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white><colcolor=#000000> | |||
헤비급 | |||
마루후지 나오미치 | <colbgcolor=white> 이나무라 요시키 | <colbgcolor=white> 스기우라 타카시 | <colbgcolor=white> 마사 키타미야 |
후지타 카즈유키 | 이나바 다이키 | 앤서니 그린 | 사사키 우루카 |
소야 마나부 | 타니구치 슈헤이 | ||
주니어 헤비급 | |||
AMAKUSA | 미야와키 쥰타 | LJ 클리어리 | Eita |
콘도 슈지 | 수퍼 크레이지 | 알파 울프 | 드래곤 베인 |
오다시마 다이키 |
|
|
<OI'Ironhead> | |
|
|
<[ruby(野獣, ruby=や じゅう)] / The Beast> [ruby(藤田 和之, ruby=ふじ た かずゆき)] / Kazuyuki Fujita |
|
|
NOAH | |
<colcolor=#009740><colbgcolor=#000000> 본명 |
후지타 카즈유키 [ruby(藤田 和之, ruby=ふじ た かずゆき)] |
생년월일 | 1970. 10. 16 ([age(1970-10-16)]세) |
신장 | 182cm |
체중 | 115kg |
혈액형 | O형 |
출생지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치바현 후나바시시 |
학력 |
야치요쇼우인([ruby(松陰, ruby=しょういん)])고교 (졸업)[1] 니혼대학 (문리학부/학사, 레슬링부)[2] |
종합격투기 경력 | 32전 18승 14패 |
경기 스타일 | 파워하우스 |
시그니쳐 무브 |
뺨 때리기 사커볼 킥[3] 래리어트 내던지기식 저먼 초크슬램[4] 슬리퍼 홀드 |
피니쉬 무브 |
슬리퍼 홀드 안면 사커볼 킥[5] 비스트 밤[6] |
별명 |
이노키즘 최후의 투혼계승자 ([ruby(猪木, ruby=いの き)]イズム[ruby(最後, ruby=さい ご)]の[ruby(闘魂, ruby=とうこん)][ruby(継承者, ruby=けいしょうしゃ)]) OI'Ironhead[7] 야수 ([ruby(野獣, ruby=や じゅう)]) |
테마곡 |
GET WAVE (1997 - 2000.1)[8] Purple Haze - The Jimi Hendrix Experience (2006 - ?)[9] INOKI BOM-BA-YE オーケストラバージョン (2000 - 2006, ? - 2022.12)[10] wild beast (2023.1 - )[11] |
데뷔 |
(프로레슬링) 1996년 11월 1일 (26세) 히로시마현 히로시마시 나카구 히로시마 그린 아레나 신일본 SG 태그 리그전 VI 최종일 vs 나가타 유지 (종합격투기) 2000년 1월 30일 (29세) 도쿄도 분쿄구 도쿄 돔 PRIDE FC PRIDE GRANDPRIX 2000 개막전 vs 한스 네이먼 |
SNS | 공식 사이트 |
[clearfix]
1. 개요
일본의 프로레슬러 겸 종합격투기 선수.현재는 프로레슬링 NOAH 소속으로 활동하고 있다.[12]
2. 커리어
2.1. 아마추어 레슬링
야치요쇼우인고교 시절부터 아마추어 레슬링(자유형) 선수로 활동한 후지타 카즈유키는 1988년 세계 주니어 레슬링 선수권 대회에 일본 주니어 국가 대표로 출전해 6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1993년과 1994년에는 레슬링 월드컵에 일본 국가 대표로 출전해 각각 5위, 6위에 올랐다. #이윽고 레슬링 명문으로 손꼽히는 니혼대학 레슬링부에 들어간 후지타는 전일본 학생 선수권 대회 4연패, 전일본 선수권 2회 우승을 달성했고, 1991년에는 전일본 대학 그레코로만 선수권 대회에 출전해 우승을 차지하며 대학 레슬링계를 씹어먹는 활약을 보여줬다.
대학 졸업 후에도 아마추어 레슬러로 활동하며 애틀랜타 올림픽 출전을 노렸지만 출전권을 따내지는 못했다. 결국 신일본 프로레슬링에 입단하며 아마추어 레슬링 커리어를 마감했고, 1996년 11월 1일 히로시마시에서 열린 SG 태그 리그전 VI 최종일 제 1시합에서 나가타 유지를 상대로 데뷔전을 치르며 프로레슬러로 데뷔했다.
