鳴 울 명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鳥, 3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4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メイ, ミョウ
|
||||||
일본어 훈독
|
な-く, な-る, な-らす
|
||||||
鸣
|
|||||||
표준 중국어
|
míng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鳴은 '울 명'이라는 한자로, '(동물 따위가) 울다', '울음소리' 등을 뜻한다.[1]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울다 |
음 | 명 | |
중국어 | 표준어 | míng |
광동어 | ming4 | |
객가어 | mìn | |
민남어 | bêng | |
오어 | min (T3) | |
일본어 | 음독 | メイ, ミョウ |
훈독 | な-く, な-る, な-らす | |
베트남어 | minh |
유니코드에는 U+9CF4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RHAF(口竹日火)로 입력한다.
口(입 구)와 鳥(새 조)가 합쳐진 회의자다. 형태로나 의미로나 口부 한자로 알기 쉽지만, 鳥부에서 찾아야 한다.
3. 용례
3.1. 단어
- 각명전( 角鳴 箭)
- 경문열석 명성파옹( 驚 紋 裂 石 鳴 聲 破 甕)
- 계명( 鷄鳴)
- 고장불명 단사난면( 孤 掌 不鳴 單 絲 難 綿)
- 공명( 共鳴)
- 고유공명( 固 有 共鳴)
- 공명관( 共鳴 管)
- 공명기( 共鳴 器)
- 공명단( 共鳴 團)
- 공명설( 共鳴 說)
- 공명소음기( 共鳴 消 音 器)
- 공명실( 共鳴 室)
- 공명진동( 共鳴 振 動)
- 공명판( 共鳴 板)
- 공명현( 共鳴 弦)
- 자기공명( 磁 氣 共鳴)
- 기명악기( 氣鳴 樂 器)
- 뇌명( 雷鳴)
- 닭오려( 雞鳴 稻)
- 대명( 大鳴)
- 마명( 馬鳴)
- 막명악기( 膜鳴 樂 器)
- 명가군(鳴 笳 軍)
- 명검(鳴 劍)
- 명고(鳴 鼓)
- 명곡(鳴 谷)
- 명관(鳴 管)
- 명궁(鳴 弓)
- 명금(鳴 金)
- 명금(鳴 禽)
- 명금(鳴 琴)
- 명구(鳴 鳩)
- 명기(鳴 器)
- 명길(鳴 吉)
- 명낭(鳴 囊)
- 명대(鳴 代)
- 명대조(鳴 大 鳥)
- 명동(鳴 動)
- 명라(鳴 螺)
- 명란(鳴 鑾)
- 명량(鳴 梁)
- 명로(鳴 露)
- 명발(鳴 鈸)
- 명비(鳴 鼻)
- 명사(鳴 謝/鳴 沙/鳴 砂)
- 명서(鳴 瑞)
- 명설(鳴 舌)
- 명숙(鳴 叔)
- 명양(鳴 洋)
- 명연기(鳴 鳶 旗)
- 명익(鳴 翼)
- 명적(鳴 鏑)
- 명종(鳴 鐘)
- 명학(鳴 鶴)
- 명향(鳴 響)
- 명홍(鳴 鴻)
- 명흔(鳴 掀)
- 목맥명 이부명( 木 麥 餠 二 缶鳴)
- 복명( 腹鳴)
- 봉명( 鳳鳴)
- 비명( 悲鳴)
- 산명( 山鳴)
- 삼함일명지계( 三 緘 一鳴 之 戒)
- 선명( 蟬鳴)
- 선명( 善鳴)
- 시명종( 時鳴 鍾)
- 신사이과 명부언용( 神 祀 已 過 鳴 缶 焉 用)
- 신사후 낭명부( 神 祀 後 浪鳴 缶)
- 신사후 명부( 神 祀 後 鳴 缶)
- 오십이성 명성첩증( 烏 十 二 聲 鳴 聲 輒 憎)
- 와명( 蛙鳴)
- 우명지( 牛鳴 地)
- 유명춘치 자속기화( 有鳴 春 雉 自 速 其 禍)
- 이명( 耳鳴)
- 일명( 一鳴)
- 자명( 自鳴)
- 장명( 長鳴)
- 전명악기( 電鳴 樂 器)
- 종명( 鐘鳴)
- 주명곡( 奏鳴 曲)
- 지명( 地鳴)
