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트랙이 리믹스된 박스 세트에 대한 내용은 Queen I Collector's Edition 문서
, 같은 이름의 미국 래퍼 니키 미나즈의 4집앨범에 대한 내용은
Queen(니키 미나즈)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0"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0%;" {{{#!folding [ Collaboration ] |
<tablewidth=100%> | |
2004 - 2009 |
2011 - |
- [ Studio Albums ]
- ||<tablebgcolor=white,#191919><tablecolor=#000,#fff><tablewidth=100%><width=20%><rowbgcolor=#fff,#191919> ||<width=20%> ||<width=20%> ||<width=20%> ||<width=20%> ||
1973
1974
1974
1975
1976
1977
1978
1980
1980
1982
1984
1986
1989
1991
1995이후의 콜라보레이션 앨범에 관한 내용은 퀸(밴드)/+ 폴 로저스, 퀸(밴드)/+ 아담 램버트 문서의 '디스코그래피' 문단을 참조하십시오.
- [ Live Albums ]
- ||<tablebgcolor=white,#191919><tablewidth=100%><width=20%><rowbgcolor=#ffffff,#191919><tablecolor=#000,#fff> ||<width=20%> ||<width=20%> ||<width=20%> ||<width=20%> ||
- [ Compilations ]
- ||<tablebgcolor=white,#191919><table color=#373a3c,#ddd><tablewidth=100%><width=20%><rowbgcolor=#ffffff,#191919> ||<width=20%> ||<width=20%> ||<width=20%> ||<width=20%> ||
Greatest Hits
1981Greatest Hits II
1991Classic Queen (미국 한정)
1992The 12" Collection
1992Queen Rocks
1997Greatest Hits III
1999Stone Cold Classics
2006The A-Z of Queen, Volume 1
2007Absolute Greatest
2009Deep Cuts, Volume 1 (1973-1976)
2011Deep Cuts, Volume 2 (1977-1982)
2011Deep Cuts, Volume 3 (1984-1995)
2011Icon (미국/캐나다 한정)
2013Queen Forever
2014Greatest Hits in Japan (일본 한정)
2020
- [ Box Sets ]
- ||<tablebgcolor=white,#191919><table color=#373a3c,#ddd><tablewidth=100%><width=20%><rowbgcolor=#ffffff,#191919> ||<width=20%> ||<width=20%> ||<width=20%> ||<width=20%> ||
{{{#!folding [ 관련 문서 ]
}}}}}} ||
퀸의 스튜디오 앨범 |
||||||||||||||||||||||||||||||||||||||||||||||||||||||||||||||||||||||||||||||||||||||||||||||||||||||||||||||||||||||||||||||||||||||||||||||||||||||||||||||||||
밴드 결성 | → |
1973년 7월 13일 1집 Queen |
→ |
1974년 3월 8일 2집 Queen II |
||||||||||||||||||||||||||||||||||||||||||||||||||||||||||||||||||||||||||||||||||||||||||||||||||||||||||||||||||||||||||||||||||||||||||||||||||||||||||||||
Queen의 주요 수상
|
||||||||||||||||||||||||||||||||||||||||||||||||||||||||||||||||||||||||||||||||||||||||||||||||||||||||||||||||||||||||||||||||||||||||||||||||||||||||||||||||||
|
Queen | |
|
|
<colbgcolor=#24201C><colcolor=#D13B75> 발매일 | 1973년 7월 13일 |
녹음 | 1971년 12월, 1972년 6월 - 11월 |
장르 | 하드 록, 글램 록, 아트 록 |
재생 시간 | 38:36 |
곡 수 | 10곡 |
프로듀서 | 퀸, 존 앤서니, 로이 토마스 베이커 |
스튜디오 |
데 레인 리 스튜디오 트라이던트 스튜디오 |
레이블 | EMI, 엘렉트라 레코드 |
[clearfix]
1. 개요
1973년 7월 13일 발매된 영국의 록 밴드인 퀸의 데뷔 앨범이다.2. 상세
1971년 퀸이 결성된 후 처음으로 메이저 레이블에서 발매한 음반이다. 퀸의 데뷔 앨범이기에 특유의 음악적 색깔이 옅은 편이다. 브라이언 메이와 로저 테일러가 퀸의 전신 밴드인 'Smile(스마일)' 시절에 만든 곡을 몇 곡 넣었고, 프레디 머큐리 역시 퀸에 가입 전 아마추어 밴드[1]에서 만든 곡을 한 두개 수록했기 때문이다.당시에는 앨범 장르가 하드 록, 프로그레시브 록, 헤비 메탈로 분류되었다. 이 앨범은 레드 제플린, 블랙 사바스, 제쓰로 툴과 같은 록 밴드의 영향을 보여주었고 가사는 중세 풍경과 함께 '신비로운 검과 마법사 테마'를 반영했다.