2.2. 종합격투기
이름 |
후지타 카즈유키 [ruby(藤田 和之, ruby=ふじ た かずゆき)] |
종합격투기 전적 | 32전 18승 14패 |
승 | 9KO, 7SUB, 2판정 |
패 | 8KO, 2SUB, 4판정 |
체격 | 183cm / 108kg[13] |
별명 | Ol' Ironhead |
안토니오 이노키의 신일본 프로레슬링에서 활동하던 후지타가 종합격투기에 데뷔한 것은 Pride 2000 무차별급 그랑프리를 통해서였다. 2000년 1월 GP 개막전에서 한스 네이먼을 스카프 홀드로 가볍게 제압한 후지타 카즈유키는 2000년 5월의 그랑프리 토너먼트 8강전에서 마크 커를 상대하게 된다.
당시 커는 UFC 토너먼트 2관왕에 PRIDE에서도 무적의 행보를 이어가고 있었다. 후지타는 초반 커에게 연달아 테이크다운을 당하며 수세에 몰렸고, 강렬한 니킥을 정통으로 얻어맞으며 위기를 맞았다. 하지만 이를 모두 맷집으로 버텨냈고 오히려 커의 바디킥을 캐치한 후 사이드를 빼앗고는 파운딩과 그라운드 니킥을 난사하며 커를 그로기로 몰고 갔다. 후지타의 만장일치 판정승. 마크 커는 이 경기 이후로는 완전히 쇠락하고 말았다.
하지만 이 경기에서 입은 부상 때문에 같은 날 열린 토너먼트 4강전 마크 콜먼과의 대결은 포기할 수 밖에 없었다. 공식적으로는 시합 시작과 동시에 코너에서 스톱을 선언하며 후지타 카즈유키의 TKO패로 끝났지만 실질적으로는 마크 콜먼의 부전승이었다.
2000년 8월 PRIDE.10에서는 UFC 슈퍼파이트 챔피언인 켄 샴락과 격돌했다. 켄샴락이 후지타를 타격으로 압도하다가 갑자기 1라운드 6분 46초 켄 샴락이 탈진하며 코너 스톱으로 후지타가 승리하게 된다. 켄 샴락이 클린치 공방에서 우위를 잡고 있었던 상황이었기에 경기가 끝나고 잡음이 일기도 했는데, 실은 이때 샴락이 심장에 이상을 느낀 것이라고 한다. [14]
2001년 8월 K-1 앤디 훅 추모 대회에서 미르코 크로캅과 대결했다. 태클을 하다가 카운터 니킥에 정통으로 걸리며 컷에 의한 닥터 스톱 패배를 당했다.
2002년 8월, 안토니오 이노키가 주최한 단발성 격투 이벤트 UFO-Legend에서 야스다 타다오를 꺾은 후, 2002년 12월 이노키 봄바예에서 다시 한번 크로캅과 대결했다. 경기 초반에는 연달아 태클을 성공시키며 필살 개비기로 잘 운영하고 있었으나, 2라운드부터는 스프럴에 막혀 4점 니킥을 왕창 얻어맞은 후로는 흐름을 빼앗긴다. 그 후 양측이 소강상태에 접어드는듯 싶었으나 종료를 10초 남기고 기어이 3번째 테이크다운을 성공시키며 호각의 승부를 보였다. 그라운드 점수만 봐도 후지타 카즈유키의 판정승이 점쳐지는 승부였으나 심판은 모두 크로캅의 손을 들어주었고 후지타는 아쉬운 패배를 맛봐야 했다. [15]
2003년 6월에는 PRIDE.26에서 에밀리아넨코 효도르와 일전을 벌였다. 당연히 언더독 평가를 받았고 예상대로 효도르가 우세한 경기를 펼쳐나갔다. 그렇게 1라운드 2분이 가까워졌을 무렵 효도르가 갑자기 펀치러쉬를 감행했다. 여기서 사건은 터졌다. 효도르의 레프트에 후지타가 풀스윙한 라이트가 정확하게 카운터로 꽂힌 것이다. 이 한방으로 효도르는 그로기에 빠져 비틀거렸고 후지타는 다시 없을 기회를 잡았다. 하지만 곧바로 달려들지 못한 채 효도르에게 클린치를 허용하여 회복할 시간을 주는 실수를 범했고,[16] 결국 데미지를 회복한 효도르의 곧바로 이어진 바디킥-원투에 다운되고 그대로 리어 네이키드 초크까지 이어지며 패배하고 말았다.