- 척장난명 일고난행( 隻 掌 難鳴 一 股 難 行)
- 천명( 喘鳴)
- 체명악기( 體鳴 樂 器)
- 춘산치이명사( 春 山 雉 以鳴 死)
- 취명( 吹鳴)
- 폭명( 爆鳴)
- 해명( 海鳴)
- 현명악기( 絃鳴 樂 器)
- 화명( 和鳴)
- 후명( 後鳴)
3.2. 고사성어/ 숙어
- 격고명금( 擊 鼓鳴 金)
- 계명구도( 鷄鳴 狗 盜)
- 계명구폐( 鷄鳴 狗 吠)
- 계명지객( 鷄鳴 之 客)
- 계명지조( 鷄鳴 之 助)
- 계명축시( 鷄鳴 丑 時)
- 고장난명( 孤 掌 難鳴)
- 독장불명( 獨 掌 不鳴)
- 명고이공(鳴 鼓 而 攻)
- 명금삼성(鳴 金 三 聲)
- 명봉재수(鳴 鳳 在 樹)
- 명학재음기자화지(鳴 鶴 在 陰 其 子 和 之)
- 문맹지명( 蚊 虻 之鳴)
- 백가쟁명( 百 家 爭鳴)
- 봉명조양( 鳳鳴 朝 陽)
- 불비불명( 不 飛 不鳴/ 不 蜚 不鳴)
- 불평지명( 不 平 之鳴)
- 산명곡응( 山鳴 谷 應)
- 산우야명죽 초충추입상( 山 雨 夜鳴 竹 草 蟲 秋 入 床)
- 삼년불비우불명( 三 年 不 飛 又 不鳴)
- 선조와명( 蟬 噪 蛙鳴)
- 앵명( 嚶鳴)
- 여명견폐( 驪鳴 犬 吠)
- 와명선조( 蛙鳴 蟬 噪)
- 와부뇌명( 瓦 釜 雷鳴)
- 웅계야명( 雄 鷄 夜鳴)
- 음덕유이명( 陰 德 猶 耳鳴)
- 일명경인( 一鳴 驚 人)
- 일우명지( 一 牛鳴 地)
- 잠어약청파 호조명고지( 潛 魚 躍 淸 波 好 鳥鳴 高 枝)
- 종명누진( 鐘鳴 漏 盡)
- 종명정식( 鐘鳴 鼎 食)
- 춘치자명( 春 雉 自鳴)
- 태산명동서일필( 泰 山鳴 動 鼠 一 匹)
- 풍불명지( 風 不鳴 枝)
- 학명지탄( 鶴鳴 之 歎)
- 함곡계명( 函 谷 鷄鳴)
3.3. 인명
- 나루미 나쿠루(鳴 海 ナクル)
- 나루미 마이(鳴 海 まい)
- 나루세 시로하(鳴 瀬 しろは)
- 나루세 코바토(鳴 瀬 小 鳩)
- 나루카미 사바키(鳴 神 裁)
- 나루코 쇼키치(鳴 子 章 吉)
- 나키기츠네 쿠니요(鳴 狐 くによ)
- 나키메(鳴 女)
- 뇌명검 이카즈치( 雷鳴 剣 黃 雷)
- 누에노 메이스케( 鵺 野 鳴 介)
- 마치오 나루조( 街 雄 鳴 造)
- 메이고 아리사(鳴 護 アリサ)
- 메이타 이시로(鳴 田 射 士 郎)
- 위철명( 魏 哲鸣)
- 유사 나루코( 遊 佐 鳴 子)
- 이오로이 나루미( 五 百 蔵 鳴 海)
- 자명( 自鳴)
- 카미나리 덴키( 上鳴 電 気)
- 카자나리 츠바사( 風鳴 翼)
- 히메지마 교메이( 悲鳴 嶼 行 冥)
3.4. 지명
-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갈말읍 명성로(鳴 聲 路)
-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명학로(鳴 鶴 路)
- 경상남도 함양군 수동면 우명리( 牛鳴 里)
- 경상북도 경산시 남천면 대명리( 大鳴 里)
- 나루미역(鳴 海 駅)
- 나루이시역(鳴 石 駅)
- 나루코고텐유역(鳴 子 御 殿 湯 駅)
- 나루코온천역(鳴 子 温 泉 駅)
- 녹명( 鹿鳴)
- 대전광역시 서구 우명동( 牛鳴 洞)
- 명고역(鳴 皐 驛)
- 명량(鳴 良)
- 명양(鳴 陽)
- 명평(鳴 平)
- 명학역(鳴 鶴 驛)
- 봉명광산( 鳳鳴 鑛 山)
- 봉명역( 鳳鳴 驛)
-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명학리(鳴 鶴 里)
- 우명산성( 牛鳴 山 城)
- 장명산( 長鳴 山)
- 전라남도 무안군 몽탄면 봉명양장로( 鳳鳴 良 將 路)
- 충청남도 금산군 제원면 명암리(鳴 巖 里)
- 충청북도 충주시 계명대로( 鷄鳴 大 路)
3.5. 창작물
- だから僕らは鳴らすんだ!
