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2-02 10:27:30

M327 EFSS

M327 EFSS
M327 Expeditionary Fire Support System
파일:external/a909b651c0dbe103f24076d1e4975b823eb503ecd8e5c5ef441fe53c199125e4.jpg
<colbgcolor=lightgray,gray> 종류 <colbgcolor=#ffffff,#191919>견인식 박격포
제조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제식 이력
역사 2009년~2017년
제조사 톰슨-다임러(TDA)
제너럴 다이나믹스
사용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제원
전장 301cm
포신 208cm
중량 582kg
구경 120mm
탄약 고폭탄
연막탄
조명탄
연습탄
유도탄
급탄 전장식 1발
운용 인원 4명
발사 속도 분당 6~10발
유효 사거리 8,140m(통상탄)
12,840m(로켓추진탄)
17,000m(유도탄)

1. 개요2. 상세
2.1. 역사2.2. 특징
3. 관련문서4.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M327 EFSS(미 해병원정군 화력지원용 박격포, Expeditionary Fire Support System)는 미 해병대의 제식 120mm 박격포이다.

2. 상세

2.1. 역사

파일:external/s1.postimg.org/696813.jpg

1997년 미 해병전투연구소(MCWL)는 가벼우면서도 LAV-25 장갑차 탑재와 항공기 수송이 가능한 드래곤 파이어(Dragon Fire) 명칭의 신형 120mm 박격포 도입 계획을 수립하고 톰슨-다임러 아머먼트(Thomson-Daimler Armament) 사에서 제출된 자동화 2R2M(주퇴식 강선형 박격포, Recoiling Rifled Mounted Mortar) 설계안을 채택하였다.

1998년 9월부터의 성능 시험을 통해 개량된 XM-326 드래곤 파이어 II가 야전에서 괜찮은 신뢰성과 빠른사격속도 그리고 결정적으로 사수들의 피로도를 크게 줄이는 등 좋은 평가를 받았고 2005년 첫 생산을 통해 정식 도입을 확정지었음에도 불구하고 계속되는 재정난으로 인해 개발 자금이 완전히 끊기면서 본체는 물론, 이를 모듈화시킨 자주박격포형 LAV-EFSS는 결국 기존의 LAV-M을 대체하지 못하고 취소되고 말았다.

파일:external/img5.cache.netease.com/93DR5R474T8E0001.jpg

그 대신 프랑스 육군, 일본 육상자위대 등에서 이미 채택된 TDA 사의 MO-120 RT-61 견인식 박격포 도입으로 선회되어 2009년부터 운용을 시작하였으며 최종작전능력(FOC)을 부여받은 2013년부터 미 해병대 화력의 한 축을 담당했었지만, 2017년 12월에 M777 155mm 곡사포의 비중을 높이고 차후 정밀 포격 자원과 관련된 자금 확보를 위해 짧은 운용 기간을 마감하였다.

2.2. 특징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MO120RT_rifling.png
M327 EFSS의 강선
파일:raytheon_perm 0.jpg
PERM
파일:external/pds26.egloos.com/f0205060_5503eb11aafcb.jpg
M1163 그라울러

파일:external/cada9d70aec0c2aef73810ad77eeed8c377ba3bb8613edb7d0382e5648476164.jpg

원형인 MO-120-RT과 마찬가지로 포신 내부에는 강선(Rifling) 처리가 되어 있어 포격시 안정된 탄도를 기대할 수 있으며, M120 BMS에서 쓰이는 활강포탄은 물론 레이시온 사의 GPS 유도탄(PERM) 사용이 가능하다. PERM 유도탄은 최대사거리가 16km까지 늘어났고, 10m 원형오차의 정확도를 보이며, 비행의 종말 단계에서 더 수직으로 떨어지도록 궤적을 바꾸어 더 큰 피해를 준다. 그러나 한발당 가격이 18,000달러(한국돈으로 약 2천만원)이나 한다.

파일:external/media.defense.gov/111026-M-0000F-002.jpg

박격포 자체의 무게가 상당히 나가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바퀴가 2개 달린 포가에 결합되어 나온다. 포가까지 합친 무게가 약 580kg으로 다른 120mm 박격포보다 무거운 편이지만, 미 해병대가 보유한 M1163 그라울러 차량으로도 견인이 가능하다. 전장 역시 120mm 박격포 치고는 긴 편이지만 곡사포보다는 짧기 때문에 CH-53E 슈퍼 스탈리온 수송헬기 또는 MV-22 오스프리 틸트로터 수송기 내부에 실어 나를 수도 있다.

