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보호된 문서입니다.
문서의 을 확인하세요.
한국의 성씨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a495,#2d2f34><colcolor=#fff> ㄱ | 가 · 간 · 갈 · 감 · 강 · 강전 · 개 · 견 · 경 · 계 · 고 · 곡 · 공 · 곽 · 관 · 교 · 구 · 국 · 군 · 궁 · 궉 · 권 · 근 · 금 · 기 · 길 · 김 |
ㄴ | 나 · 난 · 남 · 남궁 · 낭 · 내 · 노 · 뇌 · 누 | |
ㄷ | 다 · 단 · 담 · 당 · 대 · 도 · 독 · 독고 · 돈 · 동 · 동방 · 두 · 등 · 등정 | |
ㄹ | 라 · 란 · 랑 · 려 · 로 · 뢰 · 류 · 리 · 림 | |
ㅁ | 마 · 만 · 망절 · 매 · 맹 · 명 · 모 · 목 · 묘 · 무 · 무본 · 묵 · 문 · 미 · 민 | |
ㅂ | 박 · 반 · 방 · 배 · 백 · 번 · 범 · 변 · 보 · 복 · 봉 · 부 · 비 · 빈 · 빙 | |
ㅅ | 사 · 사공 · 산 · 삼 · 상 · 서 · 서문 · 석 · 선 · 선우 · 설 · 섭 · 성 · 소 · 소봉 · 손 · 송 · 수 · 순 · 승 · 시 · 신 · 심 · 십 | |
ㅇ | 아 · 안 · 애 · 야 · 양 · 어 · 어금 · 엄 · 여 · 연 · 염 · 엽 · 영 · 예 · 오 · 옥 · 온 · 옹 · 완 · 왕 · 요 · 용 · 우 · 운 · 원 · 위 · 유 · 육 · 윤 · 은 · 음 · 이 · 인 · 임 | |
ㅈ | 자 · 잠 · 장 · 장곡 · 저 · 전 · 점 · 정 · 제 · 제갈 · 조 · 종 · 좌 · 주 · 준 · 즙 · 증 · 지 · 진 | |
ㅊ | 차 · 창 · 채 · 천 · 초 · 총 · 최 · 추 | |
ㅋ | 쾌 | |
ㅌ | 탁 · 탄 · 탕 · 태 | |
ㅍ | 판 · 팽 · 편 · 평 · 포 · 표 · 풍 · 피 · 필 | |
ㅎ | 하 · 학 · 한 · 함 · 해 · 허 · 혁 · 현 · 형 · 호 · 홍 · 화 · 환 · 황 · 황목 · 황보 · 후 · 흥 | |
초록색: 2015년 기준으로 총 인구 100명 미만인 성씨 한자 표기가 다르더라도 한글 표기가 같으면 합산됨 |
}}}}}}}}} |
{{{#!wiki style="margin: -15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60><tablebordercolor=#669999> 강릉 유씨 |
}}} | |
관향 |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 ||
도시조 | 유전(劉荃)[1] | ||
시조 | 유승비(劉承備)[2] | ||
중시조 | 유창(劉敞)[3] | ||
집성촌 |
서울특별시
강동구
상일동,
강일동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당수동 경기도 화성시 우정읍 멱우리 경기도 김포시 걸포동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정선읍 가수리 전라남도 신안군 비금면 신월리 전라남도 영암군 신북면 월평리 전라남도 장성군 북이면 오월리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부안면 상등리 경상북도 영주시 이산면 용상리 |
||
인구 | 302,511명(2015년) | ||
링크 | 강릉 유씨 대종회 |
[clearfix]
1. 개요
강릉 유씨는 한국의 성씨이다. 묘금도 유씨[4]라고 많이 부른다. 강원특별자치도의 강릉시를 씨의 관향으로 삼고 있다.
