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04 18:42:41

199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역대 대학수학능력시험
1995 수능 1996 수능
(1995.11.22.)
1997 수능
나무위키:편집지침/특정 분야가 우선 적용되는 문서입니다. 다른 문서들과 달리 개인적인 의견을 배제하여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서술로 바꾸실 수 있습니다. (이 문서는 현재 적용 안 됨.)

1. 개요2. 시험의 상세3. 난이도4. 둘러보기 틀

1. 개요

1995년 11월 22일에 실시된 대학수학능력시험. 본고사 체제하의 마지막 수능이기도 하다. 또한 다음 번 수능부터 400점 만점 체제로 바뀌게 되어 200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까지 가게 된다. 1995학년도 당시 고등학교 3학년이었던 1977년 3월생~1978년 2월생이 응시했다.

수능 수석은 200점 만점에 188.6점[1]을 차지한 서울과학고등학교 이정원 군

2. 시험의 상세

교시 영역 계열 구분 문항 배점 시간(분)
1 언어 영역 공통 60 60 90
2 수리 · 탐구 영역(Ⅰ) 인문·예체능, 자연 30 40 90
3 수리 · 탐구 영역(Ⅱ) 사회탐구 영역 인문, 예체능 36 36 100
자연 24 24
과학탐구 영역 인문, 예체능 24 24
자연 36 36
4 외국어 영역 공통 50 40 80
합계 200 200 360
1994학년도 1차 수능부터 1996학년도 수능까지 이러한 포맷이었고 199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부터 문제가 언어 5문제, 외국어 5문제씩, 수리탐구Ⅱ는 20문제나 늘어났다. 시간은 언어, 수리탐구Ⅰ, 수리탐구Ⅱ가 각각 10분씩 늘어났고 외국어는 그대로였다. 또 언어의 경우에는 시간을 예년보다 더 준 대신 지문의 길이를 늘렸다. 수리탐구Ⅱ는 10분 늘렸으나 20문제나 늘어나 수험생들이 시간 부족을 느끼게 되었다. 대신 문제가 평균적으로 짧아진 편.
계열 출제범위 (모두 필수[2])
인문계 국어, 영어, 수학[3], 과학Ⅰ上[4], 과학Ⅰ下[5], 과학Ⅱ上[6], 과학Ⅱ下[7],
정치경제, 사회문화, 국사, 세계사, 한국지리, 세계지리, 국민윤리
자연계 국어, 영어, 수학[8], 과학Ⅰ上, 과학Ⅰ下, 과학Ⅱ上, 과학Ⅱ下[9],
물리, 화학[10], 정치경제, 국사, 세계사, 한국지리, 국민윤리
예체능 국어, 영어, 수학[11], 과학Ⅰ上, 과학Ⅰ下, 과학Ⅱ上, 과학Ⅱ下,
정치경제, 국사, 세계사, 한국지리, 국민윤리
단지 문제 수준만 높았던 것이 아니다. 95 ~ 98학년도 수능은 역대 수능 사상 시험범위가 가장 넓었다. 즉 수험생이 공부해야 하는 과목 숫자가 자그마치 12~14과목으로 가장 많았던 수능이었다. 게다가 모두 필수과목이었다. 참고로 99학년도 수능부터 선택 과목 제도가 도입되면서 과목의 숫자가 점차 줄어들게 된다.

킬러 문제통합문제들이 슬슬 출제되던 시기였다. 그리하여 예컨대 <물리와 생물이 결합된 문제>, <물리, 화학, 지구과학이 결합된 문제>, <국사, 세계사, 세계지리가 결합된 문제> 등이 마구마구 출제되었다. 요즘처럼 자신이 선택한 과목만 치르는 시스템에선 상상도 할 수 없는 일이다.[12]

3. 난이도

후속작이 워낙 불수능이고 수능 200점 시절이라 현재는 거의 회자되지 않지만 해당 수능에 버금간 어마어마한 불수능이다. 전국 수석이 188.6점으로 400점 환산 시 377.2점[13] 500점 환산시 471.5점이다. 이과 164점이 상위 0.6%기도 했다.

언어영역 때문에 멘붕한 학생이 많았었다. 언어 영역의 전체 평균은 60점 만점에 32.2점(만점의 53.66%)고 표준편차는 8.86(100점 만점으로 환산시 14.76)으로,이를 참고해 표준점수 최고점을 산출하면 표준점수 최고점이 163점으로 산출된다. 또한 1등급컷은 60점 만점에 46점(100점 만점에 약 77점)으로 나올 것이다.[14][15]
파일:attachment/대학수학능력시험/역사/99.98.jpg
수리 영역 또한 97학년도 다음으로 어려웠는데 전체 평균이 40점 만점에 13.96점이었다.(만점의 34.9%)[아래]
인문계는 40점 만점에 25점(100점 만점으로 환산시 62.5점),자연계는 40점 만점에 26.5점(100점 만점으로 환산시 66.25점), 예체능은 40점 만점 21.5점(100점 만점으로 환산시 53.75점)까지가 1등급이었다. 반타작인 20점조차 겨우 전체의 15.3%가 넘겼고[17] 30점 이상은 1.12%, 35점 이상(현재 기준 대략 88점)은 0.17%로 어머어마한 불수능이었다. 참고로 백분위 100은 인문 31.5점(현재 기준 79점), 자연 33.5점(현재 기준 84점), 예체능 26.5점(현재 기준 66.25점) 정도에 형성되었다.
96수리의 위엄
외국어영역의 전체 평균은 40점 만점에 20.39점(만점의 50.975%),표준편차는 8.9(100점 만점으로 환산시 22.25)로,이를 참고하면 표준점수 최고점이 145점으로 산출된다.