- 鹿鳴館の怪人
- 月鳴 -moonlit urge-
- 共鳴性白染自由主義
- 下水鳴動して鼠一匹
- 共鳴( 공명)
- 共鳴世界の存在論( 공명세계의 존재론)
- 共鳴遊戯の華( 공명유희의 꽃)
- そしてベルが鳴る(그리고 벨이 울린다)
- 飛べないぼくと鳴かない黒猫( 날수 없는 나와 울지 않는 검은고양이)
- 飛べない鳥は夜に鳴く( 날지 못하는 새는 밤에 운다)
- 誰がその鐘を鳴らすのか?(누가 그 종을 울릴 것인가?)
- 땅울림(地鳴らし)
- 最終ベルが鳴る(마지막 벨이 울린다)
- 명량(鳴 梁)
- 鳴石碑( 명석비)
- アスファルトを鳴らして( 아스팔트를 울리며)
- 与我共鸣 -NENTEN-( 여아공명 -NENTEN-)
- 幸せが鳴る夜に( 행복이 울려퍼지는 밤에)
3.6. 기타
4. 유의자
- 咯(울 각, 토할 객, 말다툼할 락)
- 𠲮[⿰口巠](울 경)
- 呱(울 고)
- 哭(울 곡)
- 咷(울 도)
- 唳(울 려)
- 㦁(울 련)
- 𠾥[⿰哥令](울 령)
- 嘹(울 료)
- 𠷈(울 률)
- 喿(울 소/조)
- 欰(울 술)
- 嘶(울 시)
- 㘇(울 영)
- 鷕(울 요)
- 呦(울 유)
- 泣(울 읍)
- 偯(울 의)
- 𣤷[⿰⿳士⿰㠯㠯木欠](울 잡)
- 𠯬[⿰口龰](울 절)
- 啼(울 제)
- 𠿈[⿰口愁](울 추)
- 哵(울 팔)
- 𡂘[⿰口麃](울 표)
- 𠽩[⿰口筆](울 필)
- 𤀃[⿰氵⿸虍言](울 호)
- 𠰓[⿱口禾](울 화)
- 𠴣[⿰口⿱丷句](울 후)
5. 상대자
- 𠽁[⿰口處](웃을 갹)
- 𧮫[⿱仌口](웃을 갹/각)
- 嚧(웃을 로)
- 呅(웃을 매)
- 嗙(웃을 방/병)
- 歮(웃을 색)
- 笑/ 咲(웃을 소)
- 哂(웃을 신)
- 啞/ 䛩(웃을 액)
- 齴(웃을 언)
- 逌(웃을 유)
- 听(웃을 은)
- 謚(웃을 익)
- 𠷁[⿰口前](웃을 전)
- 辴(웃을 진)
- 𣤱[⿰毚欠](웃을 참)
- 欪(웃을 출/훌)
- 𧩼[⿰言致]/ 𠱟[⿰口⿱匕木](웃을 치)
- 㗿(웃을 하)
- 𣢑[⿰㞢欠](웃을 해)
- 𠹛[⿰口豈](웃을 해/개)
- 𣢝[⿰令欠](웃을 형)
- 𠯜[⿰口勾](웃을 후)
- 唏/ 繥(웃을 희)
- 咥(웃을 희, 깨물 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