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0 09:22:09

SAWS(군사사업)

SAWS
Small Arms Weapon Systems
소화기 무기 체계
이력
역사 1964년~1966년
분류 기본형 돌격소총 도입
지원형 돌격소총 도입
단축형 돌격소총 도입
국가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운용 미국 육군
미국 해병대
담당 미합중국 육군전투개발사령부
결과 XM16E1 개수 결정
M60 현용 유지
1. 개요2. 상세3. 출처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SAWS(소화기 무기 체계, Small Arms Weapon Systems)은 1964년부터 1966년까지 진행된 미국 육군 미국 해병대 돌격소총 연구 및 도입 사업이며, 스토너 63 등의 5.56mm 신형 기종들이 제출되었으나 주요 비교 대상인 XM16E1과의 격차를 내지못하고 포트 베닝에서의 성능 시험과 베트남 현지에서의 시범 운용을 끝으로 중단되었다.

2. 상세

소화기 무기 체계 사업 입안, 1964년~1965년
성능 심사 및 평가, 1965년~1966년
사진 명칭 개발 참조
파일:xm16e1_sheet 1.jpg XM16E1 파일:미국 국기.svg 콜트 매뉴팩처링
파일:car15hbar(model606b)_sheet 0.png CAR-15 HBAR M1
파일:car15-smg_sheet 0.jpg CAR-15 SMG
파일:xm22_sheet 0.jpg Stoner 63 Rifle 파일:미국 국기.svg 캐딜락 게이지
파일:Stoner_63A_LMG.jpg Stoner 63 LMG
파일:xm23_sheet 0.jpg Stoner 63 Carbine
파일:m14-original_sheet 0.jpg M14 파일:미국 국기.svg 스프링필드 조병창
파일:m14e2_sheet 0.jpg M14E2
파일:m60_profile 0.jpg M60
파일:external/www.imfdb.org/Armalite-AR18.jpg AR-18 파일:미국 국기.svg 아말라이트
파일:t233_sheet 1.jpg T223 파일:독일 국기.svg 헤클러 운트 코흐
파일:미국 국기.svg 해링턴 & 리처드슨
타임라인 펼치기 · 접기
* 1964년
  • 11월 - 로버트 맥나마라 미합중국 국방부장관 스프링필드 조병창을 포함한 군사 시설 95개소를 단계적으로 폐쇄할 계획을 발표했다. 특히 스프링필드 조병창의 가동 중단은 연간 460만 달러를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앞으로의 소화기 사업은 민간 업체의 입찰을 통해 더 낮은 비용으로 진행할 수 있다고 보았다.
  • 11월 - 사이러스 밴스 미국 국방부부장관 미국 육군부에게서 소화기 무기 체계 사업 명칭의 요약본을 수령했다.
  • 11월 - 미합중국 육군에서는 이전 달에 추가 주문이 이루어진 M16 33,822정의 수정 계약이 체결되었다.
  • 11월 - 미합중국 육군군수참모부장 로렌스 링컨 중장 미합중국 육군참모총장 해롤드 존슨 대장에게 1966년 회계 연도까지 기존의 M14 M1 조합으로는 요구 사항을 충족하지 못할 뿐더러 1970년 회계 연도에는 85,813정의 물량 부족에 시달리게 될 것이라고 강조된 M14 조달 연구 보고서를 제출했다. 또한 그는 미합중국 육군참모부에서 후속 기종이 도입되기 전까지 M16보다는 M14를 선호한다고 밝혔으며, M14 100,000정의 조달을 예산에 추가할 것을 권고했다.
  • 11월 - 미국 해병대 대변인은 사이러스 밴스 미합중국 국방부부장관에게 스토너 63 계열에 관심이 없는 미합중국 육군이 일정을 일부러 지연시키고 있음을 보고했으며, 뒤이어 미합중국 국방과학기술차관보가 해롤드 존슨 대장에게 위 의견에 동조하는 인물들이 미합중국 국방부 내에서 급속히 늘어났다고 전했다. 이후 그는 미합중국 육군 참모부, 미합중국 대륙육군사령부, 미합중국 육군전투개발사령부, 미국 육군물자사령부에게 해당 기종 운용과 관련된 교리와 군수 체계를 세우고 철저한 군용 검증 시험을 함께 진행하도록 지시를 내렸다.
