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화민국 국민정부 군사위원장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군사위원회 주석 | |||
초대 왕징웨이 |
제2대 장제스 |
제3대 후한민 |
제4대 장제스 |
|
군사위원회 위원장 | ||||
초대 장제스 |
국민정부 군사위원회 國民政府軍事委員會 Military Affairs Commission of the National Government |
|
국민정부 군사위원회 위원장의 기 | |
<colcolor=#fff> 국가 | <colbgcolor=#fff,#1f2023> 중화민국 국민정부 |
설립일 |
1925년
7월 1일 1932년 3월 5일(재설치) |
폐지일 | 1946년 5월 15일 |
[clearfix]
1. 개요
|
가장 널리 알려진 국민정부 군사위원회 위원장 장제스[1] |
중국국민당의 당군인 국민혁명군의 최고 통수 기관. 당시 중화민국 국민정부는 국군을 두지 않고 당군이 국군 역할을 대신했다.
2. 상세
사실 국민정부 설립 전부터 군사위원회는 존재했었다. 다만 당시에는 국민정부 소속이 아닌 국민당 소속으로, 중앙집행위원회 산하에 존속해있었다.1925년 7월 1일 광저우 국민정부가 수립되면서 국민정부 소속의 군사위원회도 출범하였다. 당시까지만 해도 크게 별볼 일 없는 조직이었으나 북벌이 진행되며 군사가 정치와 혁명을 압도하게 됨에 따라 군사위원회는 그 누구도 건드릴 수 없는 위치에 올라서게 되었고 그 군사위원회의 수장 장제스는 국민혁명군 총사령관이 되어 단숨에 군권의 최고지도자이자 명실상부한 국민당의 영수로 발돋움하게 된다. 그러다 1928년 중국국민당 제2계 중앙집행위원회 제5차 전체회의에서 훈정 실시가 결정됨에 따라 국민당 군사위원회는 해산되고, 그 권한은 행정원 군정부, 참모본부, 군사참의원이 나눠 가지게 된다. 군사위원회는 해산되었으나 장제스는 그동안 쌓아둔 압도적인 군사통제권과 자신의 파벌인 황포파를 바탕으로 행정원, 입법원, 사법원을 전부 접수하여 국가원수 및 정부수반의 역할을 차지해나간다.
이후 1932년 제1차 상하이 사변이 일어나자 일본과 맞서기 위해 군사위원회의 설립을 재추진했고 1932년 3월 5일 국민정부 군사위원회가 부활한다. 군사위원회 주석은 명목상 국민정부 주석이 임명할 수 있었지만, 실제로 국민정부 주석이었던 린썬 등은 실권이 거의 없어 시도조차 해볼 수 없었다.[2] 군사위원회는 이름상 위원합의제였으나 실제로는 위원장 혼자 국정을 총괄하고 그 밖의 위원들은 위원장이 권력을 잘 행사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밖에 할 수 없었다.
이후 중일전쟁을 거치며 군사위원회의 위상과 중요성은 더더욱 증가했지만 국공내전 전야 국민정부가 훈정을 끝내고 헌정을 실시하기로 결정함에 따라 국민정부 폐지 직전 군사위원회는 폐지되었다. 이후 군사위원회의 기능은 대만 국방부가 넘겨받게 된다.
3. 역대 군사위원회 위원장
- 군사위원회 주석
- 초대 왕징웨이(1925년 7월 1일 ~ 1926년 4월 9일, 총 282일) : 중산함 사건으로 사퇴.
- 제2대 장제스(1926년 4월 16일 ~ 1927년 3월 10일, 총 328일) : 이후 상임위원제로 대체.
- 제3대 후한민(1927년 9월 20일 ~ 1928년 1월 4일, 총 106일)
- 제4대 장제스(1928년 2월 7일 ~ 1928년 11월 7일, 총 274일) : 이후 군사위원회 주석직 폐지.
- 군사위원회 위원장
- 초대 장제스(1932년 3월 6일 ~ 1946년 5월 15일, 총 14년 70일) : 이후 헌정 실시, 군사위원회 폐지.
4. 참고문헌
5. 관련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0096> |
왕징웨이 관련 문서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000096,#ffffff> 사건 | 신해혁명 · 호법운동 · 호법전쟁 · 파리 강화 회의 · 제1차 국공합작 · 랴오중카이 암살 사건 · 중산함 사건 · 영왕운동 · 국민혁명 · 4.12 상하이 쿠데타 · 마일사변 · 국공결렬 · 영한합작 · 장황사변 · 광저우 폭동 · 반장전쟁 · 중원대전 · 제1차 양광사변 · 장왕합작 · 제1차 상하이 사변 · 송호정전협정 · 왕징웨이 저격 사건 · 시안 사건 · 제2차 국공합작 · 중일전쟁 · 왕징웨이 공작 | ||
관련 정치인 | 순친왕 · 쑨원 · 랴오중카이 · 후한민 · 장제스 · 천궁보 · 구멍위 · 저우포하이 · 천비쥔아내 · 천두슈 · 미하일 보로딘 | |||
관련 단체 | 중국혁명동맹회 · 국사공제회 · 중화민국 호법정부 · 중화민국 국민정부 · 우한 국민정부 · 중국국민당 · 개조동지회( 개조파) · 저조구락부 · 예문연구회 · 왕징웨이 정권 | |||
사상 | 왕징웨이주의 | |||
대일정책 | 부저항주의 · 항전준비론 · 일면저항 일면교섭 · 선안내 후양외 · 대일화평론(주화파)중일전쟁 이후 · 화평건국론친일정권 수립 이후 | |||
사회주의 · 파시즘 | }}}}}}}}} |
[1]
통칭 총사령관, 영어로는 Generalissimo Chiang으로 통한다.
[2]
애초에 린썬은
영월합작으로 장제스의 양해를 얻어 주석이 된 처지였기에 다른 마음을 먹었다간 당장 쫓겨나도 이상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