2. 역사
시조 유승비(劉承備)의 아버지는 대제학 유연(劉沿)이고, 어머니는 연안 이씨이다. 증손자인 유창(劉敞)이 1371년 즉 고려 공민왕 20년에 문과 급제하여 성균좨주(成均祭酒) 등을 역임하고, 조선 개국공신에 책록되었고, 옥천부원군(玉川府院君)[5]에 봉해졌다.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8명을 배출했다.3. 기원
족보 기준으로 강릉 유씨 자체는 송나라 출신인 유전(劉筌)[6]을 시조로 삼는 거창 유씨의 분적종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성씨들이 으레 그렇듯이 거창 유씨도 모화 사상의 영향으로 중국 한족, 그중에서도 한나라 유방을 조상으로 삼고 있는 성씨족 중 하나다.[7]이처럼 모화 사상으로 인한 족보 위조 현상을 배제하고 볼 때 우리나라 유씨(劉氏)의 기원으로 유추해볼 수 있는 것은 다름아닌 고구려다. 한민족 계통의 유씨로서 가장 먼저 등장하는 인물이 바로 동천왕 대의 장수인 유옥구[8]이며, 이후 같은 성씨를 가진 인물로는 발해 출신의 유충정(劉忠正)[9] 등이 있다. 또 실제로 유씨는 왕족인 대(大)씨, 유력 귀족인 고(高), 왕(王), 이(李), 양(楊), 장(張), 오(烏), 두(竇)씨에 뒤이은 발해의 49가지 귀족 성씨 중 하나이다.[10] 시대적인 흐름과 성씨의 역사적 정황으로 보아 유씨(劉氏)는 실질적으로는 고구려와 발해에 기원을 두어 고려 때 뿌리를 내리고 조선에 이르러 본격적으로 활약했음이 가장 유력하다.
4. 분파
- 감찰공파
- 경력공파
- 군수공파
- 금성공파
- 문이공파
- 백설공파
- 병사공파
- 부사공파
- 술제공파
- 선교랑공파
- 어사공파
- 은제공파
- 좌랑공파
- 주부공파
- 호판공파
- 천방공파
5. 항렬
대동항렬을 쓴다. 표는 도시조 유전(劉荃)을 1세로 하여 계산한 것인데, 시조 유승비(劉承備)를 1세로 하여 계대하려면 세수에서 8을 빼면 된다. 예컨대 30세 재(載)○ 항렬은 시조 유승비의 22세손(=21대손)이다.도시조 | 시조 | <colbgcolor=#fff,#1c1d1f> 항렬자 |
27세 | 19세 | ○원(源) |
28세 | 20세 | 병(秉)○ |
29세 | 21세 | ○렬(烈), ○묵(默) |
30세 | 22세 | 재(載)○, 시(時)○ |
31세 | 23세 | ○종(鍾), ○호(鎬) |
32세 | 24세 | 영(永)○, 승(承)○ |
33세 | 25세 | ○상(相), ○근(根) |
34세 | 26세 | 환(煥)○, 용(容)○[11] |
35세 | 27세 | ○식(埴), ○균(均) |
36세 | 28세 | 현(鉉)○, 진(鎭)○ |
37세 | 29세 | ○수(洙), ○제(濟) |
38세 | 30세 | 동(東)○, 환(桓)○ |
39세 | 31세 | ○섭(燮), ○영(榮) |
40세 | 32세 | 기(基)○, 규(圭)○ |
6. 분포 지역
- 경상북도 영주시 이산면
-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 전라남도 신안군 비금면 구림리·신원리
- 전라남도 강진군
- 전라남도 장흥군
7. 인물
괄호 안의 숫자는 시조 유승비(劉承備) 대신 도시조 유전(劉荃)을 1세로 하여 계산한 값이다.
- 유기천 - 경력공파 24(32)세.
- 나얼 - 본명 유나얼.
- 유남규
- 유남석(법조인)
- 유담 - 유승민의 딸. 병사공파 25(33)세.
- 유대운 - 경력공파 20(28)세.
- 데프콘(가수) - 본명 유대준.
- 유도훈
- 유동근
- 유동하
- 유동훈
- 유명종
- 유민상(정치인) - 개그맨 아니고 정치인.
- 유봉영(1897)
- 유사랑 - 걸그룹 izna의 멤버.
- 유상무
- 유상범 - 군수공파 25(33)세.
- 유상임 - 유상범의 형. 군수공파 25(33)세.
- 유서연
- 유말랑 - 본명 유수종.
- 유수현(정치인) - 경력공파 23(31)세.
- 유수호(정치인) - 병사공파 23(31)세.
- 유승렬 - 파 불명, 21(29)세.