EFSS가 미해병대에서 퇴출된 이후에 나온 2019년 기사(영어 주의)에 따르면, 아프간전 내내 EFSS가 미해병대의 골칫덩이였다고 한다. EFSS의 문제점은 열악한 기동성, 비싼 가격, 그리고 다른 포병 시스템에 비해 열세인 성능이었다. 본래 계획대로라면 120mm 강선 박격포가 V-22 오스프리 틸트로터기 내부에 실려 다니며 동해번쩍 서해번쩍 게릴라들을 소탕하고 다녀야 했겠지만, 박격포 시스템이 너무 무거운 관계로 전장에서 인력으로 V-22의 후방 램프에서 밀어 올리거나 내리는 것이 거의 불가능했고, V-22 내부에 싣고 다니려고 개발한 M1162 차량을 써도 차량과 견인박격포가 V-22 내부 공간에 거의 꽉 끼는지라 박격포를 내리거나 올리는데 너무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고 한다. 결국 EFSS가 V-22에서 내려와서 방열되는데 필요한 오랜 시간 동안 보병들이 화력지원 없이 적에게 노출되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박격포탄을 싣고 다니는 트레일러 하나에 30발밖에 들어가지 않는데, 이 트레일러도 너무 무거워서 M1163 차량으로 끌고 다녀야 했기에 EFSS 1개 포대를 운반하기 위해 너무 많은 헬기나 V-22가 필요했다고 한다. 한편 아프가니스탄의 산악 지형과는 달리 평지가 많은 이라크에서는 또 다른 기동성 문제가 생겼는데, M1162 차량이 강선 박격포를 끌고 고속도로를 다니려면 속력이 너무 느렸졌다. 이라크에서 군용차량이 고속도로를 타고 천천히 움직이는 것은 매우 위험한 문제였기에, 미해병대는 이라크에서 M1162 차량 대신에 M-ATV를 사용하고자 했는데, 이는 하나의 박격포에 2개의 다른 차량을 배정해야 한다는 또 다른 문제를 야기해 버렸다.

그래서 미해병대는 EFSS 차량에 각종 유압 장치를 추가해서 문제를 해결해 보려고 하였지만, 일부 문제를 해결하는 것만해도 EFSS 한개 시스템 가격이 본래 58만 달러에서 1백만 달러 수준으로 수직상승하게 되어 버렸고, 이는 천조국조차 GG를 치게 만들었다.

헬기 외부에 슬링으로 매달아 다니려고 해도, M777 경량 155mm 곡사포 M142 HIMARS 고기동 다연장로켓이 도입되면서 이것도 애매해져 버렸다. EFSS는 본래 헬기나 V-22 내부에 탑재하여 보병 전력과 함께 신속하게 전개시키는 것이 목적이었는데, 이렇게 줄에 매달고 다니다가 내려서 방열할꺼면 그냥 화력과 사거리에서 압도적인 M777을 쓰는 방법도 있기 때문이다. HIMARS는 헬기로 쉽게 옮길만한 물건이 아니지만, 대신에 정밀 유도 로켓의 유효 사거리가 70 km 이상이라 한번 방열하면 엄청나게 넓은 범위를 커버해 줄 수 있다. 결국 미해병대가 처음부터 미육군처럼 더 작고 가벼운 활강식 120mm 박격포를 쓰거나 곡사포치고는 가벼운 M119 105mm 견인곡사포를 도입했으면 문제가 간단했을 것을 불필요한 고집을 부리다가 일을 망친격이 되었다.

3. 관련문서

4. 둘러보기

파일:미국 국기.svg 현대의 미군 화포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곡사포 <colbgcolor=#ffffff,#191919> M101A1S, M102, M119A1, M119A2, M119A3, M198R, M284, M777, M777A1, M777A2, M777ER, XM907, XM297E2
박격포 M120, M120A1, M121, M224, M224A1, M252, M252A1, M252A2, M327R, Mk.2 Mod.0, Mk.2 Mod.1R, Mk.4 Mod.0R, RMS6L, XM905, XM326
무반동포 M3, M3A1, M3E1, M67R, M136, M136A1
함포 Mk.7R, Mk.12R, Mk.38 Mod.0, Mk.38 Mod.2, Mk.38 Mod.3, Mk.45 Mod.2, Mk.45 Mod.4, Mk.46 Mod.2, Mk.75 Mod.0, Mk.110 Mod.0, Mk.51
전차포 M35, M68A1, M68A2, M81E1, M81E1, M162, M256, XM360
기관포 다포신 GAU-8/A, GAU-12/U, GAU-22/A, M61A1, M61A2, M197, XM301
단포신 Mk.12R, GAU-23/A, L/60R, M39, M39A1, M39A2, M39A3, M230, M230A1, M230LF, M242, XM813, XM913
※ 윗첨자S: 비축 또는 예포로 운용
※ 윗첨자R: 퇴역 상태
취소선: 제식 채용되지 않음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의 운용장비 | 파일:cannon_icon__.png 화포 }}}
}}}}}}


