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08 10:23:06

편강렬

파일:대통령장 약장.png
건국훈장 대통령장 수훈자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D4D4D, #696969 20%, #696969 80%, #4D4D4D); color: #fede58"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B005-C002-0632-01_L1.jpg
강기동 구춘선 권동진 권병덕 김경천
김동삼 김병조 김붕준 김상옥 김성수[A]
김완규 김익상 김지섭 김하락 나석주
나용환 나인협 남상덕 남자현 노백린
린썬 문창범 문태수 민긍호 민종식
박열 박승환 박용만 박은식 박준승
백용성 신규식 신돌석 신석구 신채호
신홍식 쑨커 안재홍 양기탁
양전백 양한묵 여운형
여천민 연기우 오세창 오화영 유동열
유여대 유인석 윤기섭 우빈 이갑성
이동녕 이동휘 이명룡 이범석 이범윤
이봉창 이상설 이상재 이승희 이위종
이은찬 이인영 이재명 이종일 이종훈
이필주 임예환 장건상 장인환 전명운
전해산 정환직 조성환 조완구 주시경
주자화 지청천 채상덕 천청 최석순
최성모 편강렬 홍기조 홍범도
홍병기 황싱 후한민
[A] 친일 행적으로 인한 서훈 취소 }}}}}}}}}}}}
파일:片康烈.jpg
<colcolor=#fff><colbgcolor=#0047a0> 출생 1892년 2월 28일
황해도 연안도호부 서부면 현죽리 목동
(現 황해남도 연안군 와룡리 나무골마을)
사망 1929년 1월 6일 (향년 36세)
만주
묘소 중화인민공화국 랴오닝성 단둥시 진장산(錦江山)
본관 절강 편씨[2]
자 / 호 강우(康宇) / 애사(愛史)
가족 아버지 편병훈
서훈 건국훈장 대통령장 추서

1. 개요2. 생애3. 기타4. 참고 자료

[clearfix]

1. 개요

구한말 ~ 일제강점기에 활동한 의병장이자 독립운동가.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받았다.

2. 생애

1892년 2월 28일 황해도 연안도호부 서부면 현죽리 목동(현 황해남도 연안군 와룡리 나무골마을)에서 아버지 편상훈(片相薰)[3]과 어머니 선산 김씨 김제원(金濟遠)의 딸 사이의 4형제 중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선대는 대대로 경상북도 김천시 어모면 다남리의 절강 편씨 집성촌에서 거주했으나, 조부 편좌언(片佐彦) 대에 이르러 황해도 연안도호부로 이주했다. #

조부 편좌언은 종6품 부사과(副司果)로 있던 1884년 10월 종3품 정평도호부사에 제수되었으나 #, 이듬해 2월 능호(陵號)를 평행으로 썼다고 하여 논죄되었고 #, 같은 달 종4품 함안군수로 좌천되었다. # 그러다가 그 해 11월 무슨 이유에선지 종9품 친군별영(親軍別營) 초관(哨官)에 제수되었지만 # 부임하지 않고 함안군에 버티다가 결국 파직되었다. # 1886년 4월, 한 달 전 창덕궁 북원(北苑)에서 숭정제에 대해 망배례(望拜禮)를 지낼 때 참가한 공으로 정3품 통정대부(通政大夫)의 품계에 오르고 # 종4품 부호군(副護軍) #에 제수되었다. 같은 해 10월, 지난날 함안군수로 있으면서 조세로 바쳐야 할 쌀과 군포를 제때 바치지 않고 기일을 지연시킨 죄로 고향 김산군에 있다가 의금부에 하옥되었고 #, 이후의 행적은 알 수 없다.

한편, 아버지 편상훈은 1883년 종9품 선공감(繕工監) 가감역관(假監役官)에 제수되었으며 #, 1892년 3월 참반 유생(參班儒生)들의 응제(應製)에 입격하여 그 해 열린 별시 문과 초시에 응시할 자격을 얻었으나 # 급제하지는 못했다. 1897년에는 6품의 품계를 갖고 있었다. #

이렇듯 무관 가문에서 자라난 편강렬은 어려서 한학을 공부하다가 을사늑약으로 외교권이 박탈당하자, 학업을 그만두고 '토왜복수'를 외치며 16세에 이강년의 의병대에 들어간다. 거기서 선봉대장을 맡은 편강렬은 경상도와 충청도 일대에서 활약한다. 1년 후 전국의 의병들이 모여 서울 진공작전을 펼쳤으나 실패하고, 편강렬도 부상을 입고 고향으로 내려간다.