2004년 5월에는 K-1 ROMANEX에서 밥 샙을 상대로 머리통을 날려버릴 듯한 사커킥을 보여주며 밥 샙이 탭을 치게 만들어 서브미션승을 거뒀고, 2004년 12월 K-1 Dynamite!!에서는 2004 아테네 올림픽 레슬링 금메달리스트였던 이집트의 카람 이브라힘을 원펀치 실신 KO로 잡아냈다.
2006년 5월에는 PRIDE 무차별급 그랑프리 1차전에서 제임스 톰슨과 격돌했다. 초반 태클이 모두 막히고 타격과 클린치 싸움에서 압도당했으나, 맷집으로 다 씹어버리며 계속 들이댔다. 1라운드 후반 톰슨의 페이스가 느슨해진 틈을 타 펀치를 적중시킨 후 피튀기는 인파이팅에서 톰슨을 침몰시키며 역전승을 거뒀다.
렌즈에 피가 튀었다.
이 경기는 2023년 UFC 파이트 패스로 올라오기도 했는데, 고전 영상임에도 불과 몇 개월 만에 조회수가 무려 500만을 돌파했을 정도로 인기였으며 당시에도 최고의 업셋 경기였다. 일단 후지타는 레슬링 원툴 이미지가 강했던 데다가, 상대 톰슨은 백인 밥샙을 연상시키는 거한에 타격 원툴 이미지였기에 당시 전문가들의 예측은 그라운드로 끌고 갈 수 있느냐 여부가 쟁점이었다. 당시 타격으로 톰슨을 이길 거라는 예측은 보기 힘들었으며, 프라이드 동양인 헤비급 선수 중에서 타격전을 걸어 톰슨을 이길 전력의 선수 자체가 없었다. 당시 톰슨은 '화이트 밥샙' 마냥 공이 울리자마자 성난 황소처럼 달려들어가서 타격전을 거는 선수였는데, 이 경기에선 톰슨이 먼저 들어오라고 손짓하며 방어적으로 나선 모습도 이색적이었다.
철저히 준비하고 나온듯 후지타의 테이크다운 시도 자체를 모두 봉쇄하여 승부의 추가 톰슨으로 많이 기울던 찰나에, 갑자기 후지타가 그냥 맷집을 믿고 들이대며 타격전을 시도하고 톰슨도 맞불을 놓으며 전설의 ' 돈 프라이 vs 타카야마 요시히로'처럼 변하게 되어 관중들이 뜨거워졌다. 전율의 타격전 끝에 후지타가 TKO로 잡아내며 관중들과 중계진들이 뒤집어지고 후지타는 이날의 영웅이 되었다. 터미네이터 포스의 톰슨이 다리가 풀려 풀썩 무릎을 꿇는 충격적인 장면으로 경기가 종료된 후 여유 있게 미소를 짓는 후지타의 세리모니도 당시 폭풍간지라는 찬사가 많았다.
2006년 7월의 2차전에서는 PRIDE 미들급 챔피언인 반달레이 실바와 대결했다. 중반까지는 본인 장기인 테이크다운 후 개비기로 어느 정도 잘 운영하다가 얼마안가 스탠딩에서 얻어맞고 다운되더니 사커킥에 난타당하며 TKO로 패했다.
2006년 12월 PRIDE 남제(男祭り)에서 다시 승수를 추가하지만 2007년 4월 PRIDE.34에서 제프 몬슨에게 리어 네이키드 초크로 패했다. 이 경기를 마지막으로 PRIDE가 해체됐고 후지타는 센고쿠행을 택했다. 2008년 3월 센고쿠 1진에 참가해 피터 그라함에게 노스 사우스 초크로 서브미션 승리를 거뒀다.
