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2-29 02:30:38

문창범

파일:대통령장 약장.png
건국훈장 대통령장 수훈자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D4D4D, #696969 20%, #696969 80%, #4D4D4D); color: #fede58"
{{{#fede58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B005-C002-0632-01_L1.jpg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width=20%> 강기동 ||<width=20%> 구춘선 ||<width=20%> 권동진 ||<width=20%> 권병덕 || 김경천 ||
}}}}}}}}} ||
파일:문창범.png
<colcolor=#fff><colbgcolor=#0047a0> 이명 원창범(元昌範)
본관 남평 문씨[1][2]
출생 1870년
함경도 경원도호부 유신사 삼리 죽기마을[3]
(현 함경북도 경흥군 송산리)[4]
사망 1934년[5] 10월 10일
중화민국 상하이[6]
상훈 건국훈장 대통령장 추서

1. 개요2. 생애
2.1. 사망?

[clearfix]

1. 개요

한국 독립운동가. 연해주 지역에서 최재형 선생 이후로 독립운동의 거두로 활동했다. 1990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받았다.

독립유공자 문창학은 그의 4촌 동생이다.[7]

2. 생애

1870년 함경도 경원도호부 유신사 삼리 죽기마을(현 함경북도 경흥군 송산리)에서 태어났다. 1877년(고종 14) 경 부친을 따라 노령 연해주 니콜리스크 인근 육성촌(六城村)[8]으로 이주하였다.

1908년( 융희 2) 민족교육을 위하여 노령 니콜리스크의 타레스 부락에 광동학교(光東學校)를 설립하고 1916년까지 운영하였다.

1911년 노령 니콜리스크에서 배일선전 격문을 작성하여 각지에 발송하고 국권회복을 기도하면서 국내에 무력진공을 계획하는 한편 노령과 중국 동삼성 지역에 있던 독립운동단체들을 규합하는 등의 활동을 하였다.

해삼위(海蔘威) 신한촌에서 권업회가 조직되자 그는 권업회의 우수리스크지회 대표에 임명되었다.

1918년 6월 중국 지린성 쌍성[9]에 전로(露)한족회중앙총회를 조직하고 회장으로 선임되어 각지에 분회를 설치하여 자치기관으로 육성하였다. 1919년 2월 1일 동삼성에서 발표된 무오독립선언서에 서명자 39인 중 한 사람으로 참여하였다. 이어 미주의 안창호 등과 연락하여 1919년 3월 17일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전로한족회중앙총회를 기반으로 대한국민의회라는 임시정부를 구성하고, 대한국민의회장의 명의로 독립선언서를 작성하여 노령 해삼위에 있는 일제 영사관과 기타 11개국 영사관에 배부한 후 주민들에게 태극기를 가지고 거리를 행진하며 만세시위를 하도록 독려하는 등의 활동을 전개하였다.

1919년 4월 13일 선포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내각 구성에서, 같은 연해주 지역으로 군무총장 이동휘, 재무총장 최재형과 함께 교통총장에 선임되었다. 그해 4월 23일 국내 13도 대표 이만직(李晩稙) 외 23명이 국민대회를 열어 임시정부를 조직할 때 집정관 총재 이승만, 국무총리 이동휘와 함께 교통부총장으로 내각 조직에 선임되었다. 1919년 9월 상해 대한민국임시정부에서 독립운동단체들과 각 당파를 망라하여 대통령제로 개편할 때 다시 교통부 총장에 선임되었다. 그는 현순의 거듭된 상하이 방문 요청으로 상하이로 일단 내려왔다.

1920년 중국 상해에서 대한적십자사의 고문으로 추대되었고, 그해 4월 대한국민의회를 해삼위에서 무시로 이전한 뒤 흑룡강주에 한족공산당 본부를 설치하여 러시아 공산당 정부의 원조를 받아 군대를 편성하였으며, 〈자유보〉,〈신세계〉등 홍보물을 발행하면서 대표를 모스크바에 파견하여 활발한 활동을 전개하였다.