- 유승민 - 유수호의 아들. 병사공파 24(32)세.
- 유승언 - 보이그룹 EVNNE의 멤버. #
- 유승준
- 유영(피겨 스케이팅)
- 유영재
- 유영주
- 유영진(작곡가)
- 유영혁
- 유오성 - 유상임/유상범의 동생. 군수공파 25(33)세.
- 유옥우
- 유용근 - 좌랑공파 26(34)세.
- 유용민
- 유용태 - 금성군파 26(34)세.
- 유용하
- 유인나
- 유재명
- 유재석 - 병사공파, 22(30)세. #
- 유재필
- 유재흥 - 유승렬의 아들. 파 불명, 22(30)세.
- 유준상
- 유준호 - 좌랑공파 27(35)세.
- 카리나 - 본명 유지민. 좌랑공파 25(33)세. #
- 유지애 - 좌랑공파 26(34)세.
- 유지원(아나운서)
- 유지태
- BE'O - 본명 유찬욱.[12]
- 유창순 - 병사공파 24(32)세.
- 유채훈
- 에반(유호석) - 본명 유호석.
- 유훈동 - 유승민의 아들. 병사공파 25(33)세.
- 연두부(인터넷 방송인)
- 소의 유씨
[1]
유(劉)씨의 도시조이자,
한나라 태조 고황제
유방의 40세손으로,
송나라
병부상서(兵部尙書)를 지내다 고려로 귀화하였고 훗날
대제학
박상충의 건의로 숭의전에 배향된 인물이라 한다. 그러나
고려사나
조선왕조실록 등 정식 역사서나 당대의 문헌에서는 그의 이름을 전혀 찾아볼 수 없고, 그의 문집이라는 『죽간선생일집(竹諫先生逸集)』은 한참 뒤인 20세기 초에 간행된 책이라는 점
#으로 보아 유전이라는 인물 역시 다른 가문들과 마찬가지로 모화사상과 자긍심 고취의 이유로 고려·조선 시기에 누군가가 창작한 인물일 뿐 실존하였다고 보기는 어렵다. 중시조
유창의 증조부인 유승비까지는 공식 문헌인 『등과록전편』 등으로 이름을 교차검증할 수 있다.
[2]
도시조 유전(劉荃)의 9세손.
[3]
도시조 유전(劉荃)의 12세손.
[4]
이유는 성인 묘금도 유(
劉) 자의 본래 훈음이 ‘죽일 류’이기 때문이다.
[5]
옥천은 지금의
강릉시
옥계면이다.
[6]
부친은
북송의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 유채(劉采)이며 본관은 팽성(彭城), 자는 원보(源甫), 호는 죽간(竹諫)이었다고 한다. 그가 남겼다고 하는 저서로는 고국산천을 그리며 저술한 죽간일고(竹諫逸稿)가 있었다고 하지만, 이는 한참 후대인 1926년 강릉 유씨인 유세원이 죽간일집으로써 간행한 것이다.
[7]
당장
송나라에서 병부상서를 지내다가 8학사로서
문종의 치세 때인 1082년 고려에 입조했다고 전해지는 유전이란 인물은 한중 양측 사료에서 전해지지 않을뿐더러, 유방의 직계 자손들은 당장 중국에서 모두 단절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8]
위나라
관구검과의 전쟁에서 맹활약한 공을 인정받아 압록원(鴨淥原)과 두눌하원(杜訥河原)을 식읍으로 하사받은 하부(下部; 관노부) 출신의 고구려인.
[9]
고려 목종 대의 신료. 목종의 총애를 받아 지은대사 좌사낭중(知銀臺事左司郎中)이 되었다. 유행간과 더불어 목종과 동성애 등을 행하는 등 전횡을 일삼다가 정변을 일으킨
강조에 의해서 살해당했다.
[10]
金毓黻, ≪渤海國志長編≫ 권 16, 族俗考 3.
[11]
경상북도 영주시 이산면 용상리에서는 항렬자를 사용하지 않고 돌림자로 병(炳)을 사용한다. 병사공파의 항렬자인지 용상리에서 사용하는 돌림자인지는 확인이 필요하다.
[12]
한동안 창원 유씨로 알려져 있었으나, 1theK 본인등판 비오 에피소드에서 강릉 유씨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