  • 11월 - 미합중국 육군연구개발부장 윌리엄 딕 중장은 사이러스 밴스 미합중국 국방부부장관에게 전달된 외부 제안에 대한 반대라는 제목의 요약본에는 해당 시점에도 미완성 상태에 있는 스토너 63 및 AR-15 계열의 설계와 만족스럽지 못한 테스트 결과를 이유로 들어 미합중국 육군이 타당한 요구 조건 충족 없이 이를 구매하는 것에 대해 의구심을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 11월 - 미합중국 육군시험성능평가사령부에서는 미합중국 육군물자사령부의 요청을 받아 스토너 63 계열의 공학적 요소와 제식 용도의 적합성을 따지는 테스트 계획을 수립했다.
  • 11월 - 미합중국 해병대의 입장 전달이 있었던 전날, 해롤드 존슨 대장은 스티븐 에일스 미합중국 육군부차관에게 스토너 63 계열에 관련된 견해에는 두 군종이 차이를 가지고 있고 1967년 회계 연도까지 M14의 수량 상황은 아직 양호하므로 1966년 회계 연도의 조달 제한을 받아들이되 전면적인 재평가를 거친 이후의 소화기 연구 개발 사업의 진행과 양측의 전투 효율성을 위해서라도 신중한 접근 없이 결정을 성급하게 내리는 일은 없어야 한다고 했으며, 미합중국 해병대사령관 월레스 그린 대장에게서 간접적인 동의를 구두로 확인했음을 알리는 요약본을 전달했다.
  • 11월 - 다음 날 해롤드 존슨 대장은 미합중국 육군참모부에게 1965년부터 1980년까지 기존 체계와의 철저한 비교를 통해 우수한 제품군으로 대체하기 위한 소화기 무기 체계 사업의 검토와 평가에 착수하도록 CSM 64-484 요약본을 통해 공식 지시했다.
  • 11월 - 로렌스 링컨 중장이 제시한 1966년 회계 연도의 M14 100,000정 조달 권고가 공식 철회되었다.
  • 11월 - 미합중국 육군보병위원회에서는 AR-18의 군용 잠재성을 따지는 테스트의 최종 보고서가 발행되었다.
  • 11월 - 미합중국 해병대작전분석단에서는 스토너 63로 무장한 보병 분대의 사격 데이터 분석 결과가 발행되었다.
  • 12월 - 휘하 통솔을 맡은 미합중국 육군전력개발참모 벤 해럴 중장은 CSM 64-555 요약본을 통해 소화기 무기 체계 사업과 관련된 세부 지침을 발표했다.
  • 12월 - 소화기 무기 체계 사업의 일정이 다음 해 7월 1일까지 진행되어 1966년 7월 31일에 최종 결정이 내려지도록 잡혀졌다.
  • 12월 - 미합중국 육군전투개발사령부에서는 소화기 무기 체계 사업 업무에 착수했다.
  • 1965년
    • 불명 - 미완성된 설계의 AR-18이 소화기 무기 체계 사업 참여를 위해 총 27정(자료에 따라서는 29정) 주문되었다.
    • 불명 - HK33 초기형이 T223 명칭으로 해링턴 & 리처드슨 사에 소량 수입되어 소화기 무기 체계 사업에 제출되었다.
    • 불명 - 네덜란드 NWM 사에게 스토너 63의 해외 사업권이 승인되었으나, 총열을 제외한 나머지 부품의 생산권이 확보되지 못해 캐딜락 게이지 사에서 수입한 다음 조립해야 했다.
    • 1월 - 유진 스토너는 스토너 63의 탄띠 및 탄통 설계의 특허를 출원했다.
    • 2월 - 미합중국 육군시험성능평가사령부에서는 소화기 무기 체계 사업을 위한 각 시설들의 책임을 요약한 서신이 발송되었다.
    • 2월 - 미합중국 육군전투개발사령부 소총평가단에서는 소화기 무기 체계 사업과 관련된 실험 계획서가 발행되었다.
