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05 02:10:32

이은찬

파일:대통령장 약장.png
건국훈장 대통령장 수훈자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D4D4D, #696969 20%, #696969 80%, #4D4D4D); color: #fede58"
{{{#fede58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B005-C002-0632-01_L1.jpg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width=20%> 강기동 ||<width=20%> 구춘선 ||<width=20%> 권동진 ||<width=20%> 권병덕 || 김경천 ||
}}}}}}}}}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이은찬
李殷瓚[1]으로 등재되어 있다.]
<colcolor=#fff><colbgcolor=#0047a0> 이명 이언찬(李諺瓚), 이헌찬(李憲瓚)
여해(汝海)
본관 전주 이씨 덕천군파[2]
출생' 1878년 9월 21일
강원도 원주목 부흥사면 신성리[3]
(현 강원도 원주시 관설동 섭재마을)[4]
사망 1909년 6월 16일 (향년 30~31세)
한성부 서서 반송방 지하계 모화현 서대문형무소
묘소 국립서울현충원 독립유공자 묘역-106호
상훈 건국훈장 대통령장 추서

1. 개요2. 생애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독립유공자.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되었다.

2. 생애

1878년 9월 21일 강원도 원주목 부흥사면 신성리(현 강원도 원주시 관설동 섭재마을)에서 아버지 이석하(李錫夏, 1841. 11. 24 ~ 1917. 11. 19)[5]와 어머니 경주 이씨(1841. 5. 15 ~ ?. 10. 21)[6] 사이에서 두 아들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아래로 남동생 이은호(李殷鎬, 1889. 9. 21 ~ 1950. 12. 1)가 있었다.

이후 대한제국군에 입대하였다. 하지만 1907년 정미7조약으로 대한제국 군대해산이 되자 의병을 일으켜 세웠다. 이후에 일제의 저항하면서 의병활동을 하며 정미의병으로 활약하였다. 항전을 지속해 나아가다 양주군에서 일본군과 교전하여서 큰 피해는 입혔지만 의병의 피해도 만만치 않기에 간도로 가서 신병육성과 군대정비등을 할 계획을 세웠다. 하지만 이때 계획을 알아차린 박노천이과 신좌균이라는 사람이 나타나 군자금을 준다는 명목으로 서울로 유인하여서 잠입하던 일본군이 기습하여 헌병대에 체포당하였다.

1909년 5월 8일 경성지방재판소에서 이른바 내란 혐의로 교수형 선고받았고, 1909년 6월 16일 한성부 서서 반송방 지하계 모화현 서대문형무소에서 사망했다.

1962년 3월 1일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독립운동 공적을 인정받아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되었다. 유해는 당초 강원도 원주시 봉산동 천주교 공동묘지에 안장되었다가 1971년 10월 20일 국립서울현충원 독립유공자 묘역에 이장되었다.

[1] 전주이씨덕천군파보 권1 349쪽에는 李 [2] #. 상산군파(商山君派) 18세 은(殷) 항렬. [3] 독립운동인명사전 [4] # [5] 자는 병세(炳世). [6] 이하영(李遐榮)의 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