1910년 국권을 강탈당한 후 편강렬은 신민회에 가입한다. 황해도 지부에서 활동하던 중 105인 사건이 일어났고, 거기에 휘말려 2년동안 서대문형무소에 수감되어 고문을 당한다. 하지만 편강렬은 이에 굴하지 않았고 출옥 후 대한광복회에 가입하여 소수의 결사대로 항일운동을 벌인다.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편강렬도 동료들과 함께 만세시위를 준비하여 3월 15일부터 만세운동에 참가한다. 그 계기로 임시정부가 수립되자 동생 편덕렬을 상하이 임시정부로 파견했으며, 구월산 주비대를 조직하여 황해도에서의 독립운동 지원과 독립군의 국내 진입 시 원조를 목표로 활동한다. 그러나 일제가 이 사실을 알고 비상경계령을 내려 대대적인 검거작전을 벌여 편강렬은 다시 체포당해 수감생활을 하게 된다.[4]

다시 출옥한 편강렬은 고향으로 돌아갔지만, 그 와중에 가족들은 흩어지고 운영하던 점포도 채권자에게 넘어가 기반이 아예 풍비박산이 나고 만다. 그러나 그는 이러한 어려움에도 굴하지 않고 다시한번 기반을 다지기 위해 만주로 망명하여 양기탁, 강진지, 남정 등과 함께 의성단을 조직해 단장이 된다. 의성단은 무장 독립 투쟁 계열의 독립운동 단체로, 단원을 모아 무장하고 국내에 진입할 계획을 세우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1924년 250명의 단원이 모인 의성단은 창춘의 일본 영사관을 습격하여 60여명의 일본 경찰들과 군인을 살상하는 전과를 세운다. 그리고 만철병원을 습격하고, 7명의 단원을 이끌고 펑톈에서 시가전을 벌인다.

이 일이 알려지자 일제는 의성단 토벌을 제1급 사건으로 두고 진압작전을 펼친다. 하지만 편강렬은 유유히 빠져나가고 '아사홍행 아생홍사'라는 조롱의 글귀를 남긴다.[5]

만주의 독립운동 단체는 여기저기 산발적으로 흩어져 있었으며, 편강렬은 이를 통합하기 위해 노력을 기울인다. 1924년 7월에는 서로군정서, 길림주민회 등의 독립운동 단체들과 통합을 논의하고, 1924년 8월[6] 10여명의 부하를 거느리고 군자금을 모집 겸 독립운동 단체를 규합한 '통일회'를 조직하기 위해 하얼빈으로 간다. 그러나 이를 파악하고 있던 일본 경찰이 출동하여 결국 체포당하고 만다.

1924년 8월 22일 신의주로 끌려가고 1925년 3월 30일 7년형을 선고받고 다시한번 각종 고문을 당한다. 재판장에서 대소를 하는 등 정신은 굴하지 않던 편강렬이지만 2년여간의 혹독한 고문과 수감생활에 결국 몸이 버티지 못하게 되었다. 1926년 9월 29일 엉망진창인 몸을 이끌고 병보석으로 풀려나 병원에 입원했지만 상태는 호전되지 않았다. 시간이 길어지자 가난한 생활에 병원에 더는 입원할 수 없었던 편강렬은 다시 만주로 이동한다.

가족들은 일본 병원에 가서 치료를 받자고 하였으나 편강렬은 왜놈에게는 치료받지 않겠다고 끝내 거부한다. 그 후 1929년 1월 16일 만주 땅에 묻되 광복 이전에는 고국으로 이장하지 말라는 유언을 남긴 채 세상을 떠난다.

3. 기타

사후 공적이 인정되어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된다.

1926년 9월 26일 동아일보자에 그가 옥중에서 쓴 시가 남아있다.
양양한 압록강수 밤낮으로 흘너가는 곳 어데이뇨
유유한 나의 심사
너를 따라 거지업다
외외한 금수봉아
흘립천장 놉히서기
깁흔 담장안 너 그러워
탄식하는 너의 녯 주인
창공에 밝아 잇는 저 명월
아- 누구를 위하여서!
교교히 벗치엿는 창공에
깁흔 한은
망국혼이 늑기워라
언제나 언제나 붉은 담 붉은 옷
버서라
사랑하는 너를 질길소냐?

4. 참고 자료


[1] 이명은 김범오(金範五). [2] 호수(皞水)계 15세 렬(烈) 항렬. [3] 족보명 편병훈(片炳薰). [4] 이때 수감기간이 1년 2개월(14개월)이라고 되어있는 곳이 있고 1년 6개월(18개월)이라고 되어있는 곳이 있다. 내용이 정확하지 않은 것 같다. [5] 직역하면 '내가 죽고 홍이 살거나 내가 살고 홍이 죽는다.'이다. 당시 편강렬 체포를 위해 파견한 사무관 홍모를 두고 비웃는 글귀이다. [6] 1925년이라고 되어있는 곳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