파일:미국 국기.svg 현대 미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현대의 미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돌격소총 <colbgcolor=#fefefe,#191919> M4, M4A1, XM7, M16A2, M16A3, M16A4, M27, M231, GUU-5/P, XM8, XM29, LSAT
지정사수소총 M14, M21, M21A5, M38, M39, M110, M110A1, M110A2, Mk.11, Mk.12, Mk.14, SAM-R, SDM-R, MSG90, SIG716
저격소총 M24, M40, M82A1, M82A1M, M82A3, M107, M2010, Mk.13, Mk.22, RC-50, XM109
산탄총 M26, M500, M590, M870, M870 MCS, M1014, M1200, AA-12
기관단총 M3A1, MP5A3, MP5A5, MP5K, MP5SD3, M635, APC9K, MPX, P90 TR
권총 리볼버 M15, GS32N
자동권총 M9, M9A1, M11, M17, M18, M007, P229R DAK, KP95D, SP2022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M249, XM250, LSAT
다목적기관총 M60, M134, M240
중기관총 M2HB, M2A1, M85, GAU-19, XM312, XM806
유탄발사기 M32, M203, M320, Mk.19, EX-41, XM25, XM307
로켓발사기 M72, M141, M202, Mk.153, Mk.777, RAW
미사일발사기 BGM-71, FGM-77, FGM-148, FGM-172, FIM-43, FIM-92, SB LMAMS
무반동총 M3, M3A1, M67, M136
박격포 M120, M224, M252, M327, Mk.2, Mk.4, XM905
곡사포 M102, M119, M198, M777
특수전 화기 소총 돌격소총 M4A1 URG-I, N4, M723, M727, M733, Mk.16, Mk.17, Mk.18, HK416, MCX, SG552, SR-47
지정사수소총 M14 DMR, Mk.1, Mk.20, HK417, OBR, RECCE, SR-25
저격소총 M25, M91, Mk.15, Mk.21, TAC-338, LRP-07, RPR
기관단총 MP5-N, MP7A1, UMP45
권총 M1911, M45, M45A1, M66, M686, Mk.2, Mk.23, Mk.24, Mk.25, Mk.27, G22, HDM, P9S-N, P11, P239, PPK/S, OHWS, USP45CT
기관총 Mk.43, Mk.44, Mk.46, Mk.48, HK21, HK23E, LAMG, Ultimax 100, MG338
유탄발사기 M79, Mk.13, Mk.14, Mk.47, XM148
폭발물 수류탄 살상탄 M67, M111, Mk.3, Mk.21, ET-MP
섬광탄 M84, M7290, Mk.13, Mk.20, Mk.141
화학탄 M7A3, M8, M14, M18, M25A2, M34, M83
총류탄 M100
지뢰 M4A1, M7, M15, M18A1, M19, M86, MM-1
폭약 M1, M1A2, M1A3, M2A4, M3A1, M039, M112, M118, M183, M303, Mk.7, TNT
냉병기 총검 M1, M6, M7, M9, M1905, OKC-3S
단검 M11, Mk.3 Mod.0, AFSK, ASEK, KA-BAR, Mark II, MPK-Ti, SEAL-2000, SMF
예도 M1840, M1852, M1859, M1860, M1902
도끼 R&D Hawk, Shrike, VTAC
비치사성무기 M5, M37, M39, M104, M234, FN 303, X26, 532P-M, LA-9/P
의장용 화기 M1903, M1917, M1, M14, M16A1, M16A2, M16A3, M16A4
취소선: 테스트만 치른 후 제식 채용되지 않음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보병장비 둘러보기
근대 (~1914) 대전기 (1914~1945) 냉전기 (1945~1991) 현대전 (1992~)


화포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34292d> 제2차 세계 대전 연합군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추축군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냉전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현대전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