1971년에 데 레인 리 스튜디에서 5개의 데모 트랙을 녹음했는데,[2] 이는 트라이던트 프로덕션의 관심을 끌었고 결국 계약으로 이어졌다. 그 중 4개의 노래는 앨범에 다시 녹음되었고 The Night Comes Down은 De Lane Lea 세션에서 리믹스되었다. 팀 스타펠이 쓴 'Silver Salmon'과 브라이언 메이의 트랙 'Polar Bear'를 포함하여 퀸 세션의 여러 아웃테이크는 아직 발매되지 않은 상태이다. Hangman은 이 시기에 시작되었으며 밴드가 라이브로 정기적으로 연주했다. 그러나 스튜디오 버전이 존재했는지 또는 오늘날까지 남아 있는지에 대한 논쟁이 있다. 데이비드 리처드가 새롭게 믹싱한 Mad the Swine은 녹음된 지 약 19년 후인 1991년 Headlong의 B-Side로 등장했다.
당시 퀸은 신인 밴드에다 무명이었기 때문에 녹음 과정에서 소속사에 워낙 쟁쟁한 선배 가수, 밴드들이 많아 트라이던트 녹음실에서 작업할 시간조차 제대로 잡지 못해서 다른 가수들이 녹음을 마친 후 잠깐잠깐 비는 시간을 이용해 한 곡씩 녹음하기도 했다.[3]
데뷔 앨범인 만큼 상업적인 성공은 거두지 못했다고 평가된다. 그러나 실험적인 수록곡들이 대거 포진되어 있어 음반 자체의 평가는 높은 편이다. 1980년대 초반까지 라이브에서 애창되던 타이틀 트랙인 Keep Yourself Alive, 뒤늦게 평론가들과 매니아들에게 재평가되어 가치를 인정받은 Great King Rat, 훗날 거대한 히트를 쥐어준 Bohemian Rhapsody의 서곡 역할이라 평가되는 Liar가 수록되어 있다. '데뷔 앨범으로서 최고의 앨범은 아니지만 훌륭한 밴드로서 가능성이 보인다.'는 평이 다수를 차지할 정도로 평론가들의 반응도 나쁘지 않은 편이었으며, 특히 당대에는 레드 제플린 느낌이 난다는 평도 꽤 있었다. 퀸 멤버들이 전부 레드 제플린의 광팬이기도 했고 레드 제플린에게서 음악적 영향을 받았으며, 4인조 하드 록 밴드라는 요소가 작용했기 때문이다. 또한 의외로 일본에서 기대치를 넘는 성공을 거두게 되고 이를 계기로 일본에서 꾸준한 히트를 하게 된다.
국내에서는 정식 발매가 되지 않았으나 비공식으로 발매된 적은 있다. LP 라벨이 흐릿흐릿하거나, 커버 글씨에 오타가 나는 등[4] 오류가 많았다. 그리고 국내에서 퀸의 음악이 금지곡에서 해제되는 발매 후 19년이 지난 1992년 가을에 정식 발매되었다. LP의 커버에서는 '미공개 되었던, 그리고 전설이 되어버린 퀸의 데뷔 앨범 (금지곡 없음)'이라는 라벨이 붙어 있었다.