    • 2월 - 미합중국 육군시험성능평가사령부에서는 소화기 무기 체계 사업과 관련된 공학 및 제식 테스트 계획서가 발행되었다.
    • 3월 - 미합중국 육군전투개발사령부에서는 소화기 무기 체계 사업과 관련된 전투 개발 지침을 발행했으며, 이를 수행하는데 드는 책임 전반이 보병연구국에게 일임되었다.
    • 3월 - 미합중국 육군전투개발사령부 보병연구국에서는 공학 및 제식 테스트(미합중국 육군시험성능평가사령부), 보병 테스트(미합중국 대륙육군사령부), 실전 실험(미합중국 육군전투개발사령부), 컴퓨터 시뮬레이션( 합동무기연구국), 무기 시스템 자료 수집( 탄도학연구소), 조달 및 단가 자료 수집( 무기사령부) 업무를 분배시켰다.
    • 3월 - 미합중국 육군전투개발사령부에서는 소화기 무기 체계 사업 지침서가 발행되었다.
    • 3월 - 미합중국 육군전투개발사령부 보병연구국에서는 소화기 무기 체계 사업과 관련된 공학 및 제식 테스트의 지표와 기준이 발표되었다.
    • 4월 - 미합중국 육군전력개발참모부에서는 소화기 무기 체계 사업과는 별개의 입장을 밝히는 M16 요구 조건서가 공개되었다.
    • 4월 - AR-15 기획관리부장 해롤드 욘트 중령은 육군 소화기 무기 체계 사업 제목의 서신을 작성했다.
    • 4월 - 미합중국 육군시험성능평가사령부에서는 서신이 발행되었다.
    • 4월 - 미합중국 해병대 상륙전력개발연구소에서 스토너 63 무기 체계의 보고서가 발표되었다.
    • 4월 - 미합중국 육군에서는 스토너 63 파생형 861정이 주문되었다.
    • 4월 - 스토너 63의 극한지 테스트가 종료되었다.
    • 4월 - 미합중국 해병대전력개발연구소에서는 스토너 63의 추가 실전 테스트를 권고하는 최종 보고서가 미합중국 해병대사령부로 제출되었다.
    • 5월 - 해롤드 존슨 대장은 소화기 무기 체계 사업이 완료되기 전까지 이전부터의 소화기 연구 개발 사업이 변경되지 않을 것이며, M16 생산 라인의 유지 역시 필요하지 않다고 다니엘 루에바노 시설군수차관보와 의논했다.
    • 5월 - 해롤드 욘트 중령은 소화기 무기 체계 사업 정보 제2차 서신을 작성했다.
    • 5월 - 미합중국 육군보병위원회에서는 소화기 무기 체계 사업의 테스트 일정이 제출되었다.
    • 6월 - 보병연구국에서는 소화기 무기 체계 사업의 매개변수 설계를 위한 시스템 제약 요소가 발표되었다.
    • 7월 - 미합중국 육군전투개발사령부에서는 소화기 무기 체계 사업 관련 실험 65-4번 개략계획서가 발표되었다.
    • 7월 - 미합중국 육군보병위원회 주관의 소화기 무기 체계 사업 테스트가 미국 조지아 주 포트 베닝에서 진행되었다.
    • 9월 - 미합중국 육군전투개발사령부 소총평가단에서는 소화기 무기 체계 사업 관련 실험 개략계획서가 발행되었다.
    • 11월 - 포트 베닝에서의 테스트가 종료되었다.
    • 11월 - 미합중국 육군 재정관리차관실 산하 작전연구부의 특수 고문 윌버 B. 페인 박사는 WC846 볼 파우더가 들어간 탄약에서 발생하는 기능 고장 문제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는 의견서를 미합중국 국방부 관계자에게 제출했으며, 또한 그는 소화기 무기 체계 사업 심사 때처럼 베트남 환경에서도 충분히 벌어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 12월 - 미합중국 육군보병위원회에서는 현용 7.62mm 무기군( M14, M14E2, M60)이 사업 심사용 5.56mm 무기군( CAR-15, 스토너 63, T223, AR-18)보다 신뢰성이 뛰어나다는 보고서가 발표되었으며, 기존의 장약 CR8136 대신 WC846이 쓰인 탄약을 사용할 경우 더 자주 기능 고장을 나타낸 XM16E1 외의 나머지 5.56mm 무기군이 7.62mm 무기군을 상회하는 성능을 보일 때까지 채택의 보류가 권고되었다.