1921년 그는 장령자(長嶺子) 국가무역부에 입사, 취직하여 출장소 주임으로서 근무함과 동시에 고려공산당 연추(煙秋)[10]지부의 조직에 참여하였다. 그가 국가무역부 출장소의 직원으로 취직한 내용은 1934년 조선총독부 경무국이 작성한 『국외용의조선인명부(國外容疑朝鮮人名簿)』에 등재되어 있다. #

1921년 2월 22일 고려공산당 연추지부의 책임을 담당하여 중국 동삼성 및 노령에 거주하는 교민의 독립운동을 지도하였으며, 러시아 치타에 무관학교를 설립하고 노령 내 귀화 교민들에게 입교를 권유하여 독립군 양성에 힘썼다. 그해 6월 노령 하바로브스크 소재 소련 공산군 제2군단과 교섭하여 간도지역 독립군의 노령 자유시로의 이주를 성사시켰다. 자유시 참변 이후인 1922년 6월 노령 무시에 고려중앙정청을 조직하고 이동휘와 함께 고문으로 활동하였다.

1923년 1월 한때 그가 피살되었다는 피살설이 돌아 동아일보 등에 보도되기도 했다. 이때 그는 연해주 이만(Iman, 달네레첸스크)으로 옮겨가 김광서와 함께 독립단을 조직하여 무장활동을 하였다. 당시 신한민보에는 그의 죽음은 헛소리라는 기사를 보내기도 했다.

1923년 6월 상해 임시정부에서 소집한 국민대표회의에 참가하였다. 이후 1925년 1월 15일자 신한민보 기사에 미국의 독립운동가들이 해삼위의 독립운동가들을 방문하여 회의를 한 기사에 등장한다. 이후 그의 행적에 대한 기록이 나타나지 않는다.

2.1. 사망?

창조파에 속하여 독립운동을 계속하다가 1934년 10월 10일, 일제가 보낸 첩자에게 상하이에서 독살당하였다. 다만, 일설에는 1938년경 러시아의 한 감옥에서 이질에 걸려 사망했다는 설도 있는데, 다음 기록에 근거한다.
문창범은 장사하기 좋아하는 사람이었다. 륙성촌의 학교나 교회는 모두 다 그의 지도하에 지어졌다고 한다. 그는 큰 부자로 우수리스크에서 구역 집을 짓고 살았다 한다. (중략) 문창범은 1938년 감옥에서 이질을 하다가 60세를 지나서 세상을 떠났다 한다.
최 예카테리나 미하일로브나[11] 저, 「륙성촌에 대한 회고」중 일부. #

한때 1945년 해방 직후 9월 2일 한국민주당에서 그를 공동 영수로 추대하기도 했으며, 1990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되었다.


[1] 의안공파-이곡-관북파 31세 창(昌) 항렬. [2] # [3] 1896년 함경북도 경원군 유신면으로 행정구역이 변경되었다가, 1914년 유신면이 인근의 덕명면과 합쳐져 유덕면이 되었다. [4] # [5] 1938년에 사망했다는 설도 있다. [6] 소련에서 별세했다는 설도 있다. [7] 정작 남평 문씨 족보에는 문창범의 가계가 누락되어 있다. 문창학의 조부 문해범(文海範)의 슬하에는 문창학의 아버지 문태‎원과 숙부 문태옥(文泰玉)이 있었는데, 숙부 문태옥은 슬하에 딸만 한 명 있고 아들이 없어 문창학의 첫째 동생인 문창순(文昌順)을 입양한 것으로 되어 있다. [8] 푸칠로프카(Putsilovka)라고도 함. [9] 지금의 헤이룽장성 하얼빈시 솽청구(雙城區) [10] 지금의 러시아 극동 연방관구 프리모리예 지방 Khasansky구 Tsukanovo [11] 한국명 최금순, 1918년생. 육성촌에서 소학교를 졸업하고 1931년에 작가 조명희로부터 조선 문학을 배웠던 바 있음.