하지만 2008년 6월 센고쿠 3진에서 트래비스 위프에게 얻어맞으면서 KO로 패했고, 이후 효도르를 삼보로 이겨 유명세를 탄 불가리아 파이터 블라고이 이바노프와 명승부를 펼쳤다. 1라운드 양측 다 불꽃 튀는 난타전을 펼치다 카운터성 훅에 주춤한 후지타가 테이크다운으로 위기를 모면하며 종료. 2라운드 후지타의 늙어도 살아있는 완력을 앞세운 레슬링으로 이바노프를 테이크다운 시킨 뒤 하위에 깔아둔 채 대부분 시간을 보냈다. 3라운드에선 한 방은 살아있는 후지타 펀치를 경계하며 판정을 의식한 이바노프는 아웃파이팅 전략으로 나섯지만 후지타의 레슬링에 여지없이 깔려 라운드 반 이상을 하위 포지션에서 지새며 경기 종료. 판정 결과는 이바노프의 스플릿 판정승이었다.
알리스타 오브레임에게 1라운드 초반 보는 사람이 다 아플 정도의 니킥을 맞고 KO패 당하면서 총 3연패를 기록했다.
2013년 12월 31일 이시이 사토시를 상대로 복귀전을 치렀지만 만장일치 판정패를 당했다.
2017년 11월 11일 Road FC에서 아오르꺼러와 무제한급 경기를 가졌다. 격갤 등지에선 2013년 이후 사실상 은퇴 상황이었다가 2016년에 2전을 가지고 그나마도 무기력한 패배를 기록한지라 매값 벌러 나온 거 아니냐는 등 큰 기대는 갖지 않는 분위기였고, 역시나 일방적인 패배를 당했다.
2018년 5월 12일 Road FC 무제한급 토너먼트의 리저브 매치에서 중국의 공한동과 대결했다. 그리고 오랜만에 기권승을 따냈다. 경기 내내 공한동이 일방적으로 밀리다가 클린치 상황에서 후지타 카즈유키의 손이 허리를 잡으러다 파울컵을 스쳤는데 공한동이 갑자기 로블로 어필을 하며 경기 속행 의사를 밝히지 않으며 엄살을 피운 것이다. 심판진끼리 잠시 회의를 하더니 로블로 판정이 아닌 기권으로 판단했다. [17]
2018년 8월 18일에 열린 Road FC 049에도 출전했다. 19살이나 어린 미국의 저스틴 모튼을 상대로 초반 스탠딩 타격전부터 우세한 모습을 보이며, 2라운드 노스 사우스 초크로 승리를 거둔다. 아오르꺼러에게 무기력하게 패배하고 공한동에게도 찜찜한 기권승을 따내서 그런지 더욱 값진 승리가 되었다. 이전과 비교했을때 몸이 전성기 때처럼 굉장히 다부지게 변한데다가 펀치 속도가 빨라져 약물을 한 것은 아닌가 생각하는 팬들도 있다. 이 경기 이후 최무배를 콜한다.
2018년 11월 3일에 최무배를 상대로 승리를 거두었다. 최무배는 뎀프시롤(?)을 하며 후지타 카즈유키에게 접근하려 했지만, 후지타의 뒷손 페이크에 걸리며 왼손 훅에 맞고 쓰러졌고, 이후 파운딩과 해머링을 맞다가 레프리 스탑을 하며 후지타의 승리가 선언되었다.
2.3. 프로레슬링
신일본 프로레슬링 소속 시절에 최대 기대주로 주목받았으나, 활동 기간 자체가 3년 여로 매우 짧아서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하고 2000년 1월 4일을 마지막으로 신일본 프로레슬링에서 퇴사했다.이후 스승인 안토니오 이노키의 격투기 담당 소속사인 이노키 사무소에 입사하며 종합격투기에 입문하게 된다. 격투가 전향 이후에도 프로레슬러 활동을 병행했다.
2005년에는 신일본 프로레슬링의 IWGP 챔피언십 벨트를 차지하기도 했다.
2019년부터 프리 신분으로 프로레슬링 NOAH에 출전하며 레귤러로 참전했다.