    • 12월 - 미합중국 육군항공대위원회에서는 소화기 무기 체계 사업에 편입된 항공기 승무원용 개인화기의 소규모 제식 테스트 보고서가 발표되었다.
    • 12월 - 미합중국 육군시험성능평가사령부 개발제식검증단에서는 소화기 무기 체계 사업의 공학 테스트 부분 제1차 보고서가 발표되었다.
    • 12월 - 미합중국 육군시험성능평가사령부에서는 소화기 무기 체계 사업의 공학, 제식, 제식 유형 테스트 보고서가 발표되었다.
  • 1966년
    • 1월 - 미합중국 육군에서는 M16의 조달 수량이 총 81,810정으로 추산되었다.
    • 1월 - 콜트 사에서는 포스터 스터트반트와 기술협력위원회의 협력을 통해 개량된 신형 반동완충기 유진 스토너 설계의 구형보다 3배 무거워졌지만, 이를 적용한 CAR-15 HBAR M1의 기능고장 횟수가 1,000발당 3.02회로 현격하게 줄어들었다. 또한 해당 부품의 추가 테스트와 평가는 스프링필드 조병창에게 할당되었다.
    • 1월 - 프랭크포드 조병창에서는 구형 반동완충기의 XM16E1 4정과 AR-15 2정의 12,000발 테스트가 진행되었다.
    • 1월 - CAR-15 SMG 2,050정 조달이 승인되었다.
    • 1월 - 미합중국 육군전투개발사령부에서는 모든 M16 계열에 적용시킬 수 있는 30발의 곡선형 탄창 개발을 콜트 사에게 요청했으나, 아랫총몸의 가공 공차 문제로 설계에 난항을 겪었다.
    • 1월 - 미합중국 육군시험성능평가사령부에서는 소화기 무기 체계 사업의 공학 및 제식 테스트 결과 분석이 발표되었다.
    • 2월 - M16의 훈련이 모든 주월 미합중국 육군 부대로 확대되었다.
    • 2월 - 미합중국 육군전력개발참모부의 시어도어 콘웨이 중장은 일부 권총 기관단총을 대체할 수 있는 CAR-15 SMG의 주월 미합중국 육군 배치 요청을 승인했다.
    • 2월 - 주월 미합중국 육군에서는 M16 총열 청소용 꽂을대와 약실 청소용 의 긴급 요청이 제기되었다.
    • 2월 - 미합중국 국무부 군수통제국에서는 아말라이트 사와 일본 호와 사의 AR-18 공동 생산 계약이 승인되었다.
    • 3월 - 개발제식검증단에서는 소화기 무기 체계 사업의 공학 테스트에 관한 최종 보고서 제1권과 제2권이 발표되었다.
    • 4월 - 탄도학연구소에서는 소화기 무기 체계 사업의 유효성 데이터가 발표되었다.
    • 4월 - 캐딜락 게이지 사에서는 스토너 63A로 알려진 스토너 63의 개량형이 공개되었다.
    • 4월 - 미합중국 해병대 병참과에서는 XM16E1 조달이 개시되었다.
    • 4월 - M16 및 XM16E1의 제원이 스프링필드 조병창 구매명세서 253B에 따라 갱신되었다.
    • 4월 - 미합중국 육군전투개발사령부에서는 1975년까지의 소총수 분대 연구가 발표되었다.
    • 4월 - 미합중국 육군전투개발사령부에서는 소화기 무기 체계 사업의 분석 필수요소 제목의 서신이 발행되었다.
    • 4월 - 콜트 사에서는 포트 오드에서의 소화기 무기 체계 사업 심사 중에 노리쇠 멈치가 쉽게 해제되는 문제점에 대한 방책으로 해당 부품의 스프링 장력을 높이는 기술 조치 요청서가 제출되었다.
    • 5월 - 미합중국 육군에서는 1966년 회계 연도의 M16 조달 수량이 총 482,770정으로 추산되었다.
