경전선 광주 구간 이설 전에는 남광주역, 광주역 등이 광주 시내에 있어 이용객이 어느 정도 있었을 것으로 보이나, 경전선 효천역 서광주역만 거치도록 이설된 후에는 서부 경전선 여객수요 자체가 크게 감소했고, 남평역도 이를 피해갈 수는 없었던 것이다. [8] 현재 공사중인 경전선 보성 - 임성리 구간의 문제점이 바로 서울특별시와 수도권 방향으로 직통 운행이 불가하다는 것인데, 나주 - 완도 간 철도가 있었다면 해당 선로를 통해서 서울로 바로 향하는 열차도 운행이 가능했을 테니 조금 아쉬운 부분이라 할 수 있다. [9] 2022년 12월 20일 광주외곽순환고속도로 남장성 분기점 - 남광산 나들목 개통 이전까지는 호남고속도로 북광산 나들목에서 진출해 무안광주고속도로 운수 나들목~ 서광산 나들목을 추가로 경유하거나, 호남고속도로 장성 나들목, 고창담양고속도로 장성물류 나들목으로 진출해 49번 지방도를 이용하거나, 아예 광주에서 1번 국도 13번 국도를 이용해야 했다. [10] 광주제2순환도로를 이용하면 광주광역시 대부분 지역을 손쉽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는 담양군 화순군 북부도 포함된다. [11] 추가로 광주제2순환도로 문흥 분기점을 이용하면 곡성군, 순창군, 남원시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방향으로도 쉽게 접근할 수 있다. [12] 잠시 다도면 유치도암로(방산리)를 지나간다. [13] 기존에는 광신고속 160번 1160번을 운행하였으나 자회사인 나주교통에 시내 노선을 모조리 넘겼으며, 2023년 나주 시내버스 개편 이후 1160번은 폐선되고 161번이 신설되었다. [160] [161] [16] 997번, 998번을 포함하나, 나주버스터미널은 경유하지 않는다. [999] [997&998] [19] 혁신도시를 경유해 서울로 가는 노선은 혁신도시 출발 이후로는 정차지가 없이 직통으로 서울까지 가긴 하지만 엄연히 시외버스이며 정안알밤휴게소 환승도 안 된다. [20] 다시공영버스터미널에는 원래 없었으므로 논외. 이쪽은 다시면을 지나는 시내버스와 완행 시외버스용 정류장에 가깝다. [21] 초기 개통 시에는 일 4회였으나, 수요가 많았는지 일 5회로 증편되었다. [22] 이마저도 2030년 완공 예정인 서부 경전선 개량으로 혁신도시역이 신설되면 창원시 마산역, 창원역, 창원중앙역까지는 2시간 이내, 김해시 장유역 부산광역시 사상역(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 바로 앞), 부전역까지 KTX-이음이 2시간대로 끊어줄 예정이라 버스보다 훨씬 빠르고 편하게 부산, 창원, 진주 등의 경남권 주요 도시를 이어주게 되므로 10년 정도의 시한부 우위라고 할 수 있다. [23] 초기에는 고금도를 출발하여 영암, 나주혁신도시를 경유하는 노선이었으나 이후 영암으로 단축되었다가 코로나 19로 폐지되었다. 금호고속 측에 문의해 본 결과 원래도 각 공기업에서 운행하는 전세버스 덕에 수요가 그리 많지 않던 노선인데 코로나 여파로 승객이 더 없어져 운행을 중지했다고 한다. [24] 단, 찾아보면 호출료가 따로 없는 콜택시도 있다. [25] 정확히는 나주역이나 터미널 주변 등 원도심에서 혁신도시를 가기 위해 택시를 이용하는 것까지 거부하는 것은 아니라서 편하게 이용이 가능하지만, 혁신도시 내부 구간을 이용하거나 혁신도시에서 밖으로 나오려고 택시를 잡을 때 불편하다는 이야기이다. [26] 2022년 기준으로 광주공항에서는 제주, 서울(김포)행 여객기를, 무안국제공항에서는 제주, 서울(김포), 오사카(간사이), 상하이(푸둥), 방콕(수완나품)행 등의 여객기를 이용할 수 있다. 2020년부터 2022년까지는 코로나 19 여파로 무안국제공항의 국제선 여객 영업이 전면 중단되었었으며, 2023년 일부 노선 복항을 시작으로 국제선 운항이 차차 재개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