2020년 3월 29일 코로나19 예방을 위해 무관중 대회로 열린 시오자키 고와의 GHC 헤비급 타이틀 매치에서 30분 동안 아무것도 안 하고 눈싸움을 벌이기도 했다. # 이 매치의 평가는 극과 극으로 갈려서, 30분동안 아무것도 안 했음에도 일촉즉발의 긴장감을 잘 보여줬으며, 그야말로 무관중 시대에만 할 수 있는 프로레슬링의 새로운 장이라는 평가와 아무리 그래도 30분동안 아무것도 안 하는 건 너무 길었다라는 평가로 나뉘었다.
2021년 3월 21일 권왕을 꺾고 GHC 내셔널 챔피언[18]에 등극했다.
2022년 2월 23일 나카지마 카츠히코를 꺾고 GHC 헤비급 챔피언[19]에 등극했다. 다음 날 프로레슬링 NOAH에 입단했다. 이후 1차 방어에 성공했지만 2차 방어전을 앞두고 코로나19에 걸리는 바람에 타이틀을 반납했다. 5월 21일 오카다 킨야와 복귀전을 가졌다. #
3. 파이팅 스타일
3.1. 종합격투기
아마추어 레슬링 베이스답게 준수한 하단 태클과 클린치 레슬링을 무기로 삼았다. 여기에 사기적인 맷집과 파워가 더해졌고 타격도 스킬 자체는 뛰어나지 않았지만 한방의 파괴력은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었다.약점은 패턴이 너무 단순하고 레슬링도 정상급에서 활약하기에는 조금 부족했다는 것이다. 하단 태클이 준수하긴 했지만 알고도 못 막을 정도의 레벨은 아니었고, 태클이 막히면 할 수 있는 게 거의 없었다. 엘리트 레슬러 출신임에도 그래플링 능력도 그다지 뛰어나지 않아서 그라운드 이해도가 높은 선수를 상대로는 상위 포지션을 점유하고도 서브미션 시도는 커녕 파운딩 공격조차 효과적으로 하지 못했다.
3.2. 프로레슬링
프로레슬러로서의 실력 자체는 평타 정도라고 할 수 있다. 전속 프로레슬러로 활동한 기간이 별로 길지 않아서 경기를 운영해 나가는 능력이 조금 부족하고 사용하는 기술 가짓수 자체도 적은 편이지만, 50이 넘어서도 녹슬지 않는 무지막지한 파워와 의외로 괜찮은 기본기들을 활용해서 할 일은 그럭저럭 다 하는 타입. 종합격투기성 기술은 몇 가지 안 쓰는 편이다.한 가지 장점이 있다면 경기력을 중요시하는 일본에서 경기력이 조금 부족한 편이지만 50이 넘어서도 압도적인 체구와 종합격투기 실적으로 최종 보스같은 이미지가 강해서, 후지타와 굳이 명경기를 뽑아내려고 아둥바둥하지 않고 후지타에게 승리하는 것 만으로 상대의 이름값이 높아진다는 것. 즉 후지타라는 카드 자체의 영양가가 제법 높다고 말할 수 있다.[20]
4. 종합격투기 전적
5. 여담
- 기자회견장과 링 위에서도 맥주를 가져와서 원샷을 때릴 정도로 맥주 사랑이 지극한 것으로 유명하다.
- 아카마무시 드링크[21]도 좋아해서, 입장할 때 아카마무시 드링크를 한가득 들고 나와서 남녀 상관없이 나눠주는 것도 후지타의 상징 중 하나가 되었다.
- 판크라스 출신의 전 격투가 겸 프로레슬러 타카하시 요시키는 고등학교, 대학교 2년 직속 선배이다.
- 슬하에 장녀 후지타 마히루([ruby(藤田, ruby=ふじ た)] [ruby(眞妃琉, ruby=ま ひ る)], 2008년 4월생), 장남 후지타 미하쿠([ruby(藤田, ruby=ふじ た)] [ruby(親伯, ruby=み はく)], 2009년 10월생), 차녀 후지타 무라사키([ruby(藤田, ruby=ふじ た)] [ruby(紫, ruby=むらさき)],2011년생) 세 명의 자녀를 두고 있으며, 모두 레슬링 선수로 육성하고 있다. 장남 미하쿠는 2024년 전국 중학교 선수권 U15 남자 75kg급 3위를 기록했으며, 장녀 마히루는 2024년 인터하이 여자 74kg급에서 우승을 거두며 일본 여성 중량급 레슬링의 새로운 희망으로 꼽히고 있다.