    • 5월 - 로버트 맥나마라 미합중국 국방부장관은 하원 군사위원회 중의 발언에서 콜트 사 단독으로 M16 조달을 맡기는 것이 2차 공급원 없이도 결과적으로 더 빠를 것이라고 밝혔다.
    • 5월 - 미합중국 육군시험성능평가사령부에서는 소화기 무기 체계 사업에 관련된 7.62mm 제식화기 및 적성화기 및 5.56mm 시험화기 기종으로 무장한 소총 및 기관총 분대의 전투력과 이중탄자의 실전 성능을 따지는 현장 실험이 진행되었으며, 이후 반동이 낮은 5.56mm 기종이 전반적으로 우월하다는 결과가 발표되었다.
    • 5월 - 콜트 사에서는 포트 오드에서의 소화기 무기 체계 사업 심사 중에 장전 손잡이의 걸쇠가 쉽게 해제되는 문제점에 대한 방책으로 해당 부품의 스프링 장력을 높이는 기술 조치 요청서가 제출되었다.
    • 6월 - 미합중국 육군전투개발사령부에서는 소화기 무기 체계 사업의 보병 훈련 테스트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
    • 6월 - 미합중국 육군전투개발사령부에서는 소화기 무기 체계 사업의 보병 적용 테스트 결과가 발표되었다.
    • 6월 - 과거에 스프링필드 SPIW, AAI SPIW, 자이로젯의 평가를 맡은 부즈-앨런 응용연구소에서는 소화기 무기 체계 사업의 컴퓨터 시뮬레이션과 보병 테스트 결과가 발표되었다.
    • 6월 - 미합중국 육군시험성능평가사령부에서는 품질관리와 탄약이 XM16E1의 낮은 신뢰성에 미치는 영향의 조사가 필요하다는 보고서가 제출되었다.
    • 7월 - 미합중국 육군에서는 신형 반동완충기 도입이 승인되었다.
    • 7월 - 미합중국 육군전력개발참모부의 제임스 폴크 중장은 해롤드 존슨 대장에게 미합중국 육군 소화기 연구개발을 위한 장기 사업 제목의 요약본을 보냈다.
    • 8월 - 주월 베트남 미합중국 육군의 모든 부대에 XM16E1이 지급되었다.
    • 8월 - 미합중국 해병대 상륙군에 XM16E1 500정이 지급되었다.
    • 8월 - 미합중국 육군전투개발사령부에서는 소화기 무기 체계 사업의 최종 결론이 내려졌다.
    • 8월 - 보병연구국에서는 그동안의 컴퓨터 시뮬레이션과 선택적 현대화 개념에 따라 1970년으로 예정된 특수목적보병화기의 개발 전까지 XM16E1을 제외한 나머지 기종 조달은 없을 것이며, 1972년으로 예정된 범용기관총 개발 전까지 M60의 현용 지위가 계속 유지될 것이라는 주요 권장 사항이 공개되었다.
    • 8월 - 보병연구국에서는 실사격 테스트에 들어가는 소대화기 조합의 전투 효율성 측정 체계 마련, 보다 포괄적이고 세밀한 시뮬레이션용 프로그램 개발, 이중탄자 7.62×51mm NATO 탄약 보급, 로켓 추진식 소화기 실용화 등의 2차 권장 사항이 공개되었다.
    • 8월 - 소화기 무기 체계 사업의 연구 결과가 미합중국 육군참모부에게 전달되었다.
    • 8월 - 미합중국 육군전투개발사령부에서는 보병연구국의 권장 사항이 일부 수정된 서신이 제임스 폴크 중장에게 제출되었다.
    • 9월 - M16 및 M14 재고가 부족해지면서 미국 본토의 부대에는 M1 개런드가 지급되었다.
    • 9월 - 미합중국 육군 전력계획분석국장 제이콥 스톡피쉬 박사는 소화기 무기 체계 사업의 수석 과학 고문을 맡아 미합중국 육군전투개발사령부에서 제공된 데이터에 의존한 연구를 수행했으며, 현 시점에서의 조달은 스토너 63의 추가 채택 가능성을 염두에 둔 상태에서 XM16E1 및 M60이 중심이 될 것과 특수목적보병화기를 장기적인 연구개발 사업으로 재편성시킬 것이 권고된 서신을 해롤드 존슨 대장에게 보냈다.