당시 150점 이상이면 웬만한 서울대 학과에 지원 가능했을 정도면 말 다 한 셈이다. 이후 불수능은 97 수능에서 정점을 찍게 된다.
1996학년도 수능의 영역별 1등급 커트라인은 다음과 같다.
언어 46/60(76.66)
수리(인문) 25/40(62.5)
수리(자연) 26/40(65)

4. 둘러보기 틀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letter-spacing:-.2px"
역량
언어(言語)
수리(數理)
추론·자료해석
자격·지식
영역
<nopad> 한국사 <nopad> 제2​외국어​/한문
하위 문서
역사 · 등급 구분점수 · 문제점 및 해결 방안 · 논쟁 및 비판 · 기타 · 사건 사고 · 절대평가 전환 논란 · 학습 조언 · 시험장
기타
시간표 · 9등급제 · 모의평가 · 수능 샤프 · 필적 확인란 문구 · 물수능 · 불수능 · EBS 수능( 수능특강 · 수능완성)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fff,#1c1d1f><table bgcolor=#fff,#1c1d1f>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도입 이전 1994 1995 1996
▣ 1차 실험평가(1990년)
▣ 2, 3, 4차 실험평가(1991년)
▣ 5, 6, 7차 실험평가(1992년)
▣ 2회 시행
8. 20.(금), 11. 16.(화)
▣ 첫 수요일 수능
▣ 인문·자연·예체능 구분 도입
▣ 본고사 시행 마지막 해
1997 1998 1999 2000
▣ 수리 영역 주관식 도입
▣ 수능 만점 200점→400점
오나타 사건
▣ ( 수시 모집 첫 시행) ▣ 선택과목·표준점수 도입
▣ 첫 수능 만점자 배출
▣ 응시 인원 최다
2001 2002 2003 2004
▣ 제2외국어 영역 신설
▣ 전 과목 만점자 수 최다(66명)
▣ 듣기 방송 미디어 포맷이 EBS FM에서 카세트 테이프로 변경
▣ 성적표 등급 표기 첫 시행
▣ ‘수리 · 탐구 영역 ( I )’은 ‘수리 영역’으로 명칭 변경, ‘수리 · 탐구 영역 (II)’는 ‘사회탐구 영역’과 ‘과학탐구 영역’으로 분리
▣ (정시 라군 폐지)
▣ (특차 전형 폐지)
▣ ( 수시 제도 30% 확대)
▣ 9월 모의평가 도입( 2002년 9월 3일)
▣ 소수점 배점 반올림 성적표 지급 소송 사태 발생
▣ 6월 모의평가 도입( 2003년 6월 11일)
▣ 소수점 배점 전면 폐지, 정수 배점 전환
첫 복수 정답 인정
2005 2006 2007 2008
▣ 첫 예비평가 실시( 2003년 12월 4일)
▣ 수리 가형 선택 과목 도입
▣ 탐구 선택 과목 도입
▣ 직업 탐구 도입
▣ 제2외국어/한문 영역 명칭 변경
▣ 스페인어Ⅰ 명칭 변경
▣ 아랍어Ⅰ · 한문 도입
▣ 인문 · 자연 · 예체능 구분 폐지
대규모 휴대전화 부정행위 사건 발생
▣ 부산 APEC 정상회의로 인한 수능 1주일 연기
▣ 시험 시 전자기기 압수 의무화, 수능 샤프 일괄 제공, 필적확인란 문구 도입
▣ 시험일 수요일 → 목요일 변경 '수능 등급제' 시행 및 논란
2008학년도 수능 물리Ⅱ 복수정답 사태 논란
▣ ( 내신등급제 도입)
2009 2010 2011 2012
▣ 수능 등급제 폐지
▣ 표준점수 • 백분위 제도 환원
▣ 눈으로 미리 푸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문제지에 겉표지 도입
▣ 수능 연기 ( 신종플루)(정상 시행)
▣ (수시 1학기 모집 폐지)
▣ G20 정상회담으로 인해 수능 1주일 연기
▣ EBS 70% 연계 시행 (~2021)
▣ 듣기 방송 미디어 포맷이 카세트테이프에서 CD로 변경
▣ 필적확인란 문구 사전 유출 사고
▣ 중국산 수능 샤프 입찰 비리 논란
▣ (수시 공통 지원서 도입)
▣ '만점자 1%' 조정 정책 공표
▣ 채점 시 이미지 스캐너 도입
▣ 수리 영역 문제지 8면에서 12면으로 변경
▣ 탐구 선택과목 수 4 → 3과목으로 축소, 과학탐구Ⅱ 과목에 대한 최대 선택 수 제한 폐지
2013 2014 2015 2016
▣ '만점자 1%' 조정 정책 2년 실시 후 폐지
▣ (수시 모집 지원 6회 제한)
▣ 두 번째 예비평가 실시
언수외 국수영 명칭 변경
▣ 국어 · 수학 · 영어 A / B 형 체제 도입 및 언어 듣기 폐지
▣ 탐구 선택과목 수 3 → 2과목으로 축소
▣ 기초 베트남어 도입
▣ 한문 [math(\rightarrow)] 한문 I 으로 명칭 변경
수능 출제오류 관련 소송전 최초 발생
▣ 영어 A / B 형 체제 1년 실시 후 폐지
2017 2018 2019 2020
▣ 시험일 11월 셋째 주 목요일로 변경
▣ 스마트 워치 등 전자 시계 착용 금지
▣ 수능 모의평가 실물 정답지 미배부
▣ 국어 A / B형 체제 폐지
▣ 수학 A / B형 체제 폐지 및 가 · 나형 체제 환원
▣ 수학 영역 세트 문항 폐지
▣ 한국사 절대평가 전환 및 필수 영역화
▣ 기초 베트남어 [math(\rightarrow)] 베트남어Ⅰ으로 명칭 변경
수능 연기(지진)
▣ 영어 절대평가 전환
▣ 국어 영역 정오표 지급
▣ 국어 영역 난이도 조절 실패 사과
▣ 재수생 수능 성적표 사전 유출 파동
2021 2022 2023 2024
▣ 수능 연기 및 첫 12월 시행( 코로나19)
▣ 자연계 기하·벡터 제외
▣ 수능 개편 1년 유예
한국사 영역 2009개정교육과정 유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한국사 영역 2015 개정 교육과정 적용 윤석열 정부 수능 출제 방침 지시 관련 파문
2025 2026 2027 2028
(시행 미정) 2028 대학입시제도 개편
▣ 국어•수학•탐구 영역 선택과목 폐지
▣ 탐구 영역 통합사회, 통합과학 공통 응시 체제로 전환
▣ 심화수학[미적분2(미적분), 기하] 수능 출제 배제
▣제2외국어/한문 영역을 제외한 모든 영역은 단일 시험지로 모든 수험생들이 응시
}}}}}}}}} ||