- 2005년에 캘리포니아 라구나 힐즈 소재의 마르코 후아스의 도장에 다니기 위해 호텔을 잡았다가 아예 집을 빌리는 것이 더 싸다는 조언을 듣고 집을 빌렸고, 그곳에 체류하던 도중인 2009년 10월 미국 캘리포니아 애너하임에서 장남 미하쿠가 탄생했기 때문에 장남 미하쿠는 일본, 미국 이중 국적을 가지고 있다. 미들 네임도 지어줘서 미국식 풀네임은 Mihaku 'TIGER' Fujita 이다.
- 이노키즘 최후의 투혼 계승자라는 별칭이 있을 정도로 이노키즘의 선봉장으로 평가받으며 안토니오 이노키의 총애를 받았으나 언제부터인가 불화설이 나돌기 시작했다. Pride에 진출한 무렵도 이때를 전후해서인데, 이 때문에 후지타 카즈유키의 행보를 두고 말이 많았다. 하지만 이후 2016년 안토니오 이노키가 관여한 IGF 흥행에 참여하면서 불화설을 잠재웠다.
- 브록 레스너와는 종합격투기가 아닌 프로레슬링으로 경기한 적이 있다. 후지타는 프로레슬링 커리어도 나름 굉장한 선수로, 신일본 프로레슬링의 최고 벨트인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보유한 적도 있다. 특히 IWGP 헤비웨이트 타이틀을 획득한 경기 중 정통 프로레슬러인 텐잔 히로요시를 2분 만에 슬리퍼 홀드로 실신시키고 승리한 것이 유명하다. 프로레슬링이라는 경기가 2분 만에 무슨 재미를 느낄만한 건덕지가 생기는 게 아니기 때문에[22] 엄청난 혹평을 받았으며, 당시 신일본의 사건 사고 중 하나로 길이길이 남아 있다. G1 클라이맥스 2005 시즌에 카와다 토시아키와의 경기,[23] 2015년 11월 15일엔 세키모토 다이스케와의 태그로 스와마 & 오카바야시 유지를 상대한 경기가 데이브 멜처에게서 4성을 받았다. 또 2001년 6월 6일에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나가타 유지를 상대로 방어할 때 도쿄 스포츠 프로레슬링 대상 2001년 베스트 바웃에 선정되는 등 프로레슬러로서는 그저 그런 후지타 카즈유키가 명경기를 만들 수 있게 도와준 특급 워커들이 있었다.
5.1. SRC 소송 사건
2009년 K-1 다이너마이트[24]에서 열린 후지타 카즈유키 vs 알리스타 오브레임 경기에 대한 후지타의 파이트머니를 두고 후지타와 SRC(센고쿠) 사이에 벌어졌던 소송. 당시 일본 MMA 파이터들의 몸값을 추정할 수 있는 몇 안되는 정확한 자료 중 하나다.후지타는 이 경기에서 알리스타 오브레임에게 1분 15초 만에 니킥에 넉아웃되어 실신했고 급히 병원으로 후송되었다. 이 결과를 두고 SRC측은 후지타가 시합에 이길 의지 없이 단지 대전료를 받을 목적만으로 경기에 임했다고 판단, 의식불명이 된 선수에게 은퇴를 권고한다는 규정에 따라 후지타에게 은퇴를 권고했다. 더불어 후지타의 계약금 중 일부를 지급하지 않겠다는 입장 또한 발표했다.
문제는 그 액수가 충격적이었다는 것. 후지타 측은 SRC로부터 840만 엔 적은 금액을 받았다고 주장했고, SRC는 그것이 후지타와 계약한 5시합에 대한 계약금 중 오브레임전 분량을 뺀 것이라고 해명했다. 이어 밝혀진 계약서에 의하면 후지타는 계약금 4천만 엔에 시합당 파이트머니는 3천만 엔, 연말 이벤트에 출전할 경우 4천만 엔을 받도록 되어 있었다.