    • 9월 - 그동안 장애물에 걸려 파손되거나 총열 내부로 물이 들어가기 쉬웠던 XM16E1의 갈래형 소염기 새장형 대체 승인이 내려졌다.
    • 9월 - 미합중국 해병대 상륙전력개발연구소에서의 소화기 관련 입장문이 발표되었다.
    • 9월 - 월레스 그린 대장은 소화기 무기 체계 사업의 연구 결과와 참고 문헌을 바탕으로 5.56mm 기종 간의 성능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으며, 비교군으로 쓰인 7.62mm 기종보다 화력과 중량 면에서 우수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스토너 63에 관해서는 M60의 대체 가능성을 일축한 대신, 모듈 설계 개념의 추가적인 평가와 태평양 지역의 다른 해병들에게도 XM16E1 조달이 필요하다는 의사를 내비쳤다.
    • 9월 - 미합중국 육군전투개발사령부에서는 소화기 무기 체계 사업의 보병 적용 테스트와 위험성 고려 보고서가 발표되었다.
    • 10월 - 해롤드 욘트 대령의 부관 허버트 언더우드 중령은 콜트 사의 직원들과 함께 베트남 현지로 가서 XM16E1의 잦은 기능고장의 원인을 조사했는데, 이는 장교 부사관의 숙지가 이루어지지 않아 과도한 기름칠, 탄매 누적, 탄창에 20발 이상의 과삽탄, 탄창에 오염물질 유입 등의 요인을 해결하는 유지보수와 청소가 과도할 정도로 부족했던 탓으로 판명되었다.
    • 10월 - 해롤드 존슨 대장은 미합중국 육군전투개발사령부의 결과 보고서, 미합중국 육군참모부의 입장, 전력계획분석국장의 평가를 검토하고 소화기 개발에 관련된 여러 활동들을 통합 관리 하에 놓는 결정을 내렸다.
    • 10월 - 미합중국 육군전투개발사령부에서는 주월 미합중국 육군의 전투 작전 평가에 대한 검토 및 분석에 따라 베트남 현지에 있는 전투 부대의 XM16E1 및 XM148 무장 권고가 발표되었다.
    • 10월 - XM16E1 3,033정이 베트남 파병에 앞선 훈련이 이루어지는 미국 루이지애나 주의 포트 폴크로 발송되었다.
    • 10월 - 캐딜락 게이지 사에서는 미합중국 해병대 조달이 끝난 스토너 63 286정의 스토너 63A 기본형 교체 요청을 받았다.
    • 11월 - 해롤드 존슨 대장은 소화기 무기 체계 사업 요약본 CSM 66-485을 통해 XM16E1은 이제 미합중국 육군의 A 표준에 속하는 제식 소총이 되었으며, 소총에 대한 승인획득목표는 M14 및 M14E1이 아닌 XM16E1을 기준으로 추산될 것임을 표명했다.
    • 11월 - 해롤드 존슨 대장은 XM148이 XM16E1의 전용 유탄발사기로 지급될 것이며, 설계의 개선 조치 또한 이루어질 것임을 표명했다.
    • 11월 - 해롤드 존슨 대장은 XM16E1가 개인화기로서로 부적합할 경우 CAR-15 HBAR M1을 제외한 CAR-15 SMG 및 CAR-15 Commando가 대신 채택될 것임을 표명했다.
    • 11월 - 해롤드 존슨 대장은 범용 기관총 개발이 완료될 때까지 M60 운용은 계속 유지되며, 5.56mm 기관총의 평가 또힌 지속될 것임을 표명했다.
    • 11월 - 해롤드 존슨 대장은 특수목적보병화기 사업은 미래의 소화기 연구개발 장기 계획의 일부분으로 재조정될 것임을 표명했다.
    • 11월 - 해롤드 존슨 대장은 XM16E1 및 탄약의 성능 개선이 생산에 통합될 것임을 표명했다.