3. 트랙 리스트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24201C><tablebgcolor=#24201C>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 Side A | |||
<rowcolor=#D13B75> 트랙 | 곡명 | 러닝타임 | ||
<colcolor=#000,#fff> 1 | <rowcolor=#000> Keep Yourself Alive | 3:46 | ||
2 | <rowcolor=#000> Doing All Right | 4:10 | ||
3 | <rowcolor=#000> Great King Rat | 5:41 | ||
4 | <rowcolor=#000> My Fairy King | 4:07 | ||
Side B | ||||
<rowcolor=#D13B75> 트랙 | 곡명 | 러닝타임 | ||
1 | <rowcolor=#000> Liar | 6:26 | ||
2 | <rowcolor=#000> The Night Comes Down | 4:24 | ||
3 | <rowcolor=#000> Modern Times Rock'n'Roll | 1:48 | ||
4 | <rowcolor=#000> Son and Daughter | 3:24 | ||
5 | <rowcolor=#000> Jesus | 3:45 | ||
6 | <rowcolor=#000> Seven Seas of Rhye... | 1:10 | ||
관련 트랙 | ||||
<rowcolor=#D13B75> 트랙 | 곡명 | 러닝타임 | ||
1 | <rowcolor=#000> Mad the Swine | 3:22 | ||
2 | <rowcolor=#000> Hangman | 6:07[5] |
3.1. Side A
3.1.1. Keep Yourself Alive
|
Keep Yourself Alive 01 3' 46" |
3.1.2. Doing All Right
|
Doing All Right 02 4' 10" |
3.1.3. Great King Rat
|
Great King Rat 03 5' 41" |
3.1.4. My Fairy King
|
My Fairy King 04 4' 07" |
3.2. Side B
3.2.1. Liar
|
Liar 04 3' 05" |
3.2.2. The Night Comes Down
|
The Night Comes Down 06 4' 24" |
3.2.3. Modern Times Rock'n'Roll
|
Modern Times Rock'n'Roll 07 1' 48" |
3.2.4. Son and Daughter
|
Son and Daughter 08 3' 24" |
3.2.5. Jesus
|
Jesus 09 3' 45" |
3.2.6. Seven Seas of Rhye...
|
Seven Seas of Rhye... 10 1' 15" |
4. 라이브 투어
자세한 내용은 Queen(음반)/라이브 투어 문서 참고하십시오.5. 여담
퀸은 이 앨범을 출시한지 정확히 12년 뒤 라이브 에이드에서 공연을 한다. 그에 따라 제 2의 전성기를 맞이한다.앨범 아트는 퀸의 1972년 12월 20일 영국 런던에 위치한 마키 클럽 (Marquee Club)에서 펼친 공연 도중에 찍은 사진에서 프레디 머큐리를 예리한 칼로 잘라내고 스포트라이트가 떨어지는 무대에 적절히 배치하여 만들었다고 브라이언 메이가 설명한 바 있다.
앨범의 크레딧에서 재미있는 점을 찾을 수 있다. 존 디콘의 이름이 Deacon John[6]로, 로저 테일러의 이름이 본명인 로저 메도스-테일러(Roger Meddows-Taylor)로 표기된 것이다. 이 음원에서 사회자가 로저와 존을 해당 이름 표기대로 소개하는 것을 들을 수 있다.
[1]
'Ibex' 등의 밴드를 말한다.
[2]
이후 2024년 퀸의 컴필레이션 앨범
Queen I Collector's Edition에 수록되었다.
[3]
이는 2018년에 개봉된 전기 영화
보헤미안 랩소디에서 돋보인다.
[4]
밴드명이 'Queen'이 아닌 'Quccd'로 표시되어 있다.
[5]
공식적으로 발매된 라이브 음원은 있으나 스튜디오에서 녹음된 음원은 없어 정확한 러닝타임은 확인이 불가하다.
[6]
번역하면 '존
부제' 정도. Deacon은 기독교 부제(副祭)를 가리키는 단어로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