[1] 언어 54.8점, 수리탐구I 40.0점, 수리탐구II 53.8점, 외국어 40.0점 [2] 당시 수능엔 선택과목 제도가 없었다. [3] 일반수학 + 수학Ⅰ [4] 오늘날의 생명과학I보다는 수준 높고, 생명과학II보다는 수준 낮음 [5] 오늘날의 지구과학I보다는 수준 높고, 지구과학II보다는 수준 낮음 [6] 오늘날의 물리I보다는 수준이 높고, 물리II보다는 수준 낮음 [7] 오늘날의 화학I보다는 수준이 높고, 화학II보다는 수준 낮음 [8] 일반수학 + 수학Ⅱ [9] 계열별 문제(자연계 전용)의 경우 과학Ⅱ는 물리, 화학과 겹치는 부분에서 출제되었다. [10] 각각 오늘날의 물리II, 화학II와 비슷한 수준이며, 생물과 지구과학은 실시되지 않았다. [11] 일반수학 + 수학Ⅰ [12] 이러한 탐구영역의 통합형 출제는 전면 선택체제로 전환된 7차 교육과정 하의 수능에서부터 사라지게 되었다. [13] 97 수능 수석보다 약간 높다. 다만 이 해 수능까지는 모든 문항이 객관식이어서(97학년도 수능부터 수리 주관식 문항이 생겼다.) 모르면 찍을 수 있다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 [14] 참고로 이 77점이라는 1등급컷은 이 수능 이후 어떤 수능 모의평가, 수능에서도 나오지 않으며, 전설적인 불수능인 97수능도 1등급 컷이 81점으로 이기지 못했다. [15] 실제로 메가스터디 소속 물리학 강사인 배기범이 고3때 이 수능을 응시하였는데, 현역 시절 언어 영역과 수리 영역을 제일 잘했던 그였음에도 불구하고 너무도 어려웠던 언어 영역의 난이도+옆 자리 학생들의 정답맞추는 소리에 멘탈이 나가서 수리 영역을 망쳐버렸다고 한다. 정작 황당한 것은 언어 영역이 제일 잘 본 과목이었다고... [아래] 자료를 보면 16~40점인 학생보다 0~15점인 학생이 2배 이상이다. [17] 즉, 반타작보다 조금만 더 맞춰도 2등급이었다는 소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