    • 11월 - 해롤드 존슨 대장은 이중탄자 7.62×51mm NATO 탄약은 연구 용도로만 생산될 것임을 표명했다.
파일:jcs-meeting_lbj 0.jpg
1964년 회의 중의 미국 합동참모본부[1]
1963년 로버트 맥나마라 미합중국 국방장관의 승인에 따라 미국 육군에 85,000정이 주문된 XM16E1는 정식 생산 시점인 1964년부터 기능 고장이 잦아 실사용자들의 불만이 자자했는데, 과거의 소구경고속탄 개발 시기부터 탄도 특성을 충족하지 못한 점을 이유로 들어 AR-15 계열 자체를 불신해온 미합중국 육군 참모부 보병위원회에서는 얼마전에 생산 중단 조치가 내려진 M14의 조달 예산을 1966년 회계 연도에 부활시킬 것을 주장했다.
파일:stoner63_eugen 0.jpg
스토너 63 소총형을 보이는 유진 스토너
때마침 고등연구계획국(현 국방고등연구계획국) 애자일[2] 시험 평가용 스토너 63의 잠재력을 높이 산 미국 해병대에서는 사이러스 밴스 미합중국 국방부부장관에게 직접 성능 심사를 요청했으며, 급기야는 미합중국 육군참모총장 해롤드 존슨 대장까지 관여되어 오랜 시간 공을 들인 특수목적개인화기와 현용 제식 소총의 방향을 전면 재검토하는 소화기 무기 체계 명칭의 정식 사업으로 발전시켰다.

1965년에 들어서는 사업 관리를 맡은 미합중국 육군전투개발사령부를 중심으로 현용 7.62mm 제식화기 및 적성화기 기종들과 콜트 사 등의 여러 유력 업체들에게서 제공받은 5.56mm 시험화기 기종들의 성능 비교는 물론, 당시로서는 매우 생소한 컴퓨터 시뮬레이션 또는 보병 분대의 전투력을 철저한 수치 분석으로 따지는 부즈-앨런 응용연구소 등에서도 진행되었다.
파일:m16a1-m7_usa 0.jpg
1965년 이아드랑 전투 중의 XM16E1[3]
그와 동시에 XM16E1 뒤에 꼬리표처럼 따라다니던 낮은 신뢰성의 원인으로 .223 레밍턴 탄약에 적합치 않은 WC846 볼파우더 장약 외에도 손질 도구가 충분히 지급되지 않았거나 미숙달로 인해 정비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은 점들이 베트남 현지에 파견된 조사단을 통해 하나둘씩 규명되면서 주요 부품인 노리쇠 등의 약실 부품과 가스활대의 내구성 강화, 반동완충기 소염기 등의 설계 변경, 새로운 윤활유 LSA를 이용한 유지보수 교육 훈련의 강조로 크게 개선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타났다.
파일:m16a1_usa-11ib.jpg
1971년 교전 중의 M16A1
수많은 전문가들의 분석 및 평가가 취합된 1966년 말에 이르러서야 내려진 결론은 XM16E1의 제식 소총 채택 결정과 미합중국 육군 소화기 사업을 통한 대대적인 개량이며, 야심차게 도전장을 내민 스토너 63만이 그나마 미국 해군 네이비 씰 등의 수요에 맞춘 경기관총형으로 살아남았으나 이마저도 M60의 자리를 대체하기에는 부족하다고 여겨지면서 미군에서의 정식 운용 시도는 결국 실패로 끝나고 말았다.

3. 출처

4. 관련 문서


[1] 왼쪽부터 체스터 클리프톤 소장, 로버트 맥나마라 미합중국 국방장관, 린든 B. 존슨 미합중국 대통령, 커티스 르메이 대장, 얼 휠러 대장, 사이러스 밴스 국방부부장관, 해롤드 존슨 대장, 데이비드 맥도날드 제독, 월레스 그린 대장이 있다. [2] 동남아시아의 공산화를 막기 위한 군사지원계획으로, 이중에는 M16도 들어가 있었다. [3] 사진 속의 인물은 훗날 9.11 테러 당일에 수많은 인명을 구하고 사망한 것으로 잘 알려진 릭 레스콜라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