이는 당시 미국 무대에서 최고의 몸값을 받고 있었던 척 리델이나 조르주 생 피에르와도 맞먹는 금액이었는데, 과거 DSE와 FEG의 선수들이 1~2만 달러 정도의 대전료를 받는다고 발표해 왔던 것을 생각한다면 굉장한 액수였다.[25]
6. 둘러보기
스기우라 타카시 | 후지타 카즈유키 | 사쿠라바 카즈시 | 이호 데 독토르 와그너 Jr. | ||||
르네 듀프리 | 켄도 카신 | 나카무라 다이스케 | 무라카미 카즈나리 | ||||
{{{#!folding 【 전 멤버 】 | 오카다 킨야 | 오오하라 하지메 | 요시오카 세이키 | KAZMA SAKAMOTO | |||
딕 토고 | 세키네 "슈렉" 히데키 | 카즈 하야시 | NOSAWA논외 | ||||
스즈키 히데키 | 색슨 헉슬리 | 티모시 대처 |
도쿄 스포츠 프로레슬링 대상 신인상 | ||||
콘도 유키 (1996) |
→ |
후지타 카즈유키 (1997) |
→ |
카네마루 요시노부 (1998) |
도쿄 스포츠 프로레슬링 대상 연간 최고 시합상 (베스트 바웃) [★] | ||||
2001년 6월 6일 |
신일본 프로레슬링 초실력파선언 2001 |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나가타 유지 vs _후지타 카즈유키_(C) |
[1]
후나바시시 인근의 야치요시 소재. 다양한 부문의 동문을 배출해 내서 동문으로는 장, 단거리 육상선수들과
2024 파리 올림픽 여자 유도 48kg급 금메달리스트 츠노다 나츠미,
다른 쪽으로 유명해진 전 프로야구 선수
타다노 카즈히토,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나가오카 히데키를 비롯한 야구선수들, 성우
마에다 타케시,
가면라이더 시리즈를 대표하는 슈트 액터
에이토쿠, 요절한 소설가
이토 케이카쿠 등이 이곳 출신이다.
[2]
스모,레슬링 명문으로 동문들도 화려해서 레슬링부 소속으로는
1976 몬트리올 올림픽 대표 '난폭무사'
야츠 요시아키, 1984년, 1988년, 1992년 3회 올림픽 출전에 빛나는 '아마레슬링의 신'
혼다 타몬, 아마 시절 만만찮은 실적을 남긴
그레이트-O-칸, 비극의 사망을 맞이한
후쿠다 마사카즈, 여성부의 '괴물'
하시모토 치히로 등이 여기 출신이며 특히 판크라스 출신의 전 선수 타카하시 요시키는 고교, 대학 2년 직속선배였다. 비 레슬링부 출신으로는
이시카와 타카시와, 학생 프로레슬링(프로레슬링 동아리)인 니혼대학 프로레슬링 연구회 출신의 야스 우라노, 조운 자룡, 미와 후토시, 다이스케, 간바레☆프로레슬링 대표 오오카 켄,
DDT 프로레슬링의 KUDO, BASARA의 카자토 다이치, 2AW의 모가미 큐,
대일본 프로레슬링의 요시노 타츠히코 등이 있다.
[3]
수그리고 있는 상대의 몸통을 사정없이 걷어찬다.
[4]
워낙 훌륭한 파워의 소유자인 후지타인지라 상대적으로 부족한 키를 상대를 들어올리는 높이를 높여서 커버한다.
[5]
수그리고 있는 상대의 측두부를 후려깐다. 종합격투기 시절에
밥 샙의 머리통을 작살낼듯이 후드려까서 밥 샙을 압도한 적이 있을 만큼 단순하지만 흉악하기 그지없는 기술인데, 20년이 넘게 지난 지금에 와서는 이 서사를 모르는 팬들이 대부분인데다가 그걸 제외하고도 이걸로 경기를 마무리지으면 경기가 좀 허무하고 갑작스럽게 끝나는 느낌이 강해서 팬들 사이에서 평가가 좋지는 못하다. 사커볼 킥으로 상대를 찜질해둔 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6]
파워 밤. 50이 넘은 나이에도 110kg의
소야 마나부도 거뜬하게 번쩍 들어올리는 괴력을 보여주며, 마지막에 내려 찍을때 한번 더 가속을 줘서 전력으로 내려찍기 때문에 상대가 낙법칠 새도 없이 상대 후두부가 그대로 링에 박히는 흉악함을 자랑한다. 닐링식으로도 간혹 사용한다.
[7]
종합격투기 시절의 별명으로, 해외 팬들에게는 이 별명으로도 유명하다. OI'는 Old의 속어로, 즉 풀어 쓰면 Old Ironhead 이다.
[8]
신일본 프로레슬링 시절에 사용하던 테마곡.
[9]
후지타 카즈유키가 이노키 사무소를 나와 독립한 후 사용하기 시작한 테마곡.
[10]
안토니오 이노키의 테마곡 불꽃의 파이터~INOKI BOM-BA-YE~를 오케스트라 버전으로 편곡한 것. 안토니오 이노키의 마지막 제자라 불리는 후지타 카즈유키를 상징하는 곡이다.
[11]
프로레슬링 NOAH 정식 입단 후 2023년 1월 1일
NOAH THE NEW YEAR 2023부터 변경한 테마곡. 변경 당시에는 후지타의 상징인 불꽃의 파이터 오케스트라 버전이 바뀐다는 생각을 한 사람도 잘 없었을 뿐더러, 경기 당일 예고된 미스테리의 파트너 X인 척을 하고 나온 누군가와(하세 히로시의 등장을 감추기 위한 블러핑이었다.),
하세 히로시의 깜짝 참전으로 인해 시선이 전부 그 쪽으로 쏠려서 전혀 이슈가 되지 못했다.
[12]
2022년 2월 24일에 입단했다.
[13]
Rizin FF 공식 프로필
[14]
이후 확인된 결과 샴락은 근육증진제 약물 과다복용으로 심장이 통증이 온 것인데, 후지타 카즈유키는 그 약물 과다 복용자를 상대로 안면 정타를 수차레 허용했음에도 단 한 번의 테이크다운을 허락하지 않으며 맷집의 괴수임을 다시 한 번 각인시켜줬다.
[15]
만약 당시 채점 기준이 2000년대 UFC의 채점기준이었다면 후지타 카즈유키의 완승이었을 것이라는 의견이 우세하다.
[16]
실은 완벽하게 카운터로 들어간 게 아니고 같이 맞았다. 근데 후지타 카즈유키의 맷집이 넘사벽인데다가 이쪽은 눈감고 받아친 반면 효도르는 들어오다가 맞았다는 차이가 있다. 아주 잠깐이지만 후지타 카즈유키도 다리가 풀려 있었다.
[17]
누가 봐도 로블로는 아니었기 때문에, 무리한 어필이었다는 평이 지배적이다.
[18]
프로레슬링 NOAH의 타이틀.
[19]
프로레슬링 NOAH의 타이틀.
[20]
물론 NOAH는 이러한 이미지를 굳히기 위해서인지 후지타에게
키요미야 카이토를 제물로 주고
GHC 헤비급 챔피언을 먹이는 등 좀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많은 투자를 했다.
[21]
일본의 정력제.
[22]
레슬매니아 33의 브록 레스너 대
빌 골드버그처럼 선수 본인이 가진 이미지와 신체 능력을 이용해 짧은 시간 동안 큰 기술과 범프로 몰아붙이거나, 슈퍼 J 컵 1994에서의
블랙 타이거 2세 대
TAKA 미치노쿠처럼 짧은 시간에 정교하게 프로레슬링 테크닉을 채우거나, 섬머슬램 1993에서의
브렛 하트 대
제리 롤러처럼 스토리텔링과 감정선을 모두 짧은 시간 내에 보여주는 등 매우 뛰어난 프로레슬러가 아닌 이상 5분 언저리의 경기 동안 무언가 보여주기 힘들다.
[23]
이해 G1 클라이맥스에서 리그전 전승이라는 기록으로 초슈 리키 이후에 다시 나오는 전승 우승자가 될 뻔 했으나 결승전에서 쵸노 마사히로에게 패하는 바람에
전승준에 그쳤다.
[24]
K-1와 SRC가 공동 개최한 연말 대회.
[25]
물론 당시 DSE와 FEG의 공식 발표를 곧이곧대로 믿었던 격투팬은 거의 없었다.
[★]
밑줄이 승리자. 다자간 매치의 경우 이름 옆 (O)가 핀폴자